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311Y1 - 난간 - Google Patents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311Y1
KR200491311Y1 KR2020200000496U KR20200000496U KR200491311Y1 KR 200491311 Y1 KR200491311 Y1 KR 200491311Y1 KR 2020200000496 U KR2020200000496 U KR 2020200000496U KR 20200000496 U KR20200000496 U KR 20200000496U KR 200491311 Y1 KR200491311 Y1 KR 200491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nnector
connecting bar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철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로드 filed Critical (주)엠에스로드
Priority to KR2020200000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3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3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attached to the front fac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73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using fixing devices encircling, partially or fully, the post
    • E04H2017/146
    • E04H2017/147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 부품의 수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지주 및 연결바의 현장 조립의 시공성과 함께 안정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난간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지주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 및 제2연결바; 및 상기 지주와 상기 제1연결바 및 상기 제2연결바를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구는 제1체결공을 가지며 상기 지주의 외측면에 면 접촉되도록 상기 지주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지주결합부가 마련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바의 단부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을 가지는 제1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타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바의 단부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을 가지는 제2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체결공을 관통하는 제1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연결구몸체; 및 상기 연결구몸체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인접한 일단부에는 제3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인접한 타단부에는 제4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3관통공을 관통하는 제2체결부재 및 상기 제4관통공을 관통하는 제3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연결바 및 상기 제2연결바에 결합되는 연결구캡;을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난간{GUARDRAIL}
본 고안은 난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주 및 연결바의 현장 조립의 시공성과 함께 안정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난간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주변 뿐만 아니라, 공원, 등산로, 및 자전거 도로의 가장자리 또는 사람이 통행하는 인도의 주변에 설치되어, 경계를 표시하거나 특정 장소에 침입을 막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울타리 형태로서 휀스(이하, 난간이라고 한다)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지면에 하단 일부분이 매설되면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이격 배치되는 지주와, 지주를 연결하도록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연결바와, 지주와 연결바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한다.
기존 난간은 지주와 연결바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의 부품 수가 많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난간의 조립 시공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많은 부품 수와 구조가 복잡한 연결구의 가공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많은 부품 수와 구조가 복잡한 연결구로 인하여, 연결 부분에 충분한 강도가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차량이나 자전거 및 보행자가 부딪힐 경우 난간의 연결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 난간은 지주의 내측에 연결구를 마련하고 있어 조립에 불편한 문제가 있고, 이러한 연결구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딱딱한 소재의 지주가 보호 영역에 그대로 노출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보행자나 자전거 사용자가 지주에 부딪힐 경우에는 큰 부상을 입는 등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연결 부품의 수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지주 및 연결바의 현장 조립의 시공성과 함께 안정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난간의 결합 구조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53523호(2013.04.17.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연결 부품의 수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지주 및 연결바의 현장 조립의 시공성과 함께 안정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난간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은, 지주; 상기 지주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 및 제2연결바; 및 상기 지주와 상기 제1연결바 및 상기 제2연결바를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연결구는, 제1체결공을 가지며 상기 지주의 외측면에 면 접촉되도록 상기 지주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지주결합부가 마련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바의 단부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을 가지는 제1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타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바의 단부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을 가지는 제2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전방 단부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의 전방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체결공을 관통하는 제1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연결구몸체; 및 상기 연결구몸체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연결구몸체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인접한 일단부에는 제3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인접한 타단부에는 제4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3관통공을 관통하는 제2체결부재 및 상기 제4관통공을 관통하는 