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895Y1 - 우산의 방수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우산의 방수커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1895Y1 KR200491895Y1 KR2020180005089U KR20180005089U KR200491895Y1 KR 200491895 Y1 KR200491895 Y1 KR 200491895Y1 KR 2020180005089 U KR2020180005089 U KR 2020180005089U KR 20180005089 U KR20180005089 U KR 20180005089U KR 200491895 Y1 KR200491895 Y1 KR 20049189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mbrella
- waterproof cover
- ring
- ring member
- hoo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 방수커버장치(3)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우산 방수커버장치(3)는, 내측에 삽입관(13)이 형성됨으로써 우산의 선단에 장착된 꼭지(12)가 삽입관(13)에 삽입되어 탈착가능한 몸체(9)와; 몸체(9)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수납되며 인출시 우산의 젖은 외부를 감쌈으로써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커버(7)와; 방수커버(7)의 하단에 장착되어 방수커버(7)가 몸체(9)의 외측으로 인출될 때 우산의 손잡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방수커버(7)가 우산천을 감싸도록 하는 링부재(11)와; 그리고 링부재(11)에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인출된 방수커버(7)의 하단을 우산살(25)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0,2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우산의 방수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커버를 우산의 선단에 장착하고 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필요시 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사용후에는 방수커버를 인출하여 우산천의 빗물을 제거하고, 우산 전체를 감쌀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손잡이를 가진 우산대에 접을 수 있는 우산살이 결합되고, 우산살 위에 펼쳐지는 방수 재질의 캐노피가 설치되어, 우산대로부터 우산살을 펼침으로써 캐노피에 의해 사용자가 비를 맞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우산은 사용후 비에 젖은 상태로 식당, 극장, 백화점, 버스, 전철 등과 같이 불특정 다수인이 출입하는 장소에 가지고 들어갈 경우, 젖은 상태로 인해 바닥에 빗물을 떨어뜨려서 지저분하게 하는 것은 물론, 타인 과의 접촉시 빗물로 인해 옷 등을 젖게 만들어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에 젖은 우산을 공공장소나 건물 등의 입구에 비치된 1회용 비닐커버로 씌워서 실내에서 소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는 1회용 비닐커버가 비치된 장소로 제한됨으로써, 1회용 비닐커버가 비치되지 않을 경우, 사용이 어렵고, 소모품인 1회용 비닐커버의 비치에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비닐커버의 1회적인 사용으로 인해 쓰레기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을 유발하고,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수커버를 우산의 선단에 장착하고 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필요시 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사용후에는 방수커버를 인출하여 우산천의 빗물을 제거하고, 우산 전체를 감쌀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내측에 삽입관(13)이 형성됨으로써 우산의 선단에 장착된 꼭지(12)가 삽입관(13)에 삽입되어 탈착가능한 몸체(9)와;
몸체(9)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수납되며 인출시 우산의 젖은 외부를 감쌈으로써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커버(7)와;
방수커버(7)의 하단에 장착되어 방수커버(7)가 몸체(9)의 외측으로 인출될 때 우산의 손잡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방수커버(7)가 우산천을 감싸도록 하는 링부재(11)와; 그리고
링부재(11)에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인출된 방수커버(7)의 하단을 우산살(25)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0,22)를 포함하는 우산 방수커버장치(3)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방수커버 장치는 링부재에 의하여 방수커버를 인출하여 우산 손잡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우산을 씌울 때, 링부재 혹은 보조링의 내주면이 우산천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수커버를 우산 손잡이에 고정할 때, 링부재에 연결된 걸림고리가 우산살에 걸리고 코일 스프링이 적절하게 인장될 수 있어서 방수커버를 우산의 길이에 제약을 받지 않고 고정하여 씌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버장치가 