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595Y1 - 메모용지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메모용지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595Y1
KR200380595Y1 KR20-2004-0037378U KR20040037378U KR200380595Y1 KR 200380595 Y1 KR200380595 Y1 KR 200380595Y1 KR 20040037378 U KR20040037378 U KR 20040037378U KR 200380595 Y1 KR200380595 Y1 KR 200380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emo paper
type container
memo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장수
Original Assignee
영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훈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7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5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03Note-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모용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함체형 용기 내부에 다수매가 적층된 메모용지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필요할 때마다 한장씩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메모용지를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메모용지 디스펜서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다수매가 적층된 형태의 메모용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와 깊이를 갖는 함체형 용기와; 상기 함체형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수납된 메모용지가 항상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탄성작용하는 패널스프링과; 상기 함체형 용기의 상부면을 덮어주며, 면상의의 소정 부위에 횡방향으로 소정 크기의 인출공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함체형 용기의 양측면 외측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상의 인출공의 좌우 양단내측에 끼워져 걸리는 결합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메모용지 디스펜서{DISPENSER FOR MEMORANDUM PAPER}
본 고안은 메모용지 디스펜서(Dispes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함체형 용기 내부에 다수매가 적층된 메모용지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필요할 때마다 한장씩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메모용지를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메모용지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는 전화번호, 각종 기념일과 같이 가사나 업무중에 발생되는 각종 중요사항들을 잊지 않도록 간단하게 기재하기 위한 메모용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메모용지로는 통상적으로 용지의 재활용 측면에서 한쪽면이 이미 사용된 용지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아직 사용되지 않은 다른면(裏面)에 메모사항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눈에 잘띠는 색상으로 채색된 용지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그 이면의 일정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다수매가 적층되게 구성된 메모용지가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메모용지를 그대로 책상에 올려 놓고 사용하는 경우에 먼지 등 이물질이 표면에 묻게 되어 더러워진다는 문제가 있으며, 용지의 크기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정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주위의 다른 사물과 함께 뒤섞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작 필요한 경우에는 쉽게 찾을 수 없어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함체형 용기 내부에 다수매가 적층된 메모용지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필요할 때마다 한장씩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메모용지를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메모용지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메모용지 디스펜서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다수매가 적층된 형태의 메모용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와 깊이를 갖는 함체형 용기와; 상기 함체형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수납된 메모용지가 항상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탄성작용하는 패널스프링과; 상기 함체형 용기의 상부면을 덮어주며, 면상의의 소정 부위에 횡방향으로 소정 크기의 인출공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함체형 용기의 양측면 외측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상의 인출공의 좌우 양단내측에 끼워져 걸리는 결합봉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메모용지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모용지 디스펜서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메모용지 디스펜서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메모용지 디스펜서(10)는 메모용지를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메모용지 디스펜서(10)는 메모용지(12)가 수납되는 함체형 용기(14)와, 수납된 메모용지(12)를 항상 윗쪽으로 들어올려주는 패널스프링(16)과, 상기 함체형 용기(14)의 상부면을 덮어주는 커버(18)와, 상기 커버(18)가 함체형 용기(14)에 덮여진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봉(2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함체형 용기(14)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다수매가 적층된 형태의 메모용지(12)가 충분히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함체형 용기(14)는 여러 가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내부가 들여다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함체형 용기(14)의 저면은 앞쪽에서 뒷쪽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스프링(16)은 함체형 용기(14)의 바닥면에서 윗쪽으로 만곡진 형태로 설치되어 수납된 메모용지(12)의 무게에 의하여 눌렸다가 메모용지(12)가 한장씩 인출될 때마다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메모용지(12)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커버(18)은 함체형 용기(14)의 상부면을 충분히 덮어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그 면상의 소정 부위에는 메모용지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갖는 인출공(22)이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봉(20)은 함체형 용기(14)의 양측면 외측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면 외측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돌출된 부분이 상기 커버(18)상에 형성된 인출공(22)의 좌우 양단내측에 끼워져 걸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봉(20)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출공(22)의 좌우 양단의 저면은 아랫쪽이 넓고 윗쪽을 갈 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함체형 용기(14)의 내부 바닥면에 패널스프링(16)이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18)를 윗쪽으로 들어낸 후 함체형 용기(14)의 내부에 다수매가 적층된 형태의 메모용지(12)를 눌러 수납시킨다.
이와 같이, 메모용지(12)가 수납되면, 메모용지(12)의 수납시의 누름힘에 의하여 패널스프링(16)이 눌려진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결합봉(20)이 인출공(22)의 양쪽 단부 내측에 일치되도록 하여 다시 커버(18)을 닫으면, 커버(18)가 함체형 용기(14)의 상부면을 덮어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18)상의 인출공(22)을 통하여 가장 윗쪽에 있는 메모용지(12)를 당겨 인출하면, 한장의 메모용지가 커버(18) 외측으로 인출됨과 동시에 패널스프링(16)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다음의 메모용지가 다시 인출위치로 들어놀려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메모용지가 투명한 함체형 용기의 내부에 수납되기 때문에 외부의 먼지 등 이물질이 묻지 않게 되어 깨끗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마다 커버상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하여 한장씩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함체형 용기와 커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므로 메모용지의 수납 및 교체작업이 간편하고, 함체형 용기와 커버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내부를 관찰할 수 있음에 따라 메모용지의 소모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메모용지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모용지 디스펜서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메모용지 디스펜서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메모용지 14 : 함체형 용기
16 : 패널스프링 18 : 커버
20 : 결합봉 22 : 인출공.

