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313A - 휴지케이스 - Google Patents

휴지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313A
KR20100113313A KR1020090031820A KR20090031820A KR20100113313A KR 20100113313 A KR20100113313 A KR 20100113313A KR 1020090031820 A KR1020090031820 A KR 1020090031820A KR 20090031820 A KR20090031820 A KR 20090031820A KR 20100113313 A KR20100113313 A KR 20100113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cover
body portion
plate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1878B1 (ko
Inventor
권재혁
Original Assignee
(주)스프링컴레인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프링컴레인폴 filed Critical (주)스프링컴레인폴
Priority to KR1020090031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87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47K10/42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means for urging the whole stack upwards towards the dispensing opening, e.g. a spring, a counterw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simultaneously from several rolls or sta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지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함 형상의 밑판과 본판으로 구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완충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몸체부와 회동 가능하게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지케이스는 하나의 휴지케이스로 기존의 사각티슈, 두루마리 휴지 및 냅킨 등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용이 가능해져 용도에 맞게 별도의 휴지케이스를 구비해야 하는 필요성이 없어지게 된다.
휴지케이스, 두루마리, 냅킨, 사각티슈

Description

휴지케이스{Wastepaper case}
본 발명은 휴지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휴지케이스로 기존의 사각티슈, 두루마리 화장지 및 냅킨을 사용자의 선택에 맞게 수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휴지케이스의 형태를 용이하게 변형하기 위한 휴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지케이스는 많은 양의 휴지를 하나의 휴지케이스에 수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그 형상이 휴지의 형상과 동일하게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각 휴지의 형상에 맞게 제작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휴지케이스는 사용자의 심미감이나 실용적인 면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하여 케이스 외관에 풍경이나 명화 등의 이미지를 첨부하거나 비교적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사용되는 이쑤시게나 메모지를 수용하여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지케이스는 같은 형상의 휴지나 같은 용도의 휴지만을 수 용하게 제작되어 휴지의 형상에 맞는 휴지케이스를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해야 함으로써 많은 비용이 소요되거나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4040호인 '휴지함'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프라스틱, ppc 골판지, 골판지, 두터운 종이, 철,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되며 외부 형태를 이루는 겉함과 내부로 들어가는 받침판 그리고 겉함과 받침판을 받치는 밑판으로 구성되며 겉함(1)은 중앙 상단에 휴지가 빠지는 겉함홈(16)이 있으며 전면 중앙 상단에는 2cm 크기의 확인홈(15)이 뚫려 있어 휴지 잔량을 확인케 하고 전면과 배면, 좌우측면에는 제작된 광고물, 홍보물을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전면에 날짜 걸이판(18)이 부착되어 오늘의 날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내부로 들어가는 받침판(3)은 상단은 평탄면으로 되어있고 뒷면부에 받침판 걸이홈(5) 3개가 있어 밑판의 걸이홈(4)과 스프링을 연결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수직 상승케하는 작용의 기능을 한다.
