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561Y1 - 자동 종이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 종이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561Y1
KR200376561Y1 KR20-2004-0033226U KR20040033226U KR200376561Y1 KR 200376561 Y1 KR200376561 Y1 KR 200376561Y1 KR 20040033226 U KR20040033226 U KR 20040033226U KR 200376561 Y1 KR200376561 Y1 KR 200376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paper
paper cup
spr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곤
Original Assignee
채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수곤 filed Critical 채수곤
Priority to KR20-2004-0033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5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5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3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of stack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컵이 수용되는 종이컵홀더에 있어서, 종이컵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 본체; 상기 원통형 본체의 내부로 위치되며 종이컵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가 절개된 원뿔형상이고, 하부로 스프링이 삽입 결합되기 위한 원통형 수용부가 형성되는 컵홀더부재; 상부가 상기 컵홀더부재의 원통형 수용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컵홀더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하부가 삽입 결합되는 스프링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본체의 하단으로 결합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 결합되는 상부커버;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종이컵을 상기 원통형 본체에 삽입할 경우 상기 컵홀더부재는 하강하며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고, 종이컵을 인출할 경우 상기 복수개의 종이컵 자중의 감소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상기 컵홀더부재가 상승되고, 복수개의 종이컵이 상승됨에 따라 언제나 사용자가 종이컵을 인출하기 적합한 높이로 종이컵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종이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종이컵홀더 {Automatic Paper Cup Holder}
1.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자동 종이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종이컵을 지지하는 컵홀더부재 및 상기 컵홀더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종이컵이 종이컵홀더에 적재될 경우 상기 스프링은 압축되고, 사용자가 종이컵을 사용하기 위해 종이컵홀더로 부터 인출할 경우, 상기 복수개의 종이컵 자중의 감소에 따라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상기 컵홀더부재가 상승되고, 복수개의 종이컵이 상승되어 언제나 사용자가 종이컵을 인출하기 적합한 높이로 종이컵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종이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2.고안의 배경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발달과 보급의 확대로 인해 많은 가정, 음식점 및 사무실에서 이를 사용하고 있고,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주변에는 이를 음용하기 위한 종이컵, 플라스틱컵 등이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비치되는 일회용 종이컵은 복수개가 적재된 박스의 하부로 하나씩 인출하고, 종이컵을 벌리고 물을 채워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할 경우 접혀져 있는 부위를 손으로 벌려야 함에 따라 매우 번거롭고, 음용하는 부위를 벌려야 함에 따라 비위생적이다. 본 고안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종이컵 및 일회용 종이컵을 단점을 개선하여 완벽한 밀폐력을 구비하면서 적은단가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원추형 종이컵(등록실용신안 제329601호)을 고안한 바 있다.
그리고 이를 보관하는 컵홀더에 있어서는 한국특허출원 제1999-26333호의 '수동 컵 인출장치'등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나 모두 복잡구성으로 생산단가의 증가되고 다양한 종이컵에 사용될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로 다양한 종이컵을 수용할 수 있는 컵홀더부재 및 상기 컵홀더부재를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원추형 종이컵 뿐만 아니라 종래의 자판기에 구비되는 일회용 종이컵, 식당에 비치되는 플라스틱 컵등을 다양하게 적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 인출할 경우 내부에 수용되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컵이 상승하여 언제나 사용자가 컵을 인출하기 적합한 높이로 컵이 위치되는 자동 종이컵홀더를 고안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종이컵을 인출할 경우 내부에 적재된 복수개의 종이컵이 자동으로 상승하여 언제나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종이컵이 위치되는 자동 종이컵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이컵의 종류 및 형태와 무관하게 간편하게 종이컵을 수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 종이컵을 인출할 경우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내부에 적재된 복수개의 종이컵이 자동으로 