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79928A1 - 다기능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79928A1
WO2017179928A1 PCT/KR2017/004025 KR2017004025W WO2017179928A1 WO 2017179928 A1 WO2017179928 A1 WO 2017179928A1 KR 2017004025 W KR2017004025 W KR 2017004025W WO 2017179928 A1 WO2017179928 A1 WO 20171799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wing
mai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40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구광서
구규빈
Original Assignee
구광서
구규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4615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4893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3467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118596A/ko
Application filed by 구광서, 구규빈 filed Critical 구광서
Publication of WO20171799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799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func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more specifically, in a state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user's finger is held in the hollow portion to hol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the floor or the air vent of the vehicle It is coupled to the grill to be used as a vehicle holder, as well as inserted between the user's fingers can hol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le at the same time equipped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equipped with a multi-functional wing that can store and mount the consumabl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is about.
  • portable electronics refers to mobile phones (feature phones), MP3 (Moving Pictures Experts Group) -1 Audio Layer-3 (PMP), Portable Media Player (PMP),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Laptops, mini-notebooks, ultra-mobile personal computers (UMPCs), tablet PCs, smartphones, navigation for car-mounted navigation, Play Station Portable, electronic dictionaries, remote controls ( It refers to all portable electronic terminals such as remote control.
  • a mounting device that allows the portable terminal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desk or assists in hold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one hand in a large screen trend.
  • Such a mounting device has also been released with a variety of functions with the developmen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hich makes it easy to hol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large screen and to moun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 a desk conveniently.
  • a multi-functional cradle that can be used as a cradle for a vehicle by being combined with a separate holder and coupled to a dashboard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s also being released.
  • Korean Patent No. 1481256, 'Accessories of a portable device' is a plate tha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and the loop and the ring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is rotatable to have a variety of angles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pla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adhesive plate and the opening of the ring to maintain a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plate.
  •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inserting the user's finger on the hook, and it is posted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on the desk by tilting the hook at an angl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and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capable of suppor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interposing a user's fing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configuration for moun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 the ground by deforming the cradle for mounting the fing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figuration that can be mounted in a variety of ways in a variety of locations by var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radle.
  • the fixed panel is bonded to any one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 a bas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anel;
  • the main body having a wing having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other portion of the opposite side portion of the rotating portion is foldably coupled to the base via the rota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losed curved structure in a state provided with a hollow portion.
  •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nger portion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base to the lower end of the wing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two adjacent fingers.
  • the front structure of the fing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recessed to be concave rou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loop can be inserted between users' adjacent fingers to support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afely and easi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overall structure of th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ing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in detail the upper portion of the 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rotating structur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base configuration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of the main body and the 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mplex projection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ur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main body and the 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concave portio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ructure detachable from the wing body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mbodiment of FIG. 14.
  • FIG. 1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mbodiment of FIG. 14.
  •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 main body
  • detachable projection 308 the rotating sphere
  • auxiliary protrusion 314 surface cover
  • the fixing panel is bonded to any one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 a bas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anel;
  • the main body having a wing portion having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other portion of the opposite side portion of the rotating portion is foldably coupled to the base via the rotating portion; In the form of.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overall structure of th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in the form of a loop (loop) consisting of an annular closed curved structure on the main body 10 or the main body 10 having a constant volume
  • the main feature is that the panel 40 is mounted to one side (generally the back)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so as to be able to rotat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 the fixed panel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one side (preferably the back)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to one side of the protective case mounted 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also preferably the back side).
  • the adhesive is applied to one surface, and the surface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is firmly attach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protective case coupled thereto 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adhesive surface.
  •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a mobile phone, an MP3, a PMP, a PDA, a laptop notebook, a mini notebook, a UMPC, a tablet PC, a smartphone, a car navigation system, It means al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portable game devices, electronic dictionaries, remote controllers,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means to cover and protect at least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 the fixing panel 4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base 30 to be combined with a loop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base 30 is rotatably coupled to a coupling portion formed in one side of the fixing panel 40 through a rotat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shaft, a rotating rod, a rail around the periphery, and a bearing around the periphery. As a result, the loop coupled to the base 30 may serve to rotate (horizontal rotation) about the fixed panel.
  • the base 30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anel 40 through rotation means such as rails or bearings provided in the rotation axis / rod or the peripher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ing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xed panel (or base) 40 to be foldable (vertical rotation) through the rotating unit 20, and the user's various gripping functions, as well as between the blower grille of the vehicle. It is an additional configuration that is coupled to provide a variety of functions that are also utilized as a vehicle holder.
  • the rotation unit 20 is fixed so that the main body 10 or the loop can lie down or stand on the basis of the fixing panel 40, that is, the other side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xing panel 40 again. It may be rotated 180 degrees to reach the panel direction, that is, performs a function of folding the main body 10 in a standing or lying state. That is, the main body 10 may be rotated in the vertical /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panel 40 through the rotating unit 20 and the base 30.
  • the rotating part 20 is not rotated infinitely so that it can stan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desk as a specific angle, but is rotated to enable angle adjustment, such as a stopper hinge with a built-in stopper function. It is desirable to provide.
  • the main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llow portion 11 through which the inside is formed, and the hollow portion 11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 inverted triangle, a rectangle, and both. It is not necessarily made of the same shape but may be made of different shapes.
  • the main body 10 can be utilized only in the configuration, but by further appl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llow portion 11 further by inserting any one finger of the user to hol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afely with one hand without dropping easily.
  • the diameter of the hollow part 11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gender or age of the user.
  • the wing portion 100 is thicker than the other extension portion in the main body 10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preferabl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coupled to the pivoting portion 20.
  • a configuration having a thickness that is, it means a structure inflated in a thick volume.
  • the expanded volume of the wing portion 100 that is, the structure due to the thick thickness can be expressed in various shapes, formed to extend outward with the same thickness or progressively at the boundary with other parts of the main body 10
  • the tapered shape may also be made of various structures such as rounding or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 the main body 10 may be configured to mount two fingers adjacent to the finger mounting portion 400 by further includ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nger mounting portion 400 even if the finger is not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11.
  • two adjacent fingers are generally formed to feel the most appropriate grip when inserted into the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or middle finger and ring finger. That is, the wing portion 100 is formed to extend in a shape that gradually widen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ing portion 400, the two fingers inserted in the finger mounting portion 400 is caught from the upper surface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It formed a means.
  •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eating portion 402 is located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first direction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of the drawing.
  •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401 is positioned to the rear,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g portion 100 is positioned upward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se 30 is positioned will be declared below.
  • the finger placement portion 400 is recessed to be concave rounded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bottom when viewed from the front.
  • the finger placement unit 400 when viewed from the front, will be shown in a form similar to the shape of an hourglass. This shape 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fixing the two fingers adjacent to the finger mounting portion 400, the finger is stable to the finger mounting portion 4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essed sid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nger, respectively. Has the effect of being spread over.
  • first seating portion 401 is formed recessed to be concave rounded on the rear side. Since the first seating portion 401 is formed, when the adjacent fingers are inserted into the finger placement portion 400, the pressure is applied or the foreign body feeling can be reduced more than the case where the relatively soft portion between the fingers is straight or protruding.
  • At least one second seating portion 402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nger placement part 400 to be curvature along the front side.
  • the second seating portion 402 may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separate mounting member.
  • Mounting member is attached to or coupled to the bottom or a position that needs to be attached, and includes a pillar or a hook member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ating portion 402, so the second seating portion 402 on the pillar or hook member It can be mounted by hanging.
