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035Y1 - 기능성 바벨 거치대 - Google Patents

기능성 바벨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035Y1
KR200492035Y1 KR2020190000430U KR20190000430U KR200492035Y1 KR 200492035 Y1 KR200492035 Y1 KR 200492035Y1 KR 2020190000430 U KR2020190000430 U KR 2020190000430U KR 20190000430 U KR20190000430 U KR 20190000430U KR 200492035 Y1 KR200492035 Y1 KR 200492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frame
barbell
coupled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443U (ko
Inventor
최원진
서정헌
Original Assignee
최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진 filed Critical 최원진
Priority to KR2020190000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35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4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4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 캐쳐바와 같이 통제되지 못한 바벨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위치 변경을 위한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기존 스미스머신과 같이 운동 중 바벨의 직선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능성 바벨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랙구조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프레임; 상기 제1 링크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바벨바가 결합되는 바벨바결합부가 구비되는 제2 링크프레임; 및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제1 링크프레임 및 상기 제2 링크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바벨바결합부의 직선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링크연동유닛;을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바벨 거치대{FUNCTIONAL BARBELL HOLDER}
본 고안은 바벨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벨을 올려놓거나 운동 중 바벨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기능성 바벨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Traning)은 대표적 무산소 운동으로써, 바벨을 들어 올려 근육에 자극을 주어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이다.
웨이트 트레이닝을 통한 근력운동은 계속적으로 근육에 자극을 주어 근육이 피로한 상태로 운동을 지속해야 운동의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피로가 누적된 상태에서 근력운동을 지속하는 경우에는 통제되지 못한 바벨을 놓쳐서 다치거나 주변 구조물이 파손되는 등의 안전사고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피로가 누적된 상태에서 운동 중 통제되지 못한 바벨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일부 헬스 구조물에는 적절한 높이에서 바벨을 잡아주는 캐쳐바(Catcher Bar)를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캐쳐바는 체형이 다른 여러 사람이 하나의 헬스 구조물을 사용하는 경우, 개개인의 체형에 따라 캐쳐바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데, 기존 캐쳐바는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바벨을 들고 사용자가 허공에서 자유롭게 근력운동을 수행하는 프리웨이트(Free Weight)와 달리, 벤치프레스(Bench-press), 스쿼트(Squat), 데드리프트(Dead-lift) 등의 동작은 안정된 직선 운동을 구현하여 균일한 근력을 집중해서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예로 루디 스미스라는 미국인에 의해 고안되고 현재 헬스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미스머신이라는 헬스 기구는 바벨이 양쪽 직선 레일 상에 걸쳐 있어 레일을 따르는 직선 운동만을 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운동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스미스머신은 바벨의 직선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부가되는 직선 레일 및 레일을 따르는 가이드부재로 인하여, 전체 헬스 기구가 복잡해지고, 다양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헬스 기구마다 동일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으로도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138056호(2018.12.28.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8081호(2018.05.15. 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기존 캐쳐바와 같이 통제되지 못한 바벨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위치 변경을 위한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기존 스미스머신과 같이 운동 중 바벨의 직선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능성 바벨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바벨 거치대는, 랙구조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프레임, 상기 제1 링크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바벨바가 결합되는 바벨바결합부가 구비되는 제2 링크프레임, 및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제1 링크프레임 및 상기 제2 링크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바벨바결합부의 직선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링크연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바벨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랙구조체에 대해 상기 프레임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링크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링크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바벨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랙구조체는 높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프레임결합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핀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상기 핀부를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랙구조체의 일면에 접촉되는 랙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바벨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랙구조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랙구조체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바벨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링크연동유닛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동링크, 상기 제2 링크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동링크, 상기 제1 