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589B1 - 수도콕 - Google Patents

수도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589B1
KR100420589B1 KR1020030080003A KR20030080003A KR100420589B1 KR 100420589 B1 KR100420589 B1 KR 100420589B1 KR 1020030080003 A KR1020030080003 A KR 1020030080003A KR 20030080003 A KR20030080003 A KR 20030080003A KR 100420589 B1 KR100420589 B1 KR 100420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lever
inlet
c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혜인교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혜인교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혜인교역
Priority to KR1020030080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수 및 급수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사용이 편리하고, 절수가 가능하도록 한 수도콕에 관한 것으로, 밸브 케이싱의 공간을 구획하여 상부측으로 보호실을 형성하며, 상기 입수구와 연통하는 유입공, 그리고 출수구와 연통하는 2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보호벽; 상기 보호벽과 바닥 사이에 입설되는 분리벽으로 각기 구획되어 상기 입수구측으로 유입된 용수를 상기 유입공으로 유도하는 유입실, 그리고, 상기 유출공 각각과 상기 출수구 각각을 연결시키는 제1 및 제2출수실; 상기 유입실 그리고 제1,2유출공과 각기 연결되는 2개의 분기로와 유입로를 가지는 고정자와 유도판 그리고, 상기 유도판상에서 상기 밸브레버에 의해 좌,우로 회전되고 적당한 위치에 개통로를 가지는 회전자들을 상호 밀접되게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고, 이들을 하우징으로 유니트화한 것을 상기 보호실에 내장하며, 상기 밸브레버과, 회전자를 연결시키고 급수 또는 단수 위치에서 상기 회전자의 회동을 제어하는 포지셔너;로 구성된 것으로, 여기서, 상기 밸브레버를 좌.우로 회동시키면서 각 출수구를 교대적으로 개폐되게 하면서 용수의 급수를 단속시키도록함과 아울러 급수 또는 단수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도콕{bib cock}
본 발명은 하나의 밸브케이싱에 2개의 출수구가 설치되어 용수가 선택적으로 출수될 수 있도록 하는 수도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수 및 급수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사용이 편리하고, 절수가 가능하도록 한 수도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콕은 대략 상수 관로의 최종단 즉, 건축구조물의 벽을 통하여 관출되는 관로의 단부에 설치되어 용수의 급수를 단속하게 된다.
이러한 수도콕은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수도콕은 통상 밸브케이싱 일측에 상수 관로의 단부와 결합되어 용수를 받아드리는 입수구와 타측에 출수구를, 그리고 밸브케이싱의 내에는 입.출수구들 사이를 연결시키고 용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이 공간에 구비되는 밸브시트상에 밸브케이싱의 상부로 설치되는 레버의 조작력이 밸브로드를 통해 전달되어 구동하는 밸브가 접촉.이탈되는 것으로 유로가 개.폐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도콕은 대략 하나의 입수구를 통해 유입된 용수를 하나의 출수구를 통해 급수시키고 있는데, 근래 들어서는 다용도실이나 욕실등에서 용수의 용처가 다양해지는, 예를 들어 세탁기의 급수 또는 다용도실이나 욕실등의 바닥세척을 위한 급수가 동시적으로 요구하는 경우 2개의 수도콕을 이용하지 않고 하나의 수도콕에 2개의 출수구를 구비하여 각 용처에 용수를 급수시킬 수 있도록하기 위한 수도콕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여기서, 2개의 각 출수구는 각각의 밸브레버을 이용하거나 또는 하나의 밸브레버을 이용해 용수의 급수를 단속시키고 있는데, 그 일례로 국내 특허출원 제2002-29329호의 수도콕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수도콕은 본원인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수 관로의 단부와 결합되어 용수를 받아드리는 입수구와 2개의 출수구를 가지며, 이들을 연결하는 밸브체스트가 갖추어진 케이싱과, 상기 밸브체스트의 바닥에 다방향으로 입설되는 분리벽으로 각기 구획되어 상기 입수구측과 연결되는 유입실, 그리고 상기 2개의 출수구 각각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출수실과, 상기 유입실 및 제1.2출수실과 각기 연결되는 2개의 분기로와 중앙에 상기 입수실과 연결되는 유입로를 가지는 밸브시트상에 고정자와, 이 고정자상에서 상기 밸브레버에 의해 좌.우로 회전되고 적당한 위치에 개통로를 가지는 회전자들을 상호 밀접되게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고, 이들을 케이싱으로 유니트화한 것을 상기 제1 및 제2출수실상에 내장한 구성으로, 밸브레버를 회전시켜 회전자를 좌,우로 회동시키며, 출수구를 교대적으로 개폐되게 하면서 용수의 급수를 단속시키도록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도콕은 급수 및 단수에 따른 레버의 조작 위치를 사용자가 알수 없어 용수를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레버는 급수 및 단수 위치에서 정확하게 멈추어야 완활한 급수 및 단수가 이루어지는데, 상기한 수도콕은 급수 및 단수 위치에서 레버를 멈추게 하거나 혹은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사용자가 눈 대중으로 적당히 조작할 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 사용상에 불편함을 겪게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단수에 따른 레버 조작시 위치가 정확하지 아니하면 누수가 발생하여 용수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어 반복적인 위치 조절이 불가피하고,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단수 