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627Y1 - 확장 및 분리 가능형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확장 및 분리 가능형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627Y1
KR200491627Y1 KR2020190002014U KR20190002014U KR200491627Y1 KR 200491627 Y1 KR200491627 Y1 KR 200491627Y1 KR 2020190002014 U KR2020190002014 U KR 2020190002014U KR 20190002014 U KR20190002014 U KR 20190002014U KR 200491627 Y1 KR200491627 Y1 KR 200491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air
connectors
heat exchang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에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에이스
Priority to KR2020190002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21D41/026Enlarging by means of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02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on an external or internal cylindrical or conical surface, e.g. on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0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dismountable joints
    • F28F9/1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dismountable joints by force-jo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12Fastening; Joining by methods involving deformation of the elements
    • F28F2275/125Fastening; Joining by methods involving deformation of the elements by bringing elements together and expa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에 단일화된 열교환기를 확장 및 분리가 가능한 열교환기로 개선되도록 하여 열교환기를 필요에 따라 수월하게 확장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것으로서, 프레임(11)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튜브(12) 일측에 흡입측헤더(14)와 토출측헤더(14')가 있고, 타측으로 튜브(12)가 개방되는 투입회수모듈(10) 및 프레임(11)에 고정되는 튜브(12)가 유턴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으로 튜브(12)가 개방되는 유턴모듈(10')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투입회수모듈(10) 및 유턴모듈(10')의 일측면 형태로 금속부재를 절단하여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컨넥터(20,20')를 구비하되, 상기 한쌍의 컨넥터(20,20')가 상호 밀착하는 일면부를 커팅하고 연마하여 평평한 상태의 평활면(20a)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컨넥터(20,20')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튜브결합공(21) 내주면에 형성된 한쌍의 몰입홈부(22)에는 튜브(12) 끝단부(12a) 내주면을 외주면 방향으로 가압시켜 튜브(12) 외주면 부분이 튜브결합공(21)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일부가 몰입홈부(22)내로 강제로 인입되어 고정되고, 가압볼트(28)에 의해 상호 밀착되게 결합되는 한쌍의 컨넥터(20,20')의 튜브결합공(21) 외측으로 각각 한쌍의 열매체압력조절홈(26)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시켜 상호 연통되도록 하여, 하나의 열매체압력조절홈(26)에서 상호 인접된 다른 하나의 열매체압력조절홈(26)으로 열매체가 이동시에 열매체의 이송압력이 분산되었다가 다시 상승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확장 및 분리 가능형 열교환기{Expandable and separable heat exchanger}
본 고안은 산업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매체가 이동하는 튜브가 채용되는 열교환기를 가변이 가능 하도록 구현한 확장 및 분리 가능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열교환기는 열 교환의 수단인 열매체가 냉매와 같은 가스이거나 또는 물, 스팀을 매체로 하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 하여 내부에 공급 하는 실내기용 열교환기와 이와 반대로 외부의 공기 또는 유기체를 이용하여 열 교환기 내부의 매체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공급하는 실외기용 열교환기로 광범위 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보급되고 있는 열교환기의 경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으로 기재된 열교환기와 같이 단일화된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추후에 확장 또는 수정이 불가능 하며 열교환기 교체의 경우 장소의 제약으로 기존 제품과 동일한 제품을 반입할 수가 없어 설치가 불가능 하거나, 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작은 크기의 열교환기를 설치함으로써 그 기능에 못 미치는 열 공급으로 인해 생산제품의 불량 또는 쾌적하지 못한 근로환경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빌딩과 같은 건물에 설치되는 열교환기는 주로 대용량이 설치되므로 그 길이나 크기가 비교적 큰 열교환기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빌딩과 같은 건물의 경우에는 배관이나 빌딩 골격이 완성된 후에 열교환기가 설치됨에 따라 열교환기를 좁은 이동로를 통해서 이동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의 교체도 곤란한 경우가 많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으며, 그 원인은 빌딩 건설 당시에는 대형 열교환기 반입이 가능하나 완공후에는 반입이 불가능한 사후관리를 염두에 두지 않는 건축설계 및 건축으로 인하여 노후화된 열교환기의 교체가 곤란한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자는 열교환기를 수월하게 확장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를 연구하기에 이르게 된 것이다.
