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596A - 다기능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596A
KR20170118596A KR1020170034674A KR20170034674A KR20170118596A KR 20170118596 A KR20170118596 A KR 20170118596A KR 1020170034674 A KR1020170034674 A KR 1020170034674A KR 20170034674 A KR20170034674 A KR 20170034674A KR 20170118596 A KR20170118596 A KR 20170118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in
protrusion
main body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광서
구규빈
Original Assignee
구광서
구규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서, 구규빈 filed Critical 구광서
Priority to PCT/KR2017/00402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79928A1/ko
Publication of KR20170118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8Ventil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면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 케이스 일 면 중 어느 하나에 접착되는 고정 패널; 상기 고정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 회동부를 매개로 상기 회전판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중공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폐곡면 구조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의 대향 측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커넥터를 구비한 루프(loo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Portable terminal holder with multi-functional connector}
본 발명은 다기능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로서, 보다 상세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상태에서, 중공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휴대용 전자기기의 파지하거나, 바닥에 거치되거나, 차량의 송풍구 그릴 사이에 결합되어 차량용 거치대로서 활용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끼워져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모품을 보관 및 거치할 수 있는 다기능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란 용어는 휴대폰(피쳐 폰: Feature Phone), MP3(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1 Audio Layer-3),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laptop) 노트북, 미니 노트북,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스마트폰(smart phone), 차량 거치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휴대용 게임기기(Play Station Portable), 전자사전, 리모콘(Remote control) 등 휴대 가능한 모든 전자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기기의 무게가 적게는 수십g 까지 줄어들었고, 기기의 부피도 상당히 소형화되었으며, 특히 휴대폰과 PDA의 기능이 융합된 스마트 폰은 기존의 음성 통화 중심의 휴대 전화 기능에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PDA의 네트워크 기능과 스케줄 기능, 개인 정보 관리 기능, Wi-Fi를 통한 인터넷 정보 검색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음성 통화는 물론, 화상 통화 및 전송, MP3 기능을 통한 음악 감상과 DMB를 통한 동영상 방송 콘텐츠를 즐길 수 있음과 아울러, GPS를 통한 네비게이션 기능은 물론, 게임을 즐기거나 또는 소설이나 만화 등도 다운로드 받아 볼 수 있는 등 그 놀라운 편의성 및 다양한 기능성으로 인하여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 매년 13%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모바일 기기의 중심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책상이나 테이블에 올려놓고 방송이나 영화를 보는 경우, 휴대단말기를 책상 위에 눕힌 상태로 올려놓게 되면 눈과 화면의 각도가 지나치게 증가되어 화상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단말기를 책상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거나 대화면 추세로 한 손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거치 장치(거치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거치 장치 역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기능을 가진 종류가 상당수 출시되고 있는바, 대화면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할 뿐 아니라 책상에 편리하게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별도의 홀더와 결합하여 차량의 대시보드나 기타 부위에 결합되어 차량용 거치대로서 활용될 수 있는 다기능 거치대도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예로, 국내 특허 제 1481256호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는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는 접착판과,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고리 및 고리가 접착판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 가능하며, 고리가 접착판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리의 개방부와 접착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고리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용이하게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할 수 있으며 이 고리를 일정 각도로 기울려 책상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고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에 이를 결합할 경우 필연적으로 실용신안 등록 제 476134호와 같은 마운팅 부재를 매개로 하여 차량의 대시보드 등에 결합이 되어야 하고 만일 고리를 차량의 대시보드 일 측에 설치되어 에어컨의 냉풍이나 히터의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구의 그릴에 장착할 경우 고리의 직경이 동일하기 때문에 그릴 사이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되, 단순히 손가락만 끼우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 사이에 삽입시켜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시킬 뿐 아니라 차량의 송풍구 그릴 사이에 편리하고 견고하게 탈착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신규하고 진보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할 수 있는 메인바디를 제공하되 차량의 송풍구 그릴 사이에 끼울 수 있는 커넥터를 적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송풍구 그릴의 피로도를 최소화하면서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커넥터의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인접한 손가락 사이에 끼워 휴대폰을 편리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접촉부를 루프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메인바디로부터 커넥터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메인바디에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를 탈착되거나 좌우로 이동 가능토록 하여 거치상태에 따라 변형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메인바디에 다양한 형태의 함입부를 형성하여 거치를 보조할 수 있으며, 나아가 거치 이외에 다양한 용도로도 거치장치를 활용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면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 케이스 