연동링크와 상기 제2 연동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결합부, 및 상기 제1 링크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링크결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된 링크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바벨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링크연동유닛은, 상기 제2 링크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링크프레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제2 연동링크에 지지되어 상기 링크결합부가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가압블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바벨 거치대는 탈부착 기능이 부여된 본체프레임을 통하여, 주변 랙구조체에 대한 설치 및 분리를 매우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어 운동 중인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단순 거치 기능뿐만 아니라 바벨의 왕복 직선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링크프레임 구조를 통하여, 운동 중인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링크프레임을 연동시키는 링크연동유닛을 통하여, 링크프레임의 동작 응답성을 보다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헬스 초보자의 경우 보조자가 없더라도 바른 자세와 운동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주변 랙구조체의 높이에 따라 설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의 프리웨이트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한 헬스 기구에 대한 설치 호환성이 우수하여, 기존 고가의 스미스머신에서만 가능했던 운동을 고가의 헬스 기구가 준비되지 않더라도 다양한 헬스 동작을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벨 거치대의 설치 상태를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벨 거치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프레임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벨 거치대의 설치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벨 거치대의 작동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벨 거치대의 설치 상태를 보이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벨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벨 거치대의 설치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벨 거치대의 작동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바벨 거치대(100)는 기존 캐쳐바(Catcher Bar)와 같이, 운동 준비 중이거나 운동 중에 바벨을 올려놓을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운동 중 바벨의 직선 운동을 바르게 안내하여 사용자의 운동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안전감을 가지고 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벨 거치대(100)는, 본체프레임(110), 제1 링크프레임(130), 제2 링크프레임(150), 및 링크연동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프레임(110)은, 랙구조체(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링크프레임(130), 제2 링크프레임(150) 및 링크연동유닛(170)을 지지하고, 실질적으로 거치되는 바벨의 하중을 부담하게 된다.
본체프레임(110)이 설치되는 랙구조체(10)는 프리웨이트 운동 공간 내에 배치되는 랙구조체(10)일 수 있고, 벤치프레스, 넥프레스, 레그프레스 등의 각종 헬스 운동기구를 구성하는 랙구조체(10)일 수 있다. 이러한 랙구조체(10)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본체프레임(110)은 프레임부(111), 프레임결합부(113), 및 링크지지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11)는, 상기 프레임결합부(113) 및 상기 링크지지부(115)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예로, 프레임부(111)는 일단부가 랙구조체(1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제1 플레이트(1110)와, 일단부가 랙구조체(10)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1111), 및 랙구조체(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10)와 상기 제2 플레이트(1111)를 연결하는 체결구(11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결합부(113)는, 프레임부(111)의 일단에 배치되어 랙구조체(10)에 대해 본체프레임(110)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일예로, 프레임결합부(113)는 프레임부(111)에 구비되어 랙구조체(10)의 체결공(11)에 결합되는 핀부(1131), 및 프레임부(111)에 구비되어 상기 핀부(1131)를 중심으로 프레임부(111)가 회전됨에 따라 랙구조체(10)의 전방 일면에 접촉되는 랙지지부(1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핀부(1131)는 제1 플레이트(1110) 또는 제2 플레이트(1111)에 측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랙지지부(1133)는 제1 플레이트(1110)와 제2 플레이트(1111)의 사이에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랙지지부(113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랙지지부(1133)에는 랙구조체(10)와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 및 충격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충격방지부재는 고무패드, 고무패킹, 고무시트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결합부(113)를 통하여, 도 4(a)에서와 같이, 랙구조체(10)에 대해 본체프레임(110)을 살짝 기울인 상태에서 핀부(1131)를 랙구조체(10)의 체결공(11)에 먼저 삽입시키고, 다음으로 도 4(b)에서와 같이, 핀부(1131)를 중심으로 본체프레임(110)을 수평으로 회전시키면, 랙지지부(1133)가 랙구조체(10)의 전방 일면에 자연스레 접촉되는 것으로, 랙구조체(10)에 대한 본체프레임(110)의 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프레임(110)은 랙구조체(10)의 체결공(11)에 결합 지지된 핀부(1131), 랙구조체(10)의 전방 일면에 접촉 지지된 랙지지부(1133), 랙구조체(10)의 양쪽 측면에 단부가 각각 접촉 지지된 제1 플레이트(1110) 및 제2 플레이트(1111)를 통하여, 견고한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랙구조체(10)로부터 본체프레임(110)을 분리할 경우에도 상기 결합 동작의 반대동작을 구현하는 것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링크지지부(115)는, 프레임부(111)의 타단에 배치되어 제1 링크프레임(130) 및 제2 링크프레임(150)을 지지하는 것으로, 일예로, 링크지지부(115)는 제1 플레이트(1110)와 제2 플레이트(1111)의 사이에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링크지지부(115)는 바벨의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 즉, 제2 링크프레임(150)의 바벨바결합부(151)와 동일 수직선(b)상에 배치되거나 혹은 바벨바결합부(151)보다 랙구조체(10)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결국 프레임결합부(113)를 통하여 랙구조체(10)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는 바벨 거치대(10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부담할 수 있다.