  • the second seating portion 402 is to be hanged and stored in two rows of mounting members, two second seating portions 402 corresponding to the form of each row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so that the two rows of mounting members and the two seats are formed.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two seating portion 402, through this combination is not easy to fall off even after the combination can be easily maintained.
  • the finger mounting portion 400 it is possible to form a different height of the finger mounting portion 400. That is, if the height of the finger placement unit 400 is also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rear side so as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change of the finger, it is possible to feel a more stable grip when the finger is inserted.
  • the wing portion 100 has a reference arc 101 that crosses the rear side from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is located. 3 and 4, the width of the reference arc 101 gradually decreases in both lateral directions.
  • the wing portion 10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lacement portion 400, and has set the reference arc 101 that cros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100.
  • the width of both sides of the reference arc 101 is formed to be the same in both lateral directions, or the width decreases gradually in both lateral directions to have a slender shape. Therefore, by using the shape of the wing portion 100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 the wing portion 100 When the wing portion 100 is viewed from the front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to protrude convexly rounded along the side around the reference arc (101). That is, it extends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finger placement part 400, and is located above the convex circle.
  • the thickness of the wing portion 100 is formed to about 8 ⁇ 10mm,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through the wing portion 100 sandwiched between the majority of the car tuyere grille.
  • the side end portion that is the highest portion relative to the side and the top portion relative to the highest portion relative to the upper side relative to the side, from one side of the wing portion 100
  • a first rounding part 107 extending to the end and a second rounding part 108 extending from the side end to the tip of the highest position, and the opposite side is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from the left and right.
  • the side end portion is hooked to the tuyere can be mount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car tuyere grille.
  •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in detail the upper portion of the 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extension part 102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02 that are formed convexly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first reference point in the first curvature.
  • the third extension part 103 extending from the second extension part 103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03 extending from the second extension part 103 to the tip portion (third reference point) located at the highest position in the wing part 100 in the second convex shape is convexly extended.
  • (104), and the fourth extension part (106) formed concavely extending from the tip to the fourth reference point in the rear in a third curvature.
  • the first reference point, the second reference point, the third reference point, and the fourth reference point mean a point where the curvature is changed when the wing portion 100 is viewed from the side.
  • the 1st curve, the 2nd curve, and the 3rd curve have a different curvature, respectively.
  • the tip portion may be further covered with an eccentric portion 105.
  • the eccentric portion 105 includes an elastic body or a weight having a certain weight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tip portion, and when the moun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floor without mounting the mounting device on the finger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It acts as a weight and can also prevent slipping by adding an appropriate friction force.
  • FIG. 6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rotational structur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e 30 and the finger mounting unit 400 are applied between the base 30 and the finger mounting unit 400 via the pivoting unit 20, respectively. It is to be rotatably coupled with each other.
  • the male pivoting portion 20 is formed on the base 30 and the female pivoting portion 20 is formed on the finger placement portion 400 or vice versa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 the bar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male rotating part 20 to support a more robust and effective rotating part can be configured to be more robust rotation.
  •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state diagram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unting apparatus can be attach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nd the base 30 is the attachment object.
  • the attach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serves to increase the grip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not easily detached from the hand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held by walking between the fingers and the fingers.
  • it can stand as a pedestal on the ground to suppor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nd other additional mounting members. Of course, it may be coupled to suppor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 the wing portion 100 may have any one of the two side portions of the upper portion protruding in a lateral direction from the front structure of the wing portion 100 ( 130)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contact part 130 serves to press the part where the two fingers meet, and the main body 10 between the two adjacent fingers of the user.
  • the problem of deviation can be further reinforced.
  • the contact portion 130 extends downwardly so that the top surface 113 of the wing portion 100 is horizontally or slightly inclined to form a tip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30 is bent downwardly at the tip portion and rounded concave toward the hollow portion direction. Concave rounded portion 115 formed to be recessed.
  • the portion between the fingers contact the concave surface generated by the concave rounding portion 115 more comfortably, and the tip portion 114 is not too sharp to injure or puncture the portion between the user's fingers. Of course, it can be processed.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ase configuration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e 30 may have a plate shape and may have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base 31 and the second base 32.
  • the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bases 11 and 12 may be modified to apply a fitting structure or a rail structure to physically attach the surface. It may also form a bond.
  • a rail 403 embedded in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binding surface of the first base 31,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il 403 is fix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ase 32.
  • a height protruding puller 34 is formed.
  • the recessed and protruding shapes of the rail 403 and the puller 34 may be applied to various known shapes such as rectangular or serrated.
  • the puller 34 is coupled to the rail 403 by fitting. In this structure, only the base on which the first base 31 is formed is attach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mounting by fitting the base 30, the puller 34 is formed.
  • the puller 34 may be provided with a stronger coupling force by blocking one side of the rail 403 of the first base 31 so that the fitting and disassembly are possible only in the same direction.
  • main ring 35 and the ring pivot 36 are coupled between the first base 31 and the second base 32, and the main ring 35 is fitted to the ring pivot 36. It is possible to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rotation is possible.
  • the main ring 35 is processed in a ring shape, based on an aluminum material which is not easily changed from an external force, but in consideration of metal interference in wireless charging, which is recently utilized, plastic Of course, various known materials can be used.
  • the main ring 35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ase 31 with an attachment medium such as an adhesive, an adhesive pad, or an adhesive tape to be mounted on any on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or a dedicated coupling.
  • Forming a terminal to physically attach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a corresponding coupling terminal it may be configured as any one of the structure to form and manufacture the main ring 35 together when manufactur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 the main ring 35 may be one set with the ring rotating part 36 that covers the upper en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in ring 35 or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ring 35.
  • the ring rotating part 36 is rotatable in combination with the main ring 35, and the ring rotating part 36 is also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ring 35, and is formed separately on the second base 32 or the main ring (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after being formed as a separate member in the form of a ring as shown in 35).
  • FIG.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of the main body and the 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omplex protrusion configuration is applied to the 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At least one main protrusion 301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wing part 100.
  • the main protrusion 301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different elasticity or surface roughness than the wing portion 100 can provide a strong fixing force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position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or sandwiched between the grill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 the position where the main protrusion 301 is formed can be anywhere as long as the surface of the wing part 100, and the form is not limited, of course.
  • the wing portion may include a configuration of the main protrusion 301 that can be rotated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left / right or front / rear.
  • the main projection 301 includes a moving projection 303, which is a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projection 303
  • the moving rail can be moved along the moving rail. Since the main protrusion 301 is changeable in position, the main protrusion 301 may be fixed to an uneven surface or a groove of a complicated shape.
  • the position where the main protrusion 301 is formed may be formed in any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surface of the wing portion 100, and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main protrusion 301 is the wing portion 100 as an example. Since it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se drawings, of course.
  • FIG. 10 illustrates a method of utilizing the wing unit 100 and the main body 10 us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rotrusion 301 as a second embodiment.
  • This form can be applied to the shape of the character's face or torso, etc. As an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is to have the shape of a bear face.
  • Such a shape can give the user a friendly feeling and can be used for marketing, and if the ear / arm is configured as the main protrusion 301 when using a character such as an animal, the ear or the arm moves so that the user has a sense of rejection. Not only that, it can be added to the entertainment elements that can take a variety of forms or poses as the ear or arm moves.
  • FIG. 10 shows one embodiment of the main protrusion 301 as the third embodiment.
