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184Y1 -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184Y1
KR200456184Y1 KR2020100000458U KR20100000458U KR200456184Y1 KR 200456184 Y1 KR200456184 Y1 KR 200456184Y1 KR 2020100000458 U KR2020100000458 U KR 2020100000458U KR 20100000458 U KR20100000458 U KR 20100000458U KR 200456184 Y1 KR200456184 Y1 KR 200456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nnel
mode
shower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303U (ko
Inventor
영 근 송
Original Assignee
영 근 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근 송 filed Critical 영 근 송
Priority to KR2020100000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18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3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3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1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환부와 직수토수구와 샤워수토수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절환부는 상류로부터 물을 유입 받아 수로를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상기 직수토수구 또는 샤워수토수구로 공급하되, 상기 절환부와 상기 직수토수구는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직수토수구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절환부는 제1모드에 위치하여 물을 상기 직수토수구로 공급하고, 상기 직수토수구가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절환부는 제2모드로 연동되어 물을 상기 샤워수토수구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환부는 고정 위치를 갖는 고정부와 상기 직수토수구와 연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제1수로와 제2수로를 상호 독립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제1수로는 제1유입공과 상기 직수토수구와 소통되는 제1유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2수로는 제2유입공과 상기 샤워수토수구와 소통되는 제2유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1모드에서는 상기 제1수로를 통하여 상기 직수토수구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제2유입공은 상기 볼에 막혀 폐쇄되고, 상기 제2모드에서는 상기 제2수로를 통하여 상기 샤워수토수구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제1유입공은 상기 볼에 막혀 폐쇄된다.

Description

수도꼭지{FAUCET}
본 고안은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수 및 샤워수의 절환이 가능한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도꼭지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수도꼭지는 절환노브(120)를 구비한다. 절환노브(120)를 아래로 누르면, 직수토수구(140)를 통하여 직수가 토출된다. 반면, 절환노브(120)를 위로 당기면 샤워수토수구(150)를 경유하여 샤워기헤드(미도시)를 통하여 샤워수가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수도꼭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종래의 수도꼭지는 절환노브(120)가 눌려져 있는 상태인지 아니면 당겨져 있는 상태인지 사용자가 육안으로 분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예컨대, 샤워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물을 틀기 전까지는 현재 수도꼭지가 샤워수 모드인지 아니면 직수 모드인지를 분간하기 어려워, 물을 틀어서 현재 모드를 확인한 후, 샤워수 모드라면 그대로 사용을 하고, 직수 모드라면 절환노브(120)를 위로 당겨 샤워수 모드로 절환한 후 사용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현재 모드의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으로 인하여, 예컨대 직수를 기대하고 물을 틀었는데 샤워수가 쏟아져 옷이 물에 젖는 등의 낭패를 본 경험은 흔한 일이다.
또한, 절환노브(120)가 눌려져 있는 상태인지 당겨져 있는 상태인지 육안으로 분간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습성상 절환노브(120)의 상태와 모드간의 대응 관계를 정확히 기억하고 수도꼭지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드물다. 예컨대, 샤워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샤워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절환노브(120)가 눌러야 하는지 아니면 당겨야 하는지를 정확하게 기억하고 수도꼭지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많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래의 수도꼭지는 절환노브(120) 및 그에 따라 요구되는 구조적 이유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조립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수도꼭지의 돌출된 절환노브(120)는 다양한 외관 디자인의 선택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최근 욕실 내부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우수한 디자인을 갖는 욕실 용품이 고가로 소비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이러한 디자인 장해 요소는 제품 경쟁력을 크게 저하시키는 결과를 야기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쉽게 직수 모드 또는 샤워수 모드를 분간하고 또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있는 수도꼭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조립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도꼭지에 있어 심플한 외관 디자인을 제공함으로서, 디자인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는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절환부와 직수토수구와 샤워수토수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절환부는 상류로부터 물을 유입 받아 수로를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상기 직수토수구 또는 샤워수토수구로 공급하되, 상기 절환부와 상기 직수토수구는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직수토수구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절환부는 제1모드에 위치하여 물을 상기 직수토수구로 공급하고, 상기 직수토수구가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절환부는 제2모드로 연동되어 물을 상기 샤워수토수구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직수토수구는,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말단의 수평 방향 젖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말단보다는 후방의 일 수직축을 회전축으로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회전 이동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말단은 전방을 향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말단은 전방으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수평 방향 회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환부는 고정 위치를 갖는 고정부와 상기 직수토수구와 연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제1수로와 제2수로를 상호 독립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제1수로는 