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161B1 -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161B1
KR102090161B1 KR1020180160653A KR20180160653A KR102090161B1 KR 102090161 B1 KR102090161 B1 KR 102090161B1 KR 1020180160653 A KR1020180160653 A KR 1020180160653A KR 20180160653 A KR20180160653 A KR 20180160653A KR 102090161 B1 KR102090161 B1 KR 102090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over
umbrella cover
outer cylinde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부일
Original Assignee
이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부일 filed Critical 이부일
Priority to KR1020180160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161B1/ko
Priority to PCT/KR2019/017522 priority patent/WO202012261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우산커버의 안쪽 면에 비에 젖은 방수천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얇은 비닐 막을 코팅하여 우산에 씌워진 우산커버의 하단부분을 밀어 올리면 우산커버가 주름져 접히면서 우산에서 쉽게 벗겨지고,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우산커버의 하단부분을 잡아 당겨 내리면 주름이 펴지면서 우산에 쉽게 씌워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 편리성과 함께 우산에 씌워진 상태에서 손잡이를 위쪽으로 기울어지게 하면 빗물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는 기능성을 함께 제공하는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단에 우산꼭지부재가 구비된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우산에는 접은 상태에서 우산에 씌워지고 벗겨지는 방수 기능을 가진 우산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우산커버는 상단부가 상기 우산꼭지부재의 하단부 외측에 방수 가능하도록 접착 고정하여,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하단부분을 밀어 올리면 주름져 접히면서 우산에서 벗겨지고, 하단부분을 당겨 내리면 주름이 펴지면서 우산에 씌워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An umbrella with an umbrella cover}
본 발명은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우산커버의 안쪽 면에 비에 젖은 방수천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얇은 비닐 막을 코팅하여 우산에 씌워진 우산커버의 하단부를 밀어 올리면 우산커버가 주름져 접히면서 우산에서 쉽게 벗겨지고,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우산에서 벗겨진 우산커버의 하단부를 잡아 당겨 내리면 주름이 펴지면서 우산에 쉽게 씌워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 편리성과 함께 우산에 씌워진 상태에서 빗물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는 기능성을 함께 제공하는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비에 젖은 우산에 방수 처리된 우산커버를 씌워서 우산에 묻은 빗물이 우산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하여 대중교통이나 사람이 붐비는 곳에서 사용자나 주위 사람들에게 우산의 물기로 인하여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우산은 우산커버와 우산이 분리되어 있어 우산커버를 따로 보관하기가 불편하고 또한 우산커버를 준비하더라도 우산커버를 우산에 씌우거나 벗겨내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목적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190606호(2000.08.01.)의 절첩식 우산커버, 20-0319726호(2003.07.16.)의 우산커버 등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들 선행기술들은 비에 젖은 우산에 일회용 비닐을 씌워서 사용 후 버리거나, 다수 개의 커버통으로 우산커버를 구성하여 다수 개의 커버통을 접어 우산꼭지부재에 고정시켜 우산을 펼치고 우산을 접은 후에는 접혀 있는 커버통을 손으로 잡아 당겨 우산에 씌워 우산에 묻어 있는 물기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거나, 통상의 우산의 분리되는 방수 처리된 우산커버를 우산의 꼭지부에 설치된 케이스 내부에 결합 저장하여 케이스 내부에 있는 우산커버를 잡아당겨 우산에 씌우고, 우산커버를 잡아당길 때 감긴 태엽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우산커버를 감아 케이스 내부에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소개된 것들은 여러 가지 불편한 문제점 들이 있어 대중화 되지 못한 상태다.
우산살을 이중으로 하여 거꾸로 펴고 접는 우산이 고안되어 비에 젖은 겉면이 안으로 접혀 들어가서 빗물이 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우산의 안쪽에 고이게 하여 빗물로 인한 어려움을 겪을 필요가 없게 하였으나 무게가 무겁고, 가격이 비싸고, 우산의 부피가 크고, 우산을 바닥에 수평으로 놓았을 때 빗물이 우산 밖으로 흘러나오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KR 200190606 Y1 2000.08.01. KR 200319726 Y1 2003.07.16.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우산에 딸려 있는 것과 같은 형태의 우산커버의 안쪽 면에 비에 젖은 방수천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얇은 비닐 막을 코팅하여 우산에 우산커버를 용이하게 벗겨내고 씌울 수 있도록 하고, 우산커버의 상단부를 우산꼭지부재의 하단부의 외측에 결합 접착하여 빗물이 새지 않도록 하고, 우산커버의 하단부분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안쪽원통과 바깥쪽원통을 끼워 우산커버의 하단부분과 접착하여 안쪽원통과 우산커버의 하단부분과 바깥쪽원통이 일체가 되게 하고, 바깥쪽원통을 밀어 올리면 우산커버가 얇은 비닐 막과 더불어 주름져 접혀지면서 우산에서 벗겨지고, 바깥쪽원통 잡아당기면 주름져 접힌 우산커버가 얇은 비닐 막과 더불어 펴지면서 우산에 씌울 수 있게 구성한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과제 해결 수단으로;
첫째 상단에 우산꼭지부재가 구비된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우산에는 접은 상태에서 우산에 씌워지고 벗겨지는 방수 기능을 가진 우산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우산커버는 상단부를 상기 우산꼭지부재의 하단부에 방수 가능하도록 접착 고정하여,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하단부분을 밀어 올리면 주름져 접히면서 우산에서 벗겨지고, 하단부분을 당겨 내리면 주름이 펴지면서 우산에 씌워지도록 구성하며;
우산커버의 안쪽 면에는, 비에 젖은 방수천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얇은 비닐 막을 코팅하여 우산커버를 우산에서 쉽게 벗겨 내거나 씌울 수 있게 하고;
우산커버의 개방된 하단부분은, 안쪽원통과 바깥쪽원통 사이에 끼워 이들 안쪽원통과 바깥쪽원통에 일체가 되게 접착하여 고정하되;
상기 바깥쪽원통은 안쪽원통과 우산커버의 하단부분과 일체가 되게 접착되는 하부와 하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우산커버가 주름져 접어진 상태로 내입되는 상부로 일체 구성하고, 바깥쪽원통의 하부의 하단 외측에 링 형태의 하단외측걸림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바깥쪽원통의 하부 외측에는 상부 내측으로 상부내측걸림돌기가 형성된 우산커버작동손잡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우산대의 상단부에 결합 고정된 우산꼭지부재의 상단면의 가장자리 아래쪽으로 내측에 결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바깥쪽원통의 상부가 끼워지는 원형의 테두리를 일체로 결합하고, 우산꼭지부재의 상단면의 아래쪽에 빗물저장공간을 일체로 형성하여 방수천과 우산커버 사이에 있는 빗물이 상기 빗물저장공간에 고이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셋째 상기 우산꼭지부재는 중앙에 축방향으로 결합공을 형성하여 기존 사용하고 있는 우산의 우산꼭지에 결합하거나 또는 중앙에 축방향으로 나사결합공을 형성하여 우산살결합부재에 형성된 나사결합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방수천과 우산커버 사이에 방수천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얇은 비닐 막이 있어 우산커버를 잡아당기거나 밀어 올려 쉽게 우산에 씌우고 벗겨낼 수 있다.
