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523B1 - 난간 연결 부재 - Google Patents

난간 연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523B1
KR101253523B1 KR1020120121158A KR20120121158A KR101253523B1 KR 101253523 B1 KR101253523 B1 KR 101253523B1 KR 1020120121158 A KR1020120121158 A KR 1020120121158A KR 20120121158 A KR20120121158 A KR 20120121158A KR 101253523 B1 KR101253523 B1 KR 101253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connecting member
handrail connecting
railing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한
Original Assignee
(주) 한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길산업 filed Critical (주) 한길산업
Priority to KR102012012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1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on a flat ba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attached to the front fac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Posts therefor anchoring means therefore,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 연결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 부재는 일단에 난간대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브라켓과, 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된 연결부와, 연결부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며 외측의 환형 돌출면과 중앙부의 장공을 가지는 돌추(突樞)가 일체로 형성된 상호 각도 조절 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좌우 한 조의 부재로 구성되며, 산책로나 등산로 또는 보행로, 또는 교량 등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난간(欄干) 또는 펜스(fence)에 있어서 횡으로 연결되는 난간대의 단부를, 구형체나 반구체 및 그 수납체를 포함하는 복잡한 구성의 스위블 커넥터를 사용하는 일 없이, 최소한의 부품 수로 구성되어 매우 간결한 구조로 난간 기둥에 다양한 각도로 효과적으로 신뢰성 높게 연결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높은 조립 작업성 및 경제성과 매우 용이한 보수성을 보유하고, 중실형(中實形)은 물론, 중공형(中空形) 난간 기둥의 그 어떠한 형태에도 적용할 수가 있는 높은 적용 자유도를 지니며,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 부재를 이용하면 계단이나 경사지형, 또는 전후 굴곡지형에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난간을 시공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난간 연결 부재{BALUSTRADE JOINT MEMBER}
본 발명은 난간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산책로나 등산로 또는 보행로, 또는 교량 등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난간(欄干) 또는 펜스(fence)에 있어서 횡으로 연결되는 난간대의 단부를 난간 기둥에 다양한 각도로 연결할 수가 있는 단순하고 신뢰성 있는 구조의 난간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좁은 의미에서는 교량이나 통행로, 산책로, 등산로와 같은 보행 통로, 또는 수변(水邊) 데크(deck), 계단이나 베란다 등과 같은 시설물의 단면 주위의 측면에 설치되는 추락 방지 시설물로서의 추락 방지용 난간을 주로 지칭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몸의 균형과 일정한 동작 또는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손잡이로 이용하기 위한 손잡이용 난간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며, 공원이나 동식물원과 같은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통행을 안내 또는 제한하기 위한 펜스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난간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입설되는 다수의 난간 기둥과 상기한 난간 기둥 사이를 횡으로 연결하는 난간대로 구성되며 안전상의 이유로 90~120cm 정도의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난간대는 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및, 하부 난간대의 3개의 횡방향 바(bar)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2개 또는 4개의 횡방향 바로 구성되거나, 또는 드믄 경우이기는 하지만 다양한 2차원적 형태로 형상화된 평면적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종래 난간 기둥과 난간대의 연결을 용접에 의하여 접합시키는 것은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용접 기기의 운반이 필요함으로 현장 작업성이 열등하고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방안으로서, 난간 기둥과 난간대의 연결을 특정한 별도의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나사 고정시키는 다양한 구조의 난간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들 대부분의 난간 구조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난간 기둥과 그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난간대의 연결이 동일 평면상에서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어 난간이 설치되는 지면이 수평면이 아닌 높이 고저 차이가 있는 경우라든가 난간의 설치 개소가 일직선상이 아닌 경우에 있어서는 그 설치에 어려움이 뒤따랐으며 미관상으로도 문제점을 나타내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난간 기둥에 대한 난간대의 연결을 상하 또는 전후로 각도 조절하게 형성하고자 하는 몇몇 시도가 있어 왔으며, 그 전형적인 예에 대하여 간략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특허 제10-802500호(2008.02.01. 