KR 10-1847119 B1 2018.04.16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에 단일화된 열교환기를 확장 및 분리가 가능한 열교환기로 개선되도록 하여 열교환기를 필요에 따라 수월하게 확장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확장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하될 수 있는 내구성과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개선된 확장 및 분리가 가능한 열교환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를 매우 수월하게 확장 및 분리작업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프레임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튜브 일측에 흡입측헤더와 토출측헤더가 있고, 타측으로 튜브가 개방되는 투입회수모듈 및 프레임에 고정되는 튜브가 유턴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으로 튜브가 개방되는 유턴모듈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투입회수모듈 및 유턴모듈의 일측면 형태로 금속부재를 절단하여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컨넥터 를 구비하되, 상기 한쌍의 컨넥터가 상호 밀착하는 일면부를 커팅하고 연마하여 평평한 상태의 평활면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컨넥터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튜브결합공 내주면에 형성된 한쌍의 몰입홈부에는 튜브 끝단부 내주면을 외주면 방향으로 가압시켜 튜브 외주면 부분이 튜브결합공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일부가 몰입홈부내로 강제로 인입되어 고정되고, 가압볼트에 의해 상호 밀착되게 결합되는 한쌍의 컨넥터의 튜브결합공 외측으로 각각 한쌍의 열매체압력분산홈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시켜 상호 연통되도록 하여, 하나의 열매체압력분산홈에서 상호 인접된 다른 하나의 열매체압력조절홈으로 열매체가 이동시에 열매체의 이송압력이 분산되었다가 다시 상승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되게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확장 및 분리가 가능한 열교환기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분리한 상태에서 설치장소까지 운반한후 설치장소에서 확장시켜서 열교환기 가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열교환기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확장시킨 상태에서 열매체 이송압력이 작용하여도 누수가 전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견고하고 부식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확보된 확장 및 분리가 가능한 열교환기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제품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체결볼트를 간단히 체결하고 해지하는 작업만으로도 열교환기를 확장 및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수월한 열교환기 확장 및 분리작업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확장 및 분리가 가능형 열교환기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고안이 실시되어 확장된 상태의 열교환기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되어 확장된 상태의 열교환기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이 실시되어 확장된 상태의 열교환기의 일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의 컨넥터 분리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의 정면 구성상태도,
도 7은 도 6의 A-A를 단면한 상태의 컨넥터의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확관고정공정을 설명하는 사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간의 열매체 이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더욱 명확히 이해될 수 있도록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제조방법과 구조를 설명하면 더욱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는 크게 구분하여 냉수나 온수와 같은 열매체가 투입되고 회수되는 투입회수모듈(10) 및 열매체가 유턴하여 이동되는 유턴모듈(10')로 분할된 구성을 갖는다.
투입회수모듈(10) 및 유턴모듈(10')은, 각각 프레임(11) 내부에 열매체가 이동되는 튜브(12)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튜브(12) 외측으로는 열교환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는 열교환판(13)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1)과 튜브(12) 및 열교환판(13)이 구비되는 구성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투입회수모듈(10)은 일측에 튜브(12)의 양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흡입측헤더(14) 및 토출측헤더(14')를 각각 구비한다. 부호 14a는 흡입구이고, 부호 14b는 토출구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열교환기 구성은 이미 알려진 것이나, 본 고안은 투입회수모듈(10) 및 유턴모듈(10')로 등분되게 구성하는 동시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회수모듈(10) 및 유턴모듈(10')이 서로 마주하는 쪽의 튜브(12) 끝단부(12a)가 프레임(11) 일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수모듈(10) 및 유턴모듈(10')이 서로 마주하는 쪽의 각각의 프레임(11)에 볼트(15)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컨넥터(20,20')를 구비하여 투입회수모듈(10)과 유턴모듈(10')이 상호 결합되게 함으로써 열교환기가 확장되게 할 수 있는 것이고, 반대로 한쌍의 컨넥터(20,20')를 분리함으로써 투입회수모듈(10)과 유턴모듈(10')이 각각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프레임(11)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튜브(12) 일측에 흡입측헤더(14)와 토출측헤더(14')가 있고, 타측으로 튜브(12)가 개방되는 투입회수모듈(10)과, 프레임(11)에 고정되는 튜브(12)가 유턴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으로 튜브(12)가 개방되는 유턴모듈(10')을 각각 구비하여 상호 결합되고 분리되도록 하는 제조방법이 실시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1공정은 컨넥터형체형성공정(S1)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공정은 두터운 철과 같은 금속판부재를 절단하여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1)의 일측면과 동일한 형태의 컨넥터 (20,20')를 절단하는 공정이다. 이때 금속판부재는 12~15mm 두께의 두터운 두께를 갖도록 하여 절단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제2공정으로 컨넥터평활면형성공정(S2)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CNC밀링으로 한쌍의 컨넥터(20,20')가 상호 밀착하는 일면부를 커팅하고 연마하여 평평한 상태의 평활면(20a)이 되도록 하는 공정이 실시되는 것이다.
