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383Y1 - 우산의 살대산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우산의 살대산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383Y1
KR200403383Y1 KR20-2005-0025883U KR20050025883U KR200403383Y1 KR 200403383 Y1 KR200403383 Y1 KR 200403383Y1 KR 20050025883 U KR20050025883 U KR 20050025883U KR 200403383 Y1 KR200403383 Y1 KR 200403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hook
rod
flange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박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영 filed Critical 박진영
Priority to KR20-2005-0025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3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3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45B25/08Devices for fastening or loc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을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우산의 살대산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실시례에 의한 본 고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우산대의 외주연을 경유하면서 자연스럽게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살대고정편을 상기 우산대의 외측에 유착시키되, 상기 살대고정편의 구성을 제 2플랜지부 및 갈고리형 버튼키로 하고, 상기 갈고리형 버튼키와 상호 거치되는 또 다른 고정걸편을 제 1플랜지부와 연계되게 구성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우산의 살대산포 고정장치{The system which fixes umbrella ribs}
본 고안은 통상의 우산 내지 양산 등을 보다 간편하게 펴고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우산의 살대산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교적 고가이면서 중량이 상당한 자동식 우산과는 달리, 저렴하면서도 가벼우며 또한 보다 작은 크기로 소형화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가방 등에 넣어 소지하기에 편리한 특징이 있는 수동 접이식 양산 내지 우산 등에 관한 것이며, 상기 우산 내지 양산(이하, 편의상 통칭하여 '우산'이라 함)의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우산의 무게중심체인 우산대와, 상기 우산 몸체부를 지탱하는 우산대를 경로로 하여 수직왕복운동하는 살대산포 고정장치의 구성을 개량하여 보다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의 살대고정편에는 우산살대의 하부로부터 연계된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살대를 아래로부터 받쳐주게 되는 살대지지부의 일측 단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용홈이 구비된 제 2플랜지부와, 상기 제 2플랜지부 소정위치에 우산대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스프링 등의 탄지체가 입설됨으로 인해 인위적인 외압에 의하여 단차변화가 가능한 장방형의 갈고리형 버튼키가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우산살대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제 1플랜지부에 상기 갈고리형 버튼키와 동일한 형상의 고정걸편을 더 형성시키되, 상기 고정걸편은 이후 갈고리형 버튼키와 맞물려 상호 거치될 수 있도록 단면이 삼각체인 머리부가 하향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안이다.
종래의 우산 살대산포 고정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 지지봉(A)내에 걸쇠(B)를 삽입시키면 상부 걸림턱(C)은 지지봉(A) 일측의 절개홈(D)으로 돌출하게 되고, 고정돌기(E)는 지지봉(A)의 고정공(F)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고정돌기(E) 상부 접촉부(G)가 지지봉(A) 내벽에 걸리면서 접촉되어 걸림턱(C)에 탄력을 부여시키게 되며, 상기의 지지봉(A)에 삽입되어진 걸쇠(B)는 단순히 우산 살대지지구(H)를 걸어 고정시키고 해제시키는 역할만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통상적인 우산을 상기 지지봉(A)에 돌출된 걸쇠(B)가 살대고정대(H)에 형성된 걸림구(I)에 걸쳐지게 하면 우산이 펴져서 고정되고, 또한 상기의 걸림턱(B)을 사용자가 눌러서 걸쇠(B)를 걸림구(I) 내부로 이동시켜 우산을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에서 우산이나 양산을 펼치고자 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지지봉(A)에 삽입된 걸림턱(C)의 하부와 연계되도록 형성한 살대고정구(H)를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살대고정구(H)가 걸림턱(C)에 형성된 경사각에 의해 자연스럽게 걸편을 통과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살대고정구(H)와 일체로 형성된 걸림구(I)에 걸편(C)이 걸리게 되면서 더 이상 살대고정구(H)가 하방으로 내려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우산이나 양산을 접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으로 