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606Y1 - 절첩식 우산커버 - Google Patents

절첩식 우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606Y1
KR200190606Y1 KR2020000004565U KR20000004565U KR200190606Y1 KR 200190606 Y1 KR200190606 Y1 KR 200190606Y1 KR 2020000004565 U KR2020000004565 U KR 2020000004565U KR 20000004565 U KR20000004565 U KR 20000004565U KR 200190606 Y1 KR200190606 Y1 KR 200190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umbrella cover
tube
cover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누리
Original Assignee
이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누리 filed Critical 이누리
Priority to KR2020000004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6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커버를 펼 때 각 관체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므로써 우산포가 한 방향으로 가지런히 정렬되도록 한 절첩식 우산커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절첩식 우산커버는 우산을 접고 우산커버를 씌울 때 인위적으로 정렬시키지 않는 한 우산포가 헝클어진 상태로 보관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내측에 위치하는 절첩식 우산커버(20)의 각 관체 중 최외곽측에 위치한 관체(21b)를 제외한 각 관체(21c∼21f)의 외주면에 나선홈(24)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에 위치한 관체(21f)와 최외곽측의 관체(21a)를 제외한 각 관체(21b∼21e)의 내측면 상단에는 내측의 관체(21c∼21f)들의 나선홈(24)에 대응 삽입되어 안내되는 돌기(25)를 각각 형성하고, 최외곽측에 설치되는 관체(21a)는 이와 연결되는 관체(21b)의 하단과 대응되는 걸림단턱(29)으로 걸림 연결되어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우산커버를 씌울 때 각 관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선홈에서 각 관체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돌기가 안내되어 한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우산포가 가지런히 자동 정렬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첩식 우산커버{The folded type umbrella cover}
본 고안은 다단으로 절첩되는 구조로 우산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산을 보호함과 동시에 건물 내에서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우산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산커버를 펼 때 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우산포가 한 방향으로 가지런히 정렬되도록 하는 절첩식 우산커버에 관한 것이다.
우산을 보관할 때에는 우산을 접고 우산포를 가지런히 정렬시킨 다음 그 외부에 우산커버를 씌워 보관하게 된다.
우산커버는 단순히 우산이 삽입될 정도의 크기의 주머니 형태를 갖고 재질은 천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있으나, 직경이 다른 다수개의 원통 또는 원뿔형 관체를 서로 순차적으로 결합시켜 절첩되도록 된 구조의 우산커버도 있다.
이러한 절첩식 커버를 우산의 상단부에 설치하여 우산을 보관할 때에는 우산을 절첩시킨 후 상단에 커버를 신장시켜 우산전체를 씌워 보관하고 사용할 때에는 절첩시켜 부피를 축소시킨 후 우산을 펼쳐 사용한다.
특히 이러한 우산커버는 우산이 빗물에 젖어 있더라도 우산커버를 씌우게 되면 빗물이 우산커버내에 고이기 때문에 건물 내로 입실할 때 빗물을 받는 별도의 비닐주머니가 전혀 필요 없게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절첩식 우산커버는 우산을 접고 우산커버를 씌울 때 우산포를 한쪽으로 쓸어 인위적으로 정렬시키지 않는 이상 우산포가 헝클어진 상태 그대로 보관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절첩식 우산커버를 펼칠 때 각 관체가 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인위적으로 우산포를 정렬시키지 않아도 우산포가 자동으로 가지런히 정렬되도록 하는 절첩식 우산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커버가 절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커버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우산 20 - 우산커버
21a,21b,21c,21d,21e,21f - 관체 24 - 나선홈
25 - 돌기 26,27 - 걸림 경사면
28 - 마개 29 - 걸림단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일정한 길이를 갖으면서 직경이 다른 관체들을 절첩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이를 우산의 상단에 결합시킨 절첩식 우산커버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하는 절첩식 우산커버의 각 관체 중 최 외측에 위치한 관체를 제외한 각 관체의 외주면에 나선홈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에 위치한 관체를 제외한 각 관체의 내측면 상단에는 내측의 관체들의 나선홈에 대응 삽입되어 안내되는 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최외곽측에 설치되는 관체는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성하여 최 외곽 측에 설치되는 관체를 잡고 우산커버를 펼치게 되면 우산커버가 회전하면서 우산포를 한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정렬시키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커버가 절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커버의 요부 단면도이다.
참조번호 10은 우산이고, 20은 우산의 상단에 설치된 우산커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커버(20)는 지름이 다른 관체(21a∼21f)들을 다단으로 연결시켜 절첩되도록 한 것이다.
또 우산커버(20)를 이루는 각 관체(21a∼21f)들은 종래와는 달리 상단과 하단의 직경이 일정한 구조로 되어 있다.
각 관체(21a∼21f)들의 하단은 그 외측에 위치한 관체(21b∼21f)의 상단이 이탈되지 않고 억지끼움되도록 걸림 경사면(26)을 가지며, 상단둘레에는 도 3과 같이 절첩시 자중에 의해 하강하지 않고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 경사면(27)을 가지고 있다. 종래와 같이 관체(21a∼21f)가 상광하협된 구조를 가질 때에는 그 경사각이 나선홈(24)에서 돌기(25)가 원활하게 안내될 정도로 완만한 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과 같이 최외곽측에 위치한 관체(21a)를 제외한 각 관체(21b∼21f)의 외주면에 나선홈(24)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내부중앙에 위치한 관체(21f)와 최외곽측에 설치된 관체(21a)를 제외한 각 관체(21b∼21e)의 내주면 상단부에는 각 나선홈(24)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최외곽측에 설치된 관체(21a)는 도 4와 같이 연결되는 관체(21b)와 단순히 걸림단턱(29)으로 걸려있도록 되어 있어 공회전되는 구조이므로 다른 관체(21b∼21f)들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장 중앙부에 위치한 관체(21f)는 우산(10)의 꼭지부에 해당되는데, 그 단부에는 우산커버내(20)에 고여있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마개(28)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산(10)을 사용할 때에는 최하단의 관체(21a)를 잡고 승강시키면 각 관체들(21b∼21f)은 절첩되어 우산(10)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우산(10)을 펴서 사용하면 된다.
반면 우산(10)을 접어 보관할 때에는 우산(10)을 접고 상단에 절첩되어 있는 우산커버(20)의 최외곽에 위치한 관체(21a)를 잡고 하강시키면 각 관체(21a∼21f)들은 펼쳐져 우산(10)에 씌워지게 된다.
이때 각 관체(21b∼21f)는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돌기(25)가 내측에 연결된 관체(21c∼21f)의 외측면 둘레에 형성된 나선홈(24)을 타고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우산포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작동에 의해 우산포는 한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정렬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최외곽(최하단)에 위치한 관체(21a)는 바로 내측에 연결되는 관체(21b)로부터 회전자유롭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공회전할 뿐만 아니라 다른 관체(21b∼21e)의 회전작동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우천시 실내로 입실하게 될 경우에는 빗물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우산커버(20)를 씌우고 최내부에 위치한 관체(21f)의 꼭지부에 장착된 마개(28)를 닫게되면 빗물은 우산커버(20)의 내측에 고이게 되므로 별도의 비닐과 같은 것이 필요 없다.
또 우산커버(20)의 내측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꼭지부의 마개(28)를 개방시키게 되면 고여있던 빗물은 쉽게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우산커버를 씌울 때 각 관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선홈에서 각 관체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돌기가 안내되어 한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우산포가 가지런히 자동 정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산커버의 꼭지부에 마개가 설치되어 있어 마개를 닫게 되면 우산에 묻은 빗물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고여있게 되고, 이를 개방시키게 되면 고여있던 빗물을 쉽게 방출시킬 수가 있어 빗물의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비닐주머니가 필요 없이 우산커버 하나로 대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일정한 길이를 갖으면서 직경이 다른 관체(21a∼21f)들을 절첩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이를 우산(10)의 상단에 결합시킨 절첩식 우산커버(20)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하는 절첩식 우산커버(20)의 각 관체 중 최외곽측에 위치한 관체(21b)를 제외한 각 관체(21c∼21f)의 외주면에 나선홈(24)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에 위치한 관체(21f)와 최외곽측의 관체(21a)를 제외한 각 관체(21b∼21e)의 내측면 상단에는 내측의 관체(21c∼21f)들의 나선홈(24)에 대응 삽입되어 안내되는 돌기(25)를 각각 형성하고, 최외곽측에 설치되는 관체(21a)는 이와 연결되는 관체(21b)의 하단과 대응되는 걸림단턱(29)으로 걸림 연결되어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우산커버.
KR2020000004565U 2000-02-19 2000-02-19 절첩식 우산커버 KR200190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65U KR200190606Y1 (ko) 2000-02-19 2000-02-19 절첩식 우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65U KR200190606Y1 (ko) 2000-02-19 2000-02-19 절첩식 우산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606Y1 true KR200190606Y1 (ko) 2000-08-01