등록)는 난간 기둥에 고정 브라켓을 결합하고 난간대의 단부에 결합링을 결합하되, 상기한 고정 브라켓과 결합링 사이에 스위블 커넥터를 개재(介在)하여 양자를 고정시키는 구조의 경사 지면에 시공되는 울타리를 위한 가로대 각도 조절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나, 복잡한 구조의 브라켓을 난간 기둥에 다수의 볼트로 고정시키고 브라켓에 형성된 포켓에 볼을 삽입한 후 홀더를 나사 결합하며 스위블 컨넥터의 볼트에 결합링을 나사 결합하고 결합링에 난간대의 선단을 삽입하여 볼트로 고정시켜야 하므로, 그 조립 설치 작업이 까다롭고 복잡하여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성이 열등하며 각 부품 수가 많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가공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 제10-862894호(2008.10.06. 등록)는 난간 기둥에 고정 볼트 부재를 나사 결합하고 회전축을 삽입하여 브래킷을 나사 결합시키며 상기 브래킷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의 볼트부에 난간대 선단에 삽입 고정되는 스페이서를 나사 결합하여 구성되는 각도 조절이 용이한 연결구를 개시(開示)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조립 및 설치가 까다롭고 복잡하며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성이 열등하며 또한 부품수가 많고 복잡하여 가공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어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09-85188호(2009.08.07. 공개)는 사각 기둥형으로 형성된 난간 기둥의 네면에 각각 슬라이드 홈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그에 고정대를 삽입한 다음, 난간 기둥의 외측으로부터 결합 반구를 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대를 삽입된 고정대에 고정시키되, 결합된 한 쌍의 결합 반구 내부에 난간대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볼을 수납시킨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를 제안하고 있으나, 난간 기둥의 네면에 각각 슬라이드홈을 형성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하며, 원통형 난간 기둥에는 적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음과 아울러, 난간 기둥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먼저 삽입시킨 고정대를 임시 고정하여 둘 수가 없으므로 슬라이드홈을 따라 낙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한 고정대에 연결대를 고정시킬 때난간대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볼을 연결대의 결합반구의 내부에 집어 넣은 상태에서 고정시켜야만 하므로 조립 및 설치가 까다롭고 복잡하며 설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성이 열등하며, 부품수가 많고 각 부품의 구조가 복잡하여 가공성이 열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09-132161호(2009.12.30. 공개)는 난간 기둥의 외측에 양측으로 플랜지가 형성된 중공 보스 형상의 브라켓을 고정시키되, 상기한 브라켓 내부에 일단부가 볼 형상으로 된 로드를 끼우고, 상기한 로드를 고정핀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난간 기둥에 난간대를 각도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휀스 접합 연결구를 제안하고 있으나, 마찬가지로 난간 기둥의 외면에 고정축이 끼워지는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필요로 하며, 더욱이 로드의 볼 부분을 브라켓 내에 미리 삽입시킨 상태에서 고정시켜야만 하므로 조립 및 설치 작업이 까다롭고 복잡하여 설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성이 열등할 뿐만 아니라 각 부품의 구조 및 형태가 복잡하여 가공성도 열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모두 일구성부에 구체 형상의 볼 구조체를 형성하고, 다른 구성부에는 상기한 구체 형상의 볼 구조체를 수납하기 위한 브라켓을 형성하는 방식의 스위블(swivel) 커넥터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으며 그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작업 효율성이 열등하며 경제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바,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방안으로서, 한국특허 제1028334호(2011.04.24. 