KR200492041Y1 - 코골이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041Y1
KR200492041Y1 KR2020180002013U KR20180002013U KR200492041Y1 KR 200492041 Y1 KR200492041 Y1 KR 200492041Y1 KR 2020180002013 U KR2020180002013 U KR 2020180002013U KR 20180002013 U KR20180002013 U KR 20180002013U KR 200492041 Y1 KR200492041 Y1 KR 200492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xillary
molars
mandibular
seating groov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860U (ko
Inventor
진익준
Original Assignee
진익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익준 filed Critical 진익준
Priority to KR2020180002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4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8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면에는 상악의 어금니가 삽입되도록 상악안착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하악의 어금니가 삽입되도록 하악안착홈이 형성된 한 쌍의 치아 밀착 몸체, 한 쌍의 치아 밀착 몸체를 연결한 상태로 입천장에 밀착되도록 배치하며, 턱 관절을 벌려 구강으로 호흡이 이루어지게 하는 턱 벌림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악의 어금니가 상악안착홈에 삽입되고, 하악의 어금니가 하악안착홈에 삽입시, 하악이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악안착홈과 하악안착홈의 중심축 위치가 수평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위치하되, 하악안착홈이 상악안착홈보다 앞니 방향에 위치하는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골이 방지기구{Snoring preven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코골이 방지를 위해 수면 중 기도를 확보하도록 하악을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골이(Snoring)는 수면 시에 근육들이 이완되어 구강이 좁아지고 이 부분으로 공기가 통과할 때 연구개, 목젓 및 주위의 점막 등이 진동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코골이에 대한 치료법으로 여러 가지 방법들은 크게 내과적 치료, 외과적 치료, 지속적 양압 공급장치의 사용, 구강장치의 사용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착용하기 용이하고, 치료과정에 고통을 수반하지 않으며, 부작용 및 후유증이 적고 비용이 저렴한 구강장치에 의한 치료방법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코골이를 치료하기 위해 구강 내에 설치되는 장치의 경우 수면 중에 장치를 아랫니와 윗니로 물고 수면을 취할시 치아 전체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른 제작의 어려움 및 비용 증대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치아가 고르지 못할 경우 착용하기가 불편하고, 이물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코골이 방지구에 대한 관련기술은,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746호(2006.10.16)에 제시된다.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의 용이함과 더불어 제조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면에는 상악의 어금니가 삽입되도록 상악안착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하악의 어금니가 삽입되도록 하악안착홈이 형성된 한 쌍의 치아 밀착 몸체, 한 쌍의 치아 밀착 몸체를 연결한 상태로 입천장에 밀착되도록 배치하며, 턱 관절을 벌려 구강으로 호흡이 이루어지게 하는 턱 벌림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악의 어금니가 상악안착홈에 삽입되고, 하악의 어금니가 하악안착홈에 삽입시, 하악이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악안착홈과 하악안착홈의 중심축 위치가 수평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위치하되, 하악안착홈이 상악안착홈보다 앞니 방향에 위치하는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턱 벌림 지지대의 양단에 각각 연결 형성되며, 치아 밀착 몸체를 상악의 어금니에 걸림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연결부는, 일단이 치아 밀착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악의 어금니 외측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하는 연결다리, 상기 연결다리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악의 어금니 양측 테두리 부분에 걸림되는 한 쌍의 걸림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한 쌍의 치아 밀착 몸체를 턱 벌림 지지대로 연결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하며, 상악의 어금니와 하악의 어금니 사이에서 각각의 어금니를 상악안착홈 및 하악안착홈에 삽입시 하악이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하고, 턱 벌림 지지대는 입천장에 밀착 배치되면서 턱 관절을 벌림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바, 구강을 통한 호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코골이 방지기구는, 치아 밀착 몸체(100), 턱 벌림 지지대(2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치아 밀착 몸체(100)는 상악의 어금니와 하악의 어금니 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치아 밀착 몸체(100)는 구강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상악 및 하악의 어금니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치아 밀착 몸체(100)는 상악의 어금니와 하악의 어금니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이 이격되도록 턱 관절을 벌어지게 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아 밀착 몸체(100)는 상악의 어금니와 하악의 어금니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어금니에 삽입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 있도록 상악안착홈(110) 및 하악안착홈(120)이 형성된다. 즉, 상악안착홈(110)은 상악의 어금니를 삽입되게 할 수 있도록 치아 밀착 몸체(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하악안착홈(120)은 하악의 어금니를 삽입되게 할 수 있도록 치아 밀착 몸체(100)의 저면에 형성되는데, 어금니가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을 정도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악안착홈(110)과 하악안착홈(120)은 사용자의 상악의 어금니와 하악의 어금니에 대응되게 성형되어, 안정적인 착용감과 더불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상악안착홈(110)과 하악안착홈(120)의 중심축 위치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위치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하악안착홈(120)이 상악안착홈(110)보다 앞니 방향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이같이, 하악안착홈(120)이 상악안착홈(110)보다 앞니 방향에 위치되게 형성됨으로써, 상악의 어금니가 상안안착홈(110)에 삽입되고, 하악의 어금니가 하악안착홈(120)에 삽입시, 하악이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하여 혀가 목 뒤로 처지지 않게 하면서 기도의 일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바, 코골이를 방지되게 한다. 여기서, 상악안착홈(110)과 하악안착홈(120)의 중심축 간 거리는 코골이를 방지하면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가지게 한다.