일 면 중 어느 하나에 접착되는 고정 패널; 상기 고정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 회동부를 매개로 상기 회전판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중공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폐곡면 구조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의 대향 측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커넥터를 구비한 루프(loo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메인바디는, 중공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폐곡면 구조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커넥터의 표면에서 돌출된 탄성재질의 메인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메인 돌기는, 상기 메인 돌기의 표면 일 측에서 추가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메인 돌기보다 높은 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탄성재질의 서브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 돌기는, 상기 메인 돌기를 향해 가해지는 압력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 돌기 내부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에 의하면,
1) 사용자의 손가락을 루프의 중공부에 끼우거나 책상 등의 바닥에 거치할 수 있으면서 커넥터에 의해 차량용 송풍구 그릴 사이에 끼워 차량 거치대로서 활용도 가능하기 때문에 일체적 원 바디(one body)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지고,
2) 커넥터의 두께 및 구조를 특이하게 구성하여 차량의 송풍구 그릴 사이에 편리하고 견고하게 탈착 결합되면서 그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3) 사용자의 인접한 손가락 사이에 루프를 끼워 안전하고 용이하게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탄성공에 의하여 커넥터 자체의 탄성적인 압착성을 보장하여 송풍구 그릴 사이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 및 분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5) 커넥터의 탈착성을 보장하여 다양한 활용성을 제공하며.
6)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를 장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치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7) 메인바디에 다양한 형태의 함입부를 형성하여 거치를 보조할 수 있으며, 나아가 거치 이외에 다양한 용도로도 거치장치를 활용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치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메인바디에 구비된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바디에 접촉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 장치에서 손가락 접촉부가 손가락 사이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메인바디와 커넥터의 다양한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복합적인 돌기 구성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메인바디와 커넥터의 추가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함입부구성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커넥터가 메인바디에서 탈착 가능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도 9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치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거치 장치는 일정한 체적을 갖는 메인바디(10) 또는 메인바디(10)에 환형(環形)의 폐곡면 구조로 이루어진 루프(loop)를 형성한 상태로 고정 패널(40)을 매개로 휴대용 전자기기(1)의 일 측면(일반적으로 배면)에 수평 및 수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 패널(40)은 휴대용 전자기기(1)의 일 측면(바람직하게는, 배면) 내지 휴대용 전자기기(1)에 장착된 보호 케이스의 일 측면(역시 배면이 바람직)에 결합된 것으로서,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 접착제가 도포된 면이 접착 면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 내지 이에 결합된 보호 케이스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러한 고정 패널(40)은 회전판(30)을 추가로 구비하여 후술할 루프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회전판(30)은 고정 패널(40)의 일 측에 함입 내지 관통 형성된 결합부에 축이나 회전 봉, 둘레부의 레일, 둘레부의 베어링과 같은 회전 수단(미도시)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회전판(30)에 결합된 루프가 고정 패널을 중심으로 회전(수평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판(3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축/봉이나 둘레부에 구비된 레일 내지 베어링과 같은 회전 수단을 통해 고정 패널(4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루프(loop)는 회동부(20)를 매개로 접철(수직 회전) 가능하게 고정 패널(또는 회전판)(40)에 결합된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파지 기능은 물론 차량의 송풍구 그릴 사이에 결합되어 차량용 거치대로서도 활용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부가적인 구성이다.
이때, 회동부(20)는 메인바디(10) 또는 루프가 고정 패널(40)을 기준으로 눕거나 기립될 수 있도록, 즉 고정 패널(40)의 연장 방향에서 수직된 방향을 지나 다시 반대 편 고정 패널 방향에 이르도록 180도 회동될 수 있고 다시 말해 기립되거나 눕힌 상태로 루프를 접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메인바디(10) 또는 루프는 회동부(20)와 회전판(30)을 통해 고정 패널(40)을 기준으로 수직/수평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회동부(20)는 책상 등의 바닥면에 특정 각도로서 기립 지지될 수 있도록 무한 회동되는 것이 아니라 스토퍼 힌지(stopper hinge)와 같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루프는 내부가 관통 형성된 중공부(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중공부(11), 루프 및 메인바디(10) 각각의 형상은 원형, 역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양자가 반드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각기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메인바디(10)만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구성이겠으나, 더 나아가 이러한 중공부(11)의 구성을 더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끼워 휴대용 전자기기를 쉽사리 떨어트리지 않고 안전하게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중공부(11)의 직경은 사용자의 성별이나 연령대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메인바디(1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마치 병따개 내지 와인 오프너와 같은 역삼각형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이에 대응되어 회전판(또는 고정 패널)(30)의 표면에 코르크 문양이 인쇄되어 있어, 마치 와인 마개와 와인 오프너/병따개와 같은 세트 형상을 가지도록 디자인 처리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디자인 적용 타입에 따라 다양하고 재미있는 형상을 모티브로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친숙함을 가져줄 뿐 아니라 디자인적인 완성도까지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메인바디(10)에 구비된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커넥터(100)는 메인바디(10)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회동부(20)와 결합된 부위의 대향 측에 메인바디(10)에서의 다른 연장 부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진 구성으로서, 다시 말해 두툼한 볼륨으로 부풀어 형성된 구조를 의미한다.
