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673B1 - 컵 장치 - Google Patents

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673B1
KR101196673B1 KR1020100110746A KR20100110746A KR101196673B1 KR 101196673 B1 KR101196673 B1 KR 101196673B1 KR 1020100110746 A KR1020100110746 A KR 1020100110746A KR 20100110746 A KR20100110746 A KR 20100110746A KR 101196673 B1 KR101196673 B1 KR 101196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using
cup body
receiving spac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482A (ko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김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식 filed Critical 김형식
Priority to KR1020100110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6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18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통해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되, 하우징은 수용공간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컵은 수용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수용공간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로 수용되고 수용공간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본래의 상태로 펼쳐지도록 마련되어 이용편리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휴대성이 개선된 컵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컵 장치 {a device of cup}
본 발명은 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편리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마련된 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은 물 등의 음료를 담아 마시는 도구로써, 상부로 개방된 담수공간을 구비한다.
이러한 컵은 통상 자기나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을 통해 딱딱하고 형태의 변형이 없도록 마련되는데, 이에 따라 종래의 컵들은 일상생활 중에 휴대하기가 어려웠다.
즉 컵의 경우 사용 편리성을 고려하여 소정크기 이상의 담수공간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형태의 변형이 어려운 종래 컵의 경우 부피를 줄일 수 없으므로, 여행을 할 때와 같이 큰 가방 등을 가지고 다는 경우에는 특별히 문제가 없으나, 가방이 없거나 부피가 작은 가방을 휴대하고 다니는 일상생활 중에는 휴대하기가 어려워지는 것이다.
물론 담수공간의 크기가 작은 컵의 경우 상대적으로 휴대하기는 쉬워질 수 있겠으나, 이때는 담수공간에 담을 수 있는 음료의 량이 줄어들어 컵의 사용 편리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최근 주위를 보면 학교나 회사 공공장소 등에 다량의 1회용컵을 배치하여 컵을 휴대하지 않고서도 음료수를 쉽게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1회용컵의 사용은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점점 제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편리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마련된 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컵 장치는 내부의 수용공간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수용공간이 개방된 상태에서 본래의 상태로 펼쳐지도록 마련된 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컵은 길이방향으로 수축가능하게 마련된 컵본체와, 수축된 상태의 상기 컵본체가 본래의 상태로 펼쳐지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컵본체에 일체로 마련된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컵본체는 안쪽에 마련되는 내측컵본체와, 상기 내측컵본체 외면을 감싸도록 마련된 외측컵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및 외측컵본체는 구김 가능한 합성수지필름을 통해 마련되며, 상기 복원부재는 상기 컵본체를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내측 및 외측컵본체 사이에 마련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컵이 고정되고 상기 컵의 바닥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컵의 상부를 바닥 쪽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된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높이는 길이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의 상기 컵의 높이보다 작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회동동작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상호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컵의 개구 쪽을 상기 컵의 바닥 쪽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컵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된 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컵은 길이방향으로 수축가능하게 마련된 컵본체와, 수축된 상태의 상기 컵본체가 본래의 상태로 펼쳐지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양단이 상기 컵본체의 입구 쪽 바닥 쪽 사이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컵본체의 내부에 컵본체와 일체로 마련된 복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원부재는 일단이 상기 컵본체의 입구 쪽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컵본체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경유하여 상기 컵본체의 바닥 쪽을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외면에는 걸이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통해 컵을 수용하게 되고, 하우징은 수용공간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컵은 수용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수용공간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로 수용되고 수용공간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본래의 상태로 펼쳐지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컵 장치는 하우징의 수용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컵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이때는 컵의 부피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컵을 쉽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컵은 하우징의 수용공간이 개방된 상태에서 본래의 상태로 펼쳐지므로, 이러한 컵은 사용시에는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여 충분한 크기의 담수공간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편리성이 저하될 우려도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하우징의 수용공간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작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하우징의 수용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장치에 있어서, 컵의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장치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컵 장치(1)는 컵(10)과,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컵(10)을 수용하도록 마련된 하우징(20)을 구비한다.