조작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수도콕은 입수구로부터 유입된 용수의 수압이 조작부 다시말해 회전자가 설치된 케이싱에 직접 미침에 따라 케이싱에 압력이 작용하고 반복적인 압력은 케이싱을 손상시킴으로써, 회전자 즉 레버 조작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용수가 케이싱에 직접적으로 미침에 따라 용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케이싱과 회전자 또는 고정자에 점착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2개의 출수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용수가 급수되도록 하되, 급수 및 단수 위치에서 레버 조작을 제한하여 이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절수가 가능한 다기능 수도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수구와 2개의 출수구 중 어느 하나를 연통시켜 용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급수조작부의 조작시 급수 위치에서는 회전을 제한하고, 단수 위치에서는 일시 정지시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브케이싱에 수압으로 급수조작부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실을 구비하여 조작이 용이하고, 고장률을 줄일 수 있는 수도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케이싱 일측에 상수 관로의 단부와 결합되어 용수를 받아드리는 입수구를 가지며, 타측으로는 2개의 출수구를, 그리고 케이싱의 내에는 입.출수구들 사이를 연결시키고 용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공간을 갖추고 있고, 이 공간에서 밸브케이싱의 상부에 설치시킨 밸브캡 외측으로 설치되어 지축을 중심으로 구동하는 밸브레버의 조작으로 용수의 급수를 단속시키도록한 수도콕으로서, 상기 케이싱의 공간을 구획하여 상부측으로 보호실을 형성하며, 상기 입수구와 연통하는 유입공, 그리고 출수구와 연통하는 2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보호벽; 상기 보호벽과 바닥 사이에 입설되는 분리벽으로 각기 구획되어 상기 입수구측으로 유입된 용수를 상기 유입공으로 유도하는 유입실, 그리고, 상기 유출공 각각과 상기 출수구 각각을 연결시키는 제1 및 제2출수실; 상기 유입실 그리고 제1,2유출공과 각기 연결되는 2개의 분기로와 유입로를 가지는 고정자와 유도판 그리고, 상기 유도판상에서 상기 밸브레버에 의해 좌,우로 회전되고 적당한 위치에 개통로를 가지는 회전자들을 상호 밀접되게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고, 이들을 하우징으로 유니트화한 것을 상기 보호실에 내장하며, 상기 밸브레버과, 회전자를 연결시키고 급수 또는 단수 위치에서 상기 회전자의 회동을 제어하는 포지셔너;로 구성된 것으로, 여기서, 상기 밸브레버을 좌.우로 회동시키면서 각 출수구를 교대적으로 개폐되게 하면서 용수의 급수를 단속시키도록함과 아울러 급수 또는 단수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도꼭지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우징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작부의 일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5a,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포지셔너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단수 위치에서 포지셔너의 회전이 일시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며,
도 5b는 급수 위치에서 포지셔너가 정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b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도꼭지의 급단수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단수에 따른 분기로의 폐로가 이루어진 상태을 나타낸 것이며,
도 6b는 급수에 따른 개로가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또 다른 수도콕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싱 12 : 입수구
13,14 ; 출수구 18 : 보호벽
20 : 레버 25,26 : 출수실
30 : 조작부 40 : 포지셔너
42 : 회전판 44 : 탄편
46 : 정지턱 48 : 연결봉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도콕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도콕 케이싱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급수 조작부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수도콕은 밸브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에 형성되어 용수를 출수구(13)(14)측으로 안내하는 출수실(25)(26)과, 상기 출수실을 교대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폐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급수조작부(30)와, 사용자에게 용수 단속시 급수 및 단수위치를 인식시켜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포지셔너(4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0)은 상수 관로의 단부와 연결되는 입수구(12)와, 상기 입수구(12)의 대향측 저부에 돌출된 2개 즉 제1,2출수구(13)(14)가 구비되고, 내부에 이들 입수구(12)와 출구수(13)(14)를 연결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의 대략 중앙부위에는 보호벽(18)이 설치되어 그 상부측에 후술하는 급수조작부(30)를 수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보호실(16)이 구비되며, 이 보호실(16)의 상부가 개방되어 여기에 급수조작부(3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밸브레버(20)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밸브캡(17)이 나사결합된다.