커넥터(100)의 확장된 체적, 즉 두꺼운 두께에 의한 구조는 다양한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는바, 동일 두께로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거나 아니면 메인바디(10)의 다른 부위와의 경계 부위에서 점진적으로 커넥터(100)의 중앙 부위로 갈수록 그 두께가 증가하도록, 즉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벌어지도록 테이퍼(taper) 처리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테이퍼 형상 역시 라운딩지거나 직선으로 연장되는 등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100)는 차량의 송풍구 그릴 사이에 끼워져 쉽사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 고정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송풍구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로 연장된 그릴(grill) 사이 공간에 다른 부위에 비해 두꺼운 두께를 가진 커넥터(100)가 그릴의 자체 탄성을 매개로 그릴을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진입하여 끼워지고 그릴은 탄성적 복원을 한 다음 그릴 내부의 빈 공간으로 충분히 삽입되도록 장착됨으로써, 역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 커넥터(100)의 두꺼운 두께에 의해 쉽사리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송풍구 그릴은 휨성과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외력(커넥터의 표면이 미는 힘)을 2개의 그릴 사이에 작용하여 커넥터(100)를 이 사이에 밀어 넣고 외력을 해제하면 커넥터(100)가 해당 그릴 사이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해제 시에는 이 반대의 작용을 수행하면 된다.
이러한 작용을 위하여, 커넥터(100)는 송풍구의 그릴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큰 높이를 가진 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커넥터(100)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커넥터(100) 자체를 일부 압착한 상태에서 송풍구의 그릴 사이에 끼워 넣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커넥터(100)에 의하여, 중공부(11)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하는 기능은 물론 별도의 홀더나 마운트(mount) 없이도 루프 자체가 일체적으로 차량 결합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활용성을 자랑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바디(10)에 접촉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메인바디(10)에서 커넥터(100)는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커넥터(100)의 정면 구조에서 상부의 양 측 부위 중 어느 하나가 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접촉부(130)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러한 접촉부(130)는 사용자의 손가락 2개가 손가락 접촉부(130)에 안착되었을 때 손가락 2개가 만나는 부위를 지긋이 눌러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인접한 손가락 2개 사이에서 메인바디(10)가 이탈되는 문제를 더욱 보강할 뿐 아니라 지압 효과로 사용자에게 시원한 기분을 제공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130)는 커넥터(100)의 상단 면(113)이 수평 또는 소폭 경사지게 하방 연장되어 첨단부를 형성하고, 접촉부(130)의 측면은 첨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되 중공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된 오목 라운딩부(115)로 이루어져 있다.
