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786B1 -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 - Google Patents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786B1
KR102090786B1 KR1020180085517A KR20180085517A KR102090786B1 KR 102090786 B1 KR102090786 B1 KR 102090786B1 KR 1020180085517 A KR1020180085517 A KR 1020180085517A KR 20180085517 A KR20180085517 A KR 20180085517A KR 102090786 B1 KR102090786 B1 KR 102090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rotating
rotating plate
coupled
orn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654A (ko
Inventor
이도근
Original Assignee
(주)유윈씨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윈씨앤티 filed Critical (주)유윈씨앤티
Publication of KR2019012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부착되는 베이스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을 결합할 수 있는 회전판을 형성하여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식물의 기능과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Rotary supporting means for smartphone using decoration assembly}
본 발명은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부착되는 베이스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을 결합할 수 있는 회전판을 형성하여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식물의 기능과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보통신의 발달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피씨의 사용이 대중화되었다. 이러한 스마트폰 등을 이용할 때 사용자는 손으로 기기를 잡고 지지하여야 하며 고정된 장소에서 이용하고자 할 때는 통상 벽이나 다른 물건을 이용하여 기기를 지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한편, 사용 또는 이동 중에 사용자가 손으로 스마트폰 등을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을 통해 유아 교육용 동영상이나 영화, TV와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빈번하게 재생시키는데, 사용자가 장시간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시청하기 위해 스마트폰 등을 들고 있기란 사실상 어렵고 다른 물건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것도 장소에 따라 제한을 받으며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서 스마트폰 또는 휴대단말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 책상 또는 바닥면에 거치시켜 영상을 보거나 또는 영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에 결합할 수 있는 거치대가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 탄성부재가 헐거워져 거치대가 고정되지 못하고 좌우로 흔들리거나 슬라이딩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거치대를 다시 구입해야하는 문제점 있었다.
또한, 기존의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뒷면이나 케이스에 부착되어 거치 용도로만 사용될 뿐 장식물로써의 기능을 전혀 하지 못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129978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에 부착되는 베이스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을 결합할 수 있는 회전판을 형성하여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식물의 기능과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는 부착면 및 결합공이 형성된 베이스판; 장식물이 결합되는 결합부 및 원형돌출부가 형성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상기 원형돌출부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의 상기 원형돌출부와 결합된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베이스판의 결합공을 통해 회전축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회전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판이 상기 베이스판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를 접거나 폄으로써 상기 회전판과 상기 베이스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결합부가 상기 스마트폰의 상단을 향하도록 회전시켜 상기 장식물을 상기 스마트폰의 상단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판을 상기 결합부가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장식물이 상기 스마트폰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탱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을 편평한 바닥에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판을 상기 장식물이 결합된 상기 결합부가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및 상기 장식물을 경사면의 상단 단부에 걸침으로써 경사면에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베이스판에서 상기 회전판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통이 다단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은 회전판을 회전시켜 회전판에 결합된 장식물을 스마트폰 상단 외측으로 돌출시켜 노출시킴으로써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미적인 장식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를 접거나 펼쳐서 베이스판과 회전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 외측으로 돌출된 장식물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을 회전시켜 장식물이 스마트폰의 하단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테이블 등의 편평한 곳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으며, 연결부를 펼쳐서 베이스판과 회전판 사이의 거리를 최대로 한 후 스마트폰을 거치하면 더욱 안정적으로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다.
또한, 경사진 테이블, 독서대 등과 같은 경사면의 경우에도 회전판을 회전시켜 장식물이 스마트폰의 측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경사면의 상단 단부에 거치수단을 걸침으로써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다.
또한, 거치수단이 스마트폰 뒷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실수로 스마트폰을 지면에 떨어뜨린 경우 거치수단이 먼저 지면과 부딪히면서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거치수단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배치되기 때문에 거치수단을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 뒷면에 부착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뒷면 중앙을 무선충전장치에 밀착시켜 무선충전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수단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배치되기 때문에 무선충전이 가능한 것과 더불어 회전판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결합부에 장식물이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판을 회전시켜 장식물이 결합된 결합부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중앙을 향하게 하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중앙의 안전한 지점에서 거치가 가능하므로 스마트폰이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즉, 연장된 형태의 결합부가 회전하기 때문에 무선충전장치에 스마트폰의 뒷면 중앙을 밀착시켜 무선충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장식물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이 장식물로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의해 스마트폰이 편평한 곳에 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의해 스마트폰이 기울어진 곳에 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스마트폰 보호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이 스마트폰에 부착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장식물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은 베이스판(10) 및 회전판(20)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베이스판(10)과 회전판(20)은 회전축(30) 및 연결부(40)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판(10)에는 회전축(30)이 결합되는 결합공(12)이 베이스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판(10)의 아랫면에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부착면(11)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판(20)은 베이스판(10)과 회전축(30) 및 연결부(40)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판(10)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으며, 연결부(40)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돌출부(23)가 형성된 원형돌출부(22)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단에는 장식물(50)이 결합되는 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베이스판(10)과 회전판(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0)의 원형돌출부(22)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23)가 연결부(40)의 내측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회전판(20)과 연결부(40)가 결합되고, 연결부(40)와 베이스판(10)에 형성된 결합공(41, 12)을 통해 회전축(30)이 결합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베이스판(10)과 회전판(20)이 결합된다. 