  • the main protrusion 301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kind of annular projection having a form spaced from the surface of the wing portion 100 in a stat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bent toward the height direction. That is, the cross section is formed to be bent in a 'C' shape as a whole, both ends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wing portion 100, but the center portion is spaced apart.
  • the main protrusion 301 includes the configuration of the existing main protrusion 301 as it is, and additionally utilizes a feature such as a ring to have a function such as a ring or use a spaced portion for shock absorption, such as more complex Of course, it can be used as an element. Therefore, the shape of (c) shown in the drawing is one embodiment, the direction to be attached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 the shape of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is not limited to the circular shape can be composed of various shapes or shapes. Of course.
  • Surface cover 314 is mounted to the wing portion 100 in a form surrounding the surface portion of the wing portion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ardened film applied to the surface or directly attaching a separate cover member to the surface And the like can be utilized.
  • the surface cover 314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operty different from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wing portion 100 (for example, frictional force, elasticity, durability, etc.), the configuration of the surface cover 314 is added This is because it may serve to assist the friction of the wing portion 100 or to assist the durability.
  • FIG. 1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0 is further deepened and a more complex protrusion configuration is applied to the wing unit 100.
  • FIG. 11 shows a form in which the sub-protrusion 302 is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protrusion 301 as the fifth embodiment.
  • Such a sub-projection 302 can be used to assist in the role of the main projection 301, for example, even if the main projection 301 is formed from the main projection 301 from the surface of the wing portion 100 If the protruding length is not sufficient or as the main protrusion 301 is attached to prevent the impact of the wing portion 100, it has a certain elastic force but its durability can be utilized if not enough.
  • the main protrusion 301 and the sub-projection 302 may be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except that the sub-projection 302 is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wear of the main protrusion 301, so that the main protrusion 301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material having a higher durability, but configured as a material that is less shrinkable than the elastic force.
  • the sub protrusion 302 may have a configuration capable of drawing in and out of the main protrusion 301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ward the main protrusion 301, and furthermore, the position of the sub protrusion 302 may be formed in the main protrusion 302. It may be formed in any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surface of the projection 301, and the one shown in the figure is an example that the main projection 301 and the sub-projection 302 is located side by side, it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such a figure Of course not.
  • FIG. 11 (b)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FIG. 11 (a) is strengthened, and a plurality of sub protrusions 302 are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protrusion 301.
  • FIG. 11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hape of the protrusion is changed, and the main protrusion 301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upporter 312 having an antenna type extension structure.
  • the supporter 312 of the antenna type extension structure is coupled with a plurality of pillar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extend and contract in the form of an antenna,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existing main protrusion 301. If the length is not sufficient, it can be solved through the supporter 312 of the antenna extension structure without forming the sub-projection 302.
  • the main protrusion 301 having the supporter 312 of the antenna type extension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hinge, which may be rotated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wing portion 100.
  • the hinge configuration the main protrusion 301 may be folded in various directions.
  • This fold configuration allows the main protrusion 301 having an antenna-type extension structure to be additionally fixed with the bottom surface when the main body 10 is laid on the bottom, and has a stable mounting structure, and also the main body on the grill. Even when the 10 is inserted and fixed, the main protrusion 301 is inserted into the grill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protrusion 301 is bent in various directions different from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main body 10 is not easily detached from the grill. Of course, it can be utilized as a locking configuration.
  • FIG. 1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ur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main body and the 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ng portion 100 may be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as a concept opposite to the previous protrusion.
  • the main recess 30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wing portion (100).
  • the main recess 304 is a surface coated with an elastic material or an elastic bod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ess is mounted on the wing unit 100, and occurs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is installed on the ground or inserted into a grill. It can be used as a configuration that can prevent the wing unit 100 from being damaged from the impact or to support the wing unit 100 to be more easily erect on the ground.
  • the formation position is possible anywhere on the surface of the wing portion 100,
  • the through hole may be composed of at least two, including the inlet and the outlet, the figure represents an embodiment consisting of two holes of this configuration.
  • the main through part 305 has been described in the previous description that the main body 10 can be gripped by a grip method between the fingers, in which case it provide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air to pass between the fingers and fingers. Even through holding the main body 10 for a long time through the configuration that serves as a kind of ventilator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oisture generated by the sweat.
  • (c) may also be used as an aid to assist the configuration of (a).
  • FIG. 1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concave portio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ng portion 100 may be provided with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o further strengthe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vious depression.
  • the main recess 304 is provided as a base, it show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utilized in two forms by additionally inserting, combining the removable projection 307.
  • the detachable protrusion 307 when the detachable protrusion 307 is removed,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xisting main recess 304, but additionally includes a detachable protrusion 307 having a low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main recess 304.
  • the detachable protrusion 307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recess 304 to utilize the protrusion.
  • the detachable protrusion 307 and the main recess 304 are each selected to have a female or male coupling portion 310 on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 the female or male coupling portion 310 may not be merely a concave-convex structure, but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plate attached with a magnetic material having different magnetic properties therein. Of course, it can help.
  • a spherical rotating sphere 308 is inserted into the main recess 304.
  • the main recess 304 may be rotated by inserting the rotary sphere 308, but the rotary sphere 308 is sufficient to rotate the built-in sphere so that the rotary sphere 308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recess 304
  • the grip wall 311 further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recess 304 so as to form a rotation space that is a space.
  • the rotating sphere 308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or a case in which a portion of the wing portion 100 in which the main recess 304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may be considered, thereby rotating the pressure received from the outside.
  • the shape of the sphere 308 or the main recess 304 is pressed to absorb a certain level.
  • a spherical rotary sphere 308 is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a sub depression 306 is further formed in the main depression 304.
  • the sub depression 306 is additional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ain depression 304.
  • the rotation sphere 308 firstly appears. The shape is deformed by being located in the main recess 304 in the step, but if a sufficient pressure is further applied, in the next step, the main recess 304 is released from the main recess 304 and moved to the sub depression 306.
  • the rotary sphere 308 When moved in this way, the rotary sphere 308 is no longer in operation and is fixed inward, thereby performing only the role of the main recess 304, but again from the outside (preferably by pressing the side of the wing 100)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he rotating sphere 308 protrudes back into the main recess 304 and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operating in its original form.
  • the rotating sphere 308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uxiliary projections (309).
  • the auxiliary projection 309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rotary sphere 308, the configuration can increase the friction of the rotary sphere 308, in this case the rotary sphere 308 is rotated inside the main recess 304 It is desirable to be formed so as to protrude to a height that does not affect.
  • FIG. 14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w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 the wing part 100 can be detachably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and specifically, the wing part 100 is flatly treated at the part where the wing part 100 is formed in FIG. 1. It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13 formed on the flat surface (12).
  • the guide rail 13 has a guide portion 13a recessed in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direction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at surface 12 from the flat surface 12, and the guide portion 13a on each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guide portion 13a.
  • the rail 13b is further reces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part 13a is insert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eference part 13a.
  • the guide protrusion 140 protruding in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guide part and slidingly coupled to the guide rail 13 is provided below the wing part 100.
  • a puller 141 may be provid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rotrusion 140 along one direction, and the recessed and protruding shapes of the rail 13 and the puller 141 may be rectangular or serrated. Of course, a variety of known shapes can be applied.
  • the guide protrusion 140 and the puller 141 of the wing portion 100 are fitted to the guide portion 13a and the rail 13b, respectively, and then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13a and the rail 13b.
