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435Y1 -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435Y1
KR200490435Y1 KR2020180002808U KR20180002808U KR200490435Y1 KR 200490435 Y1 KR200490435 Y1 KR 200490435Y1 KR 2020180002808 U KR2020180002808 U KR 2020180002808U KR 20180002808 U KR20180002808 U KR 20180002808U KR 200490435 Y1 KR200490435 Y1 KR 200490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se
water supply
flow control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진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진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진화학
Priority to KR2020180002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4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2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 F16K1/526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for limiting the maximum flow rate, using a second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3/0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 F16K3/08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with circular plates rotatable around their cent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도센서유닛과 유량제어밸브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품을 콤팩트하게 제작하면서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물이 급수되는 급수포트와 연통된 급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급수공간에 배치되어 급수되는 물과 출수되는 물을 구획하는 구획유로관이 마련된 급수케이스와, 상기 급수케이스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구획유로관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포트와 연통된 출수공간이 마련된 출수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유닛; 상기 급수포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포트를 통해 상기 급수공간으로 이동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유닛; 및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 유량조절홈과 대응되면서 상기 출수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판을 포함하는 유량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판에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량조절홈은 위치에 따라 홈 깊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홀과 정렬되는 상기 유량조절홈의 위치에 따라 물이 배출되는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VALVE ASSEMBLY FOR FLOW CONTROL}
본 고안은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센서유닛과 유량제어밸브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품을 콤팩트하게 제작하면서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 정수기 또는 비데 등에는 직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유량조절밸브가 구비된 온수공급시스템은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관과, 직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와, 유량조절밸브를 통과한 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직수관을 통해 흐르는 직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센서와, 고온의 열원과 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및 가열된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관 유량센서에서 측정된 유량정보로부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온수공급시스템은 유량조절밸브와 온도센서가 별도로 제작되어 온수공급시스템에 구비됨에 따라, 온수공급시스템의 크기가 크고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량조절밸브의 본체의 구성 중, 급수케이스 및 출수케이스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됨에 따라, 유량조절밸브을 제작하기 위한 제작공수 및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2793호(2009.06.12 등록공고, 발명의 명칭 : 유량조절밸브)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온도센서유닛과 유량제어밸브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품을 콤팩트하게 제작하면서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 수 있도록 하는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는, 물이 급수되는 급수포트와 연통된 급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급수공간에 배치되어 급수되는 물과 출수되는 물을 구획하는 구획유로관이 마련된 급수케이스와, 상기 급수케이스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구획유로관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포트와 연통된 출수공간이 마련된 출수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유닛; 상기 급수포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포트를 통해 상기 급수공간으로 이동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유닛;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 유량조절홈과 대응되면서 상기 출수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판을 포함하는 유량조절유닛; 상기 유량조절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량조절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태핑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상기 급수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구획유로관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유닛; 및 상기 안내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구획유로관을 개폐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판에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량조절홈은 위치에 따라 홈 깊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홀과 정렬되는 상기 유량조절홈의 위치에 따라 물이 배출되는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온도센서유닛은, 상기 급수포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온도센서의 일부가 상기 급수포트의 내부로 이동되는 물과 접촉되도록 배치시키기 위한 온도센서 케이스; 상기 온도센서 케이스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온도센서 커버; 및 상기 온도센서 케이스에 상기 온도센서 커버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유량조절유닛은, 일측은 상기 유량조절판을 관통하여 상기 출수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스태핑모터축에 결합되어, 상기 스태핑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유량조절판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일측이 