하우징(20)은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20a)을 통해 컵(10)을 수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하우징(20)은 수용공간(20a)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컵(10)은 수용공간(20a)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수용공간(20a)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로 수용되고 수용공간(20a)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본래의 상태로 펼쳐지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컵 장치(1)는 하우징(20)의 수용공간(20a)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하우징(20)의 수용공간(20a)에 수용된 컵(1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이때는 컵(10)의 부피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컵(10)을 쉽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또 컵(10)은 하우징(20)의 수용공간(20a)이 개방된 상태에서 본래의 상태로 펼쳐지므로, 이러한 컵(10)은 사용시에는 부피가 줄어들게 될 우려가 없게 되어 사용 편리성이 저하될 우려도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컵 장치(1)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컵(10)은 길이방향으로 수축가능하게 마련된 컵본체(50)와, 수축된 상태의 상기 컵본체(50)가 본래의 상태로 펼쳐지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컵본체(50)에 일체로 마련된 복원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컵(10)의 구성에 있어서 컵본체(50)는 안쪽에 마련되는 내측컵본체(70)와, 내측컵본체(70) 외면을 감싸도록 마련된 외측컵본체(8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내측 및 외측컵본체(70,80)는 모두 구김 가능한 합성수지필름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내측 및 외측컵본체(70,80)는 일반적인 컵의 모양으로 만들어지는데, 외측컵본체(80)는 내측컵본체(70)의 측면과 하면을 감싸고, 내측 및 외측컵본체(70,80)는 입구 쪽이 상호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컵본체(50)에 있어서 내측컵본체(70)의 내부공간은 실제 음료를 담을 수 있는 담수공간(70a)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컵본체(50)에 일체로 마련되는 복원부재(60)는 컵본체(50)를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내측 및 외측컵본체(70,80) 사이에 마련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원부재(50)는 내측컵본체(70)의 측면 둘레를 감싸도록 내측 및 외측컵본체(70,80)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을 통해 컵본체(50)를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은 컵(10)이 고정되고 컵본체(50)의 바닥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하부하우징(30)과, 하부하우징(30)에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하부하우징(3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컵(10)의 상부를 바닥 쪽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된 상부하우징(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하우징(30)은 외측컵본체(80)의 하면과 하부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컵본체(50)의 수축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컵본체(50)를 하부하우징(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부하우징(30)과 컵본체(50)는 외측컵본체(80)의 외부 쪽 하면과 하부하우징(30)의 내부 쪽 바닥면을 통해 상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는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부하우징(40)은 하부하우징(30)에 고정된 컵본체(50)를 덮어 수용공간(20a)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컵본체(50)의 입구 쪽 상부를 컵본체(50)의 바닥 쪽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돔 형상으로 마련되며, 이러한 상부하우징(40)의 일측 외면에는 컵 장치(1)를 가방이나 옷의 주머니 등에 간단히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걸이부재(41)가 마련된다.
휴대시 컵(10)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수용공간(20a)이 폐쇄되도록 상부 및 하부하우징(30,4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 있는 하우징(20)의 높이는 본래의 상태가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의 컵(10) 높이보다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하우징(30)과 하부하우징(40)은 수용공간(20a)을 개폐하도록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를 위해 상부 및 하부하우징(30,40)은 수용공간(20a)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호 접촉하게 되는 상부 및 하부하우징(30,40)의 일측에 마련된 힌지(100)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또 수용공간(20a)을 폐쇄하는 상부 및 하부하우징(30,40) 간의 동작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컵 장치(1)는 상기 힌지(100) 둘레에 상부 및 하부하우징(30,40)을 상호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된 탄성부재(110)와, 컵(10)의 개구 쪽을 컵(10)의 바닥 쪽으로 잡아당길 수 있게 일단은 컵(10)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20) 외부로 연장된 끈부재(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10)는 일단이 상부하우징(40) 외면에 지지되도록 고정되고 타단이 하부하우징(30) 외면에 지지되도록 고정된 판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10)는 수용공간(20a)이 개방되도록 상호 회동된 상부 및 하부하우징(30,40)을 다시 수용공간(20a)을 폐쇄시키는 방향 쪽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수용공간(20a)의 폐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끈부재(120)는 일단이 컵본체(50)의 입구 쪽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컵본체(50)와 하우징(20) 사이를 경유하여 상기 컵본체(50)의 바닥 쪽을 통해 상기 하우징(20) 외부로 인출되도록 마련된다.