  • the wing unit 100 is coupled to the flat surface 12 of the main body 10 by pushing the wing unit 100 to fix the lower side (guide protrusion and puller) of the wing unit 100 to the guide rail 13.
  • the main body 10 having the flat surface 12 without the wing portion 100 needs to be mounted on the air vent grille of the vehicle, or when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user's fingers and the wing portion ( 100) can be mounted.
  • a stopper for blocking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start end of the rail 13b may be further formed so that the puller 141 is not easily detached, thereby preventing the wing portion 100 from being separated in an unnecessary direction.
  • FIG. 1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mbodiment of FIG. 14.
  • the puller 141 may form the fixed rail 142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That is, the sealing space is opened only on both sides by the fixing rail 142, such that the string 210 of the accessory member 200 can be detachably coupled.
  • the accessory member 200 illustrated in FIG. 15 (b) includes various accessory modules 2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ring 210 in a state where the accessory member 200 is provided with the string 210.
  • the accessory member 200 is an earphone
  • the string 210 becomes a cable
  • the accessory module 220 becomes an earphone head so that the earphone can be stor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remaining cable is the main body 10. It can be rolled up and stored.
  • Multifunc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industrially mass-produced, but also can be combined in a variety of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has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of cour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면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 케이스 일 면 중 어느 하나에 접착되는 고정 패널; 상기 고정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 회동부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회동부의 대향 측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날개부를 구비한 메인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로서, 보다 상세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상태에서, 중공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하고 바닥에 거치되거나 차량의 송풍구 그릴 사이에 결합되어 차량용 거치대로서 활용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끼워져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모품을 보관 및 거치할 수 있는 다기능 날개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란 용어는 휴대폰(피쳐 폰: Feature Phone), MP3(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1 Audio Layer-3),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laptop) 노트북, 미니 노트북,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스마트폰(smart phone), 차량 거치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휴대용 게임기기(Play Station Portable), 전자사전, 리모콘(Remote control) 등 휴대 가능한 모든 전자단말기를 지칭한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책상이나 테이블에 올려놓고 방송이나 영화를 보는 경우, 휴대단말기를 책상 위에 눕힌 상태로 올려놓게 되면 눈과 화면의 각도가 지나치게 증가되어 화상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단말기를 책상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거나 대화면 추세로 한 손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거치 장치(거치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거치 장치 역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기능을 가진 종류가 상당수 출시되고 있는바, 대화면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할 뿐 아니라 책상에 편리하게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별도의 홀더와 결합하여 차량의 대시보드나 기타 부위에 결합되어 차량용 거치대로서 활용될 수 있는 다기능 거치대도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예로, 국내 특허 제 1481256호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는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는 접착판과,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고리 및 고리가 접착판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 가능하며, 고리가 접착판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리의 개방부와 접착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고리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용이하게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할 수 있으며 이 고리를 일정 각도로 기울려 책상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고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에 이를 결합할 경우 필연적으로 실용신안 등록 제 476134호와 같은 마운팅 부재를 매개로 하여 차량의 대시보드 등에 결합이 되어야 하고 만일 고리를 차량의 대시보드 일 측에 설치되어 에어컨의 냉풍이나 히터의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구의 그릴에 장착할 경우 고리의 직경이 동일하기 때문에 그릴 사이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휴대와 거치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확장성을 부가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가락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변형하여 지면 등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치대의 구성을 다양화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방법으로 거치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면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 케이스 일 면 중 어느 하나에 접착되는 고정 패널; 상기 고정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 회동부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회동부의 대향 측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날개부를 구비한 메인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메인바디는, 중공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폐곡면 구조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메인바디는,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날개부의 하단까지 높이방향으로 일정높이 연장 형성된 손가락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손가락거치부의 정면구조는,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에 의하면,
1) 일체적 원 바디(one body)구조의 변형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2) 날개부의 탈착성을 보장하여 다양한 활용성을 제공하며.
3) 사용자의 인접한 손가락 사이에 루프를 끼워 안전하고 용이하게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다양한 형태의 날개부를 장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치의 용이성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치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메인바디에 구비된 날개부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날개부의 상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회동구조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에서 베이스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메인바디와 날개부의 다양한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날개부에 복합적인 돌기 구성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메인바디와 날개부의 추가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함입부구성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날개부가 메인바디에서 탈착 가능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15은 도 14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부호의 설명>
1: 휴대용 전자기기 10: 메인바디
20: 회동부 30: 베이스
40: 고정 패널 100: 날개부
200: 악세서리 부재 301: 메인 돌기
302: 서브 돌기 304: 메인 함입부
305: 메인 관통부 306: 서브 함입부
307: 착탈 돌기 308: 회전구체
309: 보조 돌기 314: 표면커버
400: 손가락거치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면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 케이스 일 면 중 어느 하나에 접착되는 고정 패널; 상기 고정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 회동부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회동부의 대향 측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날개부를 구비한 메인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치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거치 장치는 일정한 체적을 갖는 메인바디(10) 또는 메인바디(10)에 환형(環形)의 폐곡면 구조로 이루어진 루프(loop)를 형성한 상태로 고정 패널(40)을 매개로 휴대용 전자기기(1)의 일 측면(일반적으로 배면)에 수평 및 수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 패널(40)은 휴대용 전자기기(1)의 일 측면(바람직하게는, 배면) 내지 휴대용 전자기기(1)에 장착된 보호 케이스의 일 측면(역시 배면이 바람직)에 결합된 것으로서,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 접착제가 도포된 면이 접착 면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 내지 이에 결합된 보호 케이스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여기에서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 넘어가자면,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폰, MP3, PMP, PDA, 랩톱 노트북, 미니 노트북, UMPC, 태블릿 PC, 스마트폰, 차량 거치용 네비게이션, 휴대용 게임기기, 전자사전, 리모콘 등 휴대 가능한 모든 전자단말기를 의미하고,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는 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적어도 일 측면을 덮어 보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고정 패널(40)은 베이스(30)을 추가로 구비하여 후술할 루프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베이스(30)은 고정 패널(40)의 일 측에 함입 내지 관통 형성된 결합부에 축이나 회전 봉, 둘레부의 레일, 둘레부의 베어링과 같은 회전 수단(미도시)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베이스(30)에 결합된 루프가 고정 패널을 중심으로 회전(수평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베이스(3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축/봉이나 둘레부에 구비된 레일 내지 베어링과 같은 회전 수단을 통해 고정 패널(4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메인바디에 구비된 날개부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전면도이다.
본 발명의 메인바디(10)는 회동부(20)를 매개로 접철(수직 회전) 가능하게 고정 패널(또는 베이스)(40)에 결합된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파지 기능은 물론 차량의 송풍구 그릴 사이에 결합되어 차량용 거치대로서도 활용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부가적인 구성이다.
이때, 회동부(20)는 메인바디(10) 또는 루프가 고정 패널(40)을 기준으로 눕거나 기립될 수 있도록, 즉 고정 패널(40)의 연장 방향에서 수직된 방향을 지나 다시 반대 편 고정 패널 방향에 이르도록 180도 회동될 수 있고 다시 말해 기립되거나 눕힌 상태로 메인바디(10)를 접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메인바디(10)는 회동부(20)와 베이스(30)을 통해 고정 패널(40)을 기준으로 수직/수평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회동부(20)는 책상 등의 바닥면에 특정 각도로서 기립 지지될 수 있도록 무한 회동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스토퍼 기능을 내장한 스토퍼 힌지(stopper hinge)와 같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인바디(10)는 내부가 관통 형성된 중공부(11)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중공부(11)의 형상은 원형, 역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양자가 반드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각기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메인바디(10)만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구성이겠으나, 더 나아가 이러한 중공부(11)의 구성을 더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끼워 휴대용 전자기기를 쉽사리 떨어트리지 않고 안전하게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중공부(11)의 직경은 사용자의 성별이나 연령대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날개부(100)는 메인바디(10)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회동부(20)와 결합된 부위의 대향 측에 메인바디(10)에서의 다른 연장 부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진 구성으로서, 다시 말해 두툼한 볼륨으로 부풀어 형성된 구조를 의미한다.