다음, 제3공정으로 튜브결합공 및 체결공과 나사공형성공정(S3)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공정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릴과 같은 절삭공구에 의해서 절삭되어 다수의 튜브결합공(21)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튜브결합공(21) 내주면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몰입홈부(22)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또한, 다수의 튜브결합공(21) 외측으로는 오링홈(23)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오링홈(23)은 한쌍의 컨넥터(20,20') 중에 어는 하나의 컨넥터(20')에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쌍의 컨넥터(20,20') 중에 어는 하나의 컨넥터(20)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결합공(21) 외측으로는 사방으로 등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24)이 형성되게 하고, 다른 하나의 컨넥터(20)에는 상기한 체결공(24)과 대응하는 나사공(24')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공(24) 및 나사공(24') 외측에는 프레임(11)에 볼트(15)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나사홈(25)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다음, 제4공정으로 열매체압력분산홈형성공정(S4)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공정은 도 6과 도 7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컨넥터(20,20')의 튜브결합공(21) 외측으로 각각 열매체압력조절홈(26)이 상호 대응되도록 하여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공정이며, 상기 열매체압력조절홈(26)은 튜브결합공(21)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직경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다음, 제5공정으로 컨넥터표면처리공정(S5)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공정은 컨넥터(20,20')의 전체 표면에 크롬도금이 되도록 하는 공정이다. 이와 같이 크롬도금이 실시되면 철금속으로 이루어진 컨넥터(20,20')의 부식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열교환기의 수명증대가 도모될 뿐만 아니라 컨넥터(20,20')의 전체 표면이 더욱 평평해질 수 있어서 평활도가 상승된다.
다음, 제6공정으로 컨넥터고정공정(S6)이 실시되며, 이 공정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15)가 프레임(11)을 관통하여 나사홈(25)에 체결되게 하여 한쌍의 컨넥터(20,20')가 각각 투입회수모듈(10) 및 유턴모듈(10')의 프레임(11)에 각각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도 5에 나타낸 프레임(11) 일측으로 돌출된 튜브(12) 끝단부(12a)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결합공(21)으로 삽입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튜브결합공 및 체결공과 나사공형성공정(S3) 다음 공정으로, 컨넥터고정공정(S6)이 실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열매체압력분산홈형성공정(S4) 및 컨넥터고정공정(S6)은 튜브결합공 및 체결공과 나사공형성공정(S3) 이후에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그 이유는 컨넥터(20,20') 재질에 따라 적절하게 추가하여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제7공정으로 튜브확관고정공정(S7)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공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관기(H)를 이용하여 튜브결합공(21)내에 삽입된 튜브(12) 끝단부(12a)를 외주면 방향으로 가압하여 확관되도록 함에 따라 튜브(12) 외주면 부분이 튜브결합공(21)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일부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몰입홈부(22)내로 강제로 인입되는 상태가 되어서 튜브결합공(21)에 튜브(12) 끝단부(12a)가 고정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정이다. 그러므로 튜브(12)는 재질 특성상 경도가 낮은 동관이 채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제7공정으로 컨넥터외곽누수방지공정(S8)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공정은 어느 하나의 컨넥터(20') 사방으로 형성된 오링홈(23)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링(27)을 끼워서 장착되게 하는 공정이다.