우산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수커버장치가 우산의 선단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수커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방수커버장치가 작동할 때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방수커버장치로부터 방수커버가 인출하여 우산을 덮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방수커버장치의 링부재가 몸체에 암수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방수커버 장치에서 방수커버를 인출하였을 때, 걸림고리가 우산살에 걸린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방수커버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수커버장치가 우산의 선단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수커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방수커버장치가 작동할 때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방수커버장치로부터 방수커버가 인출하여 우산을 덮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방수커버장치의 링부재가 몸체에 암수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방수커버 장치에서 방수커버를 인출하였을 때, 걸림고리가 우산살에 걸린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방수커버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방수커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제안하는 우산(1)의 방수커버장치(3)는 내측에 삽입관(13)이 형성됨으로써 우산의 선단에 장착된 꼭지(12)가 삽입관(13)에 삽입되어 탈착가능한 몸체(9)와;
몸체(9)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수납되며 인출시 우산의 젖은 외부를 감쌈으로써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커버(7)와;
방수커버(7)의 하단에 장착되어 방수커버(7)가 몸체(9)의 외측으로 인출될 때 우산의 손잡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방수커버(7)가 우산천을 감싸도록 하는 링부재(11)와; 그리고
링부재(11)에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인출된 방수커버(7)의 하단을 우산살(25)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0,2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우산 방수 커버장치(3)에 있어서, 몸체(9)는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구체형상으로서, 중간에는 삽입관(13)이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빈 공간에는 방수커버(7)가 수납되는 바, 이 방수커버(7)는 원통형상으로서 넓은 면적을 갖는 바, 예를 들면 들면 우산의 천을 감쌀 수 있을 정도로 넓은 면적을 갖는다.
그리고, 이 원통형상의 방수커버(7)는 상단은 몸체(9)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며, 하단은 자유단 상태이고, 내측에는 삽입관(13)이 배치됨으로써 삽입관(13)의 외측을 감싸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러한 원통형상의 방수커버(7)를 몸체(9)의 빈 공간에 수납하는 경우, 상하방향으로 접어서 수납하게 된다.
이때, 방수커버(7)는 몸체(9)의 빈 공간에 단순히 접혀서 수납될 수도 있지만, 판 스프링(22)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감긴 상태로 수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방수커버(7)가 판 스프링(22)에 의하여 수납되는 경우, 방수커버(7)에는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방수커버(7)를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에는 방수커버(7)에 탄성력이 작용한 상태로 인출되며, 인출하는 힘을 해제하면 방수커버(7)는 탄성력에 의하여 몸체(9)의 내부로 다시 감김으로써 수납된다.
그리고, 이러한 방수커버(7)를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 원통형상으로 접혀진 상태의 방수커버(7)는 몸체(9)의 외부로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펼쳐짐으로써 우산천의 전 길이구간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우산천에 잔류하는 빗물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방수커버(7)의 하단에는 상기한 링부재(11)가 장착됨으로써 인출된 원통형상의 방수커버(7)가 우산천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링부재(11)는 몸체(9)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방수커버(7)를 인출하는 경우에는 몸체(9)로부터 분리되어 우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손잡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부재(11)는 몸체(9)의 하부에 다양한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수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링부재(11)의 상단에 복수의 걸림핀(23)이 돌출 형성되고, 몸체(9)의 저면에 이에 대응하는 결합홈(26)이 형성된다.