날개부(100)의 확장된 체적, 즉 두꺼운 두께에 의한 구조는 다양한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는바, 동일 두께로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거나 아니면 메인바디(10)의 다른 부위와의 경계 부위에서 점진적으로 날개부(100)의 중앙 부위로 갈수록 그 두께가 증가하도록, 즉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벌어지도록 테이퍼(taper) 처리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테이퍼 형상 역시 라운딩지거나 직선으로 연장되는 등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메인바디(10)는 중공부(11)에 손가락을 끼우지 않더라도 손가락거치부(400)의 구성을 더 포함함으로써 손가락거치부(400)에 인접한 두 손가락을 끼워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은 일반적으로 검지와 중지 또는 중지와 약지에 끼웠을 때 가장 적절한 그립감을 느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날개부(100)는 손가락거치부(400)의 상단면에서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손가락거치부(400)에 끼워진 두 개의 손가락이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상단면에서 걸림수단을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난 측면도를 기준으로 주변 구성을 더욱 설명하기 전에, 도면의 정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이자, 후술할 제2안착부(402)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방향이자 제1안착부(401)가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 날개부(100)가 위치하는 방향을 상방, 베이스(30)가 위치하는 방향을 하방이라 선언하고 설명하겠다.
다시 상세한 설명을 이어가면, 손가락거치부(400)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하단으로 부터 높이방향으로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마치 모래시계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손가락거치부(400)가 보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는 손가락거치부(400)에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을 걸어 고정시킨다는 목적에 적합한 것으로서, 손가락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측면이 각각 움푹 파인 형태로 형성된 손가락거치부(400)에 손가락이 안정적으로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손가락거치부(400)를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후측면에는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되는 제1안착부(401)가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안착부(401)가 형성됨으로써 인접한 손가락을 손가락거치부(400)에 끼웠을 때 비교적 부드러운 손가락 사이부위가 일자형상이거나 튀어나온 경우 보다 압박이 가해지거나 이물감이 드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손가락거치부(400)의 전측면에는 전측면을 따라 곡률지게 함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안착부(4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안착부(402)는 별도의 거치부재와 연동하여 사용될 수 있다.
거치부재란 일 측이 바닥이나 부착이 필요한 위치에 부착 또는 결합되고, 제2안착부(402)에 대응되는 형상의 기둥이나 걸이부재를 포함하므로 이 기둥이나 걸이부재에 제2안착부(402)가 걸림으로써 거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2열의 거치부재에 제2안착부(402)를 걸어 보관하려는 경우, 각 열의 형태에 대응되는 2개의 제2안착부(402)를 전측면에 형성하여 2열의 거치부재와 2개의 제2안착부(402)를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을 통해 결합 후에도 쉽게 빠지지 않아 고정을 용이하게 지속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손가락거치부(400)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손가락의 굵기변화와 대응되도록 손가락거치부(400)의 높이 또한 후측면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형태로 형성한다면 손가락을 끼웠을 때 보다 안정적인 그립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날개부(100)는 상단면의 전측면으로부터 후측면을 가로지르는 기준호(101)가 위치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 기준호(101)를 중심으로 양 측방향으로 점차 폭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날개부(100)는 다시 말해 손가락거치부(400)의 상단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날개부(100)의 상단면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가로지르는 기준호(101)를 설정하였다. 이 기준호(101)를 중심으로 양 측 방향으로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양 측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점차 폭이 감소되어 날렵한 형상을 갖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날개부(100)의 형상을 이용하여 바닥면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날개부(100)를 전측면에서 바라본다면, 기준호(101)를 중심으로 측면을 따라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손가락거치부(400)의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볼록한 원형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추가로, 날개부(100)의 두께를 8~10mm정도로 형성한다면, 이 날개부(100)를 통해 대다수의 자동차 송풍구 그릴 사이에 끼우는 거치도 가능하다. 날개부(100)를 전측면에서 보았을 때, 측면을 기준으로 가장 높이 솟은 부분인 측단부와 상측면을 기준으로 가장 높이 솟은 부분인 첨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날개부(100)의 일 측에서 측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라운딩파트(107)와, 상기 측단부로부터 가장 높이가 높은 위치인 첨단부까지 연장되는 제2라운딩파트(108)로 구성되고, 반대쪽은 앞서 설명한 것을 좌우로 대칭시킨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를 활용한다면 자동차 송풍구 그릴에 삽입된 이후 측단부가 송풍구에 걸려 거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날개부의 상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날개부(1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방으로부터 제1기준점까지 제1곡도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된 제1연장파트(102)와, 제1연장파트(102)로부터 제2기준점까지 연장 형성된 제2연장파트(103), 제2연장파트(103)로부터 날개부(100)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첨단부(제3기준점)까지 제2곡도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된 제3연장파트(104), 첨단부로부터 후방의 제4기준점까지 제3곡도로 오목하게 연장 형성된 제4연장파트(106)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기준점, 제2기준점, 제3기준점, 제4기준점은 각각 날개부(100)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곡률이 변경되는 지점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만, 제1곡도, 제2곡도, 제3곡도는 각각 상이한 곡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제3기준점이자, 첨단부에는 편심부(105)가 더 씌워질 수 있다. 편심부(105)는 첨단부의 외부를 감싸는 탄성체 또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추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치장치를 손가락에 끼우지 않고 바닥면에 세우는 형태로 거치하는 경우 바닥면에 거치될 때 무게추의 역할을 수행하며, 적절한 마찰력을 추가적으로 부여하여 미끄러지는 것 역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회동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베이스(30)와 손가락거치부(400) 사이에 회동부(20)를 적용하여 베이스(30)와 손가락거치부(400)이 각각 회동부(20)를 매개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 베이스(30)에 수형 회동부(20)가, 손가락거치부(400)에 암형 회동부(20)가 형성되거나 그 반대로 형성되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더욱 견고하고 효과적인 회동부 결합을 위해 수형 회동부(20)에는 회동을 보조할 수 있는 바가 추가로 삽입되어 더욱 견고한 회동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거치 장치를 부착할 수 있으며, 베이스(30)가 그 부착 대상이 된다. 이렇게 부착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는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를 걸어 안착시킴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할 때에 손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그립감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형상을 보고 짐작할 수 있듯이,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 그대로도 지면에 받침대로서 세워져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추가 거치부재에 결합되어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지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의 메인바디(10)에서 날개부(100)는 도 7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날개부(100)의 정면 구조에서 상부의 양 측 부위 중 어느 하나가 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접촉부(1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130)는 사용자의 손가락 2개가 손가락 접촉부(130)에 안착되었을 때 손가락 2개가 만나는 부위를 지긋이 눌러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인접한 손가락 2개 사이에서 메인바디(10)가 이탈되는 문제를 더욱 보강할수 있다. 접촉부(130)는 날개부(100)의 상단 면(113)이 수평 또는 소폭 경사지게 하방 연장되어 첨단부를 형성하고, 접촉부(130)의 측면은 첨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되 중공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된 오목 라운딩부(115)로 이루어져 있다.
