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932Y1 -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932Y1
KR200433932Y1 KR2020060027007U KR20060027007U KR200433932Y1 KR 200433932 Y1 KR200433932 Y1 KR 200433932Y1 KR 2020060027007 U KR2020060027007 U KR 2020060027007U KR 20060027007 U KR20060027007 U KR 20060027007U KR 200433932 Y1 KR200433932 Y1 KR 200433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emo paper
type container
memo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장수
Original Assignee
영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훈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7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9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9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14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0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for special documents or for special purposes
    • B42P2201/08Books or filing appliances for special documents or for special purposes for stationery, e.g. writing paper, enve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10Means for susp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함체형 용기 내부에 다수매가 적층된 메모용지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필요할 때마다 한장씩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메모용지가 수납되는 함체형 용기가 냉장고나 컴퓨터 케이스, 유리창 또는 책상 표면에 간단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메모용지를 인출할 때의 당김힘에 의하여 용기자체가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하고 사용범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는 저면이 개방되고, 상부면상에는 정해진 크기의 인출공이 형성되며, 하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정해진 너비의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한편, 다수매가 적층된 형태의 메모용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정해진 크기와 깊이를 갖는 함체형 용기와; 상기 함체형 용기에 형성된 각 플랜지부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돌출턱과; 상기 함체형 용기의 저면에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 중심선을 따라 가로질러 결합되며, 그 바닥면 중심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착부가 형성된 정해진 크기의 받침편과; 상기 받침편상의 안착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함체형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메모용지가 항상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받쳐주는 스프링과; 상기 각 돌출턱의 내부 아랫쪽에 끼워져 결합되는 자석을 포함한다.
메모용지, 부착식, 디스펜서, 함체형 용기, 자석, 흡착판

Description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ATTACHABLE DISPENSER FOR MEMORANDUM PAP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인출공 16 : 함체형 용기
20 : 돌출턱 22 : 받침편
24 : 안착부 26,26' : 받침편끼움공
28 : 스프링 30,30' : 자석
32 : 흡착판 34,34' : 구조물.
본 고안은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Dispens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함체형 용기 내부에 다수매가 적층된 메모용지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필요할 때마다 한장씩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메모용지가 수납되는 함체형 용기가 냉장고나 컴퓨터 케이스, 유리창 또는 책상 표면에 간단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메모용지를 인출할 때의 당김힘에 의하여 용기자체가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하고 사용범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는 전화번호, 각종 기념일과 같이 가사나 업무중에 발생되는 각종 중요사항들을 잊지 않도록 간단하게 기재하기 위한 메모용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메모용지로는 통상적으로 용지의 재활용 측면에서 한쪽면이 이미 사용된 용지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아직 사용되지 않은 다른면(裏面)에 메모사항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눈에 잘띠는 색상으로 채색된 용지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그 이면의 일정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다수매가 적층되게 구성된 메모용지가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메모용지를 그대로 책상에 올려 놓고 사용하는 경우에 먼지 등 이물질이 표면에 묻게 되어 더러워진다는 문제가 있으며, 용지의 크기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정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주위의 다른 사물과 함께 뒤섞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작 필요한 경우에는 쉽게 찾을 수 없어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함체형 용기의 내부에 다수매가 적층된 형태의 메모용지를 수납하고, 상기 함체형 용기의 상부에 커버를 덮은 후, 상기 커버상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하여 함체형 용기의 내부에 수납된 메모용지를 한장씩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용지 디스펜서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메모용지 디스펜서의 경우 함체형 용기의 내부에 수납된 메모용지가 다수매로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이 접착제에 의해 도포된 상태에서 서로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함체형 용기가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장 윗부분의 메모용지를 잡아당겨 인출할 때 마다 그 당김힘에 의하여 함체형 용기 자체가 설치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짐 따라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메모용지 디스펜서는 별도의 부착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책상의 상부면과 같은 수평면에만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매우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함체형 용기 내부에 다수매가 적층된 메모용지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필요할 때마다 한장씩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메모용지가 수납되는 함체형 용기가 냉장고나 컴퓨터 케이스, 유리창 또는 책상 표면에 간단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구 성하므로써 메모용지를 인출할 때의 당김힘에 의하여 용기자체가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하고 사용범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는 저면이 개방되고, 상부면상에는 정해진 크기의 인출공이 형성되며, 하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정해진 너비의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한편, 다수매가 적층된 형태의 메모용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정해진 크기와 깊이를 갖는 함체형 용기와; 상기 함체형 용기에 형성된 각 플랜지부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돌출턱과; 상기 함체형 용기의 저면에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 중심선을 따라 가로질러 결합되며, 그 바닥면 중심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착부가 형성된 정해진 크기의 받침편과; 상기 받침편상의 안착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함체형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메모용지가 항상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받쳐주는 스프링과; 상기 각 돌출턱의 내부 아랫쪽에 끼워져 결합되는 자석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각 돌출턱의 내부에는 자석 대신에 흡착판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받침편상의 안착부 저면에는 또 다른 자석이 설치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받침편이 가로질러 설치되는 방향과 일치하는 함체형 용기의 하단과 플랜지부 사이의 경계면에는 받침편의 끝부분이 끼워져 걸리는 받침편끼 움공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또,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10)는 메모용지를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메모용지를 인출할 때 용기가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하고, 냉장고나 유리창 또는 책상의 표면 등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10)에서는 저면이 개방되고, 상부면상에는 정해진 크기의 인출공(12)이 형성되며, 다수매가 적층된 형태의 메모용지(14)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정해진 크기와 깊이를 갖는 함체형 용기(16)가 마련된다.