제3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연결바 및 상기 제2연결바에 결합되는 연결구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캡은 상기 연결구몸체의 평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구조를 이루며, 하부면 가장자리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위치결정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는 상기 제2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체결공을 가지며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구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길이를 가지는 제1삽입단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관통공에서 상기 제1체결공까지의 직선거리는 상기 제1길이의 두배보다 클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에 있어서, 상기 제3관통공 및 상기 제4관통공은 상기 제1연결바 및 상기 제2연결바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캡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강도 보강용 보강부를 더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최소 부품을 갖는 연결구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지주 및 연결바의 조립 시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바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하중이 난간의 연결 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구의 후면 일단부가 제1체결부재를 통해 지주에 결합되고 연결구의 양측면 타단부가 제2체결부재 및 제3체결부재를 통해 제1연결바 및 제2연결바에 결합되므로, 충격에 의해 연결바가 손상되더라도 지주의 교체 없이 손상된 연결바 및 연결구만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관리의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충돌이 예상되는 지주의 전방에 연결바를 배치함으로써, 보행자나 자전거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딱딱한 소재의 지주에 부딪히지 않고 상대적으로 충격 흡수가 가능한 연결바에 충돌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나 자전거 사용자의 부상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의 일부분을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연결구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예시도로서, (a) 도면은 측단면도이고, (b) 도면은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와 연결바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로서, (a) 도면은 측단면도이고, (b) 도면은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와 연결바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a) 도면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 도면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몸체와 지주의 결합 상태를 보이는 예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의 일부분을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연결구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와 연결바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은 지주(10), 제1연결바(20), 제2연결바(30) 및 연결구(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10)는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지주(10)는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하단 일부분이 지면에 매설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혹은 도시된 바와 달리 지주(10)는 하단부에 지면에 결합되는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부는 앵커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주(10)는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체결공이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공은 지주(10)의 높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공에는 제1체결부재(60)가 체결될 수 있으며, 제1체결부재(60)는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주(10)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지주(10)의 상단부에는 지주캡(13)이 결합될 수 있으며, 지주캡(13)은 지주(10)의 내측으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연결바(20)는 이웃하는 지주(10)를 연결하도록 지주(10) 사이에 횡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단부에는 제2체결공(21a)을 가지며 연결구(4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삽입단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체결공(21a)에는 제2체결부재(70)가 체결될 수 있으며, 제2체결부재(70)는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바(30)는 이웃하는 지주(10)를 연결하도록 지주(10) 사이에 횡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단부에는 제3체결공(31a)을 가지며 연결구(4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삽입단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제3체결공(31a)에는 제3체결부재(80)가 체결될 수 있으며, 제3체결부재(80)는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는 하나의 지주(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되, 제1삽입단부(21) 및 제2삽입단부(31)가 지주(10)에 결합된 하나의 연결구(40) 내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연결구(40)는 하나의 지주(10)에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지주(10)의 전방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가 지주(10)의 전방을 가로지르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40)는 연결구몸체(41) 및 연결구캡(4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구몸체(41)는 고정플레이트(411), 제1지지플레이트(413), 제2지지플레이트(415) 및 연결플레이트(417)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411)는 지주(10)에 고정 결합되는 부분으로, 플레이트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중간부에는 지주(10)에 결합되는 지주결합부(412)가 구비될 수 있다.
지주결합부(412)는 지주(10)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을 가지는 지주(10)의 경우 지주결합부(412)는 지주(10)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만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주결합부(412)의 중앙부에는 제1체결부재(60)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체결공(412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주결합부(412)를 지주(10)의 외측면에 밀착 시킨 상태에서 제1체결공(412a)은 지주(10)의 체결공과 일치될 수 있고, 지주(10)의 체결공 및 제1체결공(412a)을 관통하여 제1체결부재(60)를 체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면에 수직상태로 배치된 지주(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는 정확히 수평상태로 연결 시공될 수 있다.