제1유입공과 상기 직수토수구와 소통되는 제1유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2수로는 제2유입공과 상기 샤워수토수구와 소통되는 제2유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1모드에서는 상기 제1수로를 통하여 상기 직수토수구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제2유입공은 상기 볼에 막혀 폐쇄되고, 상기 제2모드에서는 상기 제2수로를 통하여 상기 샤워수토수구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제1유입공은 상기 볼에 막혀 폐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위치는 제2c위치 및 제2cc위치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모드는 제2c모드 및 제2cc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두 개의 볼을 포함하고, 상기 직수토수구는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c위치로 이동되고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cc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2c모드에서 상기 제1유입공은 상기 두 개의 볼 중 어느 하나의 볼에 막혀 폐쇄되고, 상기 제2cc모드에서 상기 제1유입공은 상기 두 개의 볼 중 다른 하나의 볼에 막혀 폐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직수토수구는 관체와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슈트(chute)를 구비하고, 상기 관체는, 그 상류단에 상기 절환부가 결합되고 그 하류단에 상기 샤워수토수구가 결합되고 그 중류단으로부터 상기 슈트가 분기되고, 상기 관체는 그 종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이동되고, 상기 절환부 및 상기 샤워수토수구는 이에 연동되고, 상기 절환부는 제1수로와 제2수로를 상호 독립적으로 구비하되, 상기 제1수로의 제1유출공이 상기 관체와 소통되도록, 상기 절환부가 상기 관체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수로의 제2유출공이 상기 샤워수토수구와 소통되도록, 상기 절환부가 상기 샤워수토수구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환부에 있어 상기 샤워수토수구와 결합되는 부위는 상기 제1수로의 제1유출공보다 상기 관체의 하류 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그 돌출된 부위가 상기 샤워수토수구와 결합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가 쉽게 직수 모드 또는 샤워수 모드를 분간하고 또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수도꼭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조립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 수도꼭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심플한 외관 디자인을 제공함으로서, 디자인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는 수도꼭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도꼭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도꼭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수도꼭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수도꼭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수도꼭지의 변조대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변조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변조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직수토수구 및 절환부가 각각 제1위치 및 제1모드에 있을 때를 보여주는데, 도 11은 우측면도로서 단면은 중심선을 따라 절개하였고, 도 12는 정면도로서 단면은 두 개의 볼의 중심선을 따라 절개하였다.
도 13은 직수토수구 및 절환부가 각각 제2위치 및 제2모드에 있을 때를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단면은 두 개의 볼의 중심선을 따라 절개하였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의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도꼭지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수도꼭지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의 수도꼭지의 직수토수구(40)는,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말단의 수평 방향 젖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말단보다는 후방의 일 수직축(S)을 회전축으로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회전 이동된다.
제1위치에서 상기 말단은 전방을 향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말단은 전방으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수평 방향 회전된다.
직수토수구(40)와 후술하는 절환부(20)은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직수토수구(40)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절환부(20)는 제1모드에 위치하여 물을 직수토수구(40)로 공급하고, 직수토수구(40)가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절환부(20)는 제2모드로 연동되어 직수토수구(40)를 폐쇄하고 물을 샤워수토수구(50)로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위치는 제2c위치 및 제2cc위치를 포함함으로써, 시계 방향(clockwise) 및 반시계 방향(counter-clockwise)의 양 방향으로 젖힘 조작이 가능하다. 즉, 직수토수구(40)는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c위치로 이동되고,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cc위치로 이동된다. 제2위치가 제2c위치 및 제2cc위치를 포함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2모드는 제2c모드 및 제2cc모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수를 사용할 때는 직수토수구(40)를 정위치인 제1위치에 위치시키고, 샤워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 즉 직수를 사용하지 않고자 할 때에는 직수토수구(40)를 옆으로 젖혀 정위치를 벗어난 제2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직수 모드와 샤워수 모드를 구분하고 또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수도꼭지의 현재 모드를 쉽고 정확하게 분간하고 선택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절환노브(120) 및 이에 따르는 복잡한 구조적 제약을 제거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조립공정을 대폭 단순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도꼭지 외관 디자인에서는 모드 절환을 위하여 절환노브(120), 등의 조작부가 수도꼭지의 외관으로 돌출 형성되었고, 이로 인하여 외관 디자인이 조잡해지고 외관 디자인의 다양화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에서는, 절환부(20)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수도꼭지의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심플한 외관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도 2의 수도꼭지의 분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는 개폐몸체(10), 절환부(20), 직수토수구(40) 및 샤워수토수구(50)를 포함한다.
개폐몸체(10)는 개폐레버(11)와 조임너트(12)를 포함한다. 개폐레버(11)는 물의 개폐 조작을 수행한다. 개폐몸체(10)는 종래의 구성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개폐몸체(10)는 냉온수 절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절환부(20)는 상류로부터 물을 유입 받아 수로를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직수토수구(40) 또는 샤워수토수구(50)로 공급한다.