등록)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구체 형상을 가지는 2개의 연결용 반구(20′)를 양측에 원형 개구부(11a′)를 가지는 난간 기둥(11′)의 내부에 삽입한 다음 난간대 고정캡(30′)을 이에 고정시키되 상기한 2개의 연결용 반구(20′)를 탄성 코일 스프링(25′)으로 상호 연결하여 탄성적으로 고정시킨 구조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난간의 가로대 연결장치(1′)를 개시(開示)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난간의 가로대 연결 장치(1′) 역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난간 기둥(11′)의 내부에 연결용 반구(20′)를 미리 집어넣은 상태에서 난간대(가로대) 고정캡(30′)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중간 난간대(12′) 및 하부 난간대(12′)의 고정 작업은 깊숙이 위치하므로 고정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중공형 난간 기둥(11′)의 양측면에 원형공(11a′)을 미리 천설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조립 작업 효율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충분히 만족스러운 것은 결코 못될 뿐 아니라, 특히 중실형(中實形) 난간 기둥에는 결코 적용할 수 없는 구조라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극복한 간단하고 효과적인 구조의 난간 연결 부재의 개발이 당업계에 요망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산책로나 등산로 또는 보행로, 또는 교량 등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난간(欄干) 또는 펜스(fence)에 있어서 횡으로 연결되는 난간대의 단부를 난간 기둥에 다양한 각도로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가 있는 난간 연결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목적에 더하여 최소한의 부품 수로 구성되어 매우 간결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높은 조립 작업성 및 신뢰성과 경제성, 그리고 매우 용이한 보수성을 지니는 난간 연결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전술한 제반 목적에 더하여 중실형(中實形)은 물론, 중공형(中空形) 난간 기둥의 그 어떠한 형태에도 적용할 수가 있는 높은 적용 자유도를 지니는 난간 연결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측벽의 일단에 난간대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한 측벽의 타단에 막힘부를 가지는 브라켓과; 상기한 막힘부의 주연부(周緣部: peripheral edge portion)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한 연결부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며, 외측으로 환형 돌출면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돌추(突樞)가 일체로 형성된 좌우 한 조의 부재로 구성되고: 난간 기둥에 접하여 위치하는 돌추의 환형 돌출면의 반대면에 난간 기둥에 이격하여 위치하는 돌추의 환형 돌출면이 접촉되도록 상기한 각각의 돌추가 상호 겹쳐진 상태로, 상기한 좌우 한 조의 부재가 각각의 돌추에 형성되는 장공을 관통하는 고정구에 의하여 난간 기둥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난간 연결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브라켓의 개구부 및 막힘부가 원형, 타원형, 정방형, 장방형, 또는 삼각형으로 구성되고,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합금 또는 주철 다이캐스팅 성형품, 또는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난간 연결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돌추에 형성되는 장공이 횡으로 연장되는 타원형 개구인 난간 연결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에 각각 형성되며 상호 겹쳐지는 돌추 중 난간 기둥에 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돌추는 내측이 환형 오목면을 가지는 스푼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난간 기둥과 이격하여 위치하게 되는 돌추의 환형 돌출면과 구면(球面)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난간 연결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의 각각의 돌추가 내측으로 환형 오목면이 형성되어 있는 스푼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난간 연결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중 어느 하나의 난간 연결 부재에 형성되는 연결부는 상기한 막힘부의 주연부 또는 그에 바로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난간 연결 부재에 형성되는 연결부는 상기한 막힘부의 주연부로부터 이격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난간 연결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 부재는 산책로나 등산로 또는 보행로, 또는 교량 등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난간(欄干) 또는 펜스(fence)에 있어서 횡으로 연결되는 난간대의 단부를, 구형체나 반구체 및 그 수납체를 포함하는 복잡한 구성의 스위블 커넥터를 사용하는 일 없이, 최소한의 부품 수로 구성되어 매우 간결한 구조로 난간 기둥에 다양한 각도로 효과적으로 신뢰성 높게 연결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높은 조립 작업성 및 경제성과 매우 용이한 보수성을 보유하고, 중실형(中實形)은 물론, 중공형(中空形) 난간 기둥의 그 어떠한 형태에도 적용할 수가 있는 높은 적용 자유도를 지니며,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 부재를 이용하면 계단이나 경사지형, 또는 전후 굴곡지형에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난간을 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에 대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난간 연결 부재가 적용된 난간의 조립 상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a 및 도 2b의 난간 연결 부재가 적용된 난간의 조립 상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계단부 또는 경사지형에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난간을 시공한 시공 상태도이다.
도 8은 전후 굴곡지형에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난간을 시공한 시공 상태도이다.