상기 함체형 용기(16)는 그 전·후·좌·우 측면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정해진 너비를 갖는 플랜지부(18)가 수평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플랜지부(18)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출턱(20)이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 상기 함체형 용기(16)의 저면에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 중심선을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 받침편(22)이 가로질러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그 받침편(22)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편(22)의 양단이 끼워져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편(22)이 가로질러 설치되는 방향과 일치하는 함체형 용기(16)의 하단과 해당 플랜지부(18) 사이의 경계면에는 받침편끼움공(26)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받침편(22)상의 안착부(24)에는 항상 상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28)의 하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28)은 함체형 용기(16) 내부에 수용되는 메모용지(14)가 항상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각 돌출턱(20)의 내부 아랫쪽에는 냉장고 표면이나 컴퓨터 케이스를 구성하는 금속 등의 자력감응재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석(3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각 돌출턱(20)의 내부에는 자력감응재에 부착되는 자석(30) 대신에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이나 책상의 표면 등 비자력감응재 또는 자력감응재와 비자력감응재가 혼재된 구조물에도 간편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흡착판(32)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수단으로서 흡착판(32)이 마련되는 경우, 상기 받침편(22)에 형성된 안착부(24)의 저면에는 또 다른 자석(3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함체형 용기(16)을 뒤집어 저면이 윗쪽을 바라보도록 한 상태에서 다수매가 적층된 형태의 메모용지(14)를 함체형 용기(16)의 내부에 수납하고, 맨 윗쪽의 메모용지를 인출공(12)의 바깥쪽으로 빼 놓는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28)이 결합된 받침편(22)의 한쪽 끝을 그 설치방향 한쪽 끝의 함체형 용기(16)상에 형성된 받침편끼움공(26)에 밀어 끼워 걸리도록 한 후 반대쪽 끝을 반대쪽 받침편끼움공(26')에 밀어 끼우면, 상기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하여 메모용지(14)가 항상 윗쪽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용기(16)의 플랜지부(18)상의 돌출턱(20) 내부에 자석(30)이 끼워져 결합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외표면 또는 컴퓨터 케이스의 외표면과 같이 자력감응재로 이루어진 구조물(34)에 밀착시키면 상기 자석(30)의 자력에 의하여 메모용지 디스펜서(10)가 냉장고의 외표면 또는 컴퓨터 케이스 등의 구조물(34)에 간단하게 부착된다.