-우산을 우산커버로 씌워 우산의 손잡이를 우산꼭지부재보다 위쪽으로 기울어지게 하면 빗물이 우산의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는다.
-우산을 우산커버로 씌우기 때문에 묶음 밴드로 우산을 묶을 필요가 없다.
-우산을 우산커버로 씌웠을 때 우산의 부피가 줄어들어 휴대하기가 간편하고, 외관이 단정하다.
-우산커버에 문자나 그림을 프린트하여 우산에 우산커버를 씌웠을 때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빗물저장공간에 저장된 빗물의 경우 우산을 사용하기 위해 펴거나 혹은 말리기 위해 우산을 펼 때 외부로 자동 배출되므로 빗물저장공간에 저장된 빗물 처리에 따른 불편이 없다.
-우산커버를 포함하는 우산꼭지부재를 별도로 구성하여 기존 사용하고 있는 우산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우산에 범용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우산커버를 씌웠을 때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우산커버를 벗겨내었을 때의 상태도
도 3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우산을 펼쳤을 때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바깥쪽원통을 우산꼭지부재에 결합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바깥쪽원통을 우산꼭지부재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우산꼭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및 우산꼭지부재의 평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바깥쪽원통을 우산꼭지부재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우산커버의 하단부분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서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꼭지부재를 별도 제작하여 기존 우산에 결합하는 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우산커버를 씌웠을 때의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우산커버를 벗겨내었을 때의 상태도
도 10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우산을 펼쳤을 때의 상태도
도 11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바깥쪽원통을 우산꼭지부재에 결합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바깥쪽원통을 우산꼭지부재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우산꼭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및 우산꼭지부재의 평단면도
도 13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바깥쪽원통을 우산꼭지부재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우산커버의 하단부분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4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에서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꼭지부재를 별도 제작하여 기존 우산에 결합하는 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장우산 타입의 우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각각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우산커버를 씌웠을 때의 상태도와 우산커버를 벗겨내었을 때 그리고 장우산 타입의 우산을 펼쳤을 때의 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우산커버가 분리되는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 개발한 우산커버(8)가 일체로 결합된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 관한 것으로, 우산대(2)의 하단부에 손잡이(3)가 결합 고정되고, 상단부에 다수 개의 우산살(4)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산살결합부재(5)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다수 개의 우산살(4)의 외면을 감싸도록 부착되고 일단이 우산살결합부재(5)의 상단을 덮고 있는 방수천(6)으로 구성된 종래의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서, 상기 우산살결합부재(5)의 상단과 인접하여 우산대(2)의 상단부에 우산꼭지부재(7)를 결합 고정한다.
종래의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형태의 우산커버(8)의 안쪽 면에 비에 젖은 방수천(6)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얇은 비닐 막(8a)을 코팅하여 우산커버(8)를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서 쉽게 벗겨 내거나 씌울 수 있게 한다.
상기 비에 젖은 방수천과(6)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얇은 비닐 막(8a)은 얇은 비닐로 구성함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에 다른 것일 수도 있으며, 얇은 비닐 막(8a)는 우산커버(8)에 코팅하는 구성 외에 우산커버(8)의 내면과 접하도록 얇은 비닐 막을 덧씌우는 구성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우산커버(8)의 상단부를 후술할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빗물저장공간(7b)의 외측면의 하단부에 끼워 빗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접착하고,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은 원형의 형태를 유지하게끔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을 안쪽원통(9)과 바깥쪽원통(10) 사이에 끼워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이 우산커버손잡이(11)를 구성하는 안쪽원통(9)과 바깥쪽원통(10)사이에 끼여 일체가 되게 접착하여 우산커버손잡이(11)를 승강할 때 방수천(6)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얇은 비닐 막(8a)이 씌워지거나 또는 코팅된 상태의 우산커버(8)가 함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바깥쪽원통을 우산꼭지부재에 결합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바깥쪽원통을 우산꼭지부재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우산꼭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및 우산꼭지부재의 평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바깥쪽원통을 우산꼭지부재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우산커버의 하단부분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바깥쪽원통(10)은 안쪽원통(9)과 얇은 비닐 막(8a)이 씌워지거나 또는 코팅된 상태의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과 일체가 되게 접착되는 하부(10b)와 하부(10b)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상부(10a)로 일체 구성되어 바깥쪽원통(10)의 상부(10a)는 안쪽원통(9)의 상단의 위쪽에 있게 하고,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링 형태의 하단외측걸림돌기(10e)를 형성한다.
