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910Y1 - 다관 - Google Patents

다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910Y1
KR200190910Y1 KR2020000004807U KR20000004807U KR200190910Y1 KR 200190910 Y1 KR200190910 Y1 KR 200190910Y1 KR 2020000004807 U KR2020000004807 U KR 2020000004807U KR 20000004807 U KR20000004807 U KR 20000004807U KR 200190910 Y1 KR200190910 Y1 KR 200190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lange
cup body
tea
retai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메이 린 티엔
Original Assignee
유-메이 린 티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메이 린 티엔 filed Critical 유-메이 린 티엔
Priority to KR2020000004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9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9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다관(infusion tea maker)은 컵 몸체, 필터 조립체, 유지판, 패드 및 차단부를 포함한다. 패드는 컵 몸체의 바닥에 있는 관통공을 막는다. 환상의 차단부는 중앙의 관통공 주위에 형성되어 있어 관통공 상의 롤러 차단부가 이 관통공을 누름으로서 찻물을 차단한다. 컵 몸체의 바닥의 주변은 원형 플랜지로 하향 확장되어 있고 상하 이동할 수 있는 유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다관을 평면 상에 평탄하게 놓았을 때, 유지판은 자연적으로 밑으로 내려가 차단부를 구동함으로써 관통공을 밀폐시킨다. 이에 따라, 컵 몸체 내에서 커피를 우려낼 수 있다. 다관을 소정의 값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용기 상에 겹쳐놓을 때 용기가 유지판을 밀어냄으로써 중앙의 기둥이 차단부를 밀어내게 될 것이고 따라서 찻물이 성공적으로 용기로 흐를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유지판의 외직경이 플랜지의 내직경보다 작다는 것으로 이에 따라서 플랜지의 내공간 안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완전하게 수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실수로 유지판을 건드릴 때 찻물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다관{Infusion tea maker}
본 고안은 다관(infusion tea mak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피, 차, 등을 우려내는 다관에 관한 것이며, 원할 때 사용자는 컵 몸체를 용기 위에 놓는 것만으로 컵 내의 찻물의 누출 혹은 차단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많은 용기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컵 몸체를 잘못하여 건드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찻물을 우려내는 종래의 고안에서는 차(혹은 커피)를 용기에 직접 넣은 후에 온수가 더해진다. 몇 분 후에 향기로운 찻물이 만들어진다. 찻잎과 찻물은 잘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차를 마시는 사람은 무심코 마시고 난 차를 마시게 된다. 특히, 찻물이 없을수록 차를 마시는 사람은 남아 있는 차를 더 많이 마시게 된다. 더욱이, 차의 향기는 급속히 없어지기 때문에 여러 번 우려낼 수 없다. 제조업자는 찻잎과 찻물을 적절하게 분리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다관을 개발하였다. 이들 구조는 외컵과 이 외컵 내에 있는 내컵을 포함한다. 내컵 바닥은 테이퍼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에는 회전하는 공으로 된 찻물 차단부가 위치하여 있다. 여과망은 그 위에 놓여 있다. 내컵의일측과 찻물을 우려내기 위한 바닥 사이에는 관통공의 정확히 하측에 연장된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다. 원한다면, 이 연결부를 눌려 회전 공을 밀어내고 차가 여과망을 통해 걸러진 후에 외컵으로 흘러나온다. 이에 따라, 찻물이 얻어진다. 연결부를 방면시킨 후에, 온수를 연속적으로 더 할 수 있으므로 차를 여러 번 우려낼 수 있다. 그러나, 어떻게 설계하든, 내컵을 외컵과 함께 사용해야 한다. 즉 내컵을 따로 사용하기 위해서 테이블 위에 놓으면 회전 공을 밀어내게 되어 차가 유출되기 때문에, 내컵을 테이블에 놓아 둘 수가 없다. 즉, 사용할 때, 외컵으로부터 차를 붓는 것이 가능하지 않음과 아울러, 내컵은 다음 번에 사용하기 위해서 찻물을 우려내는데 사용한다. 더욱이, 내컵의 바닥 재료는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제조시 회전공의 크기와 모양을 다관과 완전하게 일치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회전 공과 관통공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어 찻물이 연속적으로 흘러나오게 된다. 또한, 구조는 연결부 및 스프링과 다른 구성요소로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조작이 복잡해서 실수를 유발하기가 쉽다. 특히, 내컵과 외컵을 함께 사용해야 한다. 그러므로, 외컵의 상측 반 공간을 내컵이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찻물을 수용하는 하측 반의 공간이 제한된다. 