Claims (3)

  1. 상부면이 개방되고, 다수매가 적층된 형태의 메모용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와 깊이를 갖는 함체형 용기와;
    상기 함체형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수납된 메모용지가 항상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탄성작용하는 패널스프링과;
    상기 함체형 용기의 상부면을 덮어주며, 면상의의 소정 부위에 횡방향으로 소정 크기의 인출공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함체형 용기의 양측면 외측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상의 인출공의 좌우 양단내측에 끼워져 걸리는 결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용지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형 용기의 저면은 앞쪽에서 뒷쪽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용지 디스펜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상의 인출공의 좌우 양단의 저면은 결합봉이 충분히 끼워질 수 있도록 아랫쪽이 넓고 윗쪽을 갈 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용지 디스펜서.
KR20-2004-0037378U 2004-12-30 2004-12-30 메모용지 디스펜서 KR200380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378U KR200380595Y1 (ko) 2004-12-30 2004-12-30 메모용지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378U KR200380595Y1 (ko) 2004-12-30 2004-12-30 메모용지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595Y1 true KR200380595Y1 (ko) 2005-03-31

Family

ID=4368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378U KR200380595Y1 (ko) 2004-12-30 2004-12-30 메모용지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5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23Y1 (ko) * 2016-09-27 2018-02-12 세종기업 주식회사 안정적으로 포스트잇의 인출이 가능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장착되는 팝업수단을 구비한 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23Y1 (ko) * 2016-09-27 2018-02-12 세종기업 주식회사 안정적으로 포스트잇의 인출이 가능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장착되는 팝업수단을 구비한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3090A (en) Memorandum sheet dispenser
US6311923B1 (en) Combinatorial multi-use tape dispenser
KR200380595Y1 (ko) 메모용지 디스펜서
JP2008162660A (ja) ホルダ
KR101131878B1 (ko) 휴지케이스
JP3221407U (ja) 紙類の収容ケース
KR200388008Y1 (ko) 메모용지 디스펜서
KR20110003813U (ko) 카렌다가 구비된 탁상용 메모지함
KR200433932Y1 (ko)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
KR200428487Y1 (ko) 메모용지 수납케이스
JP2003327281A (ja) 詰め替え用テッシュボックス
KR200388009Y1 (ko) 메모용지 디스펜서
JP2007254023A (ja) 長手方向に平行乃至傾斜して引き抜き可能なポップアップ式ティッシュペーパー収納箱
KR200346101Y1 (ko) 휴대용 화장지 케이스
JP2013132799A (ja) 補充可能な付箋収納部の構造
KR910008471Y1 (ko) 스프레이접착제용 분무박스
KR200338044Y1 (ko) 경사면을 갖는 메모지 및 케이스
KR200375098Y1 (ko) 다기능 명함박스
KR200385297Y1 (ko) 다층 수납 공간을 구비한 접기식 성냥갑
KR100987593B1 (ko) 부착식 메모용지용 수납케이스
JP3113285U (ja) 簡易ゴミ箱付きティッシュ箱用収納ケースおよびティッシュ箱用収納ケース付き家具
KR100469048B1 (ko) 탁상용 달력
KR960010506Y1 (ko) 명함 보관첩
KR20140046351A (ko) 메모용지 분배기
JPS604773Y2 (ja) 書藉等の表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