상승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종이컵이 항상 위치되는 자동 종이컵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종이컵을 인출할 경우 내부에 적재된 복수개의 종이컵이 자동으로 상승하여 언제나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종이컵이 위치되고, 외측 소정의 위치에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정수기, 냉온수기의 측면 또는 원하는 벽면으로 결합 고정시켜 구현할 수 있는 자동 종이컵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은 컵이 수용되는 컵홀더에 있어서, 종이컵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 본체; 상기 원통형 본체의 내부로 위치되며 종이컵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가 절개된 원뿔형상이고, 하부로 스프링이 삽입 결합되기 위한 원통형 수용부가 형성되는 컵홀더부재; 상부가 상기 컵홀더부재의 원통형 수용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컵홀더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하부가 삽입 결합되는 스프링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본체의 하단으로 결합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 결합되는 상부커버; 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종이컵을 상기 원통형 본체에 삽입할 경우 상기 컵홀더부재는 하강하며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고, 종이컵을 인출할 경우 상기 복수개의 종이컵 자중의 감소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상기 컵홀더부재가 상승되어 자동으로 종이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종이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종이컵을 사용하기 위해 자동 종이컵홀더에서 종이컵을 인출할 경우, 복수개의 종이컵이 자동으로 상승되고, 언제나 사용자가 종이컵을 인출하기 적합한 높이로 종이컵이 위치되는 자동 종이컵홀더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종이컵홀더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한 구성, 작동 및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안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종이컵홀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종이컵홀더의 일 실시예로서 원추형 종이컵이 수용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종이컵홀더(100)는 원통형 본체(10), 컵홀더부재(20), 스프링(30), 상부커버(50) 및 하부커버(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형 본체(10)는 종이컵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본체(10)의 상부로는 상부커버(50)가 결합되고, 하부로는 하부커버(40)가 결합되고, 내부로는 컵홀더부재(20)가 위치된다. 상기 컵홀더부재(20)는 상부로 적재되는 종이컵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종이컵이 효율적으로 적재되기 위해 상부가 절개된 원뿔형상이고, 하부로 스프링이 삽입 결합되기 위한 원통형 수용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컵홀더부재(20)는 적재되는 종이컵의 종류 및 크기에 적합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컵홀더부재(20)의 원통형 수용부(21)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컵홀더부재(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40)에는 상기 스프링(30)의 하부가 삽입 결합되기 위한 스프링 수용부(4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상기 원통형 본체(10)의 상단으로 상기 상부커버(50)를 결합하고, 상기 컵홀더부재(20)의 원통형 수용부(21)에 상기 스프링을 삽입 결합하고, 상기 하부커버(40)의 스프링 수용부(41)에 상기 스프링(30)의 하부를 삽입 결합하고, 상기 하부커버(40)를 상기 원통형 본체(10)의 하단으로 결합시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종이컵홀더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30)의 탄성력은 상기 컵홀더부재(20) 및 이에 적재되는 복수개의 종이컵의 중량을 고려하여 선정하고, 이에 상기 복수개의 종이컵이 사용자가 인출하기 적합한 위치에 놓이도록 구현하여야 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반복적 실시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완성된 상기 자동 종이컵홀더에 복수개의 종이컵을 넣으면 상기 복수개의 종이컵은 컵홀더부재(20)에 적재되고, 스프링은 압축되어 하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종이컵을 사용하기 위해 종이컵을 인출할 경우, 복수개 종이컵의 자중의 감소에 따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컵홀더부재(20)가 상승되고, 이에 따라 복수개의 종이컵이 상승하여 인출전과 유사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다음으로 본원고안의 일 실시예로 상기 자동 종이컵홀더(100)의 상부로 복수개의 원추형 종이컵(200)을 삽입할 경우, 상기 복수개의 원추형 종이컵(200)은 상기 컵홀더부재(20)의 상부로 적재되고, 상기 복수개의 원추형 종이컵(200)의 자중에 의해 스프링이 압축된다. 