지지봉을 받친 후, 손가락으로 상기의 걸림턱을 눌러서 지지봉 내부로 밀어내면 살대고정구의 걸림부를 받치고 있던 걸림편 또한 상기 걸림부로부터 분리되어 살대고정구가 하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동작을 반복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여 돌출된 상태의 상기 걸림턱을 지지봉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눌러야만 하는 점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손가락에 순간적인 통증을 느끼게 됨은 물론, 상기 지지봉 내부의 습기로 인해 상기 걸림턱에 녹이 발생되어 있을 경우, 작동이 원활히 되지 않아 걸편을 반복하여 세게 눌러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손가락의 표면 피부가 상기 걸림턱과 살대고정구 사이에 끼여 상처를 입게 될 수도 있어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우산의 살대산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우산대의 외주연을 경유하면서 자연스럽게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살대고정편을 상기 우산대의 외측에 유착시키되, 상기 살대고정편의 구성을 제 2플랜지부 및 갈고리형 버튼키로 하고, 상기 갈고리형 버튼키와 상호 거치되는 또 다른 고정걸편을 제 1플랜지부와 연계되게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우산 살대산포 고정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례에 의한 살대산포 고정장치가 구성되어진 우산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살대산포 고정장치에 의하여 우산 살대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살대산포 고정장치에 의하여 우산 살대가 접히게 됨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살대 산포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우산 또는 양산(이하, 편의상 통칭하여 '우산'이라 함)의 구성요소들을 크게 나누어 살펴보면,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미도시함)를 설한 우산대(210)와, 상기 우산대(210)를 수단으로 수직왕복 운동하는 살대고정편(280), 상기 살대고정편(280)에 일측 단부가 거치되는 살대지지부(290)와 연계되어 얇고 유연한 재질의 천 등이 결속될 수 있도록 우산살대(220)가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우산대(210)의 외주연을 경유하면서 자연스럽게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살대고정편(280)을 상기 우산대의 외측에 유착시키되, 상기 살대고정편(280)의 구성을 제 2플랜지부(240) 및 갈고리형 버튼키(260)로 하고, 상기 갈고리형 버튼키(260)와 상호 거치되는 또 다른 고정걸편(270)을 제 1플랜지부(230)와 연계되게 구성함에 특징이 있는 우산 살대산포 고정장치인 점을 주지하는 바이다.
상기 살대고정편(280)은 우산대(210)의 외주연과 맞물려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의 몸체부로 제작하되, 살대고정편(280)의 적정위치에는 몸체부보다 더 큰 반경을 갖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구성된 제 2플랜지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플랜지부(240)로부터 살대고정편(280) 몸체부에 연장하여서 형성된 장방형의 갈고리형 버튼키(260)가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플랜지부(240)는 상단 외주연을 경로로 하여 상측으로 개구된 형상을 갖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분포시킨 수용홈(231(b))이 다수 형성되어지며, 이후 상기 수용홈 내부로 살대지지부(290)의 일측 단부가 위치하게 되는 한편, 상기 살대고정편(280)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갈고리형 버튼키(260)가 상기 제 2플랜지부(240) 수용홈(231(b))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된다.
상기 갈고리형 버튼키(260)는 머리부의 단면이 삼각체를 이루는 화살표 반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그 하단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압지하기에 용이하도록 일정한 표면면적을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제작하고, 갈고리형 버튼키(260)의 압지되는 단면부 내측으로 일정반발력을 갖는 스프링 등의 탄지체(300)를 살대고정편(280)의 일측면에 고정시켜 도 2(a)(b)에서와 같이 내설시킴으로써 외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갈고리형 버튼키(260)가 탄지체(300)가 형성하는 단차만큼의 이격됨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1플랜지부(230)는 우산의 머리부분을 형성하게 되는 구성요소로, 다수개의 우산살대(220)를 정렬하여 견고하게 구축하는 고정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그 형상은 제 2플랜지부(240)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 1플랜지부(230)에 형성되어진 수용홈(231(a)) 하측으로 고정걸편(270)이 일체형으로 더 구성되는데, 이는 상기 갈고리형 버튼키(260)를 염두하여 고정걸편(270)의 머리부분을 갈고리형 버튼키(260)와 동일하게 그 단면이 삼각체인 고리형상으로 구성하고, 머리부 하단은 직선형으로 곧게 뻗은 몸체부를 갖도록 제작하되, 상기한 갈고리형 버튼키(260)와 고정걸편(270)의 상호 맞물림을 고려하여 상기 고정걸편(270)의 머리부는 하향되게 구성한다.