제1지지플레이트(413)는 플레이트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고정플레이트(411)의 일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플레이트(413)는 제1연결바(20)의 제1삽입단부(21)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1관통공(413a)을 가질 수 있다. 제1관통공(413a)은 제1삽입단부(21)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지지플레이트(415)는 플레이트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고정플레이트(411)의 타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플레이트(415)는 제2연결바(30)의 제2삽입단부(31)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2관통공(415a)을 가질 수 있다. 제2관통공(415a)은 제2삽입단부(31)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417)는 제1지지플레이트(413)의 전방 단부와 제2지지플레이트(415)의 전방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정플레이트(411), 제1지지플레이트(413), 제2지지플레이트(415) 및 연결플레이트(417)를 포함하는 연결구몸체(41)는 평면 상에서 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대략적으로 직사각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구캡(43)은 연결구몸체(41)의 상부를 덮도록 연결구몸체(41)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으며, 연결구몸체(41)의 평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캡(43)은 연결구몸체(41)의 내측으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구캡(43)은 제1지지플레이트(413)에 인접한 일단부에 제3관통공(431)이 구비될 수 있고, 제2지지플레이트(415)에 인접한 타단부에 제4관통공(432)이 구비될 수 있다. 제3관통공(431)은 제2체결부재(70)가 관통될 수 있고, 제4관통공(432)은 제3체결부재(80)가 관통될 수 있다.
제3관통공(431)은 제1연결바(20)의 길이방향인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일 수 있고, 제4관통공(432)은 제2연결바(30)의 길이방향인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일 수 있다.
이처럼 장공 구조를 이루는 제3관통공(431) 및 제4관통공(432)을 통하여, 제1연결바(20)의 제1삽입단부(21) 및 제2연결바(30)의 제2삽입단부(31)의 삽입 깊이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제1연결바(20)의 제2체결공(21a) 및 제2연결바(30)의 제3체결공(31a)을 향하여 제2체결부재(70) 및 제3체결부재(80)의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장공 구조를 이루는 제3관통공(431) 및 제4관통공(432)을 통하여,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에 보행자나 차량 충돌 등 외력이 작용할 시, 제2체결부재(70)와 제3관통공(431) 및 제3체결부재(80)와 제4관통공(432) 사이의 유격만큼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가 횡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전후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행자나 차량 측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감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간의 연결부분에 충격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캡(43)은 제2체결부재(70) 및 제3체결부재(80)의 체결 과정 즉, 제1연결바(20)의 제2체결공(21a) 및 제2연결바(30)의 제3체결공(31a)을 각각 관통한 볼트부재의 단부에 너트부재를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연결구몸체(41)의 상부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안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연결구캡(43)은 하부면 가장자리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위치결정돌출부(43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구몸체(41)의 상부에 연결구캡(43)을 안착시키는 것과 동시에 위치결정돌출부(433)는 연결구몸체(41)의 내측면 모서리 영역에 삽입될 수 있고, 위치결정돌출부(433)가 고정플레이트(411), 제1지지플레이트(413), 제2지지플레이트(415) 및 연결플레이트(417)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연결구캡(43)은 연결구몸체(4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결정돌출부(433)는 하방으로 가며 단면 형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상광하협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구몸체(41)의 상부에 연결구캡(43)을 안착시킬 시, 각각의 위치결정돌출부(433)는 고정플레이트(411), 제1지지플레이트(413), 제2지지플레이트(415) 및 연결플레이트(417)가 연결되는 모서리 영역에 압입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구캡(43)은 길이방향인 횡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보강부(434)를 더 가질 수 있다.
보강부(434)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를 프레스의 누름돌부로 눌러 플레이트 상에 굴곡부를 성형하는 것으로 보강부(434)를 형성할 수 있고, 이와 달리, 두께가 증대되도록 보강부(434)를 돌출 형성하는 것으로 보강부(43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강부(434)는 연결구캡(43)의 굽힘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로 또는 인도 주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면에 지주(10)를 수직하게 압입 시공한다.
이후, 지주(10)의 전방 일면에 연결구몸체(41)를 결합시킨다. 즉, 연결구몸체(41)의 지주결합부(412)를 지주(10)의 전방 외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지주(10)의 체결공 및 연결구몸체(41)의 제1체결공(412a)에 제1체결부재(60)의 볼트부재를 관통시킨 후 연결구몸체(41)의 제1체결공(412a)을 관통한 볼트부재의 단부에 너트부재를 나사 결합시켜 체결한다.