따라서, 링부재(11)를 몸체(9)의 하부에 결합할 때, 복수의 걸림핀(23)을 결합홈(26)에 결합함으로써 몸체(9)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링부재(11)를 분리할 때에는 링부재(11)가 탄력이 있음으로 링부재(11)에 외력을 가하여 걸림핀(23)이 결합홈(26)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은 이러한 암수결합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착탈 방식이 적용가능한 바, 자석방식도 가능하다. 즉, 링부재(11)의 내측에 자석을 배치하고, 몸체(9)의 저면에도 이에 대응되도록 자석을 배치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링부재(11)는 가운데에 빈 공간이 형성된 고리형상을 가지며, 이 가운데 빈 공간에는 우산이 위치한다. 따라서, 링부재(11)를 손잡이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 링부재(11)가 우산천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우산천에 잔류하는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링부재(11)는 탄력성을 갖음으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내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링부재(11)의 내측이 우산천에 보다 밀착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우산천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링부재(11)의 외부면에는 접촉돌기(15)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이 접촉돌기(15)에 접촉함으로써 링부재(11)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링부재(11)의 내주면에 빗물제거용 보조링(14)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보조링(14)은 원형 고리형상으로서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링부재(11)를 우산상에서 이동시킬 때, 이 보조링(14)이 우산천에 접촉함으로써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링부재(11)에는 상기한 고정부재(20,22)가 장착됨으로써 링부재(11)가 우산의 손잡이에 도달하였을 때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20,22)는 우산살(25)에 걸리는 걸림고리(20)와; 일단은 링부재(11)에 형성된 홈(24)에 연결되고, 타단은 걸림고리(20)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22)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부재(20,22)는 걸림고리(20)가 우산살(25)에 걸리므로써 링부재(11)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22)은 인장 스프링을 의미하는 바, 걸림고리(20)를 외부로 당겨서 인출하는 경우 길이가 신장됨으로써 탄성력이 발생하고, 당기는 힘을 해제하게 되면 수축된다.
따라서, 걸림고리(20)를 당겨서 우산살(25)에 걸어서 고정하게 되고, 방수커버(7)를 사용한 후에는 걸림고리(20)를 우산살(25)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방수커버(7)를 수납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우산의 길이가 긴 경우, 방수커버(7)의 길이가 충분하지 못하여 걸림고리(20)가 우산살(25)에 도달하지 못할 때, 코일 스프링(22)을 외부로 충분히 당겨서 걸림고리(20)를 우산살(25)에 걸어서 고정할 때 유용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걸림고리(20)의 코일 스프링(22)을 인장하거나 수축시킴으로써 길이가 긴 장우산 혹은 짧은 우산인 경우에도 원활하게 고리를 우산살(25)에 걸 수 있어서 방수커버(7)를 우산에 씌울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고리(20)를 대신하여 보조링(14)의 내주면에 탄성체(16)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우산천의 표면에 잔류하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 탄성체(16)는 스펀지 혹은 실린콘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방수커버(7)를 우선에 씌울 때 탄성체가 우산살(25)에 탄력적으로 걸릴 수 있어서 방수커버(7)를 고정할 수도 있다.
Claims (4)
- 내측에 삽입관(13)이 형성됨으로써 우산의 선단에 장착된 꼭지(12)가 삽입관(13)에 삽입되어 탈착가능한 몸체(9)와;
몸체(9)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수납되며 인출시 우산의 젖은 외부를 감쌈으로써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커버(7)와;
방수커버(7)의 하단에 장착되어 방수커버(7)가 몸체(9)의 외측으로 인출될 때 우산의 손잡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방수커버(7)가 우산천을 감싸도록 하는 링부재(11)와; 그리고
링부재(11)에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인출된 방수커버(7)의 하단을 우산살(25)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0,22)를 포함하며,
링부재(11)의 내주면에 빗물제거용 보조링(14)을 추가로 배치하며,
이 보조링(14)은 원형 고리형상으로서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링부재(11)를 우산상에서 이동시킬 때, 이 보조링(14)이 우산천에 접촉함으로써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우산 방수커버 장치(3).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20,22)는 우산살(25)에 걸리는 걸림고리(20)와; 걸림고리(20)를 링부재(11)에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22)를 포함하는 우산 방수커버 장치(3). - 제 1항에 있어서,