상기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외측에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상부 내측에 링 형태의 상부내측걸림돌기(11a)를 형성한다.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상부내측걸림돌기(11a)는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와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 사이에서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외측에 인접하여 슬라이드하게 구성하여 상기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상부내측걸림돌기(11a)로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와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을 밀어 바깥쪽원통(10)을 구동하게 한다.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부의 직경을 위쪽보다 약간 작게 하여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부가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에 접하여 임의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바깥쪽원통(10)의 상부(10a)가 후술할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결합공간(7a)에 끼워지고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부가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에 접해 임의로 이탈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장우산 타입의 우산(1)을 펼 때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이 우산살(4)에 부딪치지 않게 구성하여 장우산(1)이 완전히 펴지도록 한다.
장우산 타입의 우산(1)을 접어 우산커버(8)를 씌웠을 때 상기 안쪽원통(9)의 상단은 접혀 있는 방수천(6)의 가장자리보다 위쪽에 있게 하고,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는 방수천(6)을 완전히 덮고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이 손잡이(3) 바로 위까지 내려와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장우산 타입의 우산(1)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부피가 늘어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안쪽원통(9)은 가장 부피가 큰 아래쪽부분에 접하여 슬라이드 할 수 있을 정도의 내경을 갖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우산커버(8)가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 완전히 씌워져 있는 상태에서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로 일체로 되어 있는 안쪽원통(9)과 바깥쪽원통(10)과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을 우산꼭지부재(7) 쪽으로 밀어 올리면 안쪽원통(9)의 상단이 방수천(6)의 가장자리에 걸리지 않게 되고, 얇은 비닐 막(8a)이 씌워지거나 또는 코팅된 상태의 우산커버(8)는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에 밀려 주름이 지면서 방수천(6)의 겉면과 바깥쪽원통(10)의 상부옆면(10d) 사이에서 차곡차곡 겹쳐 접히면서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서 쉽게 벗겨지게 된다.
상기 우산대(2)의 상단부에 결합 고정된 우산꼭지부재(7)의 상단면의 가장자리 아래쪽으로 내측에 결합공간(7a)이 형성된 원형의 테두리(7e)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를 우산꼭지부재(7) 쪽으로 밀어 올려 바깥쪽원통(10)의 상부(10a)를 상기 결합공간(7a)에 끼워 임의로 빠져 나오지 못하게 구성한다.
또한 우산꼭지부재(7)의 상단면의 아래쪽으로 일체로 빗물저장공간(7b)을 형성하여 우산커버(8)를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 씌워 손잡이(3)를 우산꼭지부재(7)보다 위쪽으로 기울어지게 하였을 때 상기 빗물저장공간(7b)의 외측면의 하단부에 상단부를 끼워 접착하여 빗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한 우산커버(8)와 방수천(6) 사이에 있는 빗물이 빗물저장공간(7b)의 개방된 하단을 통하여 흘러들어가 빗물저장공간(7b)에 고이게 한다.
상기 빗물저장공간(7b)의 내부 중앙에 우산꼭지부재(7)의 상단면과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결합공(7c)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7c)에 우산대(2)의 상단부를 끼워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 우산꼭지부재(7)를 결합 고정하고, 방수천(6)의 일단이 상기 원기둥의 하단과 우산살결합부재(5)의 상단 사이에서 압착되어 빗물이 방수천(6)의 안쪽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방수 기능을 가진 우산커버(8)가 일체로 결합된 장우산 타입의 우산(1)의 작동 및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 우산커버(8)가 씌워져 있고,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에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상부내측걸림돌기(11a)가 걸려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3)에 인접되어 있는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를 우산꼭지부재(7) 쪽으로 밀어 올리면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상부내측걸림돌기(11a)가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을 밀어 바깥쪽원통(10)과 일체로 된 안쪽원통(9)과 얇은 비닐 막(8a)이 씌워지거나 또는 코팅된 상태의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이 밀려 올려 진다.
바깥쪽원통(10)과 일체로 된 안쪽원통(9)과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이 밀려 올려 지면 얇은 비닐 막(8a)이 씌워지거나 또는 코팅된 상태의 우산커버(8)가 방수천(6)과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과 상부옆면(10d) 사이에서 주름이지면서 접히게 되고, 계속 밀어 올리면 상기에서 주름져 접힌 우산커버(8)가 그 위쪽의 우산커버(8)를 밀어 그 위쪽의 우산커버(8)가 상기와 같이 주름이지면서 접히는 상태가 계속 반복되어 얇은 비닐 막(8a)과 같이 우산커버(8)는 방수천(6)과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과 상부옆면(10d) 사이에서 주름져 접힌 상태로 쌓이면서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서 벗겨진다.
상기에서 우산커버(8)는 대부분 가로의 대각선의 길이가 긴 평행사변형 또는 육각형의 유사 형태가 연이어 있는 상태에서 각각이 가로 대각선의 위, 아랫부분이 겹쳐지면서 접히며, 가끔 다른 형태로 접히기도 하지만 대부분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접힌다.
