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943B1 - 접이식 용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943B1
KR102208943B1 KR1020190107177A KR20190107177A KR102208943B1 KR 102208943 B1 KR102208943 B1 KR 102208943B1 KR 1020190107177 A KR1020190107177 A KR 1020190107177A KR 20190107177 A KR20190107177 A KR 20190107177A KR 102208943 B1 KR102208943 B1 KR 102208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uide
wall
elastic member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훈
권희선
김성진
김수현
김혜원
서윤성
안유영
정길영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접이식 용기(10)에는 내부에 제 1수납공간(101)이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되며, 외벽(110)과, 상기 외벽(110)으로부터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내벽(120), 및 상기 외벽(110)과 내벽(120) 사이에 형성되는 제 1결합공간(130)을 포함하는 베이스 용기(10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결합공간(130)에는 가이드 용기(200, 30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용기(100)와 가이드 용기(200, 300) 사이에는 탄성부재(S)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베이스 용기(100)로부터 상기 가이드 용기(200, 300)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이드 용기(200, 300)를 탄성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용기를 쉽게 접거나 펼칠 수 있고,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해 베이스 용기로부터 가이드 용기가 탄성지지되므로 외력에 의해 쉽게 형태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용기{FOLDABLE CONTAINER}
본 발명은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다단관으로 형성되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각종 내용물(고형 식료품, 액상 식료품, 생수, 음료 등, 이하 '내용물'이라 칭함)을 담아서 필요에 따라 휴대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용기 중에는 여행, 캠핑 등을 위해 휴대하여 가지고 다닐 때나, 보관할 때 공간 차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부피를 최소화한 접이식 용기가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용기 중 접이식 용기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여행, 캠핑 등을 위해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고, 보관할 때 공간 차지를 최소화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이식 용기는 연성재질,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외부에 형성된 아코디언 형상의 주름부를 가지도록 성형되어 상하 방향으로 동시에 힘을 가함으로써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접이식 용기는 쉽게 접고 펼 수 있으나 외력에 의해 쉽게 접히므로,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 등 내용물을 쏟아버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013659호(1999년 02월 25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8216호(2010년 08월 19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쉽게 접고 펼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 쉽게 형태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는 접이식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에 따르면, 내부에 제 1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되며, 외벽과, 상기 외벽으로부터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내벽, 및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 1결합공간을 포함하는 베이스 용기; 상기 제 1결합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용기;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 용기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 용기의 상부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베이스 용기로부터 상기 가이드 용기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이드 용기를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용기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다단관으로 구성되어 서로 중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벽 및 상기 외벽과 마주보는 상기 내벽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걸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용기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걸이홈에 각각 걸어지는 걸이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돌기의 외면은 복수 개의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돌기와 접하는 상기 걸이홈의 내면은 상기 걸이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벽 및 상기 외벽과 마주보는 상기 내벽에는 상기 가이드 용기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 1가이드레일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결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감겨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는 고정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결합공간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 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홈을 향해 고정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용기가 상기 제 1결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리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감겨 고정되고, 상기 고정리브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력을 극복하여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에 따르면, 가이드 용기가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다단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쉽게 접고 펼칠 수 있고,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해 가이드 용기가 베이스 용기로부터 탄성지지되므로 외력에 의해 쉽게 형태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에 따르면, 가이드 용기를 베이스 용기의 제 1결합공간으로 삽입한 상태에서는 컵이나 접시 등의 부피가 작은 내용물을 담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가이드 용기를 베이스 용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늘리면 텀블러나 바구니 등의 부피가 큰 내용물을 담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접이식 용기의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용기(10)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다단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이식 용기(10)는 바닥면에서부터 상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접이식 용기(10)의 하부에 무게중심이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이식 용기(10)는 대략 원통 형상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육각형, 팔각형 등 다각형 형상이나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이식 용기(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이식 용기(10)의 외관 및 골격은 베이스 용기(100)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용기(10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바닥면이 구비되고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용기(100)의 내부에는 제 1수납공간(10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수납공간(101)은 내용물이 수납되는 공간이다.
