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207Y1 -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 - Google Patents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207Y1
KR200450207Y1 KR2020100002338U KR20100002338U KR200450207Y1 KR 200450207 Y1 KR200450207 Y1 KR 200450207Y1 KR 2020100002338 U KR2020100002338 U KR 2020100002338U KR 20100002338 U KR20100002338 U KR 20100002338U KR 200450207 Y1 KR200450207 Y1 KR 200450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opening
water
supply pip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3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20201000023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2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2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2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03/00Fluid-pressure and analogous brake systems
    • Y10S303/10Valve block integrating pump, valves, solenoid, accumul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명 두 갈래 가로꼭지로 불리는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의 앞쪽에는 제1급수관이, 뒤쪽에는 입수관이, 상부에는 제1개폐구가 형성되는 급수밸브에 있어, 상기 몸체와 입수관의 사이에 적은 부품수로 된 제2개폐구가 내장되는 제2급수관이 제1급수관과 입수관에 일렬로 형성되게 하여 종래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의 생산원가 보다 적은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하고, 설치공간에 구애를 받지 않게 하며,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게 되게 하는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A WATER SUPPLY VALVE HAVING DOUBLE SUPPLY PIPE}
본 고안은 일명 두 갈래 가로꼭지로 불리는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의 앞쪽에는 제1급수관이, 뒤쪽에는 입수관이, 상부에는 제1개폐구가 형성되는 급수밸브에 있어, 상기 몸체와 입수관의 사이에 적은 부품수로 된 제2개폐구가 내장되는 제2급수관이 제1급수관과 입수관에 일렬로 형성되게 하여 종래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의 생산원가 보다 적은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하고, 설치공간에 구애를 받지 않게 하며,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게 되게 하는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몸체 하나에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는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급수관이 세탁기의 급수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세탁기의 급수관을 분리하지 않고도 몸체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급수관을 이용하여 베란다 또는 다용도실 등의 공간에서 청소 또는 물이 필요로 하는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10)는 도 1 도시와 같이 두 갈래의 유로가 분기되는 몸체(10a)의 한 쪽에는 냉수 또는 온수 공급관에 연결되는 입수관(11)이, 다른 한 쪽에는 일반 급수밸브와 같이 물이 급수되게 하는 제1급수관(12)이, 하부에는 세탁기 등에 물이 급수되게 하기 위한 호스가 연결되는 제2급수관(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급수관(12)(13)은 몸체(10a)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어 물이 공급되게 하고 있고, 제1 및 제2급수관(12)(13)의 분기점 인근 부분에는 제1개폐구(14)와 제2개폐구(15)가 유로를 가로질러 장착되게 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개폐구(14)(15)는 나사구조를 갖는 밸브로 단부에 고무밸브가 장착되어 급수되는 물의 흐름을 개폐하게 되는데, 제1급수관(12)으로 급수되는 물을 제어하기 위한 제1개폐구(14)는 몸체(10a)의 상부에 장착되게 하고, 제2급수관(13)으로 급수되는 물을 제어하기 위한 제2개폐구(15)가 몸체(10a)의 측면에 장착되게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수밸브(10)는 제 1 및 제2개폐구(14)(15)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아 생산원가가 많이 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배란다 또는 다용도실에 시설되는 상기의 급수밸브(10)는 한 쌍의 제품으로 온수관과 냉수관에 모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더욱 많이 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입수관과 유로가 연결되는 몸체의 앞쪽에는 제1개폐구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는 제1급수관이 하부에는 제2개폐구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는 제2급수관이 형성되는 급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몸체(101)의 내부에는 상기 입수관(102)의 유로와 연결되는 입수구(104)가 수직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몸체(101)와 입수관(102)의 사이에 제2개폐구(122)를 갖는 제2급수관(120)이 수직을 이루면서 일렬로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상기 제2급수관(120)은 중단부에 수평으로 관통되어 상기 입수관(102)과 입수구(104)와 연결되는 통로(103)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통로(103)의 