즉, 오목 라운딩부(115)에 의하여 발생된 오목 면에 손가락 사이 부위가 보다 편안하게 접촉하도록 하고 첨단부(114)는 너무 뾰족하지 않게 챔퍼(champer) 처리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 부위를 상해하거나 찌르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 장치에서 손가락 접촉부가 손가락 사이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손가락 접촉부(130)에 2개의 인접한 손가락을 각각 접촉하고 접촉부(130)가 손가락 2개가 접하는 부위를 지긋이 눌러주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메인바디(10)를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를 파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손가락 접촉부(130)와 접촉부(130)에 의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을 매개로 보다 편리하게 휴대용 전자기기(1)를 파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메인바디(10)와 커넥터의 다양한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의 횡단면은, 앞선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10)의 일 측이자 회동부(20)가 결합된 부위의 대향측에서 메인바디(10)에서 다른 연장부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커넥터(100)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커넥터(100)에는 추가적으로 별도의 돌기나 함입홈 등을 형성함으로써 커넥터(100)의 지면고정이나 그릴에서의 고정 등을 보조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100)의 일 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돌기(301)가 위치할 수 있다. 이 메인 돌기(301)는 그 재질이 커넥터(100)와 다른 탄성도나 표면 거칠기를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지면에 밀착되거나 그릴 사이에 끼움결합 될 때 위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강력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 돌기(301)가 형성된 위치는 커넥터(100)의 표면이라면 어디든지 가능하며, 그 형태 또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 (a)는 첫 번째 실시예로서, 커넥터에는 좌/우 또는 전/후등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메인 돌기(301)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커넥터(100)의 표면에 형성된 이동 레일의 구성으로서 특정 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포함하되, 메인 돌기(301)는 이에 대응되는 돌기인 이동 돌부(303)를 포함하여 이 이동 돌부(303)와 이동 레일의 결합으로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돌기(301)는 위치가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울퉁불퉁한 표면이나 복잡한 형태의 홈에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메인 돌기(301)가 형성되는 위치는 커넥터(100)의 표면 중 어떠한 방향이나 위치에서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도면에 나타난 것은 하나의 예시로서 메인 돌기(301)가 커넥터(100)의 가장 상단에 위치한 것이므로, 이러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홈이나 고정돌기 또는 표면 거칠기 등이 보장되는 경우라면, 이 메인 돌기(301)가 움직인 후 다시 최초 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탄성복귀수단(313)이 더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모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필요에 따라 추가 및 제거하여 메인 돌기(301)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에서, (b)는 두 번째 실시예로서, 이러한 메인 돌기(301)의 구성을 활용한 커넥터(100) 및 메인바디(10)의 활용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형태는 캐릭터의 얼굴이나 몸통 등의 형태를 적용할 수 있는데, 하나의 예로서,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곰돌이 얼굴의 형상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형상은 사용자로 하여금 친근감을 줄 수 있어 마케팅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물과 같은 캐릭터를 사용할 때에 귀/팔 등을 메인 돌기(301)로 구성한다면, 귀 또는 팔이 움직이게 되어 사용자에게 거부감이 없을뿐더러 귀 또는 팔이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형태나 포즈를 취할 수 있는 오락적인 요소를 더 부가할 수 있는 구성이라 하겠다.
도 5에서, (c)는 세 번째 실시예로서, 메인 돌기(30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메인 돌기(301)는 중앙 부위가 높이방향을 향해 구부러진 상태로 커넥터(10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를 갖는 일종의 고리형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체적으로 단면이 ‘C’형상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양 단부는 커넥터(100)의 표면에 부착되나, 중앙부위가 이격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메인 돌기(301)는 기존의 메인 돌기(301)의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되, 추가적으로 형태상 특징을 활용하여 고리와 같은 기능을 갖거나 혹은 이격된 부위를 충격흡수용도로 활용하는 등, 보다 복합적인 요소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도면에서 나타난 (c)의 형상은 일 실시예로서, 부착되는 방향 등이 도면에 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종단면의 형태 또한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부피나 형상을 갖는 형체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도 5에서 (d)는 네 번째 실시예로서, 표면커버(314)를 장착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표면커버(314)는 커넥터(100)의 표면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커넥터(1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표면에 도포되어 굳힌 막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표면에 별도의 커버부재를 직접 부착하는 방법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커버(314)는 커넥터(100)의 표면 성질과 다른 성질(예를 들면 마찰력이나 탄성도, 내구성 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표면커버(314)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으로서 커넥터(100)의 마찰을 보조하거나 내구성을 보조할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난 