이후 사용자가 원추형 종이컵을 사용하기 위해 인출할 경우 상기 복수개의 종이컵 자중이 감소되고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상기 컵홀더부재(20)는 상승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원추형 종이컵(200)이 상승되어 인출전과 유사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원통형 본체(10)의 외측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정수기, 냉온수기의 측면 또는 원하는 벽면으로 결합 고정시키기 방식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종이컵홀더를 구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삽입부를 정수기, 냉온수기의 측면 또는 원하는 벽면에 형성시키고 상기 고정부재 및 삽입부의 결합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종이컵홀더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고정부재를 자석 또는 압축접착식고무로 구현하여 원하는 부위에 고정시켜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종이컵을 인출할 경우 내부에 적재된 복수개의 종이컵이 자동으로 상승하여 언제나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종이컵이 위치되고, 종이컵의 종류 및 형태와 무관하게 간편하게 종이컵을 수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 종이컵을 인출할 경우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내부에 적재된 복수개의 종이컵이 자동으로 상승되고, 사용자가 종이컵을 인출할 경우 내부에 적재된 복수개의 종이컵이 자동으로 상승하여 언제나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종이컵이 위치되고, 외측 소정의 위치에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정수기, 냉온수기의 측면 또는 원하는 벽면으로 결합 고정시켜 구현할 수 있는 자동 종이컵홀더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종이컵홀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종이컵홀더의 일 실시예로서 원추형 종이컵이 수용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의 설명>
10 : 원통형 본체 20 : 컵홀더부재
21 : 원통형 수용부 30 : 스프링
40 : 하부커버 41 : 스프링 수용부
50 : 상부커버 100: 자동 종이컵홀더
200: 원추형 종이컵

Claims (2)

  1. 종이컵이 수용되는 종이컵홀더에 있어서,
    종이컵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 본체(10);
    상기 원통형 본체(10)의 내부로 위치되며 종이컵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가 절개된 원뿔형상이고, 하부로 스프링이 삽입 결합되기 위한 원통형 수용부(21)가 형성되는 컵홀더부재(20);
    상부가 상기 컵홀더부재(20)의 원통형 수용부(21)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컵홀더부재(20)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30);
    상기 스프링(30)의 하부가 삽입 결합되는 스프링 수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본체(10)의 하단으로 결합되는 하부커버(40); 및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 결합되는 상부커버(50);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종이컵을 상기 원통형 본체(10)에 삽입할 경우 상기 컵홀더부재(20)는 하강하며 상기 스프링(30)이 압축되고, 종이컵을 인출할 경우 상기 복수개의 종이컵 자중의 감소에 따라 상기 스프링(30)의 복원력으로 상기 컵홀더부재(20)가 상승되고, 복수개의 종이컵이 상승됨에 따라 언제나 사용자가 종이컵을 인출하기 적합한 높이로 종이컵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종이컵홀더.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본체(10)의 외측 소정의 위치에 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정수기, 생수기의 측면 또는 원하는 벽면으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종이컵홀더.
KR20-2004-0033226U 2004-11-24 2004-11-24 자동 종이컵홀더 KR200376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226U KR200376561Y1 (ko) 2004-11-24 2004-11-24 자동 종이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226U KR200376561Y1 (ko) 2004-11-24 2004-11-24 자동 종이컵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561Y1 true KR200376561Y1 (ko) 2005-03-08

Family

ID=4367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226U KR200376561Y1 (ko) 2004-11-24 2004-11-24 자동 종이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5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838B1 (ko) * 2013-03-04 2015-03-02 학교법인 경향학원 고깔형 화장솜, 이의 인출장치가 구비된 화장솜 케이스 및 이의 사용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838B1 (ko) * 2013-03-04 2015-03-02 학교법인 경향학원 고깔형 화장솜, 이의 인출장치가 구비된 화장솜 케이스 및 이의 사용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068B1 (ko) 내측으로 형성된 컬링부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뚜껑
KR200376561Y1 (ko) 자동 종이컵홀더
KR101438192B1 (ko) 종이컵 보관 및 인출기
KR102208943B1 (ko) 접이식 용기
KR20100113313A (ko) 휴지케이스
CN211408478U (zh) 一种新型儿童水杯
CN209285022U (zh) 一种电热水瓶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CN205568527U (zh) 一种环保全自动茶具
KR200374907Y1 (ko) 종이컵 적층 보관대
CN100496343C (zh) 一种具有防烫装置的杯子
KR200190910Y1 (ko) 다관
CN212186032U (zh) 一种多功能冷饮杯
CN216569434U (zh) 一种按压式磁吸泡茶杯
KR200180812Y1 (ko) 종이컵 수납장치
KR200359571Y1 (ko) 퇴수 수용공간을 갖는 다도상
CN211748876U (zh) 一种便携式煮茶器套装
KR200218083Y1 (ko) 종이컵 보관 케이스
CN218651582U (zh) 一种家用收纳盒装置
KR200285447Y1 (ko) 냉온수기용 컵 받침대
JP3152025U (ja) コースタ
KR200379344Y1 (ko) 원뿔형 종이컵 전용 인출기
CN210055527U (zh) 一种带杯盖放置架的杯子
KR200341454Y1 (ko) 컵 받침대
CN211022043U (zh) 一种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