더불어, 상기 치아 밀착 몸체(100)는 상악의 어금니와 하악의 어금니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구강 내에서 착용감을 좋게 하도록 치열 구조와 일치하는 완만한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치아 밀착 몸체(100)는 촉감이 우수하면서 상악과 하악 사이에서 어금니에 의한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더불어 구강 내에서 침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고 사용 후에는 고온살균 및 소독에 견딜 수 있는 합성수재나 실리콘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턱 벌림 지지대(200)는 한 쌍의 치아 밀착 몸체(100)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게 연결 지지하여, 치아 밀착 몸체(100)가 상악의 어금니와 하악의 어금니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게 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턱 관절을 벌려 구강으로 호흡이 이루어지게 바 부재이다. 즉, 턱 벌림 지지대(200)의 일단은 좌측의 상악 어금니 및 하악 어금니 사이에 위치하는 치아 밀착 몸체(100)에 연결하고, 턱 벌림 지지대(200)의 타단은 우측의 상악 어금니 및 하악 어금니 사이에 위치하는 치아 밀착 몸체(100)에 연결한다. 이때, 턱 벌림 지지대(200)는 입천장에 밀착 배치됨으로써, 턱 관절을 벌리게 하여 구강으로 호흡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혀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같이, 턱 벌림 지지대(200)는 입천장에 밀착 배치될 수 있도록 입천장과 일치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턱 벌림 지지대(200)는 입천장에 밀착되면서 턱 관절을 벌린 상태로 안정적인 지지와 더불어 구강 내에서 침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고 고온살균 및 소독에 견딜 수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턱 벌림 지지대(20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치아 밀착 몸체(100)를 상악의 어금니에 걸림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연결부(300)를 연결되게 구비할 수 있다. 즉, 고정연결부(300)는 상악의 어금니에 걸림되면서 치아 밀착 몸체(100)를 상악에 안정적으로 연결 배치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에서 턱 관절이 더 벌어지게 되더라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강으로 호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함과 더불어 치아 밀착 몸체(100)가 목 구멍에 끼워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고정연결부(300)는 연결다리(310), 걸림다리(32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다리(310)는 각 치아 밀착 몸체(1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바 부분으로, 연결다리(310)의 일단은 치아밀착 몸체(10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연결다리(310)의 타단은 상악의 어금니 외측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한다.
