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546Y1 -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 - Google Patents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546Y1
KR200490546Y1 KR2020190001595U KR20190001595U KR200490546Y1 KR 200490546 Y1 KR200490546 Y1 KR 200490546Y1 KR 2020190001595 U KR2020190001595 U KR 2020190001595U KR 20190001595 U KR20190001595 U KR 20190001595U KR 200490546 Y1 KR200490546 Y1 KR 200490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ounting means
base plate
smart phone
dec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717U (ko
Inventor
이도근
Original Assignee
(주)유윈씨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윈씨앤티 filed Critical (주)유윈씨앤티
Publication of KR201900027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7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5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부착되는 베이스판에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을 결합할 수 있는 회동편을 형성하여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식물의 기능과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Supporting means for smartphone using decoration assembly}
본 고안은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부착되는 베이스판에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을 결합할 수 있는 회동편을 형성하여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식물의 기능과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보통신의 발달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피씨의 사용이 대중화되었다. 이러한 스마트폰 등을 이용할 때 사용자는 손으로 기기를 잡고 지지하여야 하며 고정된 장소에서 이용하고자 할 때는 통상 벽이나 다른 물건을 이용하여 기기를 지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한편, 사용 또는 이동 중에 사용자가 손으로 스마트폰 등을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을 통해 유아 교육용 동영상이나 영화, TV와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빈번하게 재생시키는데, 사용자가 장시간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시청하기 위해 스마트폰 등을 들고 있기란 사실상 어렵고 다른 물건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것도 장소에 따라 제한을 받으며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서 스마트폰 또는 휴대단말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 책상 또는 바닥면에 거치시켜 영상을 보거나 또는 영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에 결합할 수 있는 거치대가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 탄성부재가 헐거워져 거치대가 고정되지 못하고 좌우로 흔들리거나 슬라이딩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거치대를 다시 구입해야하는 문제점 있었다.
또한, 기존의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뒷면이나 케이스에 부착되어 거치 용도로만 사용될 뿐 장식물로써의 기능을 전혀 하지 못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129978호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에 부착되는 베이스판에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을 결합할 수 있는 회동편을 형성하여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식물의 기능과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는 부착면이 형성된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과 힌지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편;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편에는 장식물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동편을 상기 베이스판과 맞닿도록 접어 상기 장식물을 상기 스마트폰의 상단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회동편을 상기 베이스판과 90도를 이루도록 펼치면 상기 장식물이 상기 스마트폰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탱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을 편평한 바닥에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거치수단이 상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힌지축의 중앙에 탄성스프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은 회동편을 접으면 스마트폰 상단 외측으로 회동편에 결합된 장식물이 돌출됨으로써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미적인 장식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테이블 등에 뒤집어 놓은 경우 회동편을 펼쳐놓으면 회동편에 결합된 장식물이 세워진 상태가 되어 미적인 장식 효과가 있으며, 세워져 있는 장식물에 의해 멀리서도 눈에 잘 띄고 다른 스마트폰과 구분이 잘되어 스마트폰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동편을 펼쳐 장식물을 세운 상태에서 테이블 등의 편평한 곳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으며, 또한, 경사진 테이블, 독서대 등과 같은 경사면에는 장식물이 결합된 회동편이 접힌 상태 및 펼쳐진 상태에서 거치수단을 경사면 상단 단부에 걸침으로써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다.