상기 링크지지부(11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링크지지부(115)에는 제1 링크프레임(130)과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 및 충격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충격방지부재는 고무패드, 고무패킹, 고무시트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링크프레임(130)은, 본체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예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단은 본체프레임(110)의 후방 단부와 제1 힌지부(H1)로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되는 제2 링크프레임(150)과 제2 힌지부(H2)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부(H1)를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회전된 제1 링크프레임(130)은 링크지지부(115)의 상부면에 접촉됨에 따라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수평 상태를 이루는 제1 링크프레임(130)의 상면에 바벨바(1)가 놓일 수 있으며,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 링크프레임(130)의 상면에 놓인 바벨바(1)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상부면의 일부를 오목하게 형성하는 등의 바벨바 안착부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벨 안착부에는 바벨바(1)와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드, 고무시트 등의 충격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프레임(130)은 상면에 놓이는 바벨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부담하기 위하여, 사각, Π 등 다양한 단면 모양으로 형성된 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부(H1)를 랙구조체(10)에 가까운 본체프레임(110)의 후방 단부에 배치하여, 제1 링크프레임(130)의 전체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확보할 수 있고, 이 경우 제1 링크프레임(130)의 회전반경이 커짐에 따라 바벨의 이동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제2 링크프레임(150)은, 제1 링크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예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방 일단은 상기 제1 링크프레임(130)과 제2 힌지부(H2)로 결합되고, 자유단인 타단에는 바벨바(1)가 결합되는 바벨바결합부(15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힌지부(H2)를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회전된 제2 링크프레임(150)은 상기 제1 링크프레임(130)의 상부면에 접촉됨에 따라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수평 상태를 이루는 제2 링크프레임(150)의 상면에도 바벨바(1)가 놓일 수 있으며, 이렇게 제2 링크프레임(150)의 상면에 바벨바(1)가 놓이는 경우 바벨바(1)가 미끄러지며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링크프레임(150)의 전방 끝단에는 스토퍼부재(15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프레임(150)의 상면에도 바벨바(1)와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드, 고무시트 등의 충격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프레임(130)과 마찬가지로 제2 링크프레임(150) 역시 상면에 놓일 수 있는 바벨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부담하기 위하여, 사각, Π 등 다양한 단면 모양으로 형성된 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벨바결합부(151)는 바벨바(1)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바벨바결합부(151)에는 바벨바(1)를 결합하기 위한 벨크로 등의 별도의 체결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바벨바결합부(151) 내에서 바벨바(1)가 자연스레 회전될 수 있게 마찰을 최소화 하는 구조가 만족되어야 한다.