도 9는 난간 기둥의 지면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시공 상태 예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종래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조립 상태 설명 사시도 및 평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1)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1a)에 대한 정면도 및 사시도로서, 양자는 브라켓(2)의 형태가 원형인가 아니면 장방형인가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 부재(1,1a)는 측벽(2b)의 일단에 난간대(도 3 및 도 4의 도면부호 12 참조)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2a)를 가지며 상기한 측벽(2b)의 타단에 막힘부(2c)를 가지는 브라켓(2)과, 상기한 막힘부(2b)의 주연부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연결부(4)와, 상기한 연결부(4)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며, 외측으로 환형 돌출면(3a)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장공(도 1에 미도시: 도 2a 및 도 2c의 도면부호 3d 참조)형성되어 있는 돌추(突樞)(3)가 일체로 형성된 좌우 한 조의 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돌추(3)에 형성되는 장공(3d)은 도시된 예에서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동일 폭 또는 너비를 가지며 양단부만 환형으로 형성된 타원형 개구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형태는 후술하는 고정구(5)를 축으로 하여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1,1) 또는 (1a,1a)를 상호 상대적으로 일정한 각도로 상하 또는 전후로 엇갈리게 위치시킬 수 있다면 그 형태는 제한적이지 아니하며, 중앙의 폭 또는 너비가 상대적으로 크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브라켓(2)의 단면 형태, 즉 개구부 (2a) 및 막힘부(2d)의 평면 형태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정방형, 장방형, 또는 삼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 부재(1,1a)는 브라켓(2a)과 연결부(4) 및 돌추(3)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 피스(pieces)로 구성하거나 또는 3피스로 형성한 후 용접 등과 같은 당업계 공지의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한 몸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 부재(1,1a)의 재질은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또는 이들 합금의 다이캐스팅 성형품 또는 주철 다이캐스팅 성형품, 또는 플라스틱 성형품의 어느 것일 수 있으며, 이는 설치되는 난간의 형태나 용도 또는 설치 개소 등에 따라 해당 난간에 요구되는 지지 강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은 도 1의 난간 연결 부재(1)가 적용된 난간(10)의 조립 상태 설명도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브라켓(2)이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그 개구부(2a)에 삽입 고정되는 난간대(12) 역시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1)는 각각의 돌추(3)에 형성되는 장공(도면부호 미부여)을 관통하는 고정볼트와 같은 당업계 공지의 임의의 고정구(5)에 의하여 상기한 각각의 돌추(3)가 상호 겹쳐진 상태로 난간 기둥(11)에 상하 또는 전후로 상호 각도 조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상기한 고정구(5)의 주위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형성되는 완충 부재(6)를 개재(介在)시켜 둠으로써, 상기한 돌추(3)에 형성된 장공(3d)의 주연부가 고정구(5)와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 부재(1)는 목질재로 형성된 난간 기둥(11) 및 난간대(12)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난간 기둥(11) 및 난간대(12)가 합성 수지재로 형성된 것이거나, 또는 철재나 세라믹 소재로 형성된 것이라도 무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더욱이 도시된 바와 같은 중실형 난간 기둥(11) 뿐만 아니라, 중공형 난간 기둥(미도시)에도 적절한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1)중 어느 하나, 즉 좌측의 난간 연결 부재(1)에 형성되는 연결부(4)는 상기한 막힘부(2c)의 주연부 또는 그에 바로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 즉 우측의 난간 연결 부재(1)에 형성되는 연결부(4)는 상기한 막힘부(2c)의 주연부로부터 이격한 영역에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1)를 상기한 각각의 돌추(3)를 상호 겹쳐 위치시키는 경우 양측의 난간대(12)가 일직선상으로 반듯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 연결부 모두 막힘부(2c)의 주연부 또는 그에 바로 인접한 영역에 형성함으로써, 완전히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하더라도 무방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도시된 예에서의 돌추(3)는 외측(즉, 난간 기둥(11)에 인접한 쪽)으로 환형 돌출면(3a)이 형성되고 내측(즉, 난간 기둥(11)에 이격한 쪽)은 평면(3b)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난간 기둥(11)에 보다 인접하게 위치하는 돌추(3)의 환형 돌출면(3a)에 의해 난간 기둥(11)의 외표면 상에 원하는 다양한 각도로 위치시켜 고정 가능함은 물론, 난간 기둥(11)에 보다 이격하게 위치하는 돌추(3)의 환형 돌출면(3a)에 의해 난간 기둥(11)에 보다 인접하게 위치하는 다른 돌추(3)의 평면(3b) 상에 원하는 다양한 각도로 위치시켜 고정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계단부 또는 높이 고저를 갖는 경사 지형에 대한 난간(10) 설치를 특별한 부재를 사용하는 일 없이도 간단하고도 용이하고 간편하게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 부재(1)를 이용하여 난간(10)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은 전후 굴곡지형에 대한 난간(10) 설치도 특별한 부재를 사용하는 일 없이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 부재(1)를 이용하여 난간(10)을 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도 7 및 도 8에서는 난간대(12)가 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및, 하부 난간대의 3개로 구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한 난간대(12)는 2개 이상의 임의의 수효로 상황에 맞게 적절히 조립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4는 도 2a 및 도 2b의 난간 연결 부재(1a)가 적용된 난간(10)의 조립 상태 설명도로서, 난간 기둥(11) 및 난간대(12)가 각각 정방형 및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로써,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 부재(1a)의 브라켓(2)도 장방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의 경우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장황함을 피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난간 기둥(11)과 난간대(12) 중 어느 하나는 원형이고 다른 하나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이더라도 무관하며, 난간대(12)의 형태 및 치수에 부합하는 브라켓(2)을 가지는 난간 연결 부재(1 또는 1a)를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인 도 5 및 