즉, 오목 라운딩부(115)에 의하여 발생된 오목 면에 손가락 사이 부위가 보다 편안하게 접촉하도록 하고 첨단부(114)는 너무 뾰족하지 않게 챔퍼(champer) 처리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 부위를 상해하거나 찌르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에서 베이스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베이스(30)는 판 형상으로서 제1 베이스(31)와 제2 베이스(32)의 결합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결착을 화학적인 부착(본드, 실리콘, 접착제, 테이프 등)도 가능하나 제1 및 제2 베이스(11, 12)의 형상을 변형시켜 끼움삽입구조나 레일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부착면에 물리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도 있다.
물리적인 결합의 예를 들면, 제1 베이스(31)의 결착면에는 일정 깊이 함입된 레일(403)이 형성되고, 제2 베이스(32)의 하단면에는 레일(40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 풀러(34)가 형성된다. 레일(403)과 풀러(34)의 함입 및 돌출된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톱니 모양 등 공지의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풀러(34)를 레일(403)에 끼움결합시킴으로서 결합이 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평상시에는 제1 베이스(31)가 형성된 베이스만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다가 거치가 필요한 경우 풀러(34)가 형성된 베이스(30)를 끼움결합 시켜 거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풀러(34)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제1 베이스(31)의 레일(403) 일 측을 막아 끼움결합과 해체가 동일한 방향으로만 가능하게 한다면 보다 강한 결합력을 갖출 수 있다.
이에 더 나아가, 제1 베이스(31)와 제2 베이스(32) 사이에는 메인링(35)과 링회동부(36)를 결합시킨 것으로서, 링회동부(36)에 메인링(35)이 끼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해지는 구성을 갖출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메인링(35)은 고리형태로 가공된 것으로서, 외력으로부터 쉽게 변화하지 않는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최근 활용되고 있는 무선충전에서의 금속 간섭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등 공지의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메인링(35)은 접착제나 접착패드, 접착 테이프 등의 부착 매개체로 제1 베이스(31)의 타측에 부착되어,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후천적으로 장착되거나, 전용 결합단자를 형성하여 해당 결합단자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물리적으로 부착하는 구조,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제조 시 메인링(35)을 함께 형성하여 제조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서 구성될 수 있다.
메인링(35)은 메인링(35)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단부를 덮거나 또는 메인링(35)의 하단부에 결착되는 링회동부(36)와 하나의 세트가 될 수 있다. 이 링회동부(36)는 메인링(35)과 결합하여 회동 가능한 것으로서, 링회동부(36) 또한 메인링(35)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 베이스(32)에 별도로 형성되거나 메인링(35)과 같이 링 형태의 별도 부재로 형성된 이후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중 회전결합구조를 적용한다면 기존의 회동부(20)만을 적용하였을 때와 달리 링회동부(36)와 메인링(35)의 회전결합을 통해 회전시킬 수 있어 보다 다양한 각도로 거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메인바디와 날개부의 다양한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날개부에 복합적인 돌기 구성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날개부(100)의 일 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돌기(301)가 위치할 수 있다. 이 메인 돌기(301)는 그 재질이 날개부(100)와 다른 탄성도나 표면 거칠기를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지면에 밀착되거나 그릴 사이에 끼움결합 될 때 위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강력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 돌기(301)가 형성된 위치는 날개부(100)의 표면이라면 어디든지 가능하며, 그 형태 또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서, (a)는 첫 번째 실시예로서, 날개부에는 좌/우 또는 전/후등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메인 돌기(301)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날개부(100)의 표면에 형성된 이동 레일의 구성으로서 특정 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포함하되, 메인 돌기(301)는 이에 대응되는 돌기인 이동 돌부(303)를 포함하여 이 이동 돌부(303)와 이동 레일의 결합으로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돌기(301)는 위치가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울퉁불퉁한 표면이나 복잡한 형태의 홈에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메인 돌기(301)가 형성되는 위치는 날개부(100)의 표면 중 어떠한 방향이나 위치에서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도면에 나타난 것은 하나의 예시로서 메인 돌기(301)가 날개부(100)의 가장 상단에 위치한 것이므로, 이러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홈이나 고정돌기 또는 표면 거칠기 등이 보장되는 경우라면, 이 메인 돌기(301)가 움직인 후 다시 최초 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탄성복귀수단(313)이 더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모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필요에 따라 추가 및 제거하여 메인 돌기(301)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에서, (b)는 두 번째 실시예로서, 이러한 메인 돌기(301)의 구성을 활용한 날개부(100) 및 메인바디(10)의 활용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형태는 캐릭터의 얼굴이나 몸통 등의 형태를 적용할 수 있는데, 하나의 예로서,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곰돌이 얼굴의 형상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형상은 사용자로 하여금 친근감을 줄 수 있어 마케팅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물과 같은 캐릭터를 사용할 때에 귀/팔 등을 메인 돌기(301)로 구성한다면, 귀 또는 팔이 움직이게 되어 사용자에게 거부감이 없을뿐더러 귀 또는 팔이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형태나 포즈를 취할 수 있는 오락적인 요소를 더 부가할 수 있는 구성이라 하겠다.
도 10에서, (c)는 세 번째 실시예로서, 메인 돌기(30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메인 돌기(301)는 중앙 부위가 높이방향을 향해 구부러진 상태로 날개부(10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를 갖는 일종의 고리형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체적으로 단면이 ‘C’형상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양 단부는 날개부(100)의 표면에 부착되나, 중앙부위가 이격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메인 돌기(301)는 기존의 메인 돌기(301)의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되, 추가적으로 형태상 특징을 활용하여 고리와 같은 기능을 갖거나 혹은 이격된 부위를 충격흡수용도로 활용하는 등, 보다 복합적인 요소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도면에서 나타난 (c)의 형상은 일 실시예로서, 부착되는 방향 등이 도면에 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종단면의 형태 또한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부피나 형상을 갖는 형체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도 10에서 (d)는 네 번째 실시예로서, 표면커버(314)를 장착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표면커버(314)는 날개부(100)의 표면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날개부(1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표면에 도포되어 굳힌 막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표면에 별도의 커버부재를 직접 부착하는 방법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커버(314)는 날개부(100)의 표면 성질과 다른 성질(예를 들면 마찰력이나 탄성도, 내구성 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표면커버(314)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으로서 날개부(100)의 마찰을 보조하거나 내구성을 보조할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구성을 더욱 심화시킨 것으로서, 날개부(100)에 보다 복합적인 돌기 구성을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에서, (a)는 다섯 번째 실시예로서, 메인 돌기(301)의 상단에 추가로 서브 돌기(302)를 부착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서브 돌기(302) 구성은 메인 돌기(301)의 역할을 보조하고자 할 때 활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메인 돌기(301)가 형성되어있음에도 날개부(100)의 표면으로부터 메인 돌기(301)의 돌출된 길이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 혹은 메인 돌기(301)가 날개부(100)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된 것으로서,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나 그 내구성이 충분치 못한 경우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특히, 메인 돌기(301)와 서브 돌기(302)의 성질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은데, 다만, 서브 돌기(302)가 메인 돌기(301)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인 만큼 메인 돌기(301)보다 탄성력이 작아 잘 수축되지 않는 재질로서 구성하되, 내구성이 보다 좋은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서브 돌기(302)는 메인 돌기(301)를 향해 가해지는 압력 여부에 따라 메인 돌기(301) 내부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나아가 서브 돌기(302)가 형성되는 위치는 메인 돌기(301)의 표면 중 어떠한 방향이나 위치에서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도면에 나타난 것은 하나의 예시로서 메인 돌기(301)와 서브 돌기(302)가 나란하게 위치한 것이므로, 이러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11에서, (b)는 도 11의 (a)의 구성을 강화한 실시예로서, 메인 돌기(301)의 상단에 추가로 서브 돌기(302)를 복수개 부착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기존의 서브 돌기(302)의 구성은 메인 돌기(301)의 단순 길이연장이나 내구성보조만을 목적으로 했으나, (a)구성을 통해 서브 돌기(302)를 보다 강화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서브 돌기(302)는 메인 돌기(301)의 표면 중 어떠한 방향이나 위치로도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서브 돌기(302)를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가 지면에 세워질 때의 예상되는 닿는 위치를 판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지면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갖출 수 있게 된다.