한편, 상기 함체형 용기(16)의 플랜지부(18)상의 돌출턱(20)에 자석(30) 대신에 흡착판(32)이 끼워져 결합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판(32)의 진공흡착원리에 의하여 메모용지 디스펜서(10)가 유리창이나 책상의 표면에 등 비자력감응재로 이루어진 구조물(34')의 표면에 간단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받침편(22)상의 안착부(24)에 설치되는 자석(30')은 구조물(34')이 비자력감응재와 자력감응재가 혼재되어 구성된 경우에 흡착판(32)의 보조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모용지 디스펜서(10)를 원하는 구조물(34)(34')상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메모용지(14)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함체형 용기(16)의 상부면에 형성된 인출공(12)을 통하여 가장 윗쪽에 있는 메모용지를 당겨 인출하면, 한장의 메모용지가 바깥쪽으로 인출됨과 동시에 스프링(28)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다음의 메모용지가 다시 인출위치로 들어 올려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메모용지(14)의 인출동작시 당김힘이 함체형 용기(16)에 인가되더라도, 상기 자석(30)(30') 및 자력감응재 사이의 인력(引力) 또는 흡착판(32)의 흡착력에 의하여 함체형 용기(16)가 쉽게 들어 올려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메모용지(14)가 모두 소모되어 새롭게 수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받침편끼움공(26)(26')에 끼워져 걸려 있던 상태의 받침편(22)을 빼 낸 후 함체형 용기(16) 내부에 새로운 메모용지를 채워 넣고 다시 받침편(22)을 끼워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메모용지가 함체형 용기의 내부에 수납되기 때문에 외부의 먼지 등 이물질이 묻지 않게 되어 깨끗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마다 함체형 용기 상부면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하여 한장씩 빼내어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한, 메모용지를 인출할 때 그 당김힘이 함체형 용기에 인가되더라도 자석과 자력감응재 사이의 인력 또는 구조물에 대한 흡착판의 흡착력에 의하여 함체형 용기가 들어 올려지지 않으며, 메모용지 디스펜서를 책상은 물론 냉장고나 컴퓨터 케이스 또는 유리창 등 원하는 위치에 간단하게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범위가 크게 확장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저면이 개방되고, 상부면상에는 정해진 크기의 인출공(12)이 형성되며, 하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정해진 너비의 플랜지부(18)가 형성되는 한편, 다수매가 적층된 형태의 메모용지(14)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정해진 크기와 깊이를 갖는 함체형 용기(16)와;
    상기 함체형 용기(16)에 형성된 각 플랜지부(18)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윗쪽또는 아랫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돌출턱(20)과;
    상기 함체형 용기(16)의 저면에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 중심선을 따라 가로질러 결합되며, 그 바닥면 중심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착부(24)가 형성된 정해진 크기의 받침편(22)과;
    상기 받침편(22)상의 안착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함체형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메모용지(14)가 항상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받쳐주는 스프링(28)과;
    상기 각 돌출턱(20)의 내부 아랫쪽에 끼워져 결합되는 자석(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출턱(20)의 내부에는 자석(30) 대신에 흡착판(32)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받침편(22)상의 안착부(24) 저면에는 또 다른 자석(30')이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편(22)이 가로질러 설치되는 방향과 일치하는 함체형 용기(16)의 하단과 플랜지부(18) 사이의 경계면에는 받침편(22)의 끝부분이 끼워져 걸리는 받침편끼움공(26)(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
KR2020060027007U 2006-09-29 2006-09-29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 KR200433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007U KR200433932Y1 (ko) 2006-09-29 2006-09-29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007U KR200433932Y1 (ko) 2006-09-29 2006-09-29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932Y1 true KR200433932Y1 (ko) 2006-12-13

Family

ID=4178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007U KR200433932Y1 (ko) 2006-09-29 2006-09-29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9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3142B2 (en) Display board assembly
US20160144654A1 (en) Marker holder and eraser
US20090199445A1 (en) Poster or display board with graphics
JPH0924697A (ja) メモボード
KR200433932Y1 (ko) 부착식 메모용지 디스펜서
US11846983B2 (en) Electronic table card, fixed seat of electronic table card, and electronic table card assembly
KR200388009Y1 (ko) 메모용지 디스펜서
JP3130514U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ホルダ
KR200388008Y1 (ko) 메모용지 디스펜서
KR200380595Y1 (ko) 메모용지 디스펜서
CN213229907U (zh) 一种收纳盒
CN219267257U (zh) 一种平贴门牌
JP2009544536A (ja) 上開放型ディスペンサー
CN215838194U (zh) 一种多功能相框
CN213308326U (zh) 壁挂文件展示管理装置
CN217435377U (zh) 一种通知公告栏
CN220494786U (zh) 多功能桌面收纳盒
JP2014094259A (ja) 壁張が可能なフォトフレーム
KR200417231Y1 (ko) 포스트잇 케이스
JP5878608B1 (ja) 磁石吸着式ティッシュケース固定アタッチメント及び磁石吸着式ティッシュケース
KR200427473Y1 (ko) 메모지 함
KR200251027Y1 (ko) 티슈 홀더
KR200345405Y1 (ko) 사각걸이자석달력
KR200401391Y1 (ko) 벽걸이용 일력
JP3116790U (ja) ファクシミリ用紙又はコピー用紙の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