끈부재(120)의 설치를 위해 외측컵본체(80)의 일측 외면과 하부 쪽 외면에는 끈부재(120)의 설치를 위한 설치홈(81)이 형성되며, 하부하우징(30)의 바닥 중앙에는 끈부재(120)의 인출을 위한 인출공(31)이 상기 설치홈(81)과 통하도록 형성된다.
컵본체(50)의 입구 쪽 복원부재(60)의 일단은 상기 설치홈(81)의 상단 쪽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끈부재(120)는 일단이 설치홈(81)으로 연장된 복원부재(60)의 단부에 연결되며, 끈부재(120)의 타단은 상기 설치홈(81)을 경유하여 상기 인출공(31)을 통해 하부하우징(30) 하부로 인출된다. 하우징(20) 외부로 인출된 끈부재(120)의 끝단에는 인출공(31)에 걸리도록 걸림부재(121)가 마련되어 외부로 인출된 끈부재(120)의 단부가 인출공(31)을 통해 하우징(20)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끈부재(120)를 하부 쪽으로 잡아당길 경우 컵본체(50)는 입구 쪽이 바닥 쪽으로 가압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정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상기 탄성부재(110)와 끈부재(120) 중 어느 하나 만이 컵 장치(1)에 채용된 경우에도 컵 장치(1)의 이용성이 어느 정도는 더 편리해 질 수 있게 되므로, 탄성부재(110)와 끈부재(120)는 본 실시예와 달리 컵 장치(1)에 어느 하나만이 채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컵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컵 장치(1)를 휴대하기 위해 하우징(20)의 수용공간을 폐쇄시켜 컵(10)을 길이방향으로 수축시킨 상태의 구조가 도시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이용자는 컵 장치(1)를 부피가 작은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넣거나, 상기 걸이부재(41)를 이용하여 가방이나 옷의 주머니 등에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컵 장치(1)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 중인 컵 장치(1)를 이용하여 음료 등을 마시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상부하우징(40)을 잡은 상태에서 하부하우징(30)에 대하여 수용공간(20a)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부하우징(40)을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0)의 개구 쪽을 바닥 쪽으로 누르고 있던 힘이 해제되면서 컵본체(50)는 복원부재(60)의 복원력을 통해 본래의 상태가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펼쳐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이용자는 담수공간(70a)에 음료를 따라 마실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의 컵(10)은 전체 부피는 물론 담수공간(70a)의 크기도 본래대로 복원된 상태이므로, 이용자는 충분한 량의 음료를 담수공간(70a)에 담아 마실 수 있게 된다. 또 이때는 상부하우징(40)이 복원된 컵(10)의 측면에 걸리게 되므로, 수용공간(20a)은 컵(10)이 다시 길이방향으로 수축되기 전까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컵 장치(1)를 휴대하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하우징(20) 외부로 인출되어 있는 끈부재(120)의 단부를 하부하우징(30) 하부 쪽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그러면 컵(10)은 입구 쪽이 바닥 쪽으로 가압되면서 다시 길이방향으로 수축되며, 상부하우징(40)은 탄성부재(110)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하부하우징(30) 상부 쪽으로 회동하여 수용공간(20a)을 폐쇄시킴으로써, 다시 컵 장치(1)가 도 1 및 도 2의 상태가 되도록 한다.