우산커버(8)를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서 처음으로 벗겨내면 가로 대각선의 위, 아랫부분이 겹쳐진 부분이 위쪽의 우산커버(8)에 부딪쳐 압축되는 상태가 계속되고, 바깥쪽원통(10)의 상부(10a)가 상기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결합공간(7a)에 삽입되면 상기와 같이 가로 대각선의 위, 아랫부분이 겹쳐 압축되어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빗물저장공간(7b)의 외측면과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과 상부옆면(10d) 사이에 차곡차곡 접혀 쌓여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로 대각선의 위, 아랫부분이 압축되어 겹쳐져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빗물저장공간(7b)의 외측면과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과 상부옆면(10d) 사이에 차곡차곡 접혀 쌓여 있는 우산커버(8)에 형성된 주름은 우산대(2)와 축직각 방향으로 접어지는 것으로 바지에 주름이 잡혀 있듯이 우산커버(8)에서 없어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어 우산커버(8)를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 씌운 후 다시 벗겨내어도 처음 그대로의 주름이 지면서 접혀 벗겨진다.
종래의 우산커버를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 씌워 벗겨낼 때는 비에 젖은 방수천(6)과 우산커버(8) 사이의 마찰에 의해 우산커버(8)가 안쪽원통(9)의 안쪽으로 말려들어가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서 벗겨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우산커버(8)의 안쪽 면에 비에 젖은 방수천(6)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얇은 비닐 막(8a)이 덧씌워지거나 또는 코팅되어 있으므로 우산커버(8)를 벗겨낼 때 우산커버(8)가 안쪽원통(9)의 안쪽으로 말려들어가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고 우산커버(8)는 상기와 같이 주름이 지면서 접혀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서 쉽게 벗겨지게 된다.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를 우산꼭지부재(7) 쪽으로 밀어 올려 바깥쪽원통(10)의 상부(10a)가 상기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결합공간(7a)에 끼워지면 임의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매달려 있고, 또한 바깥쪽원통(10) 하부(10a)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에 직경이 조금 작게 형성된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부가 접하여 임의대로 이탈하지 못하게 된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장우산 타입의 우산(1)을 펴면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의 간섭을 받지 않고 장우산(1)이 완전히 펴진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장우산 타입의 우산(1)을 사용한다.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장우산 타입의 우산(1)을 사용한 후 장우산 타입의 우산(1)을 접으면 바깥쪽원통(10)과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는 우산꼭지부재(7)에 그대로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종래의 장우산 타입의 우산과 같이 장우산 타입의 우산(1)이 어느 정도 펴져 있는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를 손으로 잡고 손잡이(3) 쪽으로 당겨 내리면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부가 바깥쪽원통(10)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에서 이탈하여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상부내측걸림돌기(11a)가 바깥쪽원통(10)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를 밀면 바깥쪽원통(10)의 상부(10a)가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결합공간(7a)에서 빠져나오면서 바깥쪽원통(10)과 일체로 된 안쪽원통(9)과 얇은 비닐 막(8a)과 같이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이 장우산 타입의 우산(1)의 손잡이(3) 쪽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빗물저장공간(7b)의 외측면과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과 상부옆면(10d) 사이에 주름져 차곡차곡 접혀 쌓여 있는 우산커버(8)는 얇은 비닐 막(8a)과 같이 펴지면서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 씌워져 도 2와 같이 어느 정도 펴져 있는 장우산 타입의 우산(1)을 감싸 도 1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1과 같이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 우산커버(8)를 씌운 상태에서 장우산 타입의 우산(1)의 손잡이(3)를 잡고 우산꼭지부재(7)를 아래쪽으로 기울어지게 하면 상기 우산커버(8)의 상단부가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빗물저장공간(7b)의 외측면의 하단부에 끼워 접착되어 있고 방수천(6)의 일단이 상기 원기둥의 하단과 우산살결합부재(5)의 상단 사이에서 압착되어 있으므로 방수천(6)과 우산커버(8) 사이에 있는 빗물은 빗물저장공간(7b)의 개방된 하단을 통하여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빗물저장공간(7b)으로 흘러들어가 고여 있게 된다.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 우산커버(8)를 씌운 상태에서 손잡이(3)를 위쪽으로 조금만 기울어지게 하여도 빗물이 장우산 타입의 우산(1)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는다.
장우산 타입의 우산(1)을 사용하기 위하여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를 밀어 우산커버(8)를 벗겨내어 바깥쪽원통(10)의 상부(10a)를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결합공간(7a)에 끼운 후 장우산 타입의 우산(1)을 펴서 들고 쓸 때 빗물저장공간(7b)에 고여 있는 빗물은 상기 빗물저장공간(7b)의 개방된 하단을 통하여 흘러나와 방수천(6)의 위로 떨어져 빗물저장공간(7b)에 고여 있는 빗물을 저절로 빠져 나온다.