다음, 제8공정으로 컨넥터가압고정공정(S9)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공정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컨넥터(20) 사방에 있는 체결공(24)을 가압볼트(28)가 관통하여 상대적으로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컨넥터(20')의 나사공(24')에 강하게 체결되게 하는 공정이며, 상기 가압볼트(28)를 강하게 조이게 되면 될 수록 한쌍의 컨넥터 (20,20')가 서로 강한 가압력으로 밀착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한쌍의 컨넥터 (20,20') 상호 밀착된 면이 절삭 및 연삭되어 매우 평평한 상태이기 때문에 밀착된 면 사이에 미세한 틈새도 없도록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투입회수모듈(10)의 튜브(12)로 이동하는 열매체가 열매체압력조절홈(26)으로 이동하게 되면 공간이 확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열매체의 이송압력이 사방으로 분산되어 급속히 떨어지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상호 밀착된 한쌍의 컨넥터(20,20')의 밀착된 면으로 열매체가 파고 들어갈 수 있는 압력이 저하됨으로써 한쌍의 컨넥터(20,20')의 상호 밀착된 평활면(20a)으로 열매체가 스며들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때에는 상호 가압되는 한쌍의 컨넥터(20,20')의 밀착력이 급속히 떨어지는 열매체 이송압력보다 더 강하기 때문에 한쌍의 컨넥터(20,20')의 밀착된 평활면(20a)으로 열매체가 스며들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열매체압력조절홈(26)의 열매체가 유턴모듈(10')의 튜브(12)로 이송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에는 열매체압력조절홈(26)이 점차적으로 공간이 축소될 뿐만 아니라 열매체압력조절홈(26)의 단면적보다 튜브(12)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유체가 넓은공간에서 좁은공간으로 이동되면 유속이 빠르게 되고 압력이 상승되는 것처럼 유턴모듈(10')의 튜브(12)로 유입되는 열매체의 이송압력이 원래 상태로 상승 되어서 이송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열매체의 이송속도가 저하되지 않고 양호하게 이송됨으로써 투입회수모듈(10)과 유턴모듈(10')로 양분되어 상호 결합되어도 열교환효율이 저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열교환기는, 프레임(11)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튜브(12) 일측에 흡입측헤더(14)와 토출측헤더(14')가 있고, 타측으로 튜브(12)가 개방되는 투입회수모듈(10) 및 프레임(11)에 고정되는 튜브(12)가 유턴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으로 튜브(12)가 개방되는 유턴모듈(10')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투입회수모듈(10) 및 유턴모듈(10')의 일측면 형태로 금속부재를 절단하여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컨넥터(20,20')를 구비하되, 상기 한쌍의 컨넥터(20,20')가 상호 밀착하는 일면부를 커팅하고 연마하여 평평한 상태의 평활면(20a)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컨넥터(20,20')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튜브결합공(21) 내주면에 형성된 한쌍의 몰입홈부(22)에는 튜브(12) 끝단부(12a) 내주면을 외주면 방향으로 가압시켜 튜브(12) 외주면 부분이 튜브결합공(21)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일부가 몰입홈부(22)내로 강제로 인입되어 고정되고, 가압볼트(28)에 의해 상호 밀착되게 결합되는 한쌍의 컨넥터(20,20')의 튜브결합공(21) 외측으로 각각 한쌍의 열매체압력조절홈(26)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시켜 상호 연통되도록 하여, 하나의 열매체압력조절홈(26)에서 상호 인접된 다른 하나의 열매체압력조절홈(26)으로 열매체가 이동시에 열매체의 이송압력이 분산되었다가 다시 상승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9에 나타낸 가압볼트(28)를 해지하면 한쌍의 컨넥터 (20,20')가 분리되어서 투입회수모듈(10)과 유턴모듈(10')이 수월하게 양분되게 분리되는 것이고, 반대로 서로 결합하여 확장되게 할 경우에는 다시 가압볼트(28)만 체결하면 되므로 열교환기의 확장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열교환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설치장소까지 운반한후 설치장소에서 결합시켜 확장시켜서 열교환기가 가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열교환기 설치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확장시킨 상태에서 열매체 이송압력이 작용하여도 누수가 전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견고하고 부식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확보된 확장 및 분리가 가능한 열교환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체결볼트를 간단히 체결하고 해지하는 작업만으로도 열교환기를 확장 및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수월한 열교환기 확장 및 분리작업이 도모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투입회수모듈(10)과 유턴모듈(10') 사이에 한쌍의 컨넥터 (20,20')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중간모듈을 더 결합하여 더 기다란 열교환기를 구현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투입회수모듈 10':유턴모듈
11:프레임 12:튜브
12a:끝단부 13:열교환판
14:흡입측헤터 14':토출측헤더
14a:흡입구 14b:토출구
14c:가지관 15:볼트
20,20':컨넥터 20a:평활면
21:튜브 22:몰입홈부 23:오링홈 24:체결공
25:나사홈 26:열매체압력조절홈
27:오링 28:가압볼트

Claims (1)

  1. 프레임(11)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튜브(12) 일측에 흡입측헤더(14)와 토출측헤더(14')가 있고, 타측으로 튜브(12)가 개방되는 투입회수모듈(10) 및 프레임(11)에 고정되는 튜브(12)가 유턴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으로 튜브(12)가 개방되는 유턴모듈(10')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투입회수모듈(10) 및 유턴모듈(10')의 일측면 형태로 금속부재를 절단하여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컨넥터(20,20')를 구비하되, 상기 한쌍의 컨넥터(20,20')가 상호 밀착하는 일면부를 커팅하고 연마하여 평평한 상태의 평활면(20a)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컨넥터(20,20')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튜브결합공(21) 내주면에 형성된 한쌍의 몰입홈부(22)에는 튜브(12) 끝단부(12a) 내주면을 외주면 방향으로 가압시켜 튜브(12) 외주면 부분이 튜브결합공(21)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일부가 몰입홈부(22)내로 강제로 인입되어 고정되고;
    가압볼트(28)에 의해 상호 밀착되게 결합되는 한쌍의 컨넥터(20,20')의 튜브결합공(21) 외측으로 각각 한쌍의 열매체압력조절홈(26)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시켜 상호 연통되도록 하여, 하나의 열매체압력조절홈(26)에서 상호 인접된 다른 하나의 열매체압력조절홈(26)으로 열매체가 이동시에 열매체의 이송압력이 분산되었다가 다시 상승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및 분리 가능형 열교환기.