상기 우산살대(220)는 제 1플랜지부(230)에 형성된 수용홈(231(a))으로 일측 단부가 놓여져 고정되고, 살대지지부(290)에 의해 일정한 힘에도 버틸 수 있도록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우산살대(220)와 연계된 살대지지부(290)는 제 2플랜지부(240)의 수용홈(231(b))에 정열하게 되어 우산을 펴겨나 접을시 상하로 왕복하는 살대고정편(280)의 유동으로 인해 상기 살대지지부(290) 및 우산살대(220)가 일체된 움직임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우산살대 및 살대지지부의 구성을 종래의 그것과 동일 내지 유사하게 일정간격마다 접지부를 구성하여서 자유접힘이 가능하게 하여 보다 작은 형태로 축소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한편, 제 1플랜지부(230) 및 제 2플랜지부(240)가 다수의 우산살대(220)와 살대지지부(290)를 개별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마련한 각각의 수용홈 내부에서 이와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수단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면에서와 같이 제 1 및 2플랜지부에 수용된 상기 우산살대와 살대지지부의 끝단부에는 통공부(미도시함)가 공통적으로 형성되어져 있음으로 인해 철사 등 소정의 결속부재(250(a,b))를 수단으로 하여 고정시키는 바, 상기 수용홈에 위치한 우산살대 및 살대지지부의 통공부로 상기 결속부재를 각각 인입시켜 결속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연계되게 형성하고, 이후 상기 결속부재의 양끝을 조여주어 이들을 고정하게 되는 방식이다.
이하,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우산 살대산포 고정장치에 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의 주된 핵심인 살대고정편(280)의 상하왕복운동에 의하여 상기 갈고리형 버튼키(260)가 고정걸편(270)에 거치됨에 있어서, 그 유기적인 작용상태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살대고정편(280)에는 우산살대(220)의 하부로부터 연계된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살대를 아래로부터 받쳐주게 되는 살대지지부(290)의 일측 단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용홈(231(b))이 구비된 제 2플랜지부(240)와, 상기 제 2플랜지부(240) 소정위치에 우산대(21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스프링 등의 탄지체(300)가 입설됨으로 인해 인위적인 외압에 의하여 단차변화가 가능한 장방형의 갈고리형 버튼키(260)가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우산살대(220)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제 1플랜지부(230)에 상기 갈고리형 버튼키(260)와 동일한 형상의 고정걸편(270)을 더 형성시키되, 상기 고정걸편(270)은 이후 갈고리형 버튼키(260)와 맞물려 상호 거치될 수 있도록 단면이 삼각체인 머리부가 하향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안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특징을 접목시킨 우산(350)의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을 접는 상태에서의 측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우선, 사용자가 우산(350)을 펼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살대고정편(280)을 손으로 부여잡고 일정한 힘을 가하여 상향으로 밀어올리게 되면, 살대고정편의 상방향 유동으로 인해 이와 연계되게 구성한 살대지지부(290) 또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우산살대(220)가 펼쳐지게 되는데, 이때 밀려 올라간 상기 살대고정편(280)이 적정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제 1플랜지부(230)에 형성된 고정걸편(270)의 머리부를 갈고리형 버튼키(260)의 머리부와 대응시켜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우산(350)은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이와는 달리 우산을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갈고리형 버튼키(260)의 돌출된 표면을 손가락으로 눌러주게 되는데, 이때 갈고리형 버튼키 내측에 수용된 탄지체(300)가 수축하게 되면서 상기 살대고정편 내측에 구비된 공간으로 상기 버튼키(260)의 머리부가 들어가게 되어 살대고정편(280) 내측 표면과 밀착됨으로써 자연스럽게 고정걸편(270)의 머리부로부터 이탈되어 맞물려진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비교적 고가이면서 무게가 무거운 자동식 우산과는 달리, 저렴하면서도 가벼우며 또한 보다 작은 크기로 