또한, 거치수단의 장식물이 스마트폰 뒷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지면에 떨어뜨리는 경우 거치수단이 먼저 지면과 부딪히면서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거치수단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 뒷면의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배치되기 때문에 거치수단을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 뒷면에 부착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뒷면 중앙을 무선충전장치에 밀착시켜 무선충전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측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장식물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이 장식물로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의해 스마트폰이 편평한 곳에 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의해 스마트폰이 기울어진 곳에 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스마트폰 보호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이 스마트폰에 부착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측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장식물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은 베이스판(10) 및 회동편(20)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베이스판(10)과 회동편(20)은 힌지축(30)을 통해 결합되어,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베이스판(10)의 전면에는 회동편(20)을 접거나 펼칠 때 회동편을 고정시키는 돌출부(12) 및 고정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아랫면에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부착면(11)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편(20)은 베이스판(10)과 힌지축(30)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판(10)과 맞닿도록 접히거나, 베이스판(10)과 90도를 이루도록 펼쳐질 수 있으며, 베이스판(10)과 맞닿도록 접혀질 경우 베이스판(10)의 돌출부(12)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편(20)의 상단에는 장식물(40)이 결합되는 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회동편(20)이 베이스판(10)과 90도를 이루도록 펼쳐질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편(20)이 베이스판(10)에 형성된 고정부(13)에 걸림으로써 회동편(20)이 고정되며, 회동편(20)이 베이스판(10)과 맞닿도록 접혀질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편(20)에 형성된 후크(22)가 베이스판(10)에 형성된 돌출부(12)에 걸림으로써 회동편(20)이 고정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편(20)에 형성된 결합부(21)에는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40)이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장식물(40)은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식물의 기능과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이 장식물로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의해 스마트폰이 편평한 곳에 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의해 스마트폰이 기울어진 곳에 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스마트폰 보호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이 스마트폰에 부착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의 부착면(11)을 통해 스마트폰(50)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51)의 뒷면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카메라 렌즈 및 플래시를 가리지 않도록 부착한 상태에서 회동편(20)을 베이스판(10)과 맞닿도록 접으면 결합부(21)에 결합된 장식물(40)이 스마트폰(50)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방에 노출됨으로써 스마트폰(5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장식 기능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수단이 스마트폰(50)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51)의 뒷면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위치하게 때문에 발휘되는 것이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의 부착면(11)을 통해 스마트폰(50)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51)의 뒷면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부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50)을 뒤집어 놓고 회동편(20)이 베이스판(10)과 90도를 이루도록 펼치면 결합부(21)에 결합된 장식물(40)이 세워진 상태가 되어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스마트폰(5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세워져 있는 장식물(40)에 의해 멀리서도 눈에 잘 띄고 다른 스마트폰과 구분이 잘되어 스마트폰(50)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50)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은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의 외관 장식 기능과 함께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의 부착면(11)을 통해 스마트폰(50)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51)의 뒷면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부착한 상태에서 회동편(20)이 베이스판(10)과 90도를 이루도록 펼치고 편평한 바닥에 스마트폰(50)을 내려놓으면 회동편(20)의 결합부(21)에 결합된 장식물(40)이 바닥과 맞닿아 스마트폰(50)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탱함으로써 스마트폰(50)을 편평한 바닥에 거치할 수 있으며,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50)을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모두 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테이블, 책상, 독서대 등과 같은 경사면의 경우, 회동편(20)을 베이스판(10)과 맞닿도록 접은 상태에서 스마트폰(50)의 뒷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온 부분을 경사면의 상단 단부에 걸침으로써 스마트폰(50)을 거치할 수 있으며, 회동편(20)이 베이스판(10)과 90도를 이루도록 펼친 상태에서 회동편(20) 및 회동편(20)의 결합부(21)에 결합된 장식물(40)을 경사면의 상단 단부에 걸침으로써 스마트폰(50)을 거치할 수 있다. 이때, 기존의 거치수단의 경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중앙에 부착되기 때문에, 거치수단을 경사면의 단부에 걸쳐서 거치할 경우 무게중심이 가까워 불안정하게 거치되어 떨어질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거치수단은 스마트폰(50)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51)의 뒷면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부착되기 때문에 경사면의 상단 단부에 걸쳐 거치할 경우 무게중심이 아래에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50)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51)의 뒷면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거치수단(100)이 부착되면 거치수단(100)의 장식물(40)이 스마트폰(50) 본체보다 돌출되기 때문에 스마트폰(50)을 사용 중 실수로 지면에 떨어뜨렸을 경우 거치수단(100)의 무게에 의해 거치수단(100)이 부착된 곳이 먼저 바닥에 닿게 되며, 이때, 거치수단(100)의 장식물(40)이 스마트폰(50) 보다 먼저 지면에 부딪히면서 스마트폰(5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치수단(100)은 스마트폰(50)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51)의 뒷면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부착되기 때문에 무선충전장치에 평면 밀착이 가능하여 스마트폰(50)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51) 뒷면에 거치수단(100)을 부착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50) 뒷면 중앙을 무선충전장치에 밀착시켜 무선충전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200)은 베이스판(60)의 상단에 홈부(62)가 형성되며, 힌지축(80)의 중앙에는 탄성스프링(6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동편(70)이 베이스판(60)과 90도를 이루도록 펼쳐질 경우 회동편(70)이 힌지축(80)의 중앙에 형성된 탄성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90도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며, 회동편(70)이 베이스판(60)과 맞닿도록 접혀질 경우 회동편(70)에 형성된 후크(72)가 베이스판(60)에 형성된 홈부(62)에 걸림으로써 회동편(70)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200)은 힌지축(80)의 중앙에 탄성스프링(63)을 형성함으로써 회동편(70)을 접었다가 펼칠 경우 회동편(70)에 약간의 힘만을 가해도 탄성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동편(70)이 펼쳐지기 때문에 회동편(70)을 펼칠 때 과도한 힘을 가하여 거치수단(2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은 회동편을 접으면 스마트폰 상단 외측으로 회동편에 결합된 장식물이 돌출됨으로써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미적인 장식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테이블 등에 뒤집어 놓은 경우 회동편을 펼쳐놓으면 회동편에 결합된 장식물이 세워진 상태가 되어 미적인 장식 효과가 있으며, 세워져 있는 장식물에 의해 멀리서도 눈에 잘 띄고 다른 스마트폰과 구분이 잘되어 스마트폰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동편을 펼쳐 장식물을 세운 상태에서 테이블 등의 편평한 곳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으며, 또한, 경사진 테이블, 독서대 등과 같은 경사면에는 장식물이 결합된 회동편이 접힌 상태 및 펼쳐진 상태에서 거치수단을 경사면 상단 단부에 걸침으로써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다.