이때, 연결부(40)는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통이 다단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접거나 펴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베이스판(10)과 회전판(20)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회전판(20)을 잡고 당기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된 원통이 모두 펴지면서 회전판(20)과 베이스판(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회전판(20)을 베이스판(10) 쪽으로 밀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가장 큰 원통의 내부로 나머지 원통이 삽입되면서 회전판(20)과 베이스판(10)이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4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무와 물성이 유사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베이스판(10)의 부착면(11)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면 베이스판(10)은 고정된 상태로 회전축(30), 연결부(40) 및 회전판(20)이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회전판(20)이 베이스판(10)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0)에 형성된 결합부(21)에는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50)이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장식물(50)은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식물의 기능과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이 장식물로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의해 스마트폰이 편평한 곳에 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에 의해 스마트폰이 기울어진 곳에 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스마트폰 보호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이 스마트폰에 부착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의 부착면(11)을 통해 스마트폰(60)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61)의 뒷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판(20)을 결합부(21)가 스마트폰(60)의 상단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면 결합부(21)에 결합된 장식물(50)이 스마트폰(60)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방에 노출됨으로써 스마트폰(6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장식물(50)이 스마트폰(60) 상단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판(20)을 당기거나 밀면 연결부(40)가 펴지거나 접혀지면서 베이스판(10)과 회전판(2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 스마트폰(60) 상단 외측으로 돌출된 장식물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은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의 외관 장식 기능과 함께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의 부착면(11)을 스마트폰(60)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61)의 뒷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회전판(20)을 장식물(50)이 결합된 결합부(21)가 스마트폰(60)의 하단을 향하도록 회전시키고 편평한 바닥에 스마트폰(60)을 내려놓으면 회전판(20)의 결합부(21)에 결합된 장식물(50)이 바닥과 맞닿아 스마트폰(60)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탱함으로써 스마트폰(60)을 편평한 바닥에 거치할 수 있으며, 이때, 회전판(20)을 당겨 연결부(40)를 최대로 펴면 회전판(20)과 베이스판(10) 사이의 거리가 최대로 되어 스마트폰(60)을 더욱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21) 및 장식물(50)이 없이 회전판(20)만 있으면, 스마트폰(60)을 가장자리에서 지지하여 거치하므로 안정성이 떨어지지만, 본 발명은 결합부(21) 및 장식물(50)을 회전시키면 스마트폰(60) 뒷면의 중앙 부근에 위치시킬 수 있어 안정적 거치가 가능하다. 즉, 결합부(21) 및 장식물(50)을 회전시켜 지면과의 접촉 지점을 중앙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물(50)이 결합된 결합부(21)를 각각 스마트폰(60)의 하단, 상단, 측면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후 거치시킴으로써 스마트폰(60)의 거치 경사각을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연결부(40)를 각각 펼치게 되면 총 6개의 경사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테이블, 책상, 독서대 등과 같은 경사면의 경우, 회전판(20)을 장식물(50)이 결합된 결합부(21)가 스마트폰(60)의 측면을 향하도록, 즉, 결합부(21)가 가리키는 방향이 베이스판(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회전판(20) 및 장식물(50)을 경사면의 상단 단부에 걸침으로써 스마트폰(60)을 거치할 수 있다. 이때, 기존의 거치수단의 경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중앙에 부착되기 때문에, 거치수단을 경사면의 단부에 걸쳐서 거치할 경우 무게중심이 가까워 불안정하게 거치되어 떨어질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거치수단은 스마트폰(60)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61)의 뒷면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부착되기 때문에 경사면의 상단 단부에 걸쳐 거치할 경우 무게중심이 아래에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60)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61)의 뒷면에 거치수단(100)이 부착되면 거치수단(100)이 스마트폰(60) 본체보다 돌출되기 때문에 스마트폰(60)을 사용 중 실수로 지면에 떨어뜨렸을 경우, 거치수단(100)의 무게에 의해 거치수단(100)이 부착된 곳이 먼저 바닥에 닿게 되며, 이때 거치수단(100)이 스마트폰(60) 보다 먼저 지면에 부딪히면서 스마트폰(6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수단(100)은 스마트폰(60)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61)의 뒷면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부착되기 때문에 무선충전장치에 평면 밀착이 가능하여 스마트폰(60)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61) 뒷면에 거치수단(100)을 부착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60) 뒷면 중앙을 무선충전장치에 밀착시켜 무선충전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은 베이스판(70) 및 회전판(80)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베이스판(70)과 회전판(80)은 회전축(90), 연결부(91) 및 원형돌출부(82)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연결부(91)는 베이스판(70)에서 회전판(80)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통이 다단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91)를 베이스판(70)에서 회전판(80)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통이 다단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베이스판(80)에서 장식물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인 부착면(81)이 더 길게 확대되어 다양한 길이의 장식물을 설치할 수 있으며, 연결부(91) 중 외경이 큰 부분이 외부에서 보이는 것이 방지되어 거치수단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은 회전판을 회전시켜 회전판에 결합된 장식물을 스마트폰 상단 외측으로 돌출시켜 노출시킴으로써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미적인 장식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를 접거나 펼쳐서 베이스판과 회전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 외측으로 돌출된 장식물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을 회전시켜 장식물이 스마트폰의 하단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테이블 등의 편평한 곳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으며, 연결부를 펼쳐서 베이스판과 회전판 사이의 거리를 최대로 한 후 스마트폰을 거치하면 더욱 안정적으로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다.