상기 베이스 용기(100)는 외벽(110)과 상기 외벽(110)으로부터 지름(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내벽(120), 및 상기 외벽(110)과 내벽(120) 사이에 형성되는 제 1결합공간(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벽(110)과 내벽(120)은 서로 동심원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결합공간(130)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 1가이드 용기(20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1결합공간(130)은 제 1가이드 용기(20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벽(110) 및 상기 외벽(110)과 마주보는 상기 내벽(12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걸이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이홈(122)의 내면은 상기 제 1걸이돌기(24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1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 1걸이돌기(240)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외벽(110) 및 상기 외벽(110)과 마주보는 상기 내벽(120)에는 제 1가이드레일(14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가이드레일(140)은 제 1가이드 용기(2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가이드레일(140)은 제 1가이드 용기(200)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결합공간(130)의 바닥면에는 고정부재(15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50)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S)의 일단이 감겨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부재(150)의 상부에는 고정홈(152)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52)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리브(350)의 타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이식 용기(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용기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용기는 두 개가 구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용기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다단관으로 구성되어 서로 중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이식 용기(10)에는 제 1 및 제 2가이드 용기(200, 30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및 2가이드 용기(200, 300)는 서로 동심원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가이드 용기(300)는 상기 제 1가이드 용기(200)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1가이드 용기(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가이드 용기(200)의 중심에는 제 2수납공간(20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수납공간(201)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수납공간(201)은 상기 제 1수납공간(101)과 함께 내용물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가이드 용기(200)는 제 1가이드 외벽(210) 및 상기 제 1가이드 외벽(210)으로부터 직경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 1가이드 내벽(220) 및 상기 제 1가이드 외벽(210)과 제 1가이드 내벽(220) 사이에 형성되는 제 2결합공간(2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가이드 외벽(210) 및 상기 제 1가이드 외벽(210)과 마주보는 상기 제 1가이드 내벽(22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걸이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이홈(222)의 내면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 2걸이돌기(34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2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 2걸이돌기(340)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가이드 외벽(210) 및 제 1가이드 내벽(220)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제 1걸이돌기(24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걸이돌기(240)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걸이돌기(240)는 상기 베이스 용기(100)의 걸이홈(122)에 각각 걸어지는 부분이다. 즉, 상기 제 1걸이돌기(240)가 상기 걸이홈(122)에 각각 걸어지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 1가이드 용기(200)가 상기 베이스 용기(10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걸이돌기(240)의 외면은 복수 개의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베이스 용기(100)의 걸이홈(122)에 견고하게 걸어지는 것과 동시에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걸이돌기(24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가이드 외벽(210) 및 상기 제 1가이드 외벽(210)과 마주보는 상기 제 1가이드 내벽(220)에는 제 2가이드레일(25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가이드레일(250)은 상기 제 1가이드 용기(20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가이드레일(250)은 제 3가이드 용기(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결합공간(230)에는 제 2가이드 용기(300)가 삽입된다. 상기 제 2가이드 용기(300)의 중심에는 제 3수납공간(301)이 형성된다. 상기 제 3수납공간(301)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3수납공간(301)은 상기 제 1 및 제 2수납공간(101, 201)과 함께 내용물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가이드 용기(300)는 제 2가이드 외벽(310) 및 상기 제 2가이드 외벽(320)으로부터 직경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 2가이드 내벽(320) 및 상기 제 2가이드 외벽(310)과 제 2가이드 내벽(320) 사이에 형성되는 제 3결합공간(33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가이드 외벽(310) 및 제 2가이드 내벽(320)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제 2걸이돌기(34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2걸이돌기(340)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걸이돌기(340)는 상기 제 1가이드 용기(200)의 걸이홈(222)에 각각 걸어지는 부분이다. 즉, 상기 제 2걸이돌기(340)가 상기 걸이홈(222)에 각각 걸어지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 2가이드 용기(300)가 상기 제 1가이드 용기(20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걸이돌기(340)의 외면은 복수 개의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가이드 용기(200)의 걸이홈(222)에 견고하게 걸어지는 것과 동시에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걸이돌기(34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결합공간(130)과 마주보는 상기 제 3결합공간(330)의 내부에는 고정리브(35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350)의 일단은 상기 제 3결합공간(330)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홈(152)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350)의 타단은 상기 고정홈(15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가이드 용기(200, 300)가 상기 제 1결합공간(13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가이드 용기(300)의 상부에는 손잡이(3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360)는 상기 제 2가이드 용기(300)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36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손잡이(360)를 상기 베이스 용기(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제 2 및 제 3가이드 용기(200, 300)를 상기 베이스 용기(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이식 용기(10)에는 탄성부재(S)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S)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용기(10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가이드 용기 내의 상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S)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150)를 