이렇게 제1체결부재(60)를 이용한 지주(10)와 연결구몸체(41)의 결합이 완료되면, 지주(10)의 상단부에 지주캡(13)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후, 연결구몸체(41)에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를 결합 시공하게 되는데, 먼저, 연결구몸체(41)의 제1관통공(413a)를 향해 제1연결바(20)의 제1삽입단부(21)를 삽입시키고, 연결구몸체(41)의 제2관통공(415a)를 향해 제2연결바(30)의 제2삽입단부(31)를 삽입시킨다.
이후, 연결구몸체(41)의 상부에 연결구캡(43)을 안착시킨다.
이후, 연결구캡(43)의 제3관통공(431) 및 제1삽입단부(21)의 제2체결공(21a)을 관통하여 제2체결부재(70)의 볼트부재를 관통시킨 후 제1삽입단부(21)의 제2체결공(21a)을 관통한 볼트부재의 단부에 너트부재를 나사 결합시켜 체결한다.
마찬가지, 연결구캡(43)의 제4관통공(432) 및 제2삽입단부(31)의 제3체결공(31a)을 관통하여 제3체결부재(80)의 볼트부재를 관통시킨 후 제2삽입단부(31)의 제3체결공(31a)을 관통한 볼트부재의 단부에 너트부재를 나사 결합시켜 체결한다.
이처럼 하나의 지주(10)에 대하여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면서 난간의 조립 시공을 간단히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연결구몸체(41)의 상부에 연결구캡(43)을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연결구캡(43)의 위치결정돌출부(433)는 연결구몸체(41)의 내측면 모서리 영역에 삽입될 수 있고, 위치결정돌출부(433)가 고정플레이트(411), 제1지지플레이트(413), 제2지지플레이트(415) 및 연결플레이트(417)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연결구캡(43)은 연결구몸체(4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혹은, 제2체결부재(70) 및 제3체결부재(80)를 체결시키는 과정 즉, 제1연결바(20)의 제2체결공(21a) 및 제2연결바(30)의 제3체결공(31a)을 각각 관통한 볼트부재의 단부에 너트부재를 나사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연결구캡(43)의 위치결정돌출부(433)는 연결구몸체(41)의 내측면 모서리 영역에 삽입될 수 있고, 위치결정돌출부(433)가 고정플레이트(411), 제1지지플레이트(413), 제2지지플레이트(415) 및 연결플레이트(417)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연결구캡(43)은 연결구몸체(4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제1관통공(413a)을 관통하여 연결구몸체(41)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연결바(20)의 제1삽입단부(21)는 제1길이(D1)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이웃하는 지주(10)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미리 시공되어 있고, 이러한 지주(10)에 미리 결합된 채 이웃하는 연결구몸체(41)에 제1연결바(2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이웃하는 연결구몸체(41) 중 한쪽 연결구몸체(41)를 향해 제1연결바(20)의 일단부를 먼저 삽입시키고, 이후, 제1연결바(20)를 반대방향으로 약간 분리시키면서 제1연결바(20)의 타단부가 나머지 다른쪽 연결구몸체(41)에 삽입될 수 있고, 이로써, 제1연결바(20)는 이웃하는 연결구몸체(41)에 양단부가 삽입된 가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구몸체(41)의 제1관통공(413a)에서 제1체결공(412a)까지의 횡방향 직선거리(D2)는 제1삽입단부(21)가 가지는 제1길이(D1)의 두배보다 큰 거리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이웃하는 연결구몸체(41)에 제1연결바(20)를 가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1연결바(20)의 양측 단부가 이웃하는 다른 연결바 및 제1체결부재(60)에 간섭됨이 없이 원활한 조립 시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은 도 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가 지주(10)의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보도용 난간 및 자전거 도로용 난간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은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가 지주(10)의 최 상단 일부영역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이때, 지주(10)의 하단부에는 도로용 가드레일(5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로용 가드레일(5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도로용 가드레일(50)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드레일(50)은 연결구(40)가 배제된 상태에서 제1체결부재(60)를 통해 지주(10)의 체결공에 직접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와 연결바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캡(43)은 제1완충부재(435) 및 제2완충부재(4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완충부재(435)는 제2체결부재(70)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가지며 장공 구조를 이루는 연결구캡(43)의 제3관통공(431)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1완충부재(435)는 우레탄 고무 등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완충부재(436)는 제3체결부재(80)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가지며 장공 구조를 이루는 연결구캡(43)의 제4관통공(432)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2완충부재(436)는 우레탄 고무 등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장공 구조를 이루는 제3관통공(431) 및 제4관통공(432)에 제1완충부재(435) 및 제2완충부재(436)를 설치함으로써,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에 보행자나 차량 충돌 등 외력이 작용할 시, 제2체결부재(70)와 제3관통공(431) 및 제3체결부재(80)와 제4관통공(432) 사이의 