링크연동유닛(170)은, 본체프레임(110)과 제1 링크프레임(130) 및 제2 링크프레임(150)을 연결하며, 제1 링크프레임(130)과 제2 링크프레임(150)을 연동시켜, 제2 링크프레임(150)의 바벨바결합부(151)가 수직선(b)을 따르는 직선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링크연동유닛(170)을 통하여, 제2 링크프레임(150)의 바벨바결합부(151)의 직선 운동을 유도해줌으로서, 기존의 스미스머신과 마찬가지로 직선 운동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링크연동유닛(170)은, 제1 연동링크(171), 제2 연동링크(173), 링크결합부(175), 및 링크가이드부(17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동링크(171)와 상기 제2 연동링크(173)는 본체프레임(110)과 제2 링크프레임(150)을 연결하는 2절 링크 구조를 이루며, 제1 연동링크(171)와 제2 연동링크(173)를 연결하는 상기 링크결합부(175)는 제1 링크프레임(130)에 배치되는 상기 링크가이드부(177)에 의해 제한된 이동 범위를 가진다.
상세하게, 제1 연동링크(171)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본체프레임(110)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제3 힌지부(H3)로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된 타단은 링크결합부(17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 연동링크(171)는 중앙 영역이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동링크(173)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링크결합부(17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타단은 제2 링크프레임(150)의 중앙부와 회전 가능하게 제4 힌지부(H4)로 결합된다.
링크결합부(175)는 제1 연동링크(171)의 일단과 제2 연동링크(173)의 일단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가이드부(177)는 제1 링크프레임(130)의 전방 일단에 결합될 수 있고, 링크결합부(175)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만곡 형성된 가이드홀(177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홀(1770)은 링크결합부(175)의 제1 위치를 제한하는 제1 위치제한턱(1770a)과, 링크결합부(175)의 제2 위치를 제한하는 제2 위치제한턱(1770b)을 포함할 수 있다.
결국 링크결합부(175)가 상기 제1 위치제한턱(1770a)에 의해 제한된 제1 위치는 제1 링크프레임(130)과 제2 링크프레임(150)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일 수 있고, 링크결합부(175)가 상기 제2 위치제한턱(1770b)에 의해 제한된 제2 위치는 제1 링크프레임(130)과 제2 링크프레임(150)이 최대로 펼쳐진 상태일 수 있다.
한편 링크연동유닛(170)에는, 제2 링크프레임(150)의 전방 일단에 구비되어, 제2 링크프레임(15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제2 연동링크(173)에 접촉 지지되어, 링크결합부(175)가 가이드홀(1770)을 따라 이동되도록 반력을 제공하는 가압블록(17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블록(179)은 롤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벨 거치대(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바벨 거치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복수의 체결공(11)이 구비된 랙구조체(10)에 대해 원하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구조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링크프레임(130)과 제2 링크프레임(150)은 자중에 의해 서로 접혀진 상태로, 본체프레임(110)과 나란히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벨 거치대(100)는, 기존 캐쳐바와 같이, 본격적인 운동 전 바벨을 단순히 올려놓거나, 프리웨이트 운동 중 잠시 휴식을 위해 바벨을 올려놓는 등 기본적인 거치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 기능을 수행할 시 바벨바(1)는 제1 링크프레임(130) 또는 제2 링크프레임(150)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바벨 거치대(100)는, 기존 스미스머신과 같이, 바벨의 정확한 직선 운동을 원할 경우 제2 링크프레임(150)의 바벨바결합부(151)를 바벨바(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직선 운동을 보조하게 된다.