도 6에 대하여 부연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1b 및 1c)에 대한 평면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이들 변형예는 도 1 또는 도 2의 경우와 비교하여 돌추(3) 중 난간 기둥(11)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돌추(3)의 내측 표면, 또는 2개의 돌추(3) 모두의 내측 표면에 구면좌(球面座)로서의 환형 오목면(3c)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는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1b)에 각각 형성되며 상호 겹쳐지는 돌추(3) 중 난간 기둥(11)에 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돌추(3)는 내측이 환형 오목면(3c)을 가지는 스푼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난간 기둥(11)과 이격하여 위치하게 되는 돌추(3)의 환형 돌출면(3a)과 구면(球面) 접촉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고정 위치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립 시 고정 위치의 선정이 용이하게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도 6은 상기한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1b)의 각각의 돌추(3) 내측에 환형 오목면(3c)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스푼 형태로 형성하여 둔 것으로써,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고정 위치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 시 고정 위치의 선정이 용이함은 물론, 고정구(5)를 이용한 고정 작업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과 직접 관련된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것이기는 하지만, 난간 기둥(11)의 지반 또는 연석(30)에의 고정에 대하여도 부연하면, 상기한 난간 기둥(11)은 직접 지반에 삽입 고정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으로 된 매립형 고정주(固定柱)(20) 또는 플레이트형 앵커(21)를 이용하여 입설(立設)하는 것으로써, 난간 기둥(11)의 기초 부분에는 모르타르를 타설함으로써 기초 부분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2는 고정 볼트이고, 23은 앵커 볼트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 부재(1,1a,1b, 또는 1c)를 이용한 난간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난간대(12) 삽입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1,1a,1b, 또는 1c)의 각각의 브라켓(2)의 개구부(2a)에 난간대(12)의 일단부를 삽입 고정시킨다.
이 경우 필요하다면, 상기한 브라켓(2)의 외측으로부터 나사와 같은 당업계 공지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한 난간대(12)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B) 돌추(3) 위치 선정 단계:
상기한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1,1a,1b, 또는 1c)의 각각의 돌추(3)를 상호 겹쳐 위치시킨다.
(C) 난간대(12) 고정 단계:
상기한 각각의 돌추(3)에 형성된 장공(3d)을 통하여 고정구(5)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한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1,1a,1b, 또는 1c)를 난간 기둥(11)에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킴으로써 난간대(12)를 난간 기둥(11)에 고정시킨다.
(D) 반복 단계:
상기한 난간대(12)의 타단부에 대하여 상기한 (A) 내지 (C)와 동일한 단계를 반복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한 난간 고정 방법은 전술한 (A) 내지 (D) 단계를 하나의 난간 기둥(11)에 대하여 적어도 2회 이상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난간 기둥(11)에 적어도 상부 난간대(12) 및 하부 난간대(12),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중간 난간대(12)를 포함하는 구조로 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필요하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고정구(5)를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형성된 완충 부재(6)를 개재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음 또한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1,1a,1b,1c: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 부재
2: 브라켓
2a: 개구부 2b: 측벽
2c: 막힘부
3: 돌추(突樞)
3a: 환형 돌출면 3b: 평면
3c: 환형 오목면 3d: 장공
4: 연결부 5: 고정구
6: 완충 부재
10: 난간
11: 난간 기둥 12: 난간대
20: 매립형 고정주(固定柱) 21: 플레이트형 앵커
22: 고정구 23: 앵커 볼트
30: 연석

Claims (7)

  1. 측벽의 일단에 난간대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한 측벽의 타단에 막힘부를 가지는 브라켓과;
    상기한 막힘부의 주연부(周緣部: peripheral edge portion)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한 연결부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며, 외측으로 환형 돌출면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돌추(突樞)가 일체로 형성된 좌우 한 조의 부재로 구성되고:
    난간 기둥에 접하여 위치하는 돌추의 환형 돌출면의 반대면에 난간 기둥에 이격하여 위치하는 돌추의 환형 돌출면이 접촉되도록 상기한 각각의 돌추가 상호 겹쳐진 상태로, 상기한 좌우 한 조의 부재가 각각의 돌추에 형성되는 장공을 관통하는 고정구에 의하여 난간 기둥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난간 연결 부재(部材: membe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중 어느 하나의 난간 연결 부재에 형성되는 연결부는 상기한 막힘부의 주연부 또는 그에 바로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난간 연결 부재에 형성되는 연결부는 상기한 막힘부의 주연부로부터 이격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난간 연결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돌추에 형성되는 장공이 횡으로 연장되는 타원형 개구인 난간 연결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에 각각 형성되며 상호 겹쳐지는 돌추 중 난간 기둥에 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돌추는 내측이 환형 오목면을 가지는 스푼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난간 기둥과 이격하여 위치하게 되는 돌추의 환형 돌출면과 구면(球面)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난간 연결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우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의 각각의 돌추가 내측으로 환형 오목면이 형성되어 있는 스푼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난간 연결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한 조의 난간 연결 부재가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합금 또는 주철 다이캐스팅 성형품, 또는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형성되어 있는 난간 연결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구의 둘레에 완충 부재가 개재(介在)되어 있는 난간 연결 부재.