도 11에서, (c)는 돌기의 형태를 변경한 실시예로서, 메인 돌기(301)를 안테나식 연장구조를 갖는 서포터(312)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안테나식 연장구조의 서포터(312)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성재질로 구성된 복수개의 기둥이 결합되어 마치 안테나와 같은 형태로 연장 및 수축 가능한 것인데, 이러한 구성은 기존의 메인 돌기(301)의 연장된 길이가 충분치 못한 경우 서브 돌기(302)를 형성하지 않고 이러한 안테나식 연장구조의 서포터(312)를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안테나식 연장구조의 서포터(312)를 갖는 메인 돌기(301)에서 날개부(100)와 연결되는 부위에 좌우 등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구성인 힌지를 더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 힌지구성을 통해 메인 돌기(301)를 다양한 방향으로 꺾어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꺾임구성은 바닥면에 메인바디(10)를 눕혀 거치할 때에 안테나식 연장구조를 갖는 메인 돌기(301)가 바닥면과 추가로 고정될 수 있어 안정적인 거치구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그릴에 메인바디(10)가 삽입되어 고정하는 경우에도 이 메인 돌기(301)를 메인바디(10)의 연장방향과 다른 다양한 방향으로 꺾은 상태에서 그릴에 삽입함으로써 그릴에서 쉽게 메인바디(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구성으로서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메인바디와 날개부의 추가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날개부(100)에는 앞선 돌기구성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함입부구성을 갖출 수 있다. 도 12에서 (a)를 살펴보면, 날개부(100)의 표면 일 측에 메인 함입부(304)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메인 함입부(304)는 탄성재질로 표면을 코팅하거나 함입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탄성체를 날개부(100)에 장착한 것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를 지면에 설치할 때 또는 그릴에 삽입할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날개부(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활용되거나 혹은 날개부(100)가 지면에 더욱 용이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이러한 메인 함입부(304) 또한 그 형성위치는 날개부(100)의 표면 어디에서든지 가능한 것으로서,
도 12에서 (b) 및 (c)를 살펴보면, 아예 날개부(100)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시킨 메인 관통부(305)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관통되는 구멍은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여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이러한 구성 중 두 개의 구멍으로 구성된 일 실시예를 표현하였다. 이러한 메인 관통부(305)는 앞선 설명에서 메인바디(10)를 손가락 사이에 끼워 그립방식으로 잡을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 때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에 공기를 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일종의 통기공의 역할을 하는 구성을 통해 오랜 시간동안 메인바디(10)를 잡고 있는 경우에도 땀으로 발생하는 습기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c)는 (a)의 구성을 보조하는 용도로서도 활용될 수 있는데, (a)의 경우, 메인 함입부(304)가 단일로 형성되어 특정 방향에서만 효과를 갖출 수 있는 구성이지만, (c)의 경우,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으로 관통되어있어 다양한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어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짐은 물론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함입부구성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날개부(100)에는 앞선 함입부구성을 더욱 강화한 다음의 구성을 갖출 수 있다. 도 13에서 (a)를 살펴보면, 메인 함입부(304)를 기본으로 갖추되, 여기에 추가적으로 착탈 돌기(307)를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두 형태로 활용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착탈 돌기(307)를 제거한 경우에는 기존의 메인 함입부(304)와 동일한 구성을 갖되, 추가적으로 메인 함입부(304)에 대응되는 하부면을 갖춘 착탈 돌기(307)가 더 포함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이 착탈 돌기(307)를 메인 함입부(304)에 삽입하여 돌기로 활용할 수도 있는 구성을 갖춘 것이다.
이 때, 착탈 돌기(307)와 메인 함입부(304)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해 착탈 돌기(307)와 메인 함입부(304)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암형 또는 수형 결합부(310)를 선택적으로 보유할 수 있으며, 이 암형 또는 수형 결합부(310)도 단순하게 요철구조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닌, 내부에 서로 다른 자성을 띈 자성체가 부착된 자성판을 더 포함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결합을 보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에서 (b)를 살펴보면, 메인 함입부(304)에 구형의 회전구체(308)를 삽입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메인 함입부(304)는 회전구체(308)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되, 회전구체(308)가 쉽게 메인 함입부(30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구체(308)가 내장되어 회전하는데 충분한 공간인 회전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메인 함입부(304)의 둘레를 따라 높이방향으로 추가 연장된 그립벽(31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추가적으로 회전구체(308)를 탄성재질로 구성하거나 혹은 날개부(100)에서 메인 함입부(304)가 형성된 부분을 탄성재질로 구성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에서 받은 압력을 회전구체(308) 또는 메인 함입부(304)의 형태가 눌리면서 일정 수준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3에서 (c)를 살펴보면, 메인 함입부(304)에 추가로 서브 함입부(306)를 더 형성한 상태에서 구형의 회전구체(308)을 삽입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기존의 (b)구조와 달리 메인 함입부(304)의 하단에 추가로 서브 함입부(306)가 형성되되는데, 이 경우 회전구체(308)에 강한 압력을 가했을 때, 회전구체(308)이 최초 단계에서 메인 함입부(304)에 위치하여 형태가 변형되되, 충분한 압력을 더 가하면 다음 단계에서는 메인 함입부(304)에서 이탈되어 서브 함입부(306)로 이동되게 된다. 이렇게 이동되면 회전구체(308)이 더 이상 동작하지 않고 내부에서 고정되며, 이에 따라 메인 함입부(304)의 역할만을 수행토록 하되, 다시 외부에서(바람직하게는 날개부(100)의 측면을 눌러) 압력을 가하게 되면 회전구체(308)이 다시 메인 함입부(304)로 튀어나오면서 원래의 형태로 동작할 수 있는 구성을 갖게 되는 구성이다.