또한, 거치수단의 장식물이 스마트폰 뒷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지면에 떨어뜨리는 경우 거치수단이 먼저 지면과 부딪히면서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거치수단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 뒷면의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배치되기 때문에 거치수단을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 뒷면에 부착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뒷면 중앙을 무선충전장치에 밀착시켜 무선충전을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판
11 : 부착면
12 : 돌출부
13 : 고정부
20 : 회동편
21 : 결합부
22 : 후크
30 : 힌지축
40 : 장식물
50 : 스마트폰
51 : 스마트폰 케이스
100 : 거치수단

Claims (4)

  1.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있어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는 부착면이 형성된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과 힌지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장식물이 탈착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회동편;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 거치수단이 상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편이 상기 베이스판과 90도를 이루도록 펼쳐지면 상기 회동편이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고정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회동편이 고정되며,
    상기 회동편을 상기 베이스판과 맞닿도록 접으면 상기 장식물이 상기 스마트폰의 상단으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대상물의 표면에 상기 스마트폰을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상기 회동편이 상기 베이스판과 90도를 이루도록 펼치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장식물이 세워진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회동편을 상기 베이스판과 90도를 이루도록 펼친 상태에서 상기 장식물이 상기 스마트폰이 쓰러지지 않도록 표면에 대해서 상기 스마트폰을 지탱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을 편평한 바닥에 거치할 수 있고,
    상기 회동편이 상기 베이스판과 90도를 이루도록 펼친 상태에서 상기 회동편 및 상기 회동편의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장식물을 경사면의 상단 단부에 걸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 뒷면에 상기 스마트폰 거치수단을 부착한 상태에서도 상기 스마트폰 거치수단이 상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스마트폰 뒷면 중앙을 무선충전장치에 밀착시켜 무선충전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중앙에 탄성스프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
KR2020190001595U 2018-04-20 2019-04-17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 KR2004905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80 2018-04-20
KR20180046080 2018-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17U KR20190002717U (ko) 2019-10-30
KR200490546Y1 true KR200490546Y1 (ko) 2019-11-28

Family

ID=6838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595U KR200490546Y1 (ko) 2018-04-20 2019-04-17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54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858B2 (ja) 1992-09-24 2000-09-18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車両の回生ブレーキ装置
JP3135103B2 (ja) 1994-10-12 2001-02-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ソーラータイムスイッチ
JP2009047258A (ja) 2007-08-21 2009-03-05 Omron Corp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858U (ja) * 2002-03-27 2002-10-04 株式会社サカモト 充電等用プラグ接続部に着脱する携帯電話等用スタンド
JP3135103U (ja) * 2007-05-28 2007-09-06 有限会社ユーガトレーディング スタンド
KR101041103B1 (ko) * 2009-12-04 2011-06-13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휴대단말기용 스탠드 힌지모듈
KR101909340B1 (ko) * 2016-10-10 2018-10-18 이상순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858B2 (ja) 1992-09-24 2000-09-18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車両の回生ブレーキ装置
JP3135103B2 (ja) 1994-10-12 2001-02-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ソーラータイムスイッチ
JP2009047258A (ja) 2007-08-21 2009-03-05 Omron Corp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17U (ko)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10362697B2 (en) Support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8616508B1 (en) Tripod adapter for hand-held mobile media devices
US20090218454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TW201012358A (en) Stan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101733435B1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WO2014163233A1 (k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54217Y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
KR200490546Y1 (ko)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
GB2512884A (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tan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tand
KR101628041B1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91591Y1 (ko)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20190002715U (ko)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
KR20130007167U (ko) 휴대폰용 접이식 받침구
KR102090786B1 (ko)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
KR200488463Y1 (ko) 모바일 기기 착탈형 화장품 케이스
KR102283069B1 (ko) 휴대 단말기용 고리 홀더
KR200389756Y1 (ko) 카메라폰의 삼각대 탑재장치
CN204967915U (zh) 一种手机套
CN205265762U (zh) 一种手机支架
CN203761441U (zh) 一种手机保护壳的支架结构
CN218941137U (zh) 一种摄像头支架保护壳
KR102421868B1 (ko) 다용도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