결합되면서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출수공간을 밀폐하고, 상기 스태핑모터축과 상기 각도조절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탬핑모터축이 배치되는 모터하우징; 및 상기 모터하우징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모터하우징을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안내유닛은, 상기 급수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안내케이스; 상기 급수공간과 연통되어 급수된 물이 이동되는 제1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유로관과 연통되어 상기 제1 연통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구획유로관으로 이동되는 제2 연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안내플레이트; 및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일측면 및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 케이스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제1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량제어밸브 어셈블리는, 고안은 온도센서유닛과 유량제어밸브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품을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제품의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량제어밸브 어셈블리는, 온도센서 케이스, 출수케이스, 급수케이스 및 안내케이스를 일체로 제작함에 따라,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작 공수 및 비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량제어밸브 어셈블리는, 유량조절홈에 유량조절플레이트가 밀착 설치되고, 유량조절판에 형성된 배출홀을 통해서만 유량조절홈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함에 따라, 출수공간으로 유입되어 출수포트로 배추되는 물의 양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케이스의 내부에 유량조절판이 설치되기 전과 설치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판이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케이스의 내부에 안내유닛이 설치되기 전과 설치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케이스의 내부에 유량조절판이 설치되기 전과 설치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판이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케이스의 내부에 안내유닛이 설치되기 전과 설치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4의 (a)는 출수케이스의 내부에 유량조절판이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출수케이스의 내부에 유량조절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의 (a)는 유량조절판의 배출홀이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도 도 5의 (b)는 유량조절판의 배출홀이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의 (a)는 급수케이스의 내부에 안내유닛이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b)는 급수케이스의 내부에 안내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유동감지밸브 어셈블리는 본체유닛(100)과, 온도센서유닛(200)과, 유량조절유닛(300)과, 구동유닛(400)과, 안내유닛 및 솔레노이드밸브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유닛(100)은 급수케이스(120) 및 출수케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케이스(120)는 물이 급수되는 급수포트(110)와 연통된 급수공간(12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공간(121) 상에는 상기 본체유닛(100) 상에서 급수되는 물과 출수되는 물을 구획하는 구획유로관(1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출수케이스(150)는 상기 급수케이스(1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유로관(130)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포트(140)와 연통된 출수공간(151)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유로관(130)과 연통된 상기 출수케이스(150) 상에는 상기 구획유로관(130)으로 이동된 물이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유입되는 유입구(15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출수포트(140)와 연통된 상기 출수케이스(150) 상에는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출수포트(140)로 배출되는 배출구(1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일측면에는 상기 배출구(153)와 연결된 유량조절홈(154)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유량조절홈(154)은 후술하는 유량조절판(310)의 조절에 의해 배출구(153)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유닛(200)은 상기 급수포트(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포트(110)를 통해 상기 급수공간(121)으로 이동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유닛(200)은 온도센서 케이스(220)와, 온도센서 커버(230) 및 제1 결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 케이스(220)는 상기 급수포트(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온도센서(210)의 일부가 상기 급수포트(110)의 내부로 이동되는 물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 커버(230)는 상기 온도센서 케이스(2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센서(210)가 배치된 상기 온도센서 케이스(22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240)에는 나사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되면서 상기 온도센서 케이스(220)의 일측면에 상기 온도센서 커버(23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급수케이스(120)와 상기 출수케이스(15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온도센서유닛(200)이 상기 급수포트(110)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를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량조절유닛(300)은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량조절유닛(300)은 상기 출수공간(151) 상에 배치되되,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일측면에 형성된 유량조절홈(154)과 대응되면서 상기 출수포트(14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판(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량조절판(310)에는 배출홀(3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량조절홈(도 5의 154)은 위치에 따라 홈 깊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홀(311)과 정렬되는 상기 유량조절홈(154)의 위치에 따라 물이 배출되는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유량조절홈(154)은 일측이 상기 배출홀(311)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배출홀(311)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유량조절홈(154)이 깊이가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량조절홈(154)과 상기 배출홀(311)이 연결된 위치를 제1 위치(P1)라고 하고, 상기 배출홀(311)로부터 상기 유량조절홈(154)이 멀어진 위치 즉, 유량조절홈(154)이 시작되는 위치를 제2 위치(P2)라고 하면, 상기 배출홀(311)이 상기 제2 위치(P2)에서 상기 제1 위치(P1)로 갈수록 배출되는 물이 많아지게 된다.