우산커버(8)에 문자나 그림을 프린트하여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 우산커버(8)를 씌운 상태에서 대중교통이나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 들고 있거나, 이동할 때 광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서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꼭지부재를 별도 제작하여 기존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 결합하는 예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생산 단계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하고 있는 우산커버(8)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꼭지부재(7)를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 결합 고정하여 출하는 것은 물론 우산커버(8)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꼭지부재(7)를 별도로 제작하여 기존 사용하고 있는 장우산 타입의 우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기존 사용하고 있는 장우산 타입의 우산의 우산꼭지(1a)를 감싸고 있는 장식부재를 제거한 후 빗물저장공간(7b)의 내부 중앙에 우산꼭지부재(7)의 상단면과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 내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7c)에 우산꼭지(1a)를 끼워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공(7c)은 우산꼭지(1a)에 억지끼움 상태로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 결합공(7c) 내에 탭부재를 구비하여 우산꼭지(1a)에 나사 결합되는 구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우산커버(8)의 안쪽 면에 비에 젖은 방수천(6)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얇은 비닐 막(8a)이 덧씌워지거나 또는 코팅되어 있어 장우산 타입의 우산(1)에 우산커버(8)를 쉽게 씌우거나 벗겨낼 수 있으므로 장우산 타입의 우산(1)의 길이와 우산살(4)의 재질과 개수가 같으면 비록 제작 회사가 다르더라도 모두 동일한 규격의 우산커버(8)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꼭지부재(7)를 상기와 같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우산커버를 씌웠을 때의 상태도와 우산커버를 벗겨내었을 때 그리고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을 펼쳤을 때의 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우산커버가 분리되는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 개발한 우산커버(8)가 일체로 결합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 관한 것으로, 상단부에 다수 개의 우산살(4)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산살결합부재(5)가 결합 고정된 외관과 외관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 손잡이가 결합 고정된 내관으로 우산대(2)가 구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우산살(4)의 외면을 감싸도록 부착되고 일단이 우산살결합부재(5)의 상단을 덮고 있는 방수천(6)으로 구성된 종래의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서, 상기 우산살결합부재(5)에 형성된 나사결합부(5a)에 우산꼭지부재(7)를 결합 고정한다.
종래의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형태의 우산커버(8)의 안쪽 면에 비에 젖은 방수천(6)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얇은 비닐 막(8a)을 코팅하여 우산커버(8)를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서 쉽게 벗겨 내거나 씌울 수 있게 한다.
상기 비에 젖은 방수천(6)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재질을 가진 비닐 막(8a)은 얇은 비닐로 된 것이 바람직 하지만 그 외에 다른 것일 수도 있으며, 얇은 비닐 막(8a)는 우산커버(8)에 코팅하는 구성 외에 우산커버(8)의 내면과 접하도록 얇은 비닐 막을 덧씌우는 구성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우산커버(8)의 상단부를 후술할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빗물저장공간(7b)의 외측면의 하단부에 끼워 빗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접착하고,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은 원형의 형태를 유지하게끔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을 안쪽원통(9)과 바깥쪽원통(10) 사이에 끼워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이 우산커버손잡이(11)를 구성하는 안쪽원통(9)과 바깥쪽원통(10)사이에 끼여 일체가 되게 접착하여 우산커버손잡이(11)를 승강할 때 방수천(6)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얇은 비닐 막(8a)이 씌워지거나 또는 코팅된 상태의 우산커버(8)가 함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바깥쪽원통을 우산꼭지부재에 결합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바깥쪽원통을 우산꼭지부재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우산꼭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및 우산꼭지부재의 평단면도, 도 13는 본 발명의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에 따른 바깥쪽원통을 우산꼭지부재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우산커버의 하단부분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바깥쪽원통(10)은 안쪽원통(9)과 얇은 비닐 막(8a)이 씌워지거나 또는 코팅된 상태의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과 일체가 되게 접착되는 하부(10b)와 하부(10b)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상부(10a)로 일체 구성되어 바깥쪽원통(10)의 상부(10a)는 안쪽원통(9)의 상단의 위쪽에 있게 하고,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링 형태의 하단외측걸림돌기(10e)를 형성한다.
상기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외측에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상부 내측에 링 형태의 상부내측걸림돌기(11a)를 형성한다.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상부내측걸림돌기(11a)는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와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 사이에서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외측에 인접하여 슬라이드하게 구성하여 상기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상부내측걸림돌기(11a)로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와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을 밀어 바깥쪽원통(10)을 구동하게 한다.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부의 직경을 위쪽보다 약간 작게 하여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부가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에 접하여 임의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고, 그 아래쪽은 바깥쪽으로 경사진 나팔관 형태로 형성하여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이 접힌 상태에서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를 잡아당겨 우산커버(8)를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 씌울 때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이 우산살(4)의 상단에 걸리지 않고 쉽게 씌워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바깥쪽원통(10)의 상부(10a)가 후술할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결합공간(7a)에 끼워지고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부가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에 접해 임의로 이탈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을 펼 때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이 우산살(4)에 부딪치지 않게 구성하여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이 완전히 펴지도록 한다.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을 접어 우산커버(8)를 씌웠을 때 상기 안쪽원통(9)의 상단은 접혀 있는 방수천(6)의 가장자리보다 위쪽에 있게 하고,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는 방수천(6)을 완전히 덮고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이 손잡이(3) 바로 위까지 내려와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은 장우산타입의 우산(1)과 다르게 위쪽으로 갈수록 부피가 늘어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안쪽원통(9)은 가장 부피가 큰 위쪽부분에 접하여 슬라이드 할 수 있을 정도의 내경을 갖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우산커버(8)가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 완전히 씌워져 있는 상태에서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로 일체로 되어 있는 안쪽원통(9)과 바깥쪽원통(10)과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을 우산꼭지부재(7) 쪽으로 밀어 올리면 안쪽원통(9)의 상단이 방수천(6)의 하단에 걸리지 않게 되고, 얇은 비닐 막(8a)이 씌워지거나 또는 코팅된 상태의 우산커버(8)는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에 밀려 주름이 지면서 방수천(6)의 겉면과 바깥쪽원통(10)의 상부옆면(10d) 사이에서 차곡차곡 겹쳐 접히면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서 쉽게 벗겨지게 된다.