따라서, 다른 용기에는 사용될 수 없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출원인은 미국특허 제5,826,493호, '다관'으로 미국특허청에 출원된 특별한 다관을 고안하였다. 이러한 고안은 다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고안에서, 다관은 커버, 필터 조립체, 드립 컵, 및 유지판을 포함한다. 드립 컵은 바닥에 중앙 관통공을 갖고 있고, 필터 조립체도 중앙에 관통공을 갖고 있다. 드립 컵의 바닥 주변부는 밑으로 연장되어 연장된 벽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된 벽에는 이격된 긴 구멍과 다리부가 구비되어 있다. 유지판은 금속테, 금속테에 일체로 접속되어 있고 내부에 배치된 위치설정 리브 요소, 및 드립 컵의 다리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이격되어 있는 슬롯을 포함한다. 금속테는 연장된 벽으로 형성된 공간 내에서 드립 컵 밑에서 끼워맞추어진다. 차단부는 드립 컵의 관통공을 통해 유지판의 위치설정 리브요소의 중앙에 있는 구멍에 삽입된다. 드립 컵이 평탄면상에 놓이게 되면, 금속테는 그 자신의 무게에 기인하여 긴 구멍을 따라 밑으로 미끌어진다. 드립 컵에 부어지는 커피와 같은 액체에 의해서 차단부는 드립 컵의 관통구멍 내에 밀폐되게 보유되어 누설을 피하게 된다. 드립 컵을 용기 내에 놓으면, 드립 컵의 금속테 혹은 유지판이 상방으로 밀려 차단부가 드립 컵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분리됨으로서 커피가 용기 밑으로 배출된다.
일반적인 사용에서, 이러한 신규한 구조는 효과적이다. 시험할 때는 상이한 직경의 다른 용기에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지부의 직경은 용기의 직경보다 커서 컵 몸체 밖으로 돌출하게 된다. 그러므로, 컵 몸체가 용기로부터 분리될 때, 사용자 혹은 다른 주변 물품이 쉽게 건드리게 된다. 그러므로 차단부를 관통구멍으로부터 밀어내게 되어 찻물이 누설될 것이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실수로 유지판을 건드려 찻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다관의 안정성을 개선한 다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력에 의한 하강이나 다른 용기가 밀어내는 것에관계없이, 유지판을 플랜지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만 이동하게 하고 어떠한 구조물도 플랜지 밖으로 노출되지 않게 한 다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지판은 사용자나 다른 외부 물품이 유지판을 건드리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롤러를 밀어내어 안에 있는 찻물이 밖으로 쏟아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그러므로, 다관의 안정성이 보장된다.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잘 이해될 것이고 이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본 고안의 많은 목적 및 이점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a는 도 1의 패드의 확대도.
도 2는 찻물의 누출을 차단하기 위해서 본 고안을 임의의 평면 상에 놓은 것을 도시한 조립된 구조의 사시도.
도 3a는 도 3의 차단부 및 패드의 확대도.
도 4는 찻물을 유출시키기 위해서 본 고안을 임의의 용기에 평탄하게 놓은 것을 도시한 조립된 구조의 단면도.
도 4a는 도 4의 차단부 및 패드의 확대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찻물을 유출시키기 위해서 본 고안을 임의의 용기에 평탄하게 놓은 것을 도시한 조립된 구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컵 몸체 2 : 필터 조립체
3 : 유지판 4 : 차단부
5 : 패드 11 : 커버
12 : 관통공 13 : 플랜지
14 : 삽입공 40 : 롤러
50 : 관통공 111 : 흐름 안내부
130 : 장공 310 : 관통공
311 : 기둥 312 : 관통공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관의 분해 사시도 및 조립 사시도이다. 다관은 컵 몸체(1), 필터 조립체(2), 유지판(3), 차단부(4) 및 찻물을 차단하기 위한 패드(5)를 포함한다.
컵 몸체(1)는 손잡이(10)의 상부에 선회적으로 연결된 커버(11)를 구비하고 있고 판(110)을 눌러 열 수 있다. 커버(11)의 바닥에는 선회 접속부에 인접한 곳에 흐름 안내부(111)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11)를 열었을 때, 컵 몸체(1)의 바닥에 고인 고온의 응축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을 다치게 하지 않고 흐름 안내부(111)를 따라 컵으로 다시 흐를 수 있다. 컵 몸체(1)의 바닥 중심에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고무로 만들어진 탄성 패드(5)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1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얇은 환상의 차단부(52)는 환상의 트렌치(51)에 의해 중앙 관통공 주위에 설치된다. 금속 혹은 수지 롤러(40)로 구현될 수 있는 차단부(4)는 관통공(50) 상에 놓여 환상의 차단부(52)를 누른다. 이어서 여과를 위해 필터 조립체(2)를 그 위에 덮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조립체(2)의 바닥이 연장된 위치설정판(20)이 롤러(40)의 주변을 에워싸고 있어 롤러(40)의 측방향 이동을 한정하고 있다. 이 외에도, 컵 몸체(1)의 바닥의 주변은 하향 연장되거나 환상의 플랜지(13)로 덮는다. 복수의 수직한 장공(130)이 플랜지(13) 상에 복수개로 있다.