절환부(20)는 고정 위치를 갖는 고정부와 직수토수구(40)와 연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볼리테이너(ball retainer)(21), 스프링(22), 볼(23) 및 오링(O-ring)(24)을 포함한다.
이동부는 패킹(25), 오링(26), 변조대(30), 오링(28) 및 턱패킹(29)을 포함한다.
직수토수구(40)는 상커버(41), 직수토수구본체(44), 마개(42), 패킹(43), 및 하커버(45)를 포함한다. 직수토수구본체(44)는 관체(44a)와 슈트(chute)(44b)를 포함한다. 슈트(44b)는 물을 외부로 토출한다.
샤워수토수구(50)는 오링(51), 패킹(52) 및 샤워수토수구본체(53)를 포함한다.
도 6은 도 2의 수도꼭지의 변조대(30)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외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변조대(30)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변조대(30)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의 IX-IX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X-X 단면도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9에서 제1수로(31)를 진하게 채색하였고, 도 10에서 제2수로(32)를 진하게 채색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의 변조대(30)는 제1수로(31)와 제2수로(32)를 상호 독립적으로 구비한다. 제1수로(31)는 그 상류단에 제1유입공(31i)을 구비하고, 그 하류단에 제1유출공(31o)을 구비한다. 제2수로(32)는 그 상류단에 제2유입공(32i)을 구비하고 그 하류단에 제2유출공(32o)을 구비한다.
제1모드에서 두 개의 제2유입공(32i)은 두 개의 볼(23)에 막혀 폐쇄된다.
제2c모드에서 제1유입공(31i)은 상기 두 개의 볼(23) 중 어느 하나의 볼에 막혀 폐쇄되고, 제2cc모드에서 제1유입공(31i)은 상기 두 개의 볼(23) 중 다른 하나의 볼에 막혀 폐쇄된다.
도 11 및 도 12는 직수토수구(40) 및 절환부(20)가 각각 제1위치 및 제1모드에 있을 때를 보여주는데, 도 11은 우측면도로서 단면은 중심선을 따라 절개하였고, 도 12는 정면도로서 단면은 두 개의 볼(23)의 중심선을 따라 절개하였다.
도 13은 직수토수구(40) 및 절환부(20)가 각각 제2위치 및 제2모드에 있을 때를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단면은 두 개의 볼(23)의 중심선을 따라 절개하였다.
관체(44a)는, 그 상류단에 절환부(20)가 결합되고 그 하류단에 샤워수토수구(50)가 결합되고 그 중류단으로부터 슈트(44b)가 분기된다.
관체(44a)는 그 종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에 의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이동되고, 절환부(20) 및 샤워수토수구(50)는 이에 연동된다.
절환부(20)는, 제1수로(31)의 제1유출공(31o)이 관체(44a)와 소통되도록, 관체(44a)와 결합된다. 동시에 절환부(20)는, 제2수로(32)의 제2유출공(32o)이 샤워수토수구(50)와 소통되도록, 샤워수토수구(50)와 결합된다.
절환부(20)에 있어 샤워수토수구(50)와 결합되는 부위는 제1수로(31)의 제1유출공(31o)보다 관체(44a)의 하류 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그 돌출된 부위가 샤워수토수구(50)와 결합된다.
제1수로(31)의 제1유출공(31o)은 직수토수구(40)의 관체와 소통된다. 제1모드에서는 제1수로(31)를 통하여 직수토수구(40)의 관체 내부로 물이 공급된다. 이때, 제2유입공(32i)은 볼(23)에 막혀 폐쇄된다.
제2수로(32)의 제2유출공(32o)은 샤워수토수구(50)의 샤워수토수구본체(53)와 소통된다. 제2모드에서는 제2수로(32)를 통하여 샤워수토수구(50)의 샤워수토수구본체(53)로 물이 공급된다. 이때, 제1유입공(31i)은 볼(23)에 막혀 폐쇄된다.