구성을 더욱 심화시킨 것으로서, 커넥터(100)에 보다 복합적인 돌기 구성을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에서, (a)는 세 번째 실시예로서, 메인 돌기(301)의 상단에 추가로 서브 돌기(302)를 부착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서브 돌기(302) 구성은 메인 돌기(301)의 역할을 보조하고자 할 때 활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메인 돌기(301)가 형성되어있음에도 커넥터(100)의 표면으로부터 메인 돌기(301)의 돌출된 길이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 혹은 메인 돌기(301)가 커넥터(100)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된 것으로서,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나 그 내구성이 충분치 못한 경우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즉, 앞선 목적으로 서브 돌기(302)를 형성한다면 단순히 메인 돌기(301)의 돌출된 길이나 높이를 연장시키기 위해 서브 돌기(302)를 추가 구성하는 것이며, 다음 목적으로 서브 돌기(302)를 형성한다면 메인 돌기(301)의 성질을 보조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메인 돌기(301)와 서브 돌기(302)의 성질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은데, 다만, 서브 돌기(302)가 메인 돌기(301)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인 만큼 메인 돌기(301)보다 탄성력이 작아 잘 수축되지 않는 재질로서 구성하되, 내구성이 보다 좋은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서브 돌기(302)는 메인 돌기(301)를 향해 가해지는 압력 여부에 따라 메인 돌기(301) 내부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메인 돌기(301)의 내부에 서브 돌기(302)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거나 혹은 메인 돌기(301) 자체의 탄성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서브 돌기(302)에서 메인 돌기(301)를 향해 압력을 가하는 경우, 서브 돌기(302)가 메인 돌기(301)의 내부로 일정 수준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도 있다. 특히 이러한 구성은 후술할 메인 함입부(304)의 구성없이도 메인 돌기(301)와 서브 돌기(302)만으로 돌기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서브 돌기(302)가 형성되는 위치는 메인 돌기(301)의 표면 중 어떠한 방향이나 위치에서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도면에 나타난 것은 하나의 예시로서 메인 돌기(301)와 서브 돌기(302)가 나란하게 위치한 것이므로, 이러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6에서, (b)는 도 6의 (a)의 구성을 강화한 실시예로서, 메인 돌기(301)의 상단에 추가로 서브 돌기(302)를 복수개 부착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기존의 도 5에 나타난 서브 돌기(302)의 구성은 메인 돌기(301)의 단순 길이연장이나 내구성보조만을 목적으로 했으나, 도 6의 (a)구성을 통해 서브 돌기(302)를 보다 강화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돌기(302)가 복수개 포함되면서 지면의 상황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서브 돌기(302)가 다양한 위치로 돌출되어있어 마치 식탁의 4개의 다리를 활용하여 바닥에 세워지는 것이 단일 다리를 활용해 세워지는 것 보다 안정적인 것과 같은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서브 돌기(302)는 메인 돌기(301)의 표면 중 어떠한 방향이나 위치로도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서브 돌기(302)를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가 지면에 세워질 때의 예상되는 닿는 위치를 판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지면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갖출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 (c)는 돌기의 형태를 변경한 실시예로서, 메인 돌기(301)를 안테나식 연장구조를 갖는 서포터(312)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안테나식 연장구조의 서포터(312)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성재질로 구성된 복수개의 기둥이 결합되어 마치 안테나와 같은 형태로 연장 및 수축 가능한 것인데, 이러한 구성은 기존의 메인 돌기(301)의 연장된 길이가 충분치 못한 경우 서브 돌기(302)를 형성하지 않고 이러한 안테나식 연장구조의 서포터(312)를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안테나식 연장구조의 서포터(312)를 갖는 메인 돌기(301)에서 커넥터(100)와 연결되는 부위에 좌우 등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구성인 힌지를 더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 힌지구성을 통해 메인 돌기(301)를 다양한 방향으로 꺾어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꺾임구성은 바닥면에 메인바디(10)를 눕혀 거치할 때에 안테나식 연장구조를 갖는 메인 돌기(301)가 바닥면과 추가로 고정될 수 있어 안정적인 거치구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그릴에 메인바디(10)가 삽입되어 고정하는 경우에도 이 메인 돌기(301)를 메인바디(10)의 연장방향과 다른 다양한 방향으로 꺾은 상태에서 그릴에 삽입함으로써 그릴에서 쉽게 메인바디(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구성으로서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메인바디(10)와 커넥터의 추가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커넥터(100)에는 앞선 돌기구성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함입부구성을 갖출 수 있다. 도 8에서 (a)를 살펴보면, 커넥터(100)의 표면 일 측에 메인 함입부(304)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메인 함입부(304)는 탄성재질로 표면을 코팅하거나 함입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탄성체를 커넥터(100)에 장착한 것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를 지면에 설치할 때 또는 그릴에 삽입할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커넥터(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활용되거나 혹은 커넥터(100)가 지면에 더욱 용이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파손을 방지하는 구성은 이러한 메인 함입부(304)의 표면 형태를 활용하는 것이며,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졌을 때, 이 함입부의 표면을 따라 충격이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더욱 효과적인 충격분산을 위하여 표면에 요철구조를 더 형성하거나 회오리형상의 돌기무늬를 더 포함시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커넥터(100)가 지면에 더욱 용이하게 세워지는 것을 보조하는 구성으로서, 기존의 커넥터(100)의 표면은 둥근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면에 직접 닿더라도 실질적으로 지면과 밀착된 면적이 매우 적다. 이에 따라 조금만 충격을 받더라도 미끄러져 밀려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메인 함입부(304)를 바닥에 닿는 면에 형성하게 되면, 메인 함입부(304)의 테두리만큼의 밀착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쉽게 미끄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메인 함입부(304) 또한 그 형성위치는 커넥터(100)의 표면 어디에서든지 가능한 것으로서,