또한, 경사진 테이블, 독서대 등과 같은 경사면의 경우에도 회전판을 회전시켜 장식물이 스마트폰의 측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경사면의 상단 단부에 거치수단을 걸침으로써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다.
또한, 거치수단이 스마트폰 뒷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실수로 스마트폰을 지면에 떨어뜨린 경우 거치수단이 먼저 지면과 부딪히면서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거치수단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 뒷면의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배치되기 때문에 거치수단을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 뒷면에 부착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뒷면 중앙을 무선충전장치에 밀착시켜 무선충전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수단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배치되기 때문에 무선충전이 가능한 것과 더불어 회전판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결합부에 장식물이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판을 회전시켜 장식물이 결합된 결합부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중앙을 향하게 하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중앙의 안전한 지점에서 거치가 가능하므로 스마트폰이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즉, 연장된 형태의 결합부가 회전하기 때문에 무선충전장치에 스마트폰의 뒷면 중앙을 밀착시켜 무선충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판
11 : 부착면
12 : 결합공
20 : 회전판
21 : 결합부
22 : 원형돌출부
23 : 돌출부
30 : 회전축
40 : 연결부
41 : 결합공
50 : 장식물
60 : 스마트폰
61 : 스마트폰 케이스
100 : 거치수단

Claims (5)

  1.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는 부착면 및 결합공이 형성된 베이스판;
    장식물이 결합되는 결합부 및 원형돌출부가 형성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상기 원형돌출부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의 상기 원형돌출부와 결합된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베이스판의 결합공을 통해 회전축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회전판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판이 상기 베이스판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를 접거나 폄으로써 상기 회전판과 상기 베이스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 상단 가장자리 주변에 부착되며,
    상기 회전판을 상기 결합부가 상기 스마트폰의 상단을 향하도록 회전시켜 상기 장식물을 상기 스마트폰의 상단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상기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부피가 큰 상기 장식물을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 상단, 측면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후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부피가 큰 상기 장식물이 상기 스마트폰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탱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의 거치 경사각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판을 상기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장식물이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장식물이 상기 스마트폰 뒷면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여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부피가 큰 상기 장식물이 상기 스마트폰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탱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을 편평한 바닥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을 상기 장식물이 결합된 상기 결합부가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및 상기 장식물을 경사면의 상단 단부에 걸침으로써 경사면에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베이스판에서 상기 회전판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통이 다단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
KR1020180085517A 2018-05-10 2018-07-23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 KR102090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472 2018-05-10
KR20180053472 2018-05-10
KR20180067996 2018-06-14
KR1020180067996 2018-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654A KR20190129654A (ko) 2019-11-20
KR102090786B1 true KR102090786B1 (ko) 2020-03-18

Family

ID=6872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517A KR102090786B1 (ko) 2018-05-10 2018-07-23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7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4765A1 (ja) 2012-08-30 2014-03-06 有限会社菊川工業 携帯端末装置のアクセサリー
KR101502738B1 (ko)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95B1 (ko) * 2005-10-19 2012-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거치대의 지지 수단
KR20130007167U (ko) * 2012-06-05 2013-12-13 주식회사 하이디 휴대폰용 접이식 받침구
KR20170118596A (ko) * 2016-04-15 2017-10-25 구광서 다기능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KR20180043495A (ko) * 2016-10-20 2018-04-30 장건 각도분할형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겸 차량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4765A1 (ja) 2012-08-30 2014-03-06 有限会社菊川工業 携帯端末装置のアクセサリー
KR101502738B1 (ko)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654A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4315B (zh) 带有支架的电子装置夹持器
US9128668B2 (en) Multiple suction cup attachment platform: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on a vertical surface
KR101062557B1 (ko)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US20140228075A1 (en) Functional Support System For Cellular Phone Or Related Devices
JP2020510895A (ja) 携帯電子機器の支持体
US9235230B1 (en) Magnetic stand, mount and cord wrap for mobile devices and accessories
US20210106106A1 (en) Cellular Device Case Having a Built-In Mount
KR101472033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281064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2090786B1 (ko)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
KR200491591Y1 (ko)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GB2512884A (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tan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tand
JP5580501B1 (ja) 携帯端末装置のアクセサリー
KR20120068296A (ko) 카메라 삼각대
KR102135597B1 (ko) 휴대 전자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618594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CN109257469B (zh) 移动式电子信息器件
KR20130007167U (ko) 휴대폰용 접이식 받침구
KR200490546Y1 (ko)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
WO2022199353A1 (zh) 一种保护壳
CN204967915U (zh) 一种手机套
KR20190002715U (ko)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