상기 걸림다리(320)는 각 연결다리(31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악의 어금니 양측 테두리 부분에 걸림되는 한 쌍의 바 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연결부(300)는 연결다리(310)를 상악의 어금니 외측 부분에 감싸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걸림다리(320)가 상악의 어금니와 어금니 사이의 홈부에 삽입상태로 어금니 양측단에 각각 걸림됨으로써, 치아 밀착 몸체(100)를 상악의 어금니에 걸림 상태로 안정적인 고성을 유지되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한 쌍의 치아 밀착 몸체(100)를 턱 벌림 지지대(200)로 연결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하며, 상악의 어금니와 하악의 어금니 사이에서 각각의 어금니를 상악안착홈(110) 및 하악안착홈(120)에 삽입시 하악이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하고, 턱 벌림 지지대(200)는 입천장에 밀착 배치되면서 턱 관절을 벌림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바, 구강을 통한 호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치아 밀착 몸체 110: 상악안착홈
120: 하악안착홈 200: 턱 벌림 지지대
300: 고정연결부 310: 연결다리
320: 걸림다리

Claims (3)

  1. 상면에는 상악의 어금니가 삽입되도록 상악안착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하악의 어금니가 삽입되도록 하악안착홈이 형성된 한 쌍의 치아 밀착 몸체와;
    한 쌍의 치아 밀착 몸체를 연결한 상태로 입천장에 밀착되도록 배치하며, 턱 관절을 벌려 구강으로 호흡이 이루어지게 하는 턱 벌림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악의 어금니가 상악안착홈에 삽입되고, 하악의 어금니가 하악안착홈에 삽입시, 하악이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악안착홈과 하악안착홈의 중심축 위치가 수평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위치하되, 하악안착홈이 상악안착홈보다 앞니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턱 벌림 지지대의 양단에 각각 연결 형성되며, 치아 밀착 몸체를 상악의 어금니에 걸림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연결부는, 일단이 치아 밀착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악의 어금니 외측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하는 연결다리와, 상기 연결다리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악의 어금니 양측 테두리 부분에 걸림되는 한 쌍의 걸림다리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2. 삭제
  3. 삭제
KR2020180002013U 2018-05-09 2018-05-09 코골이 방지기구 KR200492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13U KR200492041Y1 (ko) 2018-05-09 2018-05-09 코골이 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13U KR200492041Y1 (ko) 2018-05-09 2018-05-09 코골이 방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60U KR20190002860U (ko) 2019-11-19
KR200492041Y1 true KR200492041Y1 (ko) 2020-07-24

Family

ID=6869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013U KR200492041Y1 (ko) 2018-05-09 2018-05-09 코골이 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4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2106A (en) * 1994-04-20 1996-10-08 Heeke; David W. Dental appliance for relief of sno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727564A (en) * 1996-10-02 1998-03-17 Yannalfo; Janine E. Snore reducing devices with molar wedges and roof arch
JP2013252289A (ja) 2012-06-07 2013-12-19 Nobutaka Yoshida いびき防止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129B1 (ko) * 2004-08-02 2006-07-03 황청풍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KR101801324B1 (ko) * 2016-04-20 2017-11-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개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2106A (en) * 1994-04-20 1996-10-08 Heeke; David W. Dental appliance for relief of sno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727564A (en) * 1996-10-02 1998-03-17 Yannalfo; Janine E. Snore reducing devices with molar wedges and roof arch
JP2013252289A (ja) 2012-06-07 2013-12-19 Nobutaka Yoshida いびき防止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60U (ko)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5395A1 (en) Combined orthodontic movement of teeth with airway development therapy
KR100787188B1 (ko) 코골이 방지기구
CA2679451C (en)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snoring
KR101235888B1 (ko) 코골이 방지부재
KR101133537B1 (ko) 자가 맞춤형 코골이 방지장치
EP3388018B1 (en) Mandible teeth fixing oral device
JP2006528495A (ja) 改良オクルーザルスプリント
KR101713971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 기구
KR102029965B1 (ko)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US20150366700A1 (en) Oral appliance
KR20170030015A (ko)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CN106456354B (zh) 用于治疗睡眠呼吸暂停症的口腔矫治器
JP2014133016A (ja) マウスピース型いびき又は睡眠時無呼吸症防止具
KR200443404Y1 (ko)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KR200492041Y1 (ko) 코골이 방지기구
TWM585604U (zh) 口內止鼾裝置
US11607336B2 (en) Therapeutic oral device for sleep apnea
JP6120780B2 (ja) 口腔装置
US20170266033A1 (en) Passive Tongue Retention Device
TWM603345U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JP2003116881A (ja) かみ合わせ改善用マウスピース
KR102597507B1 (ko)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JP3210257U (ja) 食いしばり防止装置
JP3245148U (ja) 矯正装置
TWI737347B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