상기 보호벽(18)에는 입수구(12)로부터 유입된 용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공(18a)이 형성되고, 이 유입공(18a)의 전방측에는 후술하는 출수실(25)(26)과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유출공(18b)(18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벽(18)의 저부 즉 보호벽(18) 저면과 케이싱(10)의 바닥 사이에는 다수의 분리벽(22)이 설치되어 용수의 유입 및 유출을 안내되도록 구획하되, 이 분리벽(22)은 "┫" 형태로 입수구(12)와 상기 유입공(18a)을 연결시키는 유입실(24)과, 공간을 좌우로 양분하여 각 출수구(13)(14)와 상기 유출공(18b)(18c)을 연결하는 출수실(25)(26)을 구획한다.
상기 급수조작부(30)는 보호실(16)에 설치되며, 회전자(34)와 유도판(36) 그리고 고정자(38)가 하우징(32)에 의해 유니트화된 것으로, 상기 유도판(36)과 고정자(38)에는 하나의 유입로(38a)와 2개의 분기로(38b)(38c)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하우징(32)의 저부에 고정자(38)가 끼워맞춤으로 조립되고 이 고정자(38)의 상면에 유도판(36)이 안착되는 구성으로, 이들 사이에는 누수 방지 및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O링이 끼워지며, 이들을 관통하는 유입로(38a)는 상기 유입공(18a)과 동일한 위치에, 그리고 2개의 분기로(38b)(38c)는 각 유출공(18b)(18c)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각각이 유입실(24)과, 출수실(25)(26)과 연통하는 구조이다.
상기 회전자(34)는 유도판(36)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며, 포지셔너(40)에 의해 레버(20)와 연결되고, 저면에는 개통로(34a)가 형성되어 유입실(24)과 출수실(25)(26)을 교대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폐로가 가능하도록한다.
상기 포지셔너(40)는 회전판(42)과 이 회전판(42)의 상면 중앙에 입설되어 레버(20)에 끼워지는 연결봉(48)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판(42)의 저부에는 끼움부(42a)가 갖추어져 회전자(34) 상부에 형성된 형합부(34a)가 끼워맞춤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끼움부(42a)는 형합부(34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는 레버(20)와 연결되는 포지셔너(40)의 회전시 슬립없이 회전자(34)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판(42)은 다층으로 급수 및 단수위치를 제어하는 부재들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판(42)의 외주연 하부측에는 폐로위치에서 일시 고정되도록 하는 탄편(44)이 돌출되고, 이 탄편(44)의 상부측에는 급수 위치에서 회전이 멈추도록 하는 정지턱(46)이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42)의 구조는 도면과 같이 단층 다시 말해 측단 중앙 부위를 중심으로 상부측의 외경이 작은 단층 구조, 상부측에 돌출되는 정지턱(46)은 하부측 외경 보다 연장 돌출되고, 탄편(44)은 하부측의 일부를 절개 성형한 구조로, 이는 탄편(44) 제작시 적당한 두께를 유시시켜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급수조작부(30)의 하우징(32) 내측면 상부에는 탄편(44)이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삽지부(44a)와, 정지턱(46)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46a)이 갖추어져 있다. 바람직하기로 폐로 위치에서 레버(20)를 일시 정지시키는 탄편(44)은 레버(20)가 정중앙에 위치할때 걸려 고정되도록 회전판(42)의 양측면에 위치하고, 정지턱(46)은 탄편(44)과 교차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정지턱(44)과 이 정지턱(44)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46a)은 좌,우 회전에 따라 개통로(34a)가 유입로(18a)와 유출공(18b),(18c)를 연결하여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적당한 각도에서 회전자(32)가 멈추도록 그 위치를 감안하여 설치된다. 물론, 상기한 위치적인 관계는 변위될 수 있으며, 적층형식으로 구성된 탄편(44)과 정지턱(46)의 상하 위치 역시 바뀔 수 있다.