도 7에서 (b) 및 (c)를 살펴보면, 아예 커넥터(100)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시킨 메인 관통부(305)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관통되는 구멍은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여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이러한 구성 중 두 개의 구멍으로 구성된 일 실시예를 표현하였다. 이러한 메인 관통부(305)는 앞선 설명에서 메인바디(10)를 손가락 사이에 끼워 그립방식으로 잡을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 때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에 공기를 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일종의 통기공의 역할을 하는 구성을 통해 오랜 시간동안 메인바디(10)를 잡고 있는 경우에도 땀으로 발생하는 습기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 외에도 메인 관통부(305)를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피커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가져다 대어 마치 스피커 증폭관으로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c)의 경우, 나팔관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어 소리의 효과적인 울림 제어가 가능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내주면에 다양한 돌기나 무늬 구성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c)는 (a)의 구성을 보조하는 용도로서도 활용될 수 있는데, (a)의 경우, 메인 함입부(304)가 단일로 형성되어 특정 방향에서만 효과를 갖출 수 있는 구성이지만, (c)의 경우,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으로 관통되어있어 다양한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어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짐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함입부구성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커넥터(100)에는 앞선 함입부구성을 더욱 강화한 다음의 구성을 갖출 수 있다. 도 9에서 (a)를 살펴보면, 앞선 도 8의 (a)의 구성과 앞선 도 6의 (a)의 구성을 융합한 형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은 메인 함입부(304)를 기본으로 갖추되, 여기에 추가적으로 착탈 돌기(307)를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두 형태로 활용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일단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메인 함입부(304)가 형성되되 이 메인 함입부(30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 돌기(307)를 삽입한다. 즉, 착탈 돌기(307)를 제거한 경우에는 기존의 메인 함입부(304)와 동일한 구성을 갖되, 추가적으로 메인 함입부(304)에 대응되는 하부면을 갖춘 착탈 돌기(307)가 더 포함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이 착탈 돌기(307)를 메인 함입부(304)에 삽입하여 돌기로 활용할 수도 있는 구성을 갖춘 것이다.
이 때, 착탈 돌기(307)와 메인 함입부(304)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해 착탈 돌기(307)와 메인 함입부(304)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암형 또는 수형 결합부(310)를 선택적으로 보유할 수 있으며, 이 암형 또는 수형 결합부(310)도 단순하게 요철구조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닌, 내부에 서로 다른 자성을 띈 자성체가 부착된 자성판을 더 포함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결합을 보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서 (b)를 살펴보면, 메인 함입부(304)에 구형의 회전구체(308)를 삽입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메인 함입부(304)는 회전구체(308)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되, 회전구체(308)가 쉽게 메인 함입부(30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구체(308)가 내장되어 회전하는데 충분한 공간인 회전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메인 함입부(304)의 둘레를 따라 높이방향으로 추가 연장된 그립벽(31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추가적으로 회전구체(308)를 탄성재질로 구성하거나 혹은 커넥터(100)에서 메인 함입부(304)가 형성된 부분을 탄성재질로 구성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에서 받은 압력을 회전구체(308) 또는 메인 함입부(304)의 형태가 눌리면서 일정 수준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구체(308)구성은 기존의 돌기구성과 달리 회전구체(308)을 통해 보다 자연스럽게 이동이 가능하여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가 필히 특정 형태로 고정되어야 하는 상황이 아닌 자주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예를 들면 떨리는 차의 내부공간과 같은)에 활용될 수 있다. 다만, 회전구체(308)에 의해 너무 과도하게 메인바디(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구체(308)의 표면을 마찰력이 높아지도록 코팅하는 등의 후 처리를 통해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도 8에서 (c)를 살펴보면, 메인 함입부(304)에 추가로 서브 함입부(306)를 더 형성한 상태에서 구형의 회전구체(308)을 삽입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기존의 (b)구조와 달리 메인 함입부(304)의 하단에 추가로 서브 함입부(306)가 형성되되는데, 이 경우 회전구체(308)에 강한 압력을 가했을 때, 회전구체(308)이 최초 단계에서 메인 함입부(304)에 위치하여 형태가 변형되되, 충분한 압력을 더 가하면 다음 단계에서는 메인 함입부(304)에서 이탈되어 서브 함입부(306)로 이동되게 된다. 이렇게 이동되면 회전구체(308)이 더 이상 동작하지 않고 내부에서 고정되며, 이에 따라 메인 함입부(304)의 역할만을 수행토록 하되, 다시 외부에서(바람직하게는 커넥터(100)의 측면을 눌러) 압력을 가하게 되면 회전구체(308)이 다시 메인 함입부(304)로 튀어나오면서 원래의 형태로 동작할 수 있는 구성을 갖게 되는 구성이다.