밑판은 밑판(2) 상단에 밑판 걸이홈(4) 3개가 있어 받침판(3)의 받침판 걸이홈(5)과 걸이 스프링(6)의 좌,우측 걸이 스프링(8, 9)을 끼워 결합되는 부분이고 밑면 전면 하단에는 회사명을 부착할 수 있는 특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지함' 구성은 상기 휴지함의 전면 및 배면을 이용하여 광고물을 구비할 수 있어 홍보효과가 뛰어나고 전면에 날짜 걸이판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당일의 날짜를 확인하게 하여 실용적이며 내부에 스프링을 이용하여 휴지의 잔량에 상관없이 수직으로 상승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휴지함'은 한 종류의 휴지만을 수납하게 되어 두루마리 휴지 같은 원기둥 형상의 휴지는 수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휴지 형상에 맞는 휴지함을 제조하여야 사용이 가능하여 자재비에 대한 부담이 크고 휴지를 보충시에 겉함을 완전히 분리시켜야 휴지를 보충하게 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보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변형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여 설치환경에 따라 다른 휴지함을 구비하여야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휴지케이스로 다양한 형상의 휴지 수납이 가능한 휴지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분할된 덮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충하고자 하는 휴지가 수납되는 부분을 개별로 개폐하기가 가능하여 용이하게 휴지를 보충시킬 수 있는 휴지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의 기호나 사용되는 장소에 맞게 분이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휴지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휴지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휴지케이스에 있어서,상부가 개방된 사각함 형상의 밑판과 본판으로 구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완충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몸체부와 회동 가능하게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는 밑판과 본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할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밑판의 상부면 양측 또는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제1고정 부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몸체부의 본판 상부에는 덮개부의 하부와 결속되는 결속부재가 형성되되 양측에 상기 덮개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밑판 하부에는 밀림방지를 위한 패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몸체부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에 절개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격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격판은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절개홈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제1격판과 제2격판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절개홈에는 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완충부는 탄성부재와 이송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는 하부가 몸체부와 결합되고 상부가 이송판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덮개부는 다수개로 서로 분할되되 양측 하단에 제1단턱이 형성된 제1덮개부재와 일측 상부에 제2단턱이 형성된 제2덮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1덮개 또는 제2덮개에는 각각 인출공 및 투시창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지케이스는 다양한 형상의 휴지를 수납하기가 가능해지므로 별도로 휴지 형상에 맞는 휴지케이스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보충하고자 하는 휴지의 수납부를 용이하게 수납하기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분해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의 몸체부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의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에 사각티슈를 사용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에 두루마리 휴지 및 냅킨이 사용된 사용상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휴지케이스(100)는 크게 상부가 개방된 사각함 형상의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 내측의 하부면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완충부(30)와; 상기 몸체부(10) 내측의 하부면 중앙에 위치하 는 가이드부(20)와; 상기 몸체부(10)와 회동 가능하게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부(40)로 나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는 다양한 종류의 휴지가 수용되는 수단으로 식탁이나 테이블에 지지 고정되는 밑판(11)과 상기 밑판(11)에서 수직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되 상부가 개방되고 사면이 막힌 형상의 본판(12)이 상기 밑판(11)의 상부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 되거나 상기 밑판(11)과 본판(12)이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밑판(11)과 본판(12)을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하는 이유는 대부분의 구성물이 상기 밑판(11)의 상부에 형성되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10)를 이루는 밑판(11)과 본판(12)의 결합 형상은 그 전체적인 형상이 직사각 또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내측에 사각티슈(W1), 두루마리 휴지(W2) 및 냅킨(W3)이 수납되기 위한 공간(13)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결합형상이 된다.
또한, 상기 본판(12)에는 사용자가 수납된 휴지의 잔량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투시창(12a)이 형성되는데, 상기 투시창(12a)은 본판(12)의 일부를 천공시켜 투명한 소재의 아크릴이나 유리재질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사용방법이 된다.
나아가, 상기 본판(12)의 상부에는 자석이나 돌출부재(미도시)가 형성된 결속부재(17)가 구비되어 덮개부(40)의 하부와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 된다.
또한, 상기 본판(12)의 상부 양측 단부에는 내측에 홈이 형성된 결합구(12b)가 형성되어 덮개부(40)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밑판(11)의 하부에는 식탁이나 테이블에 올려져서 사용되므로 사용자가 휴지를 인출시에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패드(14)가 다수개 결합 되어 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밑판(11)의 상부 중앙에는 가이드부(20)가 형성되고 일측 또는 양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1고정부재(15)가 형성되어 완충부(30)에 구비된 탄성부재(S)와 결합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15)의 하부는 밑판(11)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는 외측으로 넓어지게 형성되어 탄성부재(S)와 결합시에 상기 탄성부재(S)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상이 된다.