1: 컵 장치 10: 컵
20: 하우징 20a: 수용공간
30: 하부하우징 40: 상부하우징
50: 컵본체 60: 복원부재
70: 내측컵본체 70a: 담수공간
80: 외측컵본체 100: 힌지
110: 탄성부재 120: 끈부재

Claims (9)

  1. 내부의 수용공간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수용공간이 개방된 상태에서 본래의 상태로 펼쳐지도록 마련된 컵;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컵이 고정되고 상기 컵의 바닥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컵의 상부를 바닥 쪽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된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회동동작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상호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컵의 개구 쪽을 상기 컵의 바닥 쪽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컵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된 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길이방향으로 수축가능하게 마련된 컵본체와, 수축된 상태의 상기 컵본체가 본래의 상태로 펼쳐지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컵본체에 일체로 마련된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컵본체는 안쪽에 마련되는 내측컵본체와, 상기 내측컵본체 외면을 감싸도록 마련된 외측컵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및 외측컵본체는 구김 가능한 합성수지필름을 통해 마련되며,
    상기 복원부재는 상기 컵본체를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내측 및 외측컵본체 사이에 마련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높이는 길이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의 상기 컵의 높이보다 작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길이방향으로 수축가능하게 마련된 컵본체와, 수축된 상태의 상기 컵본체가 본래의 상태로 펼쳐지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양단이 상기 컵본체의 입구 쪽과 바닥 쪽 사이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컵본체의 내부에 컵본체와 일체로 마련된 복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끈부재는 일단이 상기 컵본체의 입구 쪽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컵본체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경유하여 상기 컵본체의 바닥 쪽을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외면에는 걸이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장치.
KR1020100110746A 2010-11-09 2010-11-09 컵 장치 KR101196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746A KR101196673B1 (ko) 2010-11-09 2010-11-09 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746A KR101196673B1 (ko) 2010-11-09 2010-11-09 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482A KR20120049482A (ko) 2012-05-17
KR101196673B1 true KR101196673B1 (ko) 2012-11-06

Family

ID=4626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746A KR101196673B1 (ko) 2010-11-09 2010-11-09 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943B1 (ko) * 2019-08-30 2021-01-28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접이식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680A (ja) 2005-05-18 2006-11-30 Toshitaka Kobayashi 伸縮自在のコップ安定置き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680A (ja) 2005-05-18 2006-11-30 Toshitaka Kobayashi 伸縮自在のコップ安定置き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482A (ko)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354B2 (en) Cosmetics case having receipt drawing toilet set
KR200470587Y1 (ko) 접이식 자동 우산
WO2016019697A1 (zh) 伸缩收纳瓶
WO2006117618A3 (en) Two part multi-function electronic device
KR200478010Y1 (ko) 휴대폰용 카드지갑
KR101196673B1 (ko) 컵 장치
KR101287647B1 (ko) 빗물보호 우산
KR101933526B1 (ko) 일회용 쓰레기봉투 거치대
KR200491895Y1 (ko) 우산의 방수커버 장치
KR101758629B1 (ko) 우산 꽂이대
KR200487392Y1 (ko) 이동단말기 수납용 파우치
KR102396082B1 (ko)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도장
KR200366498Y1 (ko) 우산커버가 구비된 우산
KR101505999B1 (ko) 스마트폰 거치대
FR2839632A3 (fr) Dispositif permettant de maintenir une serviette de plage parfaitement etalee sur le sable
KR102090161B1 (ko)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
KR20200073373A (ko) 스프링을 이용한 커버 내장형 접이식 우산
KR200470228Y1 (ko) 휴대용 컵
KR100400844B1 (ko) 휴대폰 착신 감지수단을 갖는 가방
KR200289156Y1 (ko) 절첩식 돋보기가 구비된 안경집
KR200401138Y1 (ko) 우산 케이스
KR200367092Y1 (ko) 걸이용 스트랩
KR20170003703U (ko) 카드 수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50124569A (ko) 뒤집어서 접히는 우산
CN204274297U (zh) 一种马桶刷放置架及含有该放置架的马桶刷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