상기 우산대(2)의 상단부에 결합 고정된 우산꼭지부재(7)의 상단면의 가장자리 아래쪽으로 내측에 결합공간(7a)이 형성된 원형의 테두리(7e)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를 우산꼭지부재(7) 쪽으로 밀어 올려 바깥쪽원통(10)의 상부(10a)를 상기 결합공간(7a)에 끼워 임의로 빠져 나오지 못하게 구성한다.
또한 우산꼭지부재(7)의 상단면의 아래쪽으로 일체로 빗물저장공간(7b)을 형성하여 우산커버(8)를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 씌워 손잡이(3)를 우산꼭지부재(7)보다 위쪽으로 기울어지게 하였을 때 상기 빗물저장공간(7b)의 외측면의 하단부에 상단부를 끼워 접착하여 빗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한 우산커버(8)와 방수천(6) 사이에 있는 빗물이 빗물저장공간(7b)의 개방된 하단을 통하여 흘러들어가 빗물저장공간(7b)에 고이게 한다.
상기 빗물저장공간(7b)의 내부 중앙에 우산꼭지부재(7)의 상단면과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나사결합공(7d)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결합공(7d)에 우산살결합부재(5)의 상단의 위쪽에 형성된 나사결합부(5a)를 끼워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 우산꼭지부재(7)를 결합 고정하고, 방수천(6)의 일단이 상기 원기둥의 하단과 우산살결합부재(5) 사이에서 압착되어 빗물이 방수천(6)의 안쪽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방수 기능을 가진 우산커버(8)가 일체로 결합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의 작동 및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8과 같이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 우산커버(8)가 씌워져 있고,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에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상부내측걸림돌기(11a)가 걸려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3)에 인접되어 있는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를 우산꼭지부재(7) 쪽으로 밀어 올리면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상부내측걸림돌기(11a)가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을 밀어 바깥쪽원통(10)과 일체로 된 안쪽원통(9)과 얇은 비닐 막(8a)이 씌워지거나 또는 코팅된 상태의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이 밀려 올려 진다.
바깥쪽원통(10)과 일체로 된 안쪽원통(9)과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이 밀려 올려 지면 얇은 비닐 막(8a)이 씌워지거나 또는 코팅된 상태의 우산커버(8)가 방수천(6)과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과 상부옆면(10d) 사이에서 주름이지면서 접히게 되고, 계속 밀어 올리면 상기에서 주름져 접힌 우산커버(8)가 그 위쪽의 우산커버(8)를 밀어 그 위쪽의 우산커버(8)가 상기와 같이 주름이지면서 접히는 상태가 계속 반복되어 얇은 비닐 막(8a)과 같이 우산커버(8)는 방수천(6)과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과 상부옆면(10d) 사이에서 주름져 접힌 상태로 쌓이면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서 벗겨진다.
상기에서 우산커버(8)는 대부분 가로의 대각선의 길이가 긴 평행사변형 또는 육각형의 유사 형태가 연이어 있는 상태에서 각각이 가로 대각선의 위, 아랫부분이 겹쳐지면서 접히며, 가끔 다른 형태로 접히기도 하지만 대부분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접힌다.
우산커버(8)를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서 처음으로 벗겨내면 가로 대각선의 위, 아랫부분이 겹쳐진 부분이 위쪽의 우산커버(8)에 부딪쳐 압축되는 상태가 계속되고, 바깥쪽원통(10)의 상부(10a)가 상기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결합공간(7a)에 삽입되면 상기와 같이 가로 대각선의 위, 아랫부분이 겹쳐 압축되어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빗물저장공간(7b)의 외측면과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과 상부옆면(10d) 사이에 차곡차곡 접혀 쌓여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로 대각선의 위, 아랫부분이 압축되어 겹쳐져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빗물저장공간(7b)의 외측면과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과 상부옆면(10d) 사이에 차곡차곡 접혀 쌓여 있는 우산커버(8)에 형성된 주름은 우산대(2)와 축직각 방향으로 접어지는 것으로 바지에 주름이 잡혀 있듯이 우산커버(8)에서 없어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어 우산커버(8)를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 씌운 후 다시 벗겨내어도 처음 그대로의 주름이 지면서 접혀 벗겨진다.
종래의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은 장우산 타입의 우산(1)과 다르게 위쪽으로 갈수록 부피가 늘어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의 우산커버(8)를 씌운 후 벗겨낼 때 우산커버(8)와 비에 젖은 방수천(6) 사이의 마찰에 의해 우산커버(8)를 따라 방수천(6)이 밀려올라가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의 위쪽부분에서 우산커버(8)와 방수천(6)이 겹쳐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우산커버(8)가 더 이상 벗겨지지 않게 된다.
방수천(6)의 하단부분을 손으로 잡고 우산커버(8)를 밀면 방수천(6)이 밀려 올라가지 않기 때문에 우산커버(8)가 벗겨지지만 방수천(6)의 하단부분을 손으로 잡아야 되고, 손으로 잡으면 빗물이 손에 묻는 등 여러 가지 불편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우산커버(8)의 안쪽 면에 비에 젖은 방수천(6)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얇은 비닐 막(8a)을 덧씌우거나 또는 코팅되어 있으므로 우산커버(8)를 벗겨낼 때 우산커버(8)를 따라 방수천(6)이 밀려올라가 않고 우산커버(8)는 상기와 같이 주름이 지면서 접혀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서 쉽게 벗겨지게 된다.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를 우산꼭지부재(7) 쪽으로 밀어 올려 바깥쪽원통(10)의 상부(10a)가 상기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결합공간(7a)에 끼워지면 임의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매달려 있고, 또한 바깥쪽원통(10)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에 직경이 조금 작게 형성된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부가 접하여 임의대로 이탈하지 못하게 된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을 펴면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의 간섭을 받지 않고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이 완전히 펴진 도 10과 같은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 (1)을 사용한다.