그리고, 가이드부(20)는 수납되는 휴지의 종류 중 두루마리 휴지(W2)가 끼워지는 구성물로 그 형상이 내측에 수용공간(24)이 형성되되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으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재(21)와 상기 가이드부재(21)의 양측이 일부 절개된 절개홈(22)과 상기 가이드부재(21)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 되는 격판(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24)의 지름은 기존의 두루마리 휴지(W2)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형상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홈(22)은 격판(23)이 회동하여 억지끼움으로 결합 되기 위한 홈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는 절개홈(22)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격판(23)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면 만족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절개홈(22)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22a)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기(22a)는 격판(23)이 회동시에 일정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격판(23)은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1격판(23a)과 제2격판(23b)로 이루어져 두루마리 휴지(W2)가 수용되는 부분과 완충부(30)에 수용되는 냅킨(W3)의 경계면으로 사용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판(23)은 후에 설명하는 완충부(30)에 올려지는 냅킨(W3)과 두루마리 휴지(W2)가 서로 접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도면에는 원형으로 도시가 되었으나 하나의 원형판이 서로 분할된 반원형상(미도시)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부(30)는 냅킨(W3)을 사용하기 위한 구성물로 상기 몸체부(10)의 밑판(11)의 상부면 양측에 형성된 제1고정부재(15)와 결합 되는 탄성부재(S)와 상기 탄성부재(S)의 상부와 결합 되는 이송판(3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S)는 냅킨(W3)의 사용량에 따라 이송판(31)을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성물로 탄성력이 좋은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사용이 된다.
또한, 이송판(31)은 냅킨(W3)이 안정되게 올려지는 구성물로 그 형상이 원형이나 사각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면에서 수직으로 하향 되도록 돌출 형성된 제2고정부재(32)가 구비된다.
이때, 제2고정부재(32)는 상기 탄성부재(S)와 결합 되어 이송판(31)을 안정되게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구성물로 상기 제2고정부재(32)는 이송판(31)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되 하부에는 상기 탄성부재(S)의 상부와 결합 가능하게 외측으로 넓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 형상이 된다.
그리고, 덮개부(40)는 상기 몸체부(10)에 수용되는 사각티슈(W1), 두루마리 휴지(W2) 또는 냅킨(W3)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수용된 휴지를 한장씩 뽑아 쓰기위한 구성물로 상기 덮개부(40)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공(41)과 상기 본판(1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구(12b)가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 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40)는 상기 몸체부(10)의 본판(12) 직경과 대응되게 하나의 구성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40)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1덮개부재(42)와 상기 제1덮개부재(42)의 양측에 서로 이웃하여 구비되는 제2덮개부재(43)로 3분할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덮개부재(42,43)에는 몸체부(10)의 본판(12)에 형성된 것과 같은 투시창(12a)이 형성되고 휴지를 한 장씩 뽑아서 쓰기 위한 인출공(44)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 분할된 제1 및 제2덮개부재(42,43)에 손잡이(45)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덮개부재(42)는 양측단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단턱(4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덮개부재(4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서로 이웃하여 구비되는 제2덮개부재(43)에는 상기 제1덮개부재(42)와 접하는 위치에 상기 제1단턱(42a)과 대응되는 제2단턱(43a)이 형성되어 상기 제1단턱(42a)과 접하게 된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사각티슈(W1)를 몸체부(10)에 수용할 시에는 제1덮개부재(42)에 형성된 손잡이(45)를 이용하여 개폐하면 상기 제1덮개부재(42)에 형성된 제1단턱(42a)에 의해 양측에 구비된 제2덮개부재(43)에 형성된 제2단턱(43a)에 의해 제1덮개부재(42)가 같이 개방되어 사각티슈(W1)나 두루마리 휴지(W2)를 수납하기가 용이하게 되고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구비된 완충부(30)에 냅킨(W3)을 수납시에는 상기 제2덮개부재(43)에 형성된 손잡이(45)를 개방하여 상기 제1덮 개부재(42)에 형성된 인출공(44)으로 돌출되어 나온 사각티슈(W1)나 두루마리 휴지(W2)를 건들지 않아도 별도로 제2덮개부재(43)만을 개방하여 완충부(30)에 형성된 이송판(31)에 냅킨(W3)을 수납하기가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지케이스(100)에 대한 작용관계를 도 7 내지 도 8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정이나 업소 등에 설치된 테이블위에 몸체부(10)의 밑판(11)에 형성된 패드(14)가 밀착되도록 올려놓게 된다.