상기 삽지부(44a)는 2개의 단턱부로 구성되어 이들 사이에 탄편(44)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며, 삽지부(44a)의 직상부측에 걸림턱(46a)이 위치한다. 상기 연결봉(48)은 레버(20)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으로, 상부가 사각봉으로 구성되어 조작시 미끄럼을 방지한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38a는 고정자의 저면에 돌출된 회전방지 돌기이고, 18a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요홈부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수도콕의 사용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 5a,b 및 도 6a,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수도콕은 건축 구조물의 벽체에 배관된 상수 관로의 단부 또는 각종 기계 및 시스템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입수구(12)가 상수 관로와 연결된 상태에서 용수를 용처에 공급하게 된다. 상수 관로를 통해 입수구(12)로 유입된 용수는 유입로(24)를 통해 유입공(18a)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분리벽(22)은 용수 흐름을 막아 유입공(18), 유입로(38a)측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유도한다.
유입로(38a)를 통해 유입된 용수는 회전자(34)의 개통로(34a)를 따라, 이 개통로(34a)와 연결된 분기로(38b,c) 및 유출공(18b,c) 그리고, 출수실(24)(25)을 거쳐 출수구(13)(14)로 출수된다.
이러한 경로로 용수가 출수되는 본 발명의 수도콕은 사용자가 레버(20)를 회전시켜 출수 위치를 지정하게 되는데, 도 6와 같이 레버(20)가 출수구(13)(14)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면 개통로(34a)가 중앙 위치함으로써, 일단은 유입로(38a)에 위치하나, 타단은 2개의 분기로(38b),(38c) 사이 즉 유도판(36) 상면에 위치하여 폐로가 이루어진다.
또한, 레버(20)를 좌우로 이동시키면 이 레버(20)와 포지셔너(40)에 의해 연결된 상기 회전자(34)가 회전하고, 회전된 회전자(34)의 개통로(34a)는 유입로(38a)와 2개의 분기로(38b)(38c)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켜 용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레버(20) 및 회전자(34)는 도 5와 같이 포지셔너(4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데, 먼저 단수 위치에서는 탄편(44)이 삽지부(44a)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이 제한되고, 급수 위치에서는 정지턱(46)이 걸림턱(46a)에 걸려 회전이 정지되게 된다.
다시 말해 급수 위치로 이동된 레버(20)를 단수를 위해 중앙으로 회전시키면, 포지셔너(40)의 탄편(44)이 삽지부(44a)에 끼워져 걸리게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단수 위치를 알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반대로 급수 위치로 레버(20)를 회전시키면 탄편(44)은 삽지부(44a)에서 벗어나게 되고 급수 위치에서 정지턱(46)이 걸림턱(46a)에 걸려 회전이 멈추게 된다.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실예의 수도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상기 수도콕은 케이싱(10)과 보호벽(18)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조작부(30) 그리고, 레버(2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포지셔너(40)가 갖추어진 구성으로, 상기 조작부(30)에 설치되는 회전자(34)를 이동시켜 개,폐로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자(34)의 상면에는 끼움돌기(34b)가 돌출되고, 이 돌기(34b)에 주축(50)이 끼워져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주축(50)은 포지셔너(40)를 관통하여 그 상단이 레버(20)에 조립되며, 대략 중앙부위에는 회전축(51)이 관통되어 있다.