상기 유량조절판(310)의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각도조절부재(330)의 일측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각도조절부재 결합부(3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판(3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량조절판(310)이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배치될 경우, 상기 유량조절판(310)의 외주면과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내주면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제1 오링(32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오링(320)은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내주면에 상기 유량조절판(310)이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내주면과 상기 유량조절판(310)의 외주면 사이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입구(152)는 상기 출수케이스(150) 상에 형성되되, 상기 유량조절판(310)과 후술하는 각도조절부재 결합부(3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입구(152)를 통해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유입된 물이 상 배출홀(311)을 통해 상기 유량조절홈(154)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량조절유닛(300)은 각도조절부재(330) 및 제1 탄성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재(330)는 일측이 상기 유량조절판(310)을 관통하여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55)에 결합되고 타측이 후술하는 스태핑모터축(411)에 결합되어, 스태핑모터(41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유량조절판(31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재(330)는 상기 각도조절부재 결합부(312)에 결합되어 상기 유량조절판(310)을 회전시키는 각도조절축부(331) 및 상기 각도조절축부(33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후술하는 모터하우징(4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터하우징 결합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하우징 결합부(332)의 외주면에는 상기 모터하우징 결합부(332)가 상기 모터하우징(420)의 내부에 결합될 경우, 상기 모터하우징 결합부(332)와 상기 모터하우징(420)간의 결합력을 높이면서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모터하우징(420)로 유입되어 상기 스태핑모터(41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오링(332c)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340)는 일측이 상기 유량조절판(310)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각도조절부재(330)에 결합되어 상기 유량조절판(310)에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탄성부재(340)의 일측은 상기 유량조절판(310)에 형성된 각도조절부재 결합부(312)에 결합되고, 그 타측은 상기 모터하우징 결합부(332)에 마련된 제1 탄성부재 결합돌기(332a)에 결합되어 상기 유량조절판(310)을 상기 유량조절홈(154)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400)은 상기 유량조절유닛(3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량조절판(3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태핑모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태핑모터(410)의 스태핑모터축(411)이 상기 각도조절부재(330)외 결합되고, 상기 스태핑모터(4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각도조절부재(330)가 회전되면서 상기 유량조절판(31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태핑모터축(411)은 상기 각도조절부재(330)의 모터하우징 결합부(332)에 마련된 스태핑모터축 결합홈부(332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400)은 모터하우징(420) 및 제2 결합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420)은 상기 각도조절부재(330)의 모터하우징 결합부(332)가 결합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출수공간(151)을 밀폐하고, 상기 스태핑모터축(411)과 상기 각도조절부재(3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태핑모터축(41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430)는 상기 모터하우징(42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모터하우징(420)을 상기 출수케이스(150)의 일측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모터하우징(420)은 상기 모터하우징(42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 반경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태핑모터(410)의 회전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태핑모터축(411)에는 상기 스토퍼와 접촉되는 스토퍼돌기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스태핑모터축(411)이 회전하면서 상기 스토퍼돌기가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면 상기 스태핑모터(410)는 상기 스태핑모터축(411)의 회전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돌기가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면서 상기 스태핑모터의 회전방향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안내유닛(500)은 상기 급수케이스(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공간(121)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구획유로관(130)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안내유닛(500)은 안내케이스(510)와, 안내플레이트 (520) 및 제1 실링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케이스(510)는 상기 급수케이스(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안내플레이트(5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플레이트(520)에는 상기 급수공간(121)과 연통되어 급수된 물이 이동되는 제1 연통구(521)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유로관(130)과 연통되어 상기 제1 연통구(52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구획유로관(130)으로 이동되는 제2 연통구(5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플레이트(520)는 상기 제2 