또한, 도면에 표시하였듯이, 회전구체(308)에도 여러개의 보조 돌기(309)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보조 돌기(309)는 회전구체(308)의 표면에 위치하여, 회전구체(308)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이며, 이 경우 회전구체(308)가 메인 함입부(304)의 내부에서 회전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도 9는 본 발명의 커넥터가 메인바디(10)에서 탈착 가능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의 실시예는 커넥터(100)가 메인바디(10)에서 탈착 가능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1에서 커넥터(100)가 형성된 부위를 평탄하게 처리하되 이러한 평탄면(12)에서 합임 형성된 가이드 레일(13)을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13)은 평탄면(12)에서 평탄면(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된 가이드부(13a)와, 이 가이드부(13a)의 내측 면 각각에서 가이드부(13a)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13a)의 함입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추가 함입 형성된 레일(13b)을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커넥터(100)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폭에 상응한 폭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140)와, 상기 가이드 레일(13)에 슬라이딩 이동 결합되도록 상기 레일(13b)의 연장 방향과 상응한 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140)의 하측 부위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 연장된 풀러(141)가 구비될 수 있다.
레일(13)과 풀러(141)의 함입 및 돌출된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톱니 모양 등 공지의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이러한 커넥터(100)의 가이드 돌기(140) 및 풀러(141)를 각각 가이드부(13a)와 레일(13b)에 끼움 결합한 다음 가이드부(13a) 및 레일(13b)의 연장 방향을 따라 커넥터(100)를 밀어 가이드 레일(13)에 커넥터(100)의 하측(가이드 돌기 및 풀러)을 고정시킴으로서 커넥터(100)가 메인바디(10)의 평탄면(12)에 결합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평상시에는 커넥터(100) 없이 평탄면(12)을 구비한 메인바디(10)만을 사용하다가 차량의 송풍구 그릴에 거치할 필요가 있거나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끼워 파지할 경우 커넥터(100)를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풀러(141)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레일(13b)의 결합 시작 단의 대향 측을 막는 스토퍼를 추가로 형성하여, 커넥터(100)가 불필요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9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커넥터(100)가 탈착되는 도 10과 같은 구조에서, 추가적으로 메인바디(10)의 일 부위와 커넥터(100)의 결합 부위 사이에 별도의 악세서리 부재(200)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10(a)의 루프와 커넥터의 결합 상태 단면도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풀러(141)는 상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입 형성된 고정 레일(142)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이에 대응하여 레일(13b)의 상면 측에서 상부 내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 보조 레일(미도시)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은 고정 레일(142) 또는 고정 레일(142)과 보조 레일의 결합체에 의하여 양 측부만 개방된 밀폐공간이 발생하는바, 이에 악세서리 부재(200)의 스트링(21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악세서리 부재(200)는 스트링(210)을 구비한 상태에서, 스트링(210)의 일 측에 결합된 다양한 악세서리 모듈(220)을 포함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악세서리 모듈(220)은 예를 들어 목걸이의 팬던트, 장식부재, 이어폰 모듈 등과 같은 것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악세서리 부재(200)가 이어폰일 경우, 스트링(210)은 케이블이 되고 악세서리 모듈(220)은 이어폰 헤드가 되어, 이어폰을 메인바디(10)에 보관할 수 있고 잔여 케이블은 메인바디(10)에 말아 보관할 수도 있다.
이 도 10에 따른 변형 실시예에 대한 기능을 설명하면, 우선 악세서리 부재(200)의 스트링(210)을 풀러(141)의 고정 레일(142)에 안착시켜 배열한 다음 가이드 레일(13)과 결합을 하면 스트링(210)이 가이드 레일(13)과 풀러(141) 간 결합에 의한 밀폐 공간에 갇혀 결과적으로 커넥터(100)와 메인바디(10)의 결합체에 고정이 된다.