KR2020190002014U 2019-05-18 2019-05-18 확장 및 분리 가능형 열교환기 KR200491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14U KR200491627Y1 (ko) 2019-05-18 2019-05-18 확장 및 분리 가능형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14U KR200491627Y1 (ko) 2019-05-18 2019-05-18 확장 및 분리 가능형 열교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516 Division 2018-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627Y1 true KR200491627Y1 (ko) 2020-05-12

Family

ID=7061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014U KR200491627Y1 (ko) 2019-05-18 2019-05-18 확장 및 분리 가능형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2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6468U (ko) * 1986-04-08 1987-10-22
JPH0473785U (ko) * 1990-10-16 1992-06-29
JPH09292198A (ja) * 1996-04-25 1997-11-11 Mitsubishi Heavy Ind Ltd 熱交換器、熱交換器用管支持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47119B1 (ko) 2016-09-28 2018-04-16 주식회사 우성에이스 워터해머 방지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6468U (ko) * 1986-04-08 1987-10-22
JPH0473785U (ko) * 1990-10-16 1992-06-29
JPH09292198A (ja) * 1996-04-25 1997-11-11 Mitsubishi Heavy Ind Ltd 熱交換器、熱交換器用管支持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47119B1 (ko) 2016-09-28 2018-04-16 주식회사 우성에이스 워터해머 방지 열교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2852A (en) Assembly for perfecting fluid distribution in multiple conduits
KR980003345A (ko) 열교환장치, 이의 냉매 재사용 및 회수방법
EP2778559B1 (en) Heat exchanger and body therefore, and a method for forming a heat exchanger body
US8052174B2 (en) Pipe joint design
US20120012291A1 (en) Plate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air conditioner
CN103836228B (zh) 双路进水水龙头预埋部及埋入墙壁式双路进水水龙头
KR200491627Y1 (ko) 확장 및 분리 가능형 열교환기
KR20110042844A (ko) 너트자리와 제어봉결합판이 구비된 일체형 플랜지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US20120186796A1 (en) Heat exchanger device and use thereof
EP2962055B1 (en) Fin solution related to micro channel based heat exchanger
KR20170051632A (ko) 하이드로 성형방법을 활용한 시스템 에어컨 설치용 유자(u)형 분지관의 성형 방법
CA2865522C (en) Efficient lamination press with thin flexible platens
CN213899068U (zh) 一种汽轮机高、中压缸猫爪支撑垫块
US20080251244A1 (en) Three Pipe System
WO2005095841A1 (ja) 配管接続構造
CN207866062U (zh) 一种具有活套法兰接头的双工况同步油水换热器
CN105642771A (zh) 一种换热器的制造方法
KR20130070257A (ko) 공기조화기용 배관연결구조
CH688356A5 (it) Radiatore composto da elementi radianti e membri di supporto collegati per mezzo di accoppiamento forzato.
CN220320564U (zh) 管道安装对口装置
CN216953499U (zh) 一种可拆卸的换热结构
CN205479918U (zh) 一种复合管道高压增强金属接头
CN2378602Y (zh) 一种地下直埋热力管道穿路套管
CN213421426U (zh) 一种适合装配式建筑的架空式辐射换热装置
CN214037376U (zh) 一种采用计算机仿形技术的快速拆卸保温罩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