유지판(3)은 플랜지(13)의 내 직경보다 약간 작은 외직경을 가지며 플랜지(13)보다 높이가 작다. 유지판(13)은 플랜지(1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지주(30)는 유지판(3)의 주변에 설치되고, 플랜지(13) 내의 각각의 장공(130)에 삽입될 수 있어 유지판(3)은 컴 몸체(1)에 관하여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플랜지(13) 밑으로 노출되지 않고 가장 낮은 지점까지 하강된다. 더욱이, 복수의 고정 리브(31)는 복수의 관통공(310)이 이격되게 유지판(3)에 설치된다. 기둥(311)은 중심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것은 패드(5)의 관통공(50)을 관통하여 적시에 롤러(40)를 밀어 낼 수 있다.
전술한 구성요소에 의해서, 도 2에 도시한 다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 몸체를 임의의 평면 상에 평탄하게 놓고, 플랜지(13)로 지지된 상태에서 커피와 온수를 컵 몸체에 채울 때, 유지판(3)은 이의 중량에 의해 하강하게 되어 기둥(311)이 관통공(50)으로부터 밑으로 내려가게 되고, 따라서 롤러(40)는 패드(5)의 환상의 차단부(52)를 누르게 됨으로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50)을 밀폐되게 막게 된다. 그러므로, 찻물이 차단되고 커피를 우려낼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시기 위해서 찻물을 취하고자 할때는 플랜지(13)보다 직경이 작은 개구부를 갖는 임의의 용기에 컵 몸체(1)를 놓기만 하면 된다. 용기(6)는 유지판(3)을 위로 밀어 낼 것이며, 기둥(311)은 롤러(40)를 밀어 내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5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의해서, 물은 필터 조립체(2)를 통과하여 용기(6)로 유출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조작은 쉽고 편리하다. 결국, 사용자는 찻물을 용기(6)로부터 부을 수 있고 한편으로 찻물을 우려내기 위해 컵 몸체(1)를 임의의 평면에 놓아둔다. 두가지 조작이 동시에 그리고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컵 몸체(1)는 용기(6) 내에 두는 대신에 임의의 용기(6) 위에 겹쳐지지 때문에, 컵 몸체(1)에 대한 체적, 크기 모양에 제한이 전혀 없다. 그러므로, 컵 몸체(1)는 원할 때 여러 가지 용기에 채용될 수 있다.
중력에 기인한 하강이나 다른 용기(6)가 밀어내는 것에 관계없이, 유지판(3)은 플랜지(13)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만 이동하며 플랜지(13) 밖으로 어떠한 구조도 노출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그러므로, 유지판(3)을 사용자나 다른 외부 물품이 건드리지 않게 될 것이며, 따라서, 롤러(40)를 밀어내어 안에 있는 찻물이 밖으로 쏟아지게 하는 것은 가능하기 않게 된다. 그러므로, 다관의 안정성이 보장된다.
더욱이, 롤러(40)는 높은 탄성과 변형력이 있는 얇은 환상의 차단부(52)를 누르기 때문에, 롤러(40)는 관통공(50)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어 롤러(40)와 관통공(50)간 크기오차에 기인한 틈을 충분히 보상할 수 있다. 결국, 바람직한 수밀(water sealing)이 형성된다.
더욱이, 도 5는 컵 몸체(1) 및 유지판(3)의 결합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도시한 것으로, 복수의 대칭된 관통공(312) 및 삽입공(14)은 유지판(3)의 고정 리브(31) 상에 그리고 컵 몸체(1)의 대응하는 곳에 배치됨으로서, 고정 리브(31)보다 높이가 매우 긴 봉(5)이 관통공(312)을 관통하여 삽입공(14)에 확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해 기술하였으나, 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개시된, 기본 방식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른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포괄되는 것이다.