유격만큼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가 횡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전후방향으로 휘어지는 과정에서, 보행자나 차량 측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간의 연결부분에 집중되는 충격 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몸체(41)의 지주결합부(412)는 메인지주결합부(4120) 및 보조지주결합부(412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지주결합부(4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주(10)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제1체결부재(60)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체결공(412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지주결합부(4120)를 지주(10)의 외측면에 밀착 시킨 상태에서 수직상태로 배치된 지주(10)에 대하여 연결구몸체(41)의 제1관통공(413a) 및 제2관통공(415a)은 정확히 수평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 역시 수평상태로 연결 시공될 수 있다.
보조지주결합부(4122)는 고정플레이트(411)의 평탄부와 메인지주결합부(4120)의 경계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지주결합부(4122)는 고정플레이트(411)의 중앙부에서 상측 및 하측으로 이어지며 지주(10)의 외측면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이격되도록 굴곡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지주결합부(4122)는 메인지주결합부(4120)의 전체 영역이 지주(1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지주(1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보조지주결합부(4122)의 일부분이 지주(1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연결구몸체(41)는 제1체결공(412a)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지주결합부(4122)은 지주(10)에 결합되는 연결구몸체(41)의 설치 각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주(10)에 접촉되는 면적을 좁게 형성할 경우에는 연결구몸체(41)가 지주(10)로부터 작은 각도 범위에서 회전될 수 있고, 지주(10)에 접촉되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할 경우에는 연결구몸체(41)가 지주(10)로부터 큰 각도 범위에서 회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40)는 기본적으로 수평한 지면에 난간을 수평한 상태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지주(10)와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의 시공 과정에서는 작업 및 외부 요인에 따라 지주(10) 혹은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에 미세한 위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주(10)는 압입 시공되는 과정에서 지면에 대한 수직선으로부터 미세하게 어긋난 상태로 시공될 수 있는데, 정확한 수직상태로 시공되지 못한 지주(10)에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몸체(41)의 지주결합부(412:도 2 참조)를 결합시키면, 연결구몸체(41)의 제1관통공(413a) 및 제2관통공(415a)이 정확히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수평선으로부터 미세하게 어긋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주(10)를 압입 시공하는 과정에서 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지주(10)의 높이에서 미세한 편차가 발생될 수 있는데, 미세한 높이 편차를 갖는 지주(10)에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몸체(41)의 지주결합부(412:도 2 참조)를 결합시키면, 이웃하는 연결구몸체(41)의 제1관통공(413a) 및 제2관통공(415a)이 정확히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지주결합부(4122)를 포함하는 지주결합부(412)를 통하여, 보조지주결합부(4122)가 갖는 유격범위 내에서 지주(10)로부터 연결구몸체(41)의 조립 위치를 미세하게 변위시킬 수 있고, 따라서, 지주(10) 및 연결바의 미세한 위치 편차에도 불구하고 난간의 조립 시공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은 최소 수량의 연결구(40)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지주(10) 및 연결바의 조립 시공을 빠른 시간에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연결바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하중이 연결 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난간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은 연결구(40)의 후면 일단부가 제1체결부재(60)를 통해 지주(10)에 결합되고 연결구(40)의 양측면 타단부가 제2체결부재(70) 및 제3체결부재(80)를 통해 제1연결바(20) 및 제2연결바(30)가 개별적으로 결합되므로, 충격에 의해 어느 하나의 연결바가 손상되더라도 지주(10)의 교체 없이 손상된 연결바 또는 연결구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지주 20: 제1연결바
30: 제2연결바 40: 연결구
41: 연결구몸체 411: 고정플레이트
413: 제1지지플레이트 415: 제2지지플레이트
417: 연결플레이트 43: 연결구캡
60: 제1체결부재 70: 제2체결부재
80: 제3체결부재

Claims (5)

  1. 지주;
    상기 지주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 및 제2연결바; 및
    상기 지주와 상기 제1연결바 및 상기 제2연결바를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는,