도 10과 같은 상태에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을 사용한 후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을 접으면 바깥쪽원통(10)과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는 우산꼭지부재(7)에 그대로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종래의 접이식우산과 같이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이 어느 정도 펴져 있는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를 손으로 잡고 손잡이(3) 쪽으로 당겨 내리면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부가 바깥쪽원통(10)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에서 이탈하여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상부내측걸림돌기(11a)가 바깥쪽원통(10)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하단외측걸림돌기(10e)를 밀면 바깥쪽원통(10)의 상부(10a)가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결합공간(7a)에서 빠져나오면서 바깥쪽원통(10)과 일체로 된 안쪽원통(9)과 얇은 비닐 막(8a)과 같이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이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 손잡이(3) 쪽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빗물저장공간(7b)의 외측면과 바깥쪽원통(10)의 상부밑면(10c)과 상부옆면(10d) 사이에 주름져 차곡차곡 접혀 쌓여 있는 얇은 비닐 막(8a)이 씌워지거나 또는 코팅된 상태의 우산커버(8)는 펴지면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 씌워져 도 9와 같이 어느 정도 펴져 있는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을 감싸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부가 바깥쪽으로 경사진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이식우산이 타입의 우산(1)이 접힌 상태에서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를 잡아당겨 우산커버(8)를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 씌울 때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의 하단이 우산살(4)의 상단에 걸리지 않고 쉽게 씌워질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 우산커버(8)를 씌운 상태에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의 손잡이(3)를 잡고 우산꼭지부재(7)를 아래쪽으로 기울어지게 하면 상기 우산커버(8)의 상단부가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빗물저장공간(7b)의 외측면의 하단부에 끼워 접착되어 있고 방수천(6)의 일단이 상기 원기둥의 하단과 우산살결합부재(5) 사이에서 압착되어 있으므로 방수천(6)과 우산커버(8) 사이에 있는 빗물은 빗물저장공간(7b)의 개방된 하단을 통하여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빗물저장공간(7b)으로 흘러들어가 고여 있게 된다.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 우산커버(8)를 씌운 상태에서 손잡이(3)를 위쪽으로 조금만 기울어지게 하여도 빗물이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는다.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을 사용하기 위하여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를 밀어 우산커버(8)를 벗겨내어 바깥쪽원통(10)의 상부(10a)를 우산꼭지부재(7)에 형성된 결합공간(7a)에 끼운 후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을 펴서 들고 쓸 때 빗물저장공간(7b)에 고여 있는 빗물은 상기 빗물저장공간(7b)의 개방된 하단을 통하여 흘러나와 방수천(6)의 위로 떨어져 빗물저장공간(7b)에 고여 있는 빗물을 저절로 빠져 나온다.
우산커버(8)에 문자나 그림을 프린트하여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 우산커버(8)를 씌운 상태에서 대중교통이나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 들고 있거나, 이동할 때 광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에서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꼭지부재를 별도 제작하여 기존 우산에 결합하는 예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생산 단계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하고 있는 우산커버(8)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꼭지부재(7)를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 결합 고정하여 출하는 것은 물론 우산커버(8)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꼭지부재(7)를 별도로 제작하여 기존 사용하고 있는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기존 사용하고 있는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의 우산살결합부재(5)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결합부(5a)에 결합되어 있는 꼭지를 제거한 후 빗물저장공간(7b)의 내부 중앙에 우산꼭지부재(7)의 상단면과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결합공(7d)에 나사결합부(5a)를 끼워 고정 하면 되는 것이다.