이러한 수도콕은 레버(20)를 회전시켜 출수 위치를 선택함과 아울러, 레버를 상,하부로 이동시켜 개폐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레버(20)를 들어 올리면 이 레버(20)와 연결된 주축(50)이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그 하단에 연결된 회전자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자(34)는 유도판(36)상에서 이동하며 개통로(34a)가 유입로(38a)를 벗어나면서, 단수가 이루어지고, 반대 레버(20)를 내리면 개통로(34a)가 유입로(38a)에 맞추어져 개로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도콕은 포지셔너(40)에 의해 급수 위치에서는 레버가 정지하고, 단수 위치에서는 일시 정지됨으로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분기로와 유입로를 연결하는 개통로를 가지는 회전자와 밸브레버 사이에 포지셔너를 구비하여 급수 및 단수 위치에서는 회전을 정지시켜 그 위치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동시에 단수 위치에서 레버가 정확하게 멈출 수 있도록 하여 절수가 가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도콕은 2개의 출수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단수를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를 케이싱에 구비된 보호실에 설치하여 수압에 영향이 없도록함으로써, 고장을 줄이고 그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밸브케이싱 일측에 상수 관로의 단부와 결합되어 용수를 받아드리는 입수구를 가지며, 타측으로는 2개의 출수구를, 그리고 케이싱의 내에는 입.출수구들 사이를 연결시키고 용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공간을 갖추고 있고, 이 공간에서 밸브케이싱의 상부에 설치시킨 밸브캡 외측으로 설치되어 지축을 중심으로 구동하는 밸브레버의 조작으로 용수의 급수를 단속시키도록한 수도콕으로서,
    상기 케이싱의 공간을 구획하여 상부측으로 보호실을 형성하며, 상기 입수구와 연통하는 유입공, 그리고 출수구와 연통하는 2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보호벽;
    상기 보호벽과 바닥 사이에 입설되는 분리벽으로 각기 구획되어 상기 입수구측으로 유입된 용수를 상기 유입공으로 유도하는 유입실, 그리고, 상기 유출공 각각과 상기 출수구 각각을 연결시키는 제1 및 제2출수실;
    상기 유입실 그리고 제1,2유출공과 각기 연결되는 2개의 분기로와 유입로를 가지는 고정자와 유도판 그리고, 상기 유도판상에서 상기 밸브레버에 의해 좌,우로 회전되고 적당한 위치에 개통로를 가지는 회전자들을 상호 밀접되게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고, 이들을 하우징으로 유니트화한 것을 상기 보호실에 내장하며,
    상기 밸브레버과, 회전자를 연결시키고 급수 또는 단수 위치에서 상기 회전자의 회동을 제어하는 포지셔너;로 구성된 것으로,
    여기서, 상기 밸브레버를 좌.우로 회동시키면서 각 출수구를 교대적으로 개폐되게 하면서 용수의 급수를 단속시키도록함과 아울러 급수 또는 단수의 위치를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도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너는 외주연 하부에 단수 위치에서 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된 삽지부에 끼워지는 탄편을 구비하고, 이 탄편의 상부측 적층형식으로 급수 위치에서 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된 걸림턱에 걸려 회전이 정지되는 정지턱에 갖추어진 것을 포함하는 수도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너는 밸브레버에 끼워지는 연결봉과, 이 연결봉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저면에 상기 회전자가 끼워맞춤되도록 끼움부가 돌출된 회전판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판의 외주연에 탄편과 정지턱이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수도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부측의 외경이 작아 단층진 구조로, 이 상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측 외경을 벗어나는 정지턱을 구비하되, 하부측 일부를 절개 성형하여 탄성력을 가지는 탄편이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도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상부측 2개 단턱부로 구성되어 이들 사이에 탄편이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삽지부를 구비하되, 이 삽지부의 직상부측에 걸림턱이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도콕.