빗물제거용 보조링(14)의 내주면에 탄성체(16)를 추가로 배치하며,
이 탄성체(16)는 원형 고리형상으로서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우산상에서 이동시킬 때, 우산천에 접촉함으로써 빗물을 제거할 수 있고, 우산살(20)에 걸림으로써 고정되는 우산 방수커버 장치(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5089U KR200491895Y1 (ko) | 2018-11-08 | 2018-11-08 | 우산의 방수커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5089U KR200491895Y1 (ko) | 2018-11-08 | 2018-11-08 | 우산의 방수커버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0986U KR20200000986U (ko) | 2020-05-18 |
KR200491895Y1 true KR200491895Y1 (ko) | 2020-06-25 |
Family
ID=7086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5089U KR200491895Y1 (ko) | 2018-11-08 | 2018-11-08 | 우산의 방수커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1895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6617B1 (ko) * | 2021-03-25 | 2021-09-30 | (주)자운 | 우산캡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49106A (ja) | 2006-11-20 | 2008-07-03 | Yoshiaki Okamoto | 傘および傘用カバー |
JP2013059514A (ja) | 2011-09-14 | 2013-04-04 | Trade One:Kk | 傘用水滴除去具 |
KR101439062B1 (ko) * | 2013-11-11 | 2014-09-18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탈착식 우산커버 |
KR101509408B1 (ko) | 2014-11-20 | 2015-04-07 | 이명구 | 커버 일체형 우산 |
JP2017070484A (ja) | 2015-10-07 | 2017-04-13 | 弘宣 吉田 | 傘カバー装置及び傘 |
KR101844592B1 (ko) * | 2016-07-13 | 2018-04-02 | 조문철 | 빗물받이용 우산 케이스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37318A (ja) * | 1997-11-12 | 1999-05-25 | Yamaguchi Shokai:Kk | 傘用水滴落下防止カバー及び該カバー付傘 |
KR20100130766A (ko) * | 2009-06-04 | 2010-12-14 | 배성은 | 커버체가 일체로 구비된 우산 |
KR101388994B1 (ko) | 2012-06-04 | 2014-05-27 | (주) 에덴 | 초기우수 제어 및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와 그 처리방법 |
-
2018
- 2018-11-08 KR KR2020180005089U patent/KR20049189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49106A (ja) | 2006-11-20 | 2008-07-03 | Yoshiaki Okamoto | 傘および傘用カバー |
JP2013059514A (ja) | 2011-09-14 | 2013-04-04 | Trade One:Kk | 傘用水滴除去具 |
KR101439062B1 (ko) * | 2013-11-11 | 2014-09-18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탈착식 우산커버 |
KR101509408B1 (ko) | 2014-11-20 | 2015-04-07 | 이명구 | 커버 일체형 우산 |
JP2017070484A (ja) | 2015-10-07 | 2017-04-13 | 弘宣 吉田 | 傘カバー装置及び傘 |
KR101844592B1 (ko) * | 2016-07-13 | 2018-04-02 | 조문철 | 빗물받이용 우산 케이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0986U (ko) | 2020-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069476A1 (en) | Foldable tent | |
KR200491895Y1 (ko) | 우산의 방수커버 장치 | |
KR20130052945A (ko) | 역 접힘 우산 | |
KR200437933Y1 (ko) | 자동 우산 | |
KR200433181Y1 (ko) | 자동 우산 | |
KR100793474B1 (ko) | 휴대용 콤팩트 우산 | |
KR101332639B1 (ko) | 우산 | |
JP3183160U (ja) | 雨傘用カバー | |
KR100869629B1 (ko) | 휴대용 우산커버 | |
KR101488679B1 (ko) | 우산 | |
KR101440764B1 (ko) | 우산 | |
KR101229082B1 (ko) | 거꾸로 접히는 우산 | |
KR20120040606A (ko) | 우산 | |
KR20110049565A (ko) | 자동 접이식 우산 | |
KR200426817Y1 (ko) | 와이어가 구비된 방충장 | |
KR200366498Y1 (ko) | 우산커버가 구비된 우산 | |
KR101196673B1 (ko) | 컵 장치 | |
KR20150124569A (ko) | 뒤집어서 접히는 우산 | |
KR200490283Y1 (ko) |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 |
KR101791814B1 (ko) |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우산 | |
KR20100130766A (ko) | 커버체가 일체로 구비된 우산 | |
KR200403383Y1 (ko) | 우산의 살대산포 고정장치 | |
KR102175980B1 (ko) |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 |
TWM575663U (zh) | Folding umbrella and its accommodating structure | |
JPH0725050Y2 (ja) | カバ−収納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