KR1020120121158A 2012-10-30 2012-10-30 난간 연결 부재 KR10125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158A KR101253523B1 (ko) 2012-10-30 2012-10-30 난간 연결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158A KR101253523B1 (ko) 2012-10-30 2012-10-30 난간 연결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523B1 true KR101253523B1 (ko) 2013-04-17

Family

ID=4844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158A KR101253523B1 (ko) 2012-10-30 2012-10-30 난간 연결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5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527B1 (ko) 2015-11-27 2016-07-20 (주)백상 난간 브라켓
KR101787663B1 (ko) * 2017-03-09 2017-10-18 코랜스그린산업(주) 데크로드 난간
KR200491311Y1 (ko) 2020-02-12 2020-03-18 (주)엠에스로드 난간
CN112664051A (zh) * 2020-12-14 2021-04-16 杭州易佰新材料科技有限公司 道路施工用自适应围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3856A (ja) * 1998-05-20 1999-11-26 Sekisui Jushi Co Ltd 防護柵の横ビーム接続構造
JP2007211454A (ja) * 2006-02-08 2007-08-23 Union Corp 防護柵
KR20110007328U (ko) * 2011-07-05 2011-07-21 김성국 울타리용 완충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3856A (ja) * 1998-05-20 1999-11-26 Sekisui Jushi Co Ltd 防護柵の横ビーム接続構造
JP2007211454A (ja) * 2006-02-08 2007-08-23 Union Corp 防護柵
KR20110007328U (ko) * 2011-07-05 2011-07-21 김성국 울타리용 완충브라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527B1 (ko) 2015-11-27 2016-07-20 (주)백상 난간 브라켓
KR101787663B1 (ko) * 2017-03-09 2017-10-18 코랜스그린산업(주) 데크로드 난간
KR200491311Y1 (ko) 2020-02-12 2020-03-18 (주)엠에스로드 난간
CN112664051A (zh) * 2020-12-14 2021-04-16 杭州易佰新材料科技有限公司 道路施工用自适应围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523B1 (ko) 난간 연결 부재
KR101054261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KR101473157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KR101429116B1 (ko) 휀스용 연결조립체
KR101861048B1 (ko) 데크로드 조립식 난간
EA201070525A1 (ru) Защитные ограждения
KR101647608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슬라이딩 커버형 난간
KR100876098B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KR20090082550A (ko)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난간
KR102024717B1 (ko) 안전난간 및 안전난간용 지주
KR200474886Y1 (ko) 난간 브라켓
KR101232865B1 (ko) 운동기구의 지지대
KR101042982B1 (ko) 인도 확장장치 시공방법
KR101571365B1 (ko)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
KR200490347Y1 (ko) 난간 연결구
KR101178814B1 (ko) 지역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또는 펜스
KR20190010947A (ko)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매립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KR102104964B1 (ko) 안전난간 휀스지주의 수평조절장치
KR200493037Y1 (ko) 펜스에 사용되는 목재기둥 고정판용 덮개
KR101787290B1 (ko) 다기능 차선규제봉
KR101631566B1 (ko)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459182Y1 (ko) 안전지주 설치대
KR102347678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용 브라켓
KR101183081B1 (ko) 디자인형 울타리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