  6. 밸브케이싱 일측에 상수 관로의 단부와 결합되어 용수를 받아드리는 입수구를 가지며, 타측으로는 2개의 출수구를, 그리고 케이싱의 내에는 입.출수구들 사이를 연결시키고 용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공간을 갖추고 있고, 이 공간에서 밸브케이싱의 상부에 설치시킨 밸브캡 외측으로 설치되어 지축을 중심으로 구동하는 밸브레버의 조작으로 용수의 급수를 단속시키도록한 수도콕으로서,
    상기 케이싱의 공간을 구획하여 상부측으로 보호실을 형성하며, 상기 입수구와 연통하는 유입공, 그리고 출수구와 연통하는 2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보호벽;
    상기 보호벽과 바닥 사이에 입설되는 분리벽으로 각기 구획되어 상기 입수구측으로 유입된 용수를 상기 유입공으로 유도하는 유입실, 그리고, 상기 유출공 각각과 상기 출수구 각각을 연결시키는 제1 및 제2출수실;
    상기 유입실 그리고 제1,2유출공과 각기 연결되는 2개의 분기로와 유입로를 가지는 고정자와 유도판 그리고, 상기 유도판상에서 상기 밸브레버에 의해 좌,우로 회전되고 적당한 위치에 개통로를 가지는 회전자들을 상호 밀접되게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고, 이들을 하우징으로 유니트화한 것을 상기 보호실에 내장하며,
    상기 회전와 레버 사이에 위치하며, 외주연 하부에 단수 위치에서 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된 삽지부에 끼워지는 탄편을 구비하고, 이 탄편의 상부측 적층형식으로 급수 위치에서 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된 걸림턱에 걸려 회전이 정지되는 정지턱에 갖추어진 포지셔너;
    하단은 상기 회전자와 연결되며, 포지셔너의 중앙을 관통하여 그 상단이 레버와 연결되어 레버의 상하 이동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회전자를 전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밸브레버를 좌.우로 회동시키면서 각 출수구를 교대적으로 개폐되게 하면서 용수의 급수를 단속시키도록함과 아울러 급수 또는 단수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도콕.
KR1020030080003A 2003-11-13 2003-11-13 수도콕 KR100420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003A KR100420589B1 (ko) 2003-11-13 2003-11-13 수도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003A KR100420589B1 (ko) 2003-11-13 2003-11-13 수도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0589B1 true KR100420589B1 (ko) 2004-03-02

Family

ID=3732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003A KR100420589B1 (ko) 2003-11-13 2003-11-13 수도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5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9878A1 (en) * 2004-12-01 2006-06-08 Zeon Soo Park Water saving faucet with valve applied
KR200450207Y1 (ko) 2010-03-09 2010-09-10 김진영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
KR200450464Y1 (ko) 2008-04-17 2010-10-05 쿠칭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분할 잠금 기능을 가진 물 조절 밸브 코어
KR200456184Y1 (ko) 2010-01-15 2011-10-17 영 근 송 수도꼭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9878A1 (en) * 2004-12-01 2006-06-08 Zeon Soo Park Water saving faucet with valve applied
KR200450464Y1 (ko) 2008-04-17 2010-10-05 쿠칭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분할 잠금 기능을 가진 물 조절 밸브 코어
KR200456184Y1 (ko) 2010-01-15 2011-10-17 영 근 송 수도꼭지
KR200450207Y1 (ko) 2010-03-09 2010-09-10 김진영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80887A1 (en)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US9182045B2 (en) Concentric diverter cartridge
KR101285748B1 (ko) 유수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석 밸브
KR100420589B1 (ko) 수도콕
EP2775179B1 (en) Thermostatic fluid supply inverter valve
JP3217584U (ja) バルブ構造
CN111457118A (zh) 一种调温阀芯及淋浴器
KR200387702Y1 (ko) 유로 전환 밸브
KR20050091237A (ko) 수도콕
KR101994230B1 (ko) 연결기능을 갖는 가스레인지용 밸브
US9069359B2 (en) Pressure balance unit
KR101009486B1 (ko) 냉수 및 온수용 수전금구
KR100477322B1 (ko) 쌍방향 다공 제어밸브
KR20080000840U (ko) 밸브
KR100557453B1 (ko) 4웨이 밸브
KR200440794Y1 (ko) 4웨이 밸브
KR200459490Y1 (ko) 2방향 밸브 및 이를 채용한 수도꼭지
KR101339338B1 (ko) 수전금구용 카트리지
KR200490435Y1 (ko) 유량조절밸브 어셈블리
KR20010094727A (ko) 정수장치
KR200349672Y1 (ko) 수도콕
CN112253797B (zh) 一种阀芯结构、水龙头及驱动系统
CN108700209B (zh) 转换阀
KR100503282B1 (ko) 로터리 분배 밸브
KR200292599Y1 (ko) 쌍방향 다공 제어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