또한, 도면에 표시하였듯이, 회전구체(308)에도 여러개의 보조 돌기(309)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보조 돌기(309)는 회전구체(308)의 표면에 위치하여, 회전구체(308)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이며, 이 경우 회전구체(308)가 메인 함입부(304)의 내부에서 회전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도 14는 본 발명의 날개부가 메인바디에서 탈착 가능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의 실시예는 날개부(100)가 메인바디(10)에서 탈착 가능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1에서 날개부(100)가 형성된 부위를 평탄하게 처리하되 이러한 평탄면(12)에서 합임 형성된 가이드 레일(13)을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13)은 평탄면(12)에서 평탄면(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된 가이드부(13a)와, 이 가이드부(13a)의 내측 면 각각에서 가이드부(13a)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13a)의 함입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추가 함입 형성된 레일(13b)을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날개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폭에 상응한 폭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140)와, 상기 가이드 레일(13)에 슬라이딩 이동 결합되도록 상기 레일(13b)의 연장 방향과 상응한 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140)의 하측 부위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 연장된 풀러(1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레일(13)과 풀러(141)의 함입 및 돌출된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톱니 모양 등 공지의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이러한 날개부(100)의 가이드 돌기(140) 및 풀러(141)를 각각 가이드부(13a)와 레일(13b)에 끼움 결합한 다음 가이드부(13a) 및 레일(13b)의 연장 방향을 따라 날개부(100)를 밀어 가이드 레일(13)에 날개부(100)의 하측(가이드 돌기 및 풀러)을 고정시킴으로서 날개부(100)가 메인바디(10)의 평탄면(12)에 결합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평상시에는 날개부(100) 없이 평탄면(12)을 구비한 메인바디(10)만을 사용하다가 차량의 송풍구 그릴에 거치할 필요가 있거나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끼워 파지할 경우 날개부(100)를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풀러(141)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레일(13b)의 결합 시작 단의 대향 측을 막는 스토퍼를 추가로 형성하여, 날개부(100)가 불필요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5은 도 14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날개부(100)가 탈착되는 도 14와 같은 구조에서, 추가적으로 메인바디(10)의 일 부위와 날개부(100)의 결합 부위 사이에 별도의 악세서리 부재(200)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15(a)의 루프와 날개부의 결합 상태 단면도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풀러(141)는 상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입 형성된 고정 레일(142)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와 같은 고정 레일(142)에 의하여 양 측부만 개방된 밀폐공간이 발생하는바, 이에 악세서리 부재(200)의 스트링(21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5(b)에 도시된 악세서리 부재(200)는 스트링(210)을 구비한 상태에서, 스트링(210)의 일 측에 결합된 다양한 악세서리 모듈(220)을 포함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악세서리 모듈(220)은 예를 들어 목걸이의 팬던트, 장식부재, 이어폰 모듈 등과 같은 것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악세서리 부재(200)가 이어폰일 경우, 스트링(210)은 케이블이 되고 악세서리 모듈(220)은 이어폰 헤드가 되어, 이어폰을 메인바디(10)에 보관할 수 있고 잔여 케이블은 메인바디(10)에 말아 보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는 공업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결합 가능하여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9)

  1. 다기능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면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 케이스 일 면 중 어느 하나에 접착되는 고정 패널;
    상기 고정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
    회동부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회동부의 대향 측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날개부를 구비한 메인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중공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폐곡면 구조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날개부의 하단까지 높이방향으로 일정높이 연장 형성된 손가락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거치부의 정면구조는,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거치부의 측면구조는,
    후면을 따라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되어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 사이 부위가 안착될 수 있는 제1안착부와,
    전면을 따라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된 제2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정면구조는,
    상단의 중앙부위를 가로지르는 기준호가 위치하고,
    상기 기준호를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측면구조는,
    제1기준점까지 제1곡도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된 제1연장파트와,
    상기 제1연장파트로부터 제2기준점까지 연장 형성된 제2연장파트와,
    상기 제2연장파트로부터 제3기준점까지 제2곡도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된 제3연장파트와,
    상기 제3연장파트로부터 제4기준점까지 제3곡도로 오목하게 연장 형성된 제4연장파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측면구조는,
    상기 제3연장파트와 상기 제4연장파트 사이의 이음부이자 상기 날개부의 첨단부에는, 구형으로 돌출 형성된 탄성체로서, 착탈이 용이하도록 결합된 편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날개부의 표면에서 돌출된 탄성재질의 메인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돌기는,
    중앙 부위가 높이방향을 향해 구부러져 상기 날개부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고리형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돌기는,
    상기 메인 돌기의 표면 일 측에서 추가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메인 돌기보다 높은 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탄성재질의 서브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돌기는,
    상기 메인 돌기를 향해 가해지는 압력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 돌기 내부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돌기는,
    복수개의 기둥이 승강 가능한 안테나식 연장구조의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날개부의 표면 일부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표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날개부의 표면에서 함입 연장된 이동 레일과,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돌부와,
    상기 이동 돌부를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복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날개부의 표면에서 함입된 메인 함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함입부는,
    둘레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추가 연장되어 회전공간을 형성하는 그립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회전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탄성재질의 회전구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날개부의 표면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관통 형성된 메인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회동부의 대향 측에 형성된 평탄면에서 상기 평탄면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함입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 면 각각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함입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함입되어 연장 형성된 레일로 이루어진 가이드 레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의 하측 부위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상응하는 폭으로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상기 레일의 연장 방향과 상응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의 양 측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풀러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부와 풀러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루프에 탈착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되,
    상기 풀러의 상면에는,
    상기 풀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입되어 연장된 고정 레일을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 레일에 악세서리 모듈을 구비한 악세서리 부재의 스트링을 안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PCT/KR2017/004025 2016-04-15 2017-04-13 다기능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WO201717992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59 2016-04-15
KR1020160046159A KR101648937B1 (ko) 2016-04-15 2016-04-15 손가락 거치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KR10-2017-0034674 2017-03-20
KR1020170034674A KR20170118596A (ko) 2016-04-15 2017-03-20 다기능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9928A1 true WO2017179928A1 (ko) 2017-10-19

Family

ID=6004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4025 WO2017179928A1 (ko) 2016-04-15 2017-04-13 다기능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17992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70B1 (ko) * 2011-01-21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20120080526A (ko) * 2011-01-07 2012-07-17 곽동만 휴대단말기용 장신구
KR20130035523A (ko) * 2011-09-30 2013-04-09 백휘광 핸드폰용 손가락 거치대
JP2013076436A (ja) * 2011-09-30 2013-04-25 Spec's:Kk 携帯機用保持具
WO2014014194A1 (ko) * 2012-07-16 2014-01-23 Noh Seonsu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0526A (ko) * 2011-01-07 2012-07-17 곽동만 휴대단말기용 장신구
KR101062570B1 (ko) * 2011-01-21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20130035523A (ko) * 2011-09-30 2013-04-09 백휘광 핸드폰용 손가락 거치대
JP2013076436A (ja) * 2011-09-30 2013-04-25 Spec's:Kk 携帯機用保持具
WO2014014194A1 (ko) * 2012-07-16 2014-01-23 Noh Seonsu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47462A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WO2016195191A1 (en) Mobile terminal
US9013863B2 (en) Protective sheath
WO2019177427A2 (ko)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ES2275553T3 (es) Telefono inalambrico en modo multiple.
WO2020013528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4021660A2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711965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radling function
WO2019027213A1 (ko) 키보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키보드유닛
WO2012096471A2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WO2019124874A1 (en)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WO2012015266A2 (ko)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
WO2015126122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a cover
WO2024101690A1 (ko) 휴대 단말용 액세서리 디바이스
WO2020246732A1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폴더블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
WO2018056783A1 (ko) 패치형 컨트롤러
WO2016021946A2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WO2017179928A1 (ko) 다기능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KR20180062872A (ko) 휴대기기용 카메라 덮개
WO2022191541A1 (ko) 커버 액세서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103448A1 (ko)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WO2016068399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WO2022030910A1 (ko) 폴딩 각도에 따라 입력 모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방법
WO2020071575A1 (ko) 두루마리 타입의 전자 터치 노트
WO2024144236A1 (ko)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826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826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