압축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가방 등에 넣어 소지하기에 편리한 특징이 있는 수동 접이식 양산 내지 우산 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손만으로도 손쉽게 양산 내지 우산을 펴고 접을 수 있음은 물론, 우산을 접을 때에 갈고리부를 해제함에 있어 강한 힘으로 하향하는 살대고정편에 손가락이 끼이는 위험성을 종식시켜 편의성 및 실용성을 더욱 향상시킨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례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실시례에 불과하고, 본 고안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본 고안은 수동으로 펴고 접을 수 있는 절첩식 우산에 관한 것으로, 이들을 펴고 접게 하는 구조를 보다 간단하고 안전하게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한 유용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례에 의한 살대산포 고정장치가 구성되어진 우산의 개략적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살대산포 고정장치에 의하여 우산 살대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살대산포 고정장치에 의하여 우산 살대가 접히게 됨을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살대산포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우산대 220. 우산살대
230. 제 1플랜지부 231(a)(b). 수용홈
240. 제 2플랜지부 250(a)(b). 결속부재
260. 갈고리형 버튼키 270. 고정걸편
280. 살대고정편 290. 살대지지부
300. 탄지체 350. 우산

Claims (1)

  1. 우산대를 수단으로 자연스런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살대고정편을 결부시킨 절첩식 우산에 있어서,
    상기 우산에 구성된 제 1플랜지부와 연장되게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일측 단부가 삼각체인 머리부를 하향되게 형성한 고정걸편과, 상기 살대고정편 내측에 입설한 탄지체를 수단으로 외압에 의하여 탄압승강이 가능하게 되는 갈고리형 버튼키를 제 2플랜지부에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살대고정편이 상하방 유동함에 따라 갈고리형 버튼키가 고정걸편에 상호 거치되어 록킹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살대산포 고정장치.
KR20-2005-0025883U 2005-09-08 2005-09-08 우산의 살대산포 고정장치 KR200403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883U KR200403383Y1 (ko) 2005-09-08 2005-09-08 우산의 살대산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883U KR200403383Y1 (ko) 2005-09-08 2005-09-08 우산의 살대산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383Y1 true KR200403383Y1 (ko) 2005-12-09

Family

ID=4370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883U KR200403383Y1 (ko) 2005-09-08 2005-09-08 우산의 살대산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3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1528B1 (ko)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US10016033B2 (en) Adjustable canopy umbrella with auditory pin locking and centering system
JP4628368B2 (ja)
US20040211451A1 (en) Inverse umbrella
US20140069476A1 (en) Foldable tent
US4259974A (en) Umbrella
KR101245881B1 (ko) 가방 우산
JPWO2002040763A1 (ja) 吊下支持具
JP2008528019A (ja) 携帯用動物糞便除去装置
KR200403383Y1 (ko) 우산의 살대산포 고정장치
KR200433181Y1 (ko) 자동 우산
KR200438289Y1 (ko) 우산 케이스, 이 우산 케이스에 장착될 수 있는 우산 및이들이 결합된 우산 어셈블리
CN105962585B (zh) 一种伞具开合装置
JP7398762B2 (ja) 傘ケース
CN108887817B (zh) 一种多功能伞柄
KR101460511B1 (ko) 우산 장치
KR20120040606A (ko) 우산
KR200210347Y1 (ko) 우산 살대고정구에 부착되는 피부 보호 안전장치
CN220045104U (zh) 一种具有绑定身体功能的伞柄和伞具
KR101229082B1 (ko) 거꾸로 접히는 우산
JP6633799B1 (ja) 杖と傘の一体保持具
JP2002204710A (ja) 簡易傘用、傘布地
CN212280236U (zh) 方便开收的顺杆式折叠伞
CN2363542Y (zh) 一种自动伞
JPS61274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