    제1체결공을 가지며 상기 지주의 외측면에 면 접촉되도록 상기 지주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지주결합부가 마련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바의 단부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을 가지는 제1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타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바의 단부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을 가지는 제2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전방 단부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의 전방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체결공을 관통하는 제1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연결구몸체; 및
    상기 연결구몸체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연결구몸체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인접한 일단부에는 제3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인접한 타단부에는 제4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3관통공을 관통하는 제2체결부재 및 상기 제4관통공을 관통하는 제3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연결바 및 상기 제2연결바에 결합되는 연결구캡;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캡은 상기 연결구몸체의 평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구조를 이루며, 하부면 가장자리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위치결정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는 상기 제2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체결공을 가지며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구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길이를 가지는 제1삽입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관통공에서 상기 제1체결공까지의 직선거리는 상기 제1길이의 두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관통공 및 상기 제4관통공은 상기 제1연결바 및 상기 제2연결바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캡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강도 보강용 보강부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KR2020200000496U 2020-02-12 2020-02-12 난간 KR200491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96U KR200491311Y1 (ko) 2020-02-12 2020-02-12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96U KR200491311Y1 (ko) 2020-02-12 2020-02-12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311Y1 true KR200491311Y1 (ko) 2020-03-18

Family

ID=6994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496U KR200491311Y1 (ko) 2020-02-12 2020-02-12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31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127U (ko) * 1996-10-10 1998-07-15 이선용 횡단방지난간
KR20110001150U (ko) * 2009-07-27 2011-02-08 (합)현대철구산업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101253523B1 (ko) 2012-10-30 2013-04-17 (주) 한길산업 난간 연결 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127U (ko) * 1996-10-10 1998-07-15 이선용 횡단방지난간
KR20110001150U (ko) * 2009-07-27 2011-02-08 (합)현대철구산업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101253523B1 (ko) 2012-10-30 2013-04-17 (주) 한길산업 난간 연결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360B1 (ko) 설치시공이 용이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991026B1 (ko)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4993768B2 (ja) 道路用柵
KR101930844B1 (ko)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079406B1 (ko) 펜스용 브라켓을 구비한 펜스
KR102157134B1 (ko) 조립식 난간구조물
KR101604640B1 (ko)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US20130248791A1 (en) Barrier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0491311Y1 (ko) 난간
KR101385630B1 (ko)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KR101440604B1 (ko)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KR101946494B1 (ko) 데크로드 난간
KR101630189B1 (ko) 플렉시블 펜스
KR200450053Y1 (ko) 조립식 울타리
EP3587670B1 (en) Mobile safety barrier and method for assembling a mobile safety barrier
KR101178814B1 (ko) 지역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또는 펜스
KR101852539B1 (ko) 가드레일
KR100812621B1 (ko) 휀스용 프레임 조립체
KR101712376B1 (ko) 아연각관을 심재로 하는 목재난간지주
KR101298689B1 (ko) 난간울타리 가로바 연결구조
KR102193738B1 (ko) 조립식 난간
KR100995872B1 (ko) 원터치 연결형 도로용 가드레일
KR101616229B1 (ko) 조립식 난간
KR102032697B1 (ko) 내충격 및 내진 기능이 향상된 기둥 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조립식 난간
KR20090013986A (ko) 가드레일 주변 식물 성장 억제 및 동물 침입 방지용덮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