Claims (7)

  1. 절환부와 직수토수구와 샤워수토수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절환부는 상류로부터 물을 유입 받아 수로를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상기 직수토수구 또는 샤워수토수구로 공급하되,
    상기 절환부와 상기 직수토수구는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직수토수구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절환부는 제1모드에 위치하여 물을 상기 직수토수구로 공급하고, 상기 직수토수구가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절환부는 제2모드로 연동되어 물을 상기 샤워수토수구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토수구는,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말단의 수평 방향 젖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말단보다는 후방의 일 수직축을 회전축으로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말단은 전방을 향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말단은 전방으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수평 방향 회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는 고정 위치를 갖는 고정부와 상기 직수토수구와 연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제1수로와 제2수로를 상호 독립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제1수로는 제1유입공과 상기 직수토수구와 소통되는 제1유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2수로는 제2유입공과 상기 샤워수토수구와 소통되는 제2유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1모드에서는 상기 제1수로를 통하여 상기 직수토수구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제2유입공은 상기 볼에 막혀 폐쇄되고, 상기 제2모드에서는 상기 제2수로를 통하여 상기 샤워수토수구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제1유입공은 상기 볼에 막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는 제2c위치 및 제2cc위치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모드는 제2c모드 및 제2cc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두 개의 볼을 포함하고,
    상기 직수토수구는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c위치로 이동되고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cc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2c모드에서 상기 제1유입공은 상기 두 개의 볼 중 어느 하나의 볼에 막혀 폐쇄되고, 상기 제2cc모드에서 상기 제1유입공은 상기 두 개의 볼 중 다른 하나의 볼에 막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토수구는 관체와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슈트(chute)를 구비하고,
    상기 관체는, 그 상류단에 상기 절환부가 결합되고 그 하류단에 상기 샤워수토수구가 결합되고 그 중류단으로부터 상기 슈트가 분기되고,
    상기 관체는 그 종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이동되고, 상기 절환부 및 상기 샤워수토수구는 이에 연동되고,
    상기 절환부는 제1수로와 제2수로를 상호 독립적으로 구비하되, 상기 제1수로의 제1유출공이 상기 관체와 소통되도록, 상기 절환부가 상기 관체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수로의 제2유출공이 상기 샤워수토수구와 소통되도록, 상기 절환부가 상기 샤워수토수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에 있어 상기 샤워수토수구와 결합되는 부위는 상기 제1수로의 제1유출공보다 상기 관체의 하류 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그 돌출된 부위가 상기 샤워수토수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KR2020100000458U 2010-01-15 2010-01-15 수도꼭지 KR200456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458U KR200456184Y1 (ko) 2010-01-15 2010-01-15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458U KR200456184Y1 (ko) 2010-01-15 2010-01-15 수도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303U KR20110007303U (ko) 2011-07-21
KR200456184Y1 true KR200456184Y1 (ko) 2011-10-17

Family

ID=4559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458U KR200456184Y1 (ko) 2010-01-15 2010-01-15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18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837A (ja) 1997-07-03 1999-01-26 Kitamura Gokin Seisakusho:Kk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100420589B1 (ko) 2003-11-13 2004-03-02 주식회사 혜인교역 수도콕
KR200346807Y1 (ko) 2003-12-26 2004-04-06 진정홍 원터치 레버식 냉온수 분배기
KR100878378B1 (ko) 2007-07-03 2009-01-13 염명훈 분배기 일체형 레버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837A (ja) 1997-07-03 1999-01-26 Kitamura Gokin Seisakusho:Kk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100420589B1 (ko) 2003-11-13 2004-03-02 주식회사 혜인교역 수도콕
KR200346807Y1 (ko) 2003-12-26 2004-04-06 진정홍 원터치 레버식 냉온수 분배기
KR100878378B1 (ko) 2007-07-03 2009-01-13 염명훈 분배기 일체형 레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303U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330Y1 (ko) 하나의 전환밸브로 토수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3방향 토수구를 갖는 욕실용 수전금구
US6941971B1 (en) Dual use stand type faucet used in kitchen
KR200456184Y1 (ko) 수도꼭지
JP4708974B2 (ja) 自動水栓
JP2009121205A (ja) シャワーヘッド
JP2020122340A (ja) 操作装置
JP6735114B2 (ja) 水栓
US6644512B2 (en) Faucet for a drinking-water dispenser
JP5022166B2 (ja) 湯水混合水栓装置
CN207514358U (zh) 触控式喷头
CN208967102U (zh) 一种拨键切换淋浴器
JP2003328408A (ja) 原水・処理水切替吐出装置
JP5139761B2 (ja) 湯水混合水栓装置
JP2006177076A (ja) シャワーヘッド
KR100992711B1 (ko) 샤워기헤드
JP2015096669A (ja) 水栓装置
JPH11248029A (ja) 給水栓ハンドルのロック機構
JP4638206B2 (ja) 混合水栓
EP3736387A1 (en) Automatic faucet
JP2008274634A (ja) 吐水装置
JP2009155968A (ja) シャワーヘッド
JP2003339563A (ja) 広範囲対応型シャワ
JP5074871B2 (ja) 水栓装置
KR100928355B1 (ko) 수도꼭지
JP6075711B2 (ja) 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