그 다음, 상기 몸체부(10)의 본판(12)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서로 3분할 되어 형성된 덮개부(40)중에 제1덮개부재(42)에 형성된 손잡이(45)를 이용하여 개방하면 상기 제1덮개부재(42)에 형성된 제1단턱(42a)에 의해 양측에 서로 이웃하게 접하여 구비된 제2덮개부재(43)가 같이 개방이 되어 사각티슈(W1)를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공간(13)에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각티슈(W1)는 몸체부(10)의 내측에 구비된 완충부(30)의 이송판(31)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이송판(31)은 다시 탄성부재(S)를 가압하게 되어 수직 방향으로 수축되어 사각티슈(W1)가 수납되게 된다.
아울러, 수납된 사각티슈(W1)가 몸체부(10)의 개방된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덮개부(40)를 회동시켜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된 결속부재(17)에 의해 상기 덮개부(40)가 상기 몸체부(10)와 결속되어 사각티슈(W1)가 몸체부(10)의 공간(13)에 수납되게 된다.
이때, 덮개부(40)중 제1덮개부재(42)에 형성된 인출공(44)을 통하여 사각티슈(W1)의 내측에 수용된 휴지를 인출하여 휴지를 한 장씩 뽑아 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두루마리 휴지(W2)나 냅킨(W3)을 수납시에는 가정이나 업소 등에 설치된 테이블 위에 몸체부(10)의 밑판(11)에 형성된 패드(14)가 밀착되도록 올려놓게 된다.
그 다음, 상기 몸체부(10)의 본판(12)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부(40) 중에 제1덮개부재(42)에 형성된 손잡이(45)를 이용하여 개방하면 상기 제1덮개부재(42)에 형성된 제1단턱(42a)에 의해 양측에 서로 이웃하게 접하여 구비된 제2덮개부재(43)가 제2단턱에 의해 같이 개방이 되어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공간(13)에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개방된 몸체부(1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20)의 제1, 제2격판(23a,23b)을 가이드부재(21)에 형성된 절개홈(22)의 돌기(22a)까지 억지끼움으로 회동시켜 제1, 제2격판(23a,23b)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제1, 제2격판(23a,23b)에 의해 두루마리 휴지(W2) 및 냅킨(W3)가 수납되는 경계가 형성되게 되어 서로 방해받지 않게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하는 부분의 휴지를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 냅킨(W3)을 몸체부(10)의 밑판(11) 상부면에 양측으로 구비된 완충 부(30)의 이송판(31)에 냅킨(W3)을 올려놓고 상기 몸체부(10)의 본판(12) 상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각각의 제2덮개부재(43)만을 회동시켜 상기 몸체부(10)의 결속부재(17)와 결속하고 제2덮개부재(43)에 각각 형성된 인출공(44)을 통하여 냅킨(W3)을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두루마리 휴지(W2)는 몸체부(10)에 수용하기 전에 내측에 구비된 종이재질의 원심지를 제거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재(21)의 내측에 수납하게 되고 제1덮개부재(42)를 회동시켜 몸체부(10)의 결속부재(17)와 결속시켜 두루마리 휴지(W2)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덮개부재(42)에 형성된 인출공(44)을 통하여 두루마리 휴지(W2)의 중심측에서 휴지를 인출하면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휴지케이스(100)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공간()에 휴지 이외에도 수저통이나 조미료통 과 같은 수납함(18)으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를 다수개로 분할된 제1, 제2 및 제3몸체(10a,10b,10c) 등으로 분할하여 사용자의 기호나 장소에 맞게 위치를 변형하여 사용가능한 휴지케이스(200)로도 제작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각각으로 분할된 제1, 제2 및 제3몸체(10a,10b,10c)에는 슬라이드판(16a)나 슬라이드공(16b)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부재(16)가 형성되어 원하는 위치에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100,200)의 설치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실시하는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휴지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의 몸체부를 나타낸 일부 절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의 덮개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에 사각티슈를 수납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에 냅킨 및 두루마리 휴지를 수납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주요 부품에 대한 설명]
100, 200 : 휴지케이스
10 : 몸체부 11 : 밑판
12 : 본판 13 : 공간
20 : 가이드부 21 : 가이드부재
22 : 절개홈 23 : 격판
24 : 수용공간 30 : 완충부
31 : 이송판 40 : 덮개부
41 : 결합공 42 : 제1덮개부재
43 : 제2덮개부재 44 : 인출공
W1 : 사각티슈 W2 : 두루마리 휴지
W3 : 냅킨 S : 탄성부재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된 사각함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완충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된 밑판과 본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밑판의 상부면 양측 또는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제1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본판 상부에는 상기 덮개부의 하부와 결속되는 결속부재와 상기 덮개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절개홈이 형성되되 상기 절개홈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격판과 제2격판으로 이 루어진 격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에는 상기 격판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하부가 몸체부와 결합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이송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제1덮개부재와 제2덮개부재로 분할 형성되되 상기 제1덮개부재에는 일측 또는 양측 하단에 제1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덮개부재의 일측 상단에는 제2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부재와 상기 제2덮개부재에는 각각 인출공 및 투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케이스.