감싸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리브(350)를 감싸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S)는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베이스 용기(100)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용기(200, 300)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제 1 및 제 2가이드 용기(200, 300)를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가이드 용기(200, 300)가 상기 베이스 용기(100)를 향해 쉽게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수납공간(301)은 커버(4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0)는 상기 제 2가이드 용기(30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제 3수납공간(301) 또는 제 1수납공간(101)을 차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접이식 용기(10)에 따르면,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다단관 형상으로 가이드 용기(200, 300)가 형성되어 쉽게 접고 펼칠 수 있고,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S)에 의해 베이스 용기(100)로부터 탄성지지되므로 외력에 의해 쉽게 형태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가이드 용기(200, 300)를 베이스 용기(100)의 제 1결합공간(130)으로 삽입한 상태에서는 컵이나 접시 등의 부피가 작은 내용물을 담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가이드 용기(200, 300)를 베이스 용기(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늘리면 텀블러나 바구니 등의 부피가 큰 내용물을 담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접이식 용기의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접이식 용기
100: 베이스 용기 101: 제 1수납공간
110: 제 1외벽 120: 제 2외벽
122: 걸이홈 130: 제 1결합공간
140: 제 1가이드레일 150: 고정부재
152: 고정홈
200: 제 1가이드 용기 201: 제 2수납공간
210: 제 1가이드 외벽 220: 제 2가이드 내벽
222: 걸이홈 230: 제 2결합공간
240: 제 1걸이돌기 250: 제 2가이드레일
300: 제 2가이드 용기 301: 제 3수납공간
310: 제 2가이드 외벽 320: 제 2가이드 내벽
330: 제 3결합공간 340: 제 2걸이돌기
350: 고정리브
400: 커버 S: 탄성부재

Claims (9)

  1. 내부에 제 1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되며, 외벽과, 상기 외벽으로부터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내벽, 및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 1결합공간을 포함하는 베이스 용기;
    상기 제 1결합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용기;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 용기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 용기의 상부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베이스 용기로부터 상기 가이드 용기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이드 용기를 탄성지지하며,
    상기 제 1결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감겨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는 고정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결합공간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 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홈을 향해 고정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용기가 상기 제 1결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용기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다단관으로 구성되어 서로 중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및 상기 외벽과 마주보는 상기 내벽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걸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용기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걸이홈에 각각 걸어지는 걸이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돌기의 외면은 복수 개의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돌기와 접하는 상기 걸이홈의 내면은 상기 걸이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및 상기 외벽과 마주보는 상기 내벽에는 상기 가이드 용기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 1가이드레일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리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감겨 고정되고,
    상기 고정리브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력을 극복하여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KR1020190107177A 2019-08-30 2019-08-30 접이식 용기 KR102208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177A KR102208943B1 (ko) 2019-08-30 2019-08-30 접이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177A KR102208943B1 (ko) 2019-08-30 2019-08-30 접이식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943B1 true KR102208943B1 (ko) 2021-01-28

Family

ID=7423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177A KR102208943B1 (ko) 2019-08-30 2019-08-30 접이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9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69557A (zh) * 2023-02-23 2023-07-04 广西壮族自治区蚕业技术推广站 一种速食型预制食品可折叠式微压加工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8524U (ko) * 1987-11-16 1989-05-26
KR19990013659A (ko) 1997-07-08 1999-02-25 제임스에이.모건 접이식 용기
JP2004123178A (ja) * 2002-10-02 2004-04-22 Sekisui Chem Co Ltd 容器
WO2007094025A1 (en) * 2006-02-15 2007-08-23 Alessandro Petrillo Variable volume container
KR20100008216U (ko) 2009-02-10 2010-08-19 강석만 접이식 포켓컵
KR20120049482A (ko) * 2010-11-09 2012-05-17 김형식 컵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8524U (ko) * 1987-11-16 1989-05-26
KR19990013659A (ko) 1997-07-08 1999-02-25 제임스에이.모건 접이식 용기
JP2004123178A (ja) * 2002-10-02 2004-04-22 Sekisui Chem Co Ltd 容器
WO2007094025A1 (en) * 2006-02-15 2007-08-23 Alessandro Petrillo Variable volume container
KR20100008216U (ko) 2009-02-10 2010-08-19 강석만 접이식 포켓컵
KR20120049482A (ko) * 2010-11-09 2012-05-17 김형식 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69557A (zh) * 2023-02-23 2023-07-04 广西壮族自治区蚕业技术推广站 一种速食型预制食品可折叠式微压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737B2 (en) Beverage cup carrier
KR102208943B1 (ko) 접이식 용기
US20080053995A1 (en) Collapsible basket
US20070079434A1 (en) Device for lifting a spa cover
US11279547B2 (en) Double-walled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601725B1 (ko) 휴대용 주름 용기
RU2492624C2 (ru) Автономный непроливающийся держатель для букета цветов
US8216464B2 (en) Filter support for supporting filter paper in basket
US20220063900A1 (en) Cup lid
KR20100125488A (ko) 접철식 용기
KR101624299B1 (ko) 화장품 포장박스 시스템
CN210055039U (zh) 可折叠容器
JP2012101804A (ja) 飲料ディスペンサ用のカートリッジ容器
KR200461067Y1 (ko) 수납을 위한 분할식 공간부를 갖는 용기홀더
KR20100008261U (ko) 세트 화장품용기 보관 케이스 어셈블리
KR101176331B1 (ko) 캔형상의 휴대용 우산집
KR200378653Y1 (ko) 높이조절 가능한 컵
KR200376561Y1 (ko) 자동 종이컵홀더
CN209155287U (zh) 净水器外壳和净水器
CN210961386U (zh) 一种多功能折叠收纳装置
KR101890086B1 (ko) 적층형 과일접시
KR101611353B1 (ko) 미술용 복합 물통
KR101816195B1 (ko) 파레트가 구비된 회화용 물통
CN208828336U (zh) 容置盒
KR200380764Y1 (ko) 병에 컵지지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