Family

ID=1964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565U KR200190606Y1 (ko) 2000-02-19 2000-02-19 절첩식 우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6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161B1 (ko) 2018-12-13 2020-03-17 이부일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
KR20230096154A (ko) 2021-12-10 2023-06-30 홍여진 우산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161B1 (ko) 2018-12-13 2020-03-17 이부일 우산커버가 일체로 결합된 우산
KR20230096154A (ko) 2021-12-10 2023-06-30 홍여진 우산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6023A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water-tight sheathing handle
US5078166A (en) Umbrella with a wind escape
US6698440B2 (en) Umbrella with chamber and transport for a canopeum
US7523759B2 (en) Parasol
US4433699A (en) Sunshade
US5482069A (en) Sunshade
US4206847A (en) Clothes-horse
US4674524A (en) Folding umbrella
KR200190606Y1 (ko) 절첩식 우산커버
US5305771A (en) Umbrella with rounded rib terminals
US7509965B2 (en) Ventilated umbrella
KR20090051409A (ko) 파라솔 지주의 각도 조절 장치
KR20210095542A (ko) 롤 방식으로 접혀지는 자동 우산
KR102034409B1 (ko) 연결형 천막
US7448399B2 (en) Umbrella
KR200441121Y1 (ko) 커버 겸용 손잡이와 이를 구비한 우산
CN216866213U (zh) 便携式遮棚组件及用于具有支承件的可展开的遮篷的肋
US8453660B2 (en) Foldable pocket umbrella
US620719A (en) Alpeed john nicholson
GB2320893A (en) Umbrella with canopy-receiving handle
CN2381176Y (zh) 伞面骨伸缩伞
WO2008023209A1 (en) Umbrella for protection from sunshine or rain
US3856031A (en) Telescopic umbrella
KR100699282B1 (ko) 신축식 우산
US4638827A (en) Folding umbrel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