Claims (8)

  1. 다관(infusion tea maker)에 있어서,
    바닥 중심에 관통공과, 이 관통공을 막는 차단부 및 관통공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찻물을 여과하는 필터 조립체, 컵 몸체의 바닥 주위를 에워싸는 적합한 높이를 갖는 플랜지를 갖는 컵 몸체;
    상기 플랜지의 직경보다 작은 외직경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완전하게 수용되고 이 공간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높이는 플랜지보다 작아 가장 낮은 지점까지 하강해도 플랜지로부터 노출되지 않으며, 복수의 고정 리브가 또한 설치되어 있어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적시에 상기 차단부를 밀어내기 위한 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는 기둥이 설치되어 있는 유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조립된 다관이 임의의 평면 상에 평탄하게 놓여 상기 플랜지로 지지되고 있을 때, 상기 유지판은 자신의 무게로 하강하여 상기 기둥이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압축됨으로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관통공을 막아 찻물을 차단하며; 상기 다관이 상기 플랜지의 내직경보다 크지 않은 직경을 갖는 개구부를 갖는 임의의 용기 위에 겹쳐질 때, 상기 용기가 상기 유지판을 밀어냄으로써 상기 기둥은 상기 차단부를 밀어내어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찻물이 유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직한 장공이 상기 플랜지 주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판의 주변에는 각각의 장공에 삽입되는 지주가 설치되고, 상기 유지판은 상기 컵 몸체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어 상기 플랜지 내에 상향 혹은 하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판의 고정 리브 각각에는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관통공에 관한 위치들에는 상기 컵 몸체의 바닥에 삽입공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리브보다 긴 네일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삽입공으로 관통하여 상기 유지판이 상기 컵 몸체의 바닥에 설치되어 플랜지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몸체의 바닥에 있는 상기 관통공을 소프트 탄성 패드로 막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에서, 중앙 구멍의 주변에는 두꺼운 환상의 차단부가 형성되도록 트렌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조립체의 바닥에는 상기 롤러를 에워쌀 수 있는하향 확장한 위치설정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몸체의 개구부에 이를 덮을 수 있는 커버가 더 설치되어 있고, 하향 확장하는 흐름 안내부는 선회 접속부에 가까운 상기 커버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가 열릴 때, 상기 흐름 안내부는 고온의 응축된 물을 상기 컵 몸체로 다시 흐르게 안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
KR2020000004807U 2000-02-22 2000-02-22 다관 KR200190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807U KR200190910Y1 (ko) 2000-02-22 2000-02-22 다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807U KR200190910Y1 (ko) 2000-02-22 2000-02-22 다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910Y1 true KR200190910Y1 (ko) 2000-08-01

Family

ID=1964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807U KR200190910Y1 (ko) 2000-02-22 2000-02-22 다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9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835Y1 (ko) * 2008-01-21 2009-09-03 유제우 분리형 보온 용기
KR101043783B1 (ko) * 2011-02-28 2011-06-22 (주)한동알앤씨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835Y1 (ko) * 2008-01-21 2009-09-03 유제우 분리형 보온 용기
KR101043783B1 (ko) * 2011-02-28 2011-06-22 (주)한동알앤씨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3977B2 (ja) 閉鎖可能な注ぎ開口部を備えたティー・メーカー
US4908222A (en) Microwave brewing apparatus and method
JP5368563B2 (ja) 容器に挿入された挿入部を有する飲料メーカー
CA2127307C (en) Beverage server
US20090272276A1 (en) Infusion maker
CN103501664A (zh) 具有移除咖啡渣功能的法式滤压咖啡壶
US6058827A (en) Structure of a tea flushing device
US20140251151A1 (en) Beverage Brewing Platform
CN108742034A (zh) 磁吸式便携茶水分离杯
US20130019754A1 (en) Brewing device with leak-proof structure
KR200190910Y1 (ko) 다관
CN111787834A (zh) 冲泡容器
JP2003135276A (ja) 保温ボトル
JP4805420B1 (ja) 抽出器
EP1123675B1 (en) Infusion Tea Maker
CN209826794U (zh) 尿标本留取装置
CN210727544U (zh) 一种水箱组件及包括该水箱组件的饮料制备机器
GB2351012A (en) Tea infusing container.
CN208524453U (zh) 具有出液装置的茶盘
JP3070895U (ja) 浸出式ティ―メ―カ―
JP4043340B2 (ja) コーヒー又は紅茶用ドリッパー
CN210631087U (zh) 出水控制装置及饮品冲泡容器
CN215914061U (zh) 一种泡茶套杯
JP7350032B2 (ja) 茶こし付き飲用ボトル
KR101043783B1 (ko)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