연통구(522)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영역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2 연통구(522)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복수개 형성된 격벽(523a)으로 이루어진 피스톤 가이드부(5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523)는 후술하는 피스톤(610)이 상기 제2 연통구(522)를 개폐하기 위해 이동될 경우, 상기 피스톤(610)의 이동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벽(523a)과 격벽(523a) 사이사이에는 상기 제1 연통구(521)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523)를 지나 상기 제2 연통구(522)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피스톤(610)이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523)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 연통구(521)가 폐쇄되고,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523)로부터 상기 피스톤(610)이 이탈되면 상기 제1 연통구(521)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실링부재(530)는 상기 안내플레이트(520)의 일측면 및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케이스(51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재(530)는 상기 급수공간(121)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제1 연통구(521)가 아닌 상기 급수케이스(120)의 내주면을 따라 후술하는 솔레노이드밸브유닛(600)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유닛(600)은 상기 안내유닛(5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구획유로관(130)을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유닛(600)은 피스톤(610)과, 제2 탄성부재(620)와, 피스톤케이스(630) 및 솔레노이드밸브(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610)은 후술하는 솔레노이드밸브(640)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제2 연통구(522)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피스톤(61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케이스(630)는 상기 안내케이스(5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610)과 제2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0)는 상기 피스톤케이스(63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610)에 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피스톤(610)은 자력이 발생 되어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연통구(522)를 개방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0)에 전원이 차단되면 자력이 상실되어 상기 제2 탄성부재(6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제2 연통구(522)를 폐쇄하게 된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기 급수포트(110)를 통해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은 상기 급수공간(121)에 채워지면서 상기 안내플레이트(520)의 제1 연통구(521)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0)는 자력을 발생시켜 자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61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상기 제2 연통구(522)를 개방시킨 상태이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210)는 상기 급수포트(110)로 이동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1 연통구(521)를 통해 상기 안내플레이트 (520)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2 연통구(522)를 통해 상기 구획유로관(130)의 내부로 이동된다.
상기 구획유로관(130)의 내부로 이동된 물은 상기 유입구(152)를 통해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유입된다.
상기 출수공간(151)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유량조절판(310)에 형성된 상기 배출홀(311)을 통해 상기 유량조절홈(154)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스태핑모터(410)가 작동되면서 상기 배출홀(311)과 상기 유량조절홈(154)을 정렬시킨다.
즉, 상기 스태핑모터(410)가 정역 회전되면, 상기 유량조절판(310)이 회전되면서 상기 배출홀(311)이 상기 제2 위치(P2)에서 상기 제1 위치(P1)로 이동되어 물이 배출량을 늘리거나 상기 제1 위치(P1)에서 상기 제2 위치(P2)로 이동되어 물이 배출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량조절홈(154)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배출구(153)로 유입되어 상기 출수포트(140)를 통해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본체유닛 110: 급수포트
120: 급수케이스 121: 급수공간
130: 구획유로관 140: 출수포트
150: 출수케이스 151: 출수공간
152: 유입구 153: 배출구
154: 유량조절홈 155: 결합홈
200: 온도센서유닛 210: 온도센서
220: 온도센서 케이스 230: 온도센서 커버
240: 제1 결합부 300: 유량조절유닛
310: 유량조절판 311: 배출홀
312: 각도조절부재 결합부 320: 제1 오링
330: 각도조절부 331: 각도조절축부
332: 모터하우징 결합부 332a: 제1 탄성부재 결합돌기
332b: 스태핑모터축 결합홈부 332c: 제2 오링
340: 제1 탄성부재 400: 구동유닛
410: 스태핑모터 411: 스태핑모터축
420: 모터하우징 430: 제2 결합부
500: 안내유닛 510: 안내케이스
520: 안내플레이트 521: 제1 연통구
522: 제2 연통구 523: 피스톤 위치부
523a: 격벽 530: 제1 실링부재
600: 솔레노이드밸브유닛 610: 피스톤
620: 제2 탄성부재 630: 피스톤케이스
640: 솔레노이드밸브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Claims (5)

  1. 물이 급수되는 급수포트와 연통된 급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급수공간에 배치되어 급수되는 물과 출수되는 물을 구획하는 구획유로관이 마련된 급수케이스와, 상기 급수케이스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구획유로관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포트와 연통된 출수공간이 마련된 출수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유닛;
    상기 급수포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포트를 통해 상기 급수공간으로 이동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센서유닛;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 유량조절홈과 대응되면서 상기 출수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판을 포함하는 유량조절유닛;