즉,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바벨바(1)를 수직으로 들어 올리면, 제2 링크프레임(150)이 제2 힌지부(H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동시적으로 제1 링크프레임(130)은 제1 힌지부(H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바벨바(1)의 수직선(b)을 따르는 왕복 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수직 왕복 운동 중, 피로가 누적된 사용자가 바벨을 놓치더라도 추락되는 바벨을 견고히 지지시킬 수 있고, 바벨바결합부(151)에 결속된 바벨이 거치대를 벗어나지 않고 거치된 위치를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바벨바(1)를 들어 올리는 초기, 만약 바벨바(1)가 수직선(b)과 동일하게 수직으로 들리지 않고 비스듬히 들리는 경우, 제1 링크프레임(130)은 멈춘 상태에서 제2 링크프레임(150)만이 제2 힌지부(H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바벨바(1)로부터 전해지는 약간의 이질감으로 자신의 운동이 바르지 못함을 인지할 수 있고, 이를 보정함으로서 바벨바(1)의 정확한 수직 운동을 지속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링크연동유닛(170)을 통하여 상기와 같이 바벨바(1)가 비스듬히 들릴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바벨바(1)를 수직으로 들어 올리면, 제2 링크프레임(150)이 제2 힌지부(H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동시적으로 제2 연동링크(173)도 링크결합부(175)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링크결합부(175)는 본체프레임(110)과 연결된 제1 연동링크(17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가이드부(177)의 가이드홀(1770)을 따라 이동되며, 이렇게 가이드홀(1770)을 따라 이동되는 링크결합부(175)로부터 전달되는 반력으로부터 제1 링크프레임(130)은 제1 힌지부(H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국 바벨바(1)가 수직으로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제2 링크프레임(150)의 회전 동작과 제1 링크프레임(130)의 회전 동작의 응답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바벨바(1)가 수직선(b)을 따라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프레임(150)과 제2 연동링크(173)의 시계방향 회전 초기, 제2 연동링크(173)는 가압블록(179)에 접촉 지지됨에 따라, 제4 힌지부(H4)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되는 제2 연동링크(173)의 추가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제2 연동링크(173)의 추가 회전력으로부터 제2 링크프레임(150)의 회전 동작과 제1 링크프레임(130)의 회전 동작의 응답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결국 제2 링크프레임(150)의 회전 동작과 제1 링크프레임(130)의 회전 동작을 동시적으로 연동시킴으로써, 바벨바결합부(151)에 결속된 바벨바(1)의 수직선(b)을 따르는 이동을 정확히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바벨바(1)의 수직 이동 시, 사용자는 바벨바(1)로부터 전해지는 이질감이나 외력을 느끼지 못한 채, 바른 자세에서 직선 운동을 지속할 수 있다.
한편 바벨 거치대(100)의 접히는 동작은 상기한 바벨바(1)를 들어 올리는 동작과 반대 작동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관련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바벨 거치대(100)는, 탈부착 기능이 부여된 본체프레임(110)을 통하여, 주변 랙구조체(10)에 대한 설치 및 분리를 매우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어 운동 중인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바벨 거치대(100)는, 단순 거치 기능뿐만 아니라 바벨의 왕복 직선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링크프레임을 통하여, 운동 중인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바벨 거치대(100)는, 링크프레임을 연동시키는 링크연동유닛(170)을 통하여, 링크프레임의 동작 응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바벨 거치대(100)는, 헬스 동작의 초보자 경우라도 보조자 없이 바른 자세의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바벨 거치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구조체(10)의 높이에 따라 설치 위치를 달리함으로서, 사용자는 다양한 자세의 프리웨이트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바벨 거치대(100)는, 도 1에 도시된 랙구조체(10)뿐만 아니라, 다양한 헬스 운동기구에 대해서도 설치 호환성이 우수하고, 기존 고가의 스미스머신에서만 가능했던 운동을 고가의 헬스 기구가 없더라도 안전하고 정확한 헬스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치프레스, 넥프레스, 레그프레스, 스쿼트, 데드리프트, 슈러그, 바벨로우, 넥프레스, 드래그컬 등의 운동 공간에 배치되는 랙구조체(10)에 본 고안에 따른 바벨 거치대(100)를 단순 설치하는 것만으로, 기존 스미스머신에서만 가능했던 운동법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 바벨바 10: 랙구조체
100: 바벨 거치대 110: 본체프레임
111: 프레임부 113: 프레임결합부
115: 링크지지부 130: 제1 링크프레임
150: 제2 링크프레임 170: 링크연동유닛
171: 제1 연동링크 173: 제2 연동링크
175: 링크결합부 177: 링크가이드부
179: 가압블록

Claims (6)

  1. 랙구조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프레임;
    상기 제1 링크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바벨바가 결합되는 바벨바결합부가 구비되는 제2 링크프레임; 및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제1 링크프레임 및 상기 제2 링크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바벨바결합부의 직선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링크연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연동유닛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동링크;
    상기 제2 링크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동링크;
    상기 제1 연동링크와 상기 제2 연동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결합부; 및
    상기 제1 링크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링크결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된 링크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벨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랙구조체에 대해 상기 프레임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링크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링크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벨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랙구조체는 높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결합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핀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상기 핀부를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랙구조체의 일면에 접촉되는 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벨 거치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랙구조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랙구조체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벨 거치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연동유닛은,
    상기 제2 링크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링크프레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제2 연동링크에 지지되어 상기 링크결합부가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가압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벨 거치대.