우산커버(8)의 안쪽 면에 비에 젖은 방수천(6)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얇은 비닐 막(8a)이 덧씌워지거나 또는 코팅되어 있어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에 우산커버를 쉽게 씌우거나 벗겨낼 수 있으므로 접이식우산 타입의 우산(1)의 길이와 우산살(4)의 재질과 개수가 같으면 비록 제작 회사가 다르더라도 모두 동일한 규격의 우산커버(8)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꼭지부재(7)를 상기와 같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 되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우산 1a:우산꼭지
2:우산대 3:손잡이
4:우산살 5:우산살결합부재
5a:나사결합부 6:방수천
7:우산꼭지부재 7a:결합공간
7b:빗물저장공간 7c:결합공
7d:나사결합공 7e:테두리
8:우산커버 8a:비닐 막
9:안쪽원통 10:바깥쪽원통
10a:상부 10b:하부
10c:상부밑면 10d:상부옆면
10e:하단외측걸림돌기 11:우산커버작동손잡이
11a:상부내측걸림돌기

Claims (6)

  1. 상단에 우산꼭지부재(7)가 구비된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우산(1)에는 접은 상태에서 우산(1)에 씌워지고 벗겨지는 방수 기능을 가진 우산커버(8)를 포함하되;
    상기 우산커버(8)는 상단부를 상기 우산꼭지부재(7)의 하단부 외측에 방수 가능하도록 접착 고정하여,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하단부분을 밀어 올리면 주름져 접히면서 우산(1)에서 벗겨지고, 하단부분을 당겨 내리면 주름이 펴지면서 우산(1)에 씌워지도록 구성하며;
    우산커버(8)의 안쪽 면에는, 비에 젖은 방수천(6)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얇은 비닐 막(8a)을 코팅하여 우산커버(8)를 우산(1)에서 쉽게 벗겨 내거나 씌울 수 있게 하고;
    우산커버(8)의 개방된 하단부분은, 안쪽원통(9)과 바깥쪽원통(10) 사이에 끼워 이들 안쪽원통(9)과 바깥쪽원통(10)에 일체가 되게 접착하여 고정하되;
    상기 바깥쪽원통(10)은 안쪽원통(9)과 우산커버(8)의 하단부분과 일체가 되게 접착되는 하부(10b)와 하부(10b)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우산커버(8)가 주름져 접어진 상태로 내입되는 상부(10a)로 일체 구성하고,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의 하단 외측에 링 형태의 하단외측걸림돌기(10e)를 형성하며;
    상기 바깥쪽원통(10)의 하부(10b) 외측에는 상부 내측으로 상부내측걸림돌기(11a)가 형성된 우산커버작동손잡이(11)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우산대(2)의 상단부에 결합 고정된 우산꼭지부재(7)의 상단면의 가장자리 아래쪽으로 내측에 결합공간(7a)이 형성되어 상기 바깥쪽원통(10)의 상부(10a)가 끼워지는 원형의 테두리(7e)를 일체로 형성하고, 우산꼭지부재(7)의 상단면의 아래쪽에 빗물저장공간(7b)을 일체로 형성하여 방수천(6)과 우산커버(8) 사이에 있는 빗물이 상기 빗물저장공간(7b)에 고이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산꼭지부재(7)의 상단면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결합공(7c) 또는 나사결합공(7d)을 형성하여 기존 사용하고 있는 우산(1)의 우산꼭지(1a) 또는 우산살결합부재(5)에 형성된 나사결합부(5a)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
KR1020180160653A 2018-12-13 2018-12-13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 KR102090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53A KR102090161B1 (ko) 2018-12-13 2018-12-13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
PCT/KR2019/017522 WO2020122610A1 (ko) 2018-12-13 2019-12-11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53A KR102090161B1 (ko) 2018-12-13 2018-12-13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161B1 true KR102090161B1 (ko) 2020-03-17

Family

ID=7000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653A KR102090161B1 (ko) 2018-12-13 2018-12-13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0161B1 (ko)
WO (1) WO2020122610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016U (ko) * 1980-06-19 1982-01-21
JPH11137318A (ja) * 1997-11-12 1999-05-25 Yamaguchi Shokai:Kk 傘用水滴落下防止カバー及び該カバー付傘
KR200190606Y1 (ko) 2000-02-19 2000-08-01 이누리 절첩식 우산커버
KR200319726Y1 (ko) 2003-04-08 2003-07-16 고승욱 우산커버
KR200353548Y1 (ko) * 2004-03-12 2004-06-18 주유보 우산의 빗물 수집장치
JP2015223328A (ja) * 2014-05-28 2015-12-14 宇渡 弘子 傘及び傘カバー装置
JP2017070484A (ja) * 2015-10-07 2017-04-13 弘宣 吉田 傘カバー装置及び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197Y1 (ko) * 2001-04-12 2001-10-11 주식회사 태성정보통신 우산커버가 일체화 된 우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016U (ko) * 1980-06-19 1982-01-21
JPH11137318A (ja) * 1997-11-12 1999-05-25 Yamaguchi Shokai:Kk 傘用水滴落下防止カバー及び該カバー付傘
KR200190606Y1 (ko) 2000-02-19 2000-08-01 이누리 절첩식 우산커버
KR200319726Y1 (ko) 2003-04-08 2003-07-16 고승욱 우산커버
KR200353548Y1 (ko) * 2004-03-12 2004-06-18 주유보 우산의 빗물 수집장치
JP2015223328A (ja) * 2014-05-28 2015-12-14 宇渡 弘子 傘及び傘カバー装置
JP2017070484A (ja) * 2015-10-07 2017-04-13 弘宣 吉田 傘カバー装置及び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2610A1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3398A (en) Versatile beach towel
JPS5927768Y2 (ja) 濡損を防止した折畳み洋傘
JP6216912B2 (ja) 傘カバー装置及び傘
KR102090161B1 (ko)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
US20090289137A1 (en) Portable collapsible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paper towels
JP2015223328A (ja) 傘及び傘カバー装置
KR20110086790A (ko) 빗물보호 우산
JP6644382B2 (ja) 折りたたみ傘収納袋
JP2010264196A (ja) とっさの時のかさ袋
KR200467823Y1 (ko)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KR20110004584U (ko) 우산손잡이 일체형 방수 커버
JP2008237421A (ja) 携帯式買い物バッグ
JP3209871U (ja) 雨傘の雨しずくカバー
KR20100130766A (ko) 커버체가 일체로 구비된 우산
US11278090B2 (en) Portable compact umbrella
KR200381585Y1 (ko) 광고 매체가 구비된 휴대용 위생 좌변기 시트커버
CN216165707U (zh) 雨伞收纳防水结构
KR20210058262A (ko) 휴대용 접이식 우산 케이스
KR200370078Y1 (ko) 우산용 빗물 추락 방지물
KR20100003318U (ko) 보관 케이스가 구비된 우산
CN213849101U (zh) 带可隐藏伞布的雨伞结构
KR100978830B1 (ko) 가방 우산
KR101259046B1 (ko) 우산케이스
KR200428534Y1 (ko) 반자동 방수우산
KR200447681Y1 (ko)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