    상기 유량조절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량조절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태핑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상기 급수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구획유로관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유닛; 및
    상기 안내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구획유로관을 개폐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유닛은,
    일측은 상기 유량조절판을 관통하여 상기 출수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스태핑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스태핑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유량조절판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량조절판에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량조절홈은 위치에 따라 홈 깊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홀과 정렬되는 상기 유량조절홈의 위치에 따라 물이 배출되는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유닛은,
    상기 급수포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온도센서의 일부가 상기 급수포트의 내부로 이동되는 물과 접촉되도록 배치시키기 위한 온도센서 케이스;
    상기 온도센서 케이스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온도센서 커버; 및
    상기 온도센서 케이스에 상기 온도센서 커버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일측이 결합되면서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출수공간을 밀폐하고, 상기 스태핑모터와 상기 각도조절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스태핑모터축이 배치되는 모터하우징; 및
    상기 모터하우징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모터하우징을 상기 출수케이스의 일측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닛은,
    상기 급수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안내케이스;
    상기 급수공간과 연통되어 급수된 물이 이동되는 제1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유로관과 연통되어 상기 제1 연통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구획유로관으로 이동되는 제2 연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안내플레이트; 및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일측면 및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 케이스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제1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
KR2020180002808U 2018-06-20 2018-06-20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 KR200490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08U KR200490435Y1 (ko) 2018-06-20 2018-06-20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08U KR200490435Y1 (ko) 2018-06-20 2018-06-20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435Y1 true KR200490435Y1 (ko) 2019-11-11

Family

ID=6853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808U KR200490435Y1 (ko) 2018-06-20 2018-06-20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43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262B1 (ko) * 1987-09-30 1995-09-12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유량제어용 자동개폐밸브
JP2001187977A (ja) * 1999-12-28 2001-07-10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膨張弁
KR100902793B1 (ko) 2007-11-07 2009-06-12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유량조절밸브
KR20150001016U (ko) * 2013-08-28 2015-03-11 주식회사 한울글로비스 직접온도측정형 유량조절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262B1 (ko) * 1987-09-30 1995-09-12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유량제어용 자동개폐밸브
JP2001187977A (ja) * 1999-12-28 2001-07-10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膨張弁
KR100902793B1 (ko) 2007-11-07 2009-06-12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유량조절밸브
KR20150001016U (ko) * 2013-08-28 2015-03-11 주식회사 한울글로비스 직접온도측정형 유량조절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6123B1 (en) Insertion to a single-grip, rotation-operated mixing faucet
EP1556639B1 (en) Mixing cartridge for single-lever mixing faucets
CN104948756A (zh) 阀装置
JPH0125912B2 (ko)
JPH06221448A (ja) 冷・温水混合水栓
TW202223269A (zh) 用於流體處理設備之控制閥總成
KR200490435Y1 (ko)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
CN107061778B (zh) 低泄漏先导操作的滑阀
EP2775179B1 (en) Thermostatic fluid supply inverter valve
KR100541823B1 (ko) 보일러용 3방향 유로전환밸브
JP5252996B2 (ja) 電磁式給水弁
JPH1194100A (ja) 弁装置
KR100420589B1 (ko) 수도콕
US9069359B2 (en) Pressure balance unit
KR101838180B1 (ko) 스풀밸브작동시스템
JPH06249179A (ja) インペラーポンプ
EP2366921B1 (en) Temperature controlling valve
KR20050079975A (ko) 난방밸브 개폐를 위한 동기모터의 회전 검출장치 및 방법
CN215806425U (zh) 新型调流开关阀芯
JP4928201B2 (ja) 水圧駆動式流路切替バルブ
KR101842273B1 (ko) 유체를 복수 개의 유로로 선택적으로 배분하는 유로 전환 밸브
CN114060569B (zh) 一种阀和龙头
CN218761570U (zh) 一种恒温阀及其电热水器
JP2661081B2 (ja) 流量開閉弁
WO1999023404A1 (en) Tub and shower diverter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