KR2020190000430U 2019-01-29 2019-01-29 기능성 바벨 거치대 KR200492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30U KR200492035Y1 (ko) 2019-01-29 2019-01-29 기능성 바벨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30U KR200492035Y1 (ko) 2019-01-29 2019-01-29 기능성 바벨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43U KR20190000443U (ko) 2019-02-18
KR200492035Y1 true KR200492035Y1 (ko) 2020-07-23

Family

ID=6551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30U KR200492035Y1 (ko) 2019-01-29 2019-01-29 기능성 바벨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632B1 (ko) * 2021-04-27 2022-03-11 이기창 바벨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9070A1 (en) 2002-01-17 2005-09-22 Darrell Greenland Exercise device
US20160101310A1 (en) * 2012-05-01 2016-04-14 Rogers Athletic Company Adjustable support for exercise system
CN107126665A (zh) 2017-06-30 2017-09-05 上海温嘉实业有限公司 一种折叠式侧扶手以及带该侧扶手的跑步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6740B2 (en) 2015-11-13 2020-05-12 Byung Don Lee Angle-adjustable and swingable smith machine
KR20180138056A (ko) 2017-06-20 2018-12-28 김태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9070A1 (en) 2002-01-17 2005-09-22 Darrell Greenland Exercise device
US20160101310A1 (en) * 2012-05-01 2016-04-14 Rogers Athletic Company Adjustable support for exercise system
CN107126665A (zh) 2017-06-30 2017-09-05 上海温嘉实业有限公司 一种折叠式侧扶手以及带该侧扶手的跑步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43U (ko) 201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9554A (en) Exercise machine
US20120277079A1 (en) Exercis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30090761A (ko) 방향 전환 기계 및 그 훈련 방법
US10188894B2 (en) Barbell
CN103083870A (zh) 具有摆动的使用者支承装置的侧三角肌锻炼器械
TW201404430A (zh) 訓練裝置
US9132313B2 (en) Bench halo
CN108785995B (zh) 多功能腿部训练机
WO2020163293A1 (en) Exercise equipment
KR200492035Y1 (ko) 기능성 바벨 거치대
EP2892623B1 (en)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US20080254957A1 (en) Exercise device for stomach muscles
EP3246074A1 (en) Multifunctional leg training machine
CA2957016C (en) Standup paddle board core activator
KR101301242B1 (ko) 하체회전 운동기구
KR101578447B1 (ko) 하체 운동기구
US20030166441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for inverted abdominal exercises
KR102402869B1 (ko) 스틱봉 체결구조를 갖는 운동기구
JP4302395B2 (ja) 運動用器具
CN213555182U (zh) 一种双向深蹲训练机
JP2005177405A (ja) 筋肉鍛錬用運動用具
CN217745545U (zh) 仰卧式重型蹬踏训练装置
US7156793B2 (en) Exercise machine and method for exercising the anterior deltoid muscle group
WO2006117776A1 (en) Improvement for physical exercise machine
CN213031769U (zh) 一种深蹲综合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