KR1020090031820A 2009-04-13 2009-04-13 휴지케이스 KR101131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820A KR101131878B1 (ko) 2009-04-13 2009-04-13 휴지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820A KR101131878B1 (ko) 2009-04-13 2009-04-13 휴지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313A true KR20100113313A (ko) 2010-10-21
KR101131878B1 KR101131878B1 (ko) 2012-04-06

Family

ID=4313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820A KR101131878B1 (ko) 2009-04-13 2009-04-13 휴지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8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9865A (zh) * 2013-12-19 2014-06-04 柳州市京阳节能科技研发有限公司 多用高雅便捷纸巾盒
CN108720699A (zh) * 2018-06-08 2018-11-02 黄崇轩 多功能抽纸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382U (ko) 2015-06-13 2016-12-21 대덕대학산학협력단 절약형 휴지 공급기
CN105686737A (zh) * 2015-12-10 2016-06-22 柳州市京阳节能科技研发有限公司 轻便卫生纸巾盒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344A (ja) 2000-05-11 2001-11-13 Nobuko Yamamoto 節約のできるティッシュケース
KR200274679Y1 (ko) 2002-02-04 2002-05-04 김행곤 화장지 인출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9865A (zh) * 2013-12-19 2014-06-04 柳州市京阳节能科技研发有限公司 多用高雅便捷纸巾盒
CN108720699A (zh) * 2018-06-08 2018-11-02 黄崇轩 多功能抽纸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878B1 (ko)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4128B2 (en) Multiple toilet paper holder and dispenser
KR101131878B1 (ko) 휴지케이스
AU2011257986B2 (en) Knock down barrel and methods for assembly
USD503296S1 (en) Combination dry erase and chalkboard desk
JP2010215341A (ja) 圧縮機能付ごみ箱
KR20120045345A (ko) 천장 매립형 수납장
KR200456664Y1 (ko) 수납부위를 가진 휴지걸이 조립체
CN209064602U (zh) 一种便于拆装便于使用的教具箱
KR20120025726A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
US20050156080A1 (en) Internal Toilet Paper Dispenser and Storage Unit
KR101719905B1 (ko) 화장지 걸이장치
JP3147970U (ja) 吊下型芳香具収納体
KR20090004929U (ko) 화장지 박스와 휴지 박스가 내장된 종이제 박스
KR102277284B1 (ko) 친환경 컵 디스펜서
US20160288985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nd disposing of tissues
US20230240484A1 (en) Combination shelving unit and night light
CN219422706U (zh) 一种便于收纳的纸巾盒
KR100862804B1 (ko) 주방용 롤 제품의 수납함
CN206654416U (zh) 一种多功能垃圾柜
CN209750893U (zh) 一种多功能纸巾盒
KR200206764Y1 (ko) 다용도 수납장
KR20090069415A (ko) 고정시킬수 있는 쓰레기통
KR20090132836A (ko) 고정시킬수 있는 쓰레기통
KR200380595Y1 (ko) 메모용지 디스펜서
JP2007160070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