따라서 휴대폰에 부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악세서리 부재(200)를 커넥터(100)와 메인바디(10)의 결합체와 함께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다양한 사용자의 악세서리 부재를 지지 및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휴대용 전자기기 10: 메인바디
11: 중공부 12: 평탄면
13: 가이드 레일 13a: 가이드부
13b: 레일 20: 회동부
30: 회전판 40: 고정 패널
100: 커넥터 113: 상단 면
114: 첨단부 115: 오목 라운딩부
130: 접촉부 140: 가이드 돌기
141: 풀러 142: 고정 레일
150: 이동 레일 200: 악세서리 부재
210: 스트링 220: 악세서리 모듈
301: 메인 돌기
302: 서브 돌기 303: 이동 돌부
304: 메인 함입부 305: 메인 관통부
306: 서브 함입부 307: 착탈 돌기
308: 회전구체 309: 보조 돌기
310: 암형 또는 수형 결합부 311: 그립벽
312: 서포터 313: 탄성복귀수단
314: 표면커버

Claims (13)

  1. 다기능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면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 케이스 일 면 중 어느 하나에 접착되는 고정 패널;
    상기 고정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
    회동부를 매개로 상기 회전판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회동부의 대향 측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커넥터를 구비한 메인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중공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폐곡면 구조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커넥터의 표면에서 돌출된 탄성재질의 메인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돌기는,
    중앙 부위가 높이방향을 향해 구부러져 상기 커넥터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고리형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돌기는,
    상기 메인 돌기의 표면 일 측에서 추가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메인 돌기보다 높은 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탄성재질의 서브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돌기는,
    상기 메인 돌기를 향해 가해지는 압력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 돌기 내부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돌기는,
    복수개의 기둥이 승강 가능한 안테나식 연장구조의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커넥터의 표면 일부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표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커넥터의 표면에서 함입 연장된 이동 레일과,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돌부와,
    상기 이동 돌부를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복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커넥터의 표면에서 함입된 메인 함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함입부는,
    둘레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추가 연장되어 회전공간을 형성하는 그립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회전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탄성재질의 회전구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커넥터의 표면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관통 형성된 메인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회동부의 대향 측에 형성된 평탄면에서 상기 평탄면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함입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 면 각각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함입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함입되어 연장 형성된 레일로 이루어진 가이드 레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하측 부위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상응하는 폭으로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상기 레일의 연장 방향과 상응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의 양 측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풀러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부와 풀러에 의해 상기 커넥터가 상기 루프에 탈착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되,
    상기 풀러의 상면에는,
    상기 풀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입되어 연장된 고정 레일을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 레일에 악세서리 모듈을 구비한 악세서리 부재의 스트링을 안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KR1020170034674A 2016-04-15 2017-03-20 다기능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KR20170118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4025 WO2017179928A1 (ko) 2016-04-15 2017-04-13 다기능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62 2016-04-15
KR20160046162 2016-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596A true KR20170118596A (ko) 2017-10-25

Family

ID=6029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674A KR20170118596A (ko) 2016-04-15 2017-03-20 다기능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85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654A (ko) * 2018-05-10 2019-11-20 (주)유윈씨앤티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654A (ko) * 2018-05-10 2019-11-20 (주)유윈씨앤티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회전식 스마트폰 거치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3863B2 (en) Protective sheath
US8929060B2 (en) Audio visual enhancement apparatus
US20140228075A1 (en) Functional Support System For Cellular Phone Or Related Devices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TW201401019A (zh) 支撐架及具有該支撐架之電子裝置
US6816740B2 (en) Recharge apparatus for holding the rechargeable device
US20160033074A1 (en) Electronic device stand
KR200457185Y1 (ko) 거치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54217Y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
KR101472033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KR20170118596A (ko) 다기능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KR20180011601A (ko)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019971A (ko)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20130002875U (ko) 핸드폰 케이스
KR101618594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74326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KR200457661Y1 (ko)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KR100702709B1 (ko)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338217B1 (ko) 휴대형 전자기기의 지지대
KR20150017170A (ko) 차량용 멀티미디어기기 거치대
KR101424938B1 (ko) 다용도 거치대
KR20120066402A (ko) 스마트패드용 거치대
KR20120015202A (ko) 태블릿pc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