바닥면에는 수직으로 토수구(120b)가 형성되게 하며, 상부의 내주면과 하부의 외주면 각각에 나사부(120a)(121)가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상기 제2급수관(120)에 결합되는 상기 제2개폐구(122)는 축(122a)의 상부에 제2급수관(120)의 나사부(120a)에 대응하는 나사원통(122b)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나사원통(122b)의 상부에 개폐용 홈(122d)을 갖는 머리부(122c)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축(122a)의 하부에 제2급수관(120)의 토수구(120b)가 개폐되게 하는 고무밸브(122g)가 설치되게 하여서 되는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몸체의 앞쪽에는 제1급수관이, 뒤쪽에는 입수관이, 상부에는 제1개폐구가 형성되는 급수밸브에 있어, 상기 몸체와 입수관의 사이에 적은 부품수로 된 제2개폐구가 내장되는 제2급수관이 제1급수관과 입수관에 일렬로 형성되게 하여 종래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의 생산원가 보다 적은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하고, 설치공간에 구애를 받지 않게 하며,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게 되게 하는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몸체(101)와 입수관(102)의 사이에 적은 부품수로 된 제2개폐구(122)가 내장된 제2급수관(120)이 형성되어 종래 급수밸브의 생산원가 보다 적은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제1급수관(110), 몸체(101), 제2급수관(120), 입수관(102)이 일렬로 형성되어 온수관과 냉수관에의 설치 간격이나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시공이 편리하게 되고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제2급수관(120)의 제2개폐구(122)를 동전 등과 같은 개폐용 지그로 편리하게 조작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급수관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개폐구의 사시도,
도 5는 제1 및 제2급수관으로의 급수가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제1급수관으로만 급수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제2급수관으로만 급수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다음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겠다.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 본체(100)는 입수관(102)을 갖는 몸체(101)에 제1급수관(110)과 제2급수관(120)이 일렬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01)는 도 5 도시와 같이 내부에 상기 입수관(102)의 유로와 연결되는 입수구(104)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급수관(110)은 상기 몸체(101)의 앞쪽에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101)의 입수구(104)와 유로가 연결되고, 몸체(101)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개폐구(112)에 의해 상기 입수구(104)가 개폐됨에 따라 제1급수관(110)으로 급수되게 하거나 급수가 중단되게 한다.
상기 제1개폐구(112)는 도 5 도시와 같이 축(112a)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나사원통(112b)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하부에는 밸브압착부(112e)와 밸브고정부(112f)가 동일 중심을 이루는 한편 상, 하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압착부(112e)와 밸브고정부(112f)의 사이에 고무밸브(112g)가 결합된다.
상기의 나사원통(112b)은 몸체(101) 상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105)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고무밸브(112g)가 상기 입수구(104)를 개방되게 하거나 폐쇄되게 하는데,
상기 제1개폐구(112)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고무밸브(112g)가 상기 입수구(104)를 폐쇄되게 하고,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리면 고무밸브(112g)가 상기 입수구(104)를 개방되게 한다.
상기 제2급수관(120)은 원형통체로 형성되는데, 도 3 도시와 같이 중단부에 수평으로 통로(103)가 형성되고, 이 통로(103)의 바닥면에는 수직으로 토수구(120b)가 형성되며, 상부의 내주면에는 나사부(120a)가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 제2급수관(120)은 상기 몸체(101)와 입수관(102)의 사이에 수직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통로(103)는 입수관(102)과 몸체(101)의 입수구(104)와 연결된다.
상기 제2급수관(120)의 내부에는 제2개폐구(122)가 결합되는데,
이 제2개폐구(122)는 도 4 도시와 같이 축(122a)의 상부에 제2급수관(120)의 나사부(120a)에 대응하는 나사원통(122b)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이 나사원통(122b)의 상부에 개폐용 홈(122d)을 갖는 머리부(122c)가 형성되며, 상기 축(122a)의 하부에 밸브압착부(122e)와 밸브고정부(122f)가 동일 중심을 이루는 한편, 상, 하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압착부(122e)와 밸브고정부(122f)의 사이에는 제2급수관(120)의 토수구(120b)가 개폐되게 하는 고무밸브(122g)가 설치된다.
상기의 제2개폐구(122)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고무밸브(122g)가 상기 토수구(120b)를 폐쇄되게 하고,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리면 고무밸브(122g)가 상기 토수(120b)를 개방되게 하는데,
상기 제2개폐구(122)는 머리부(122c)에 형성된 홈(122d)에 동전 등과 같은 지그를 넣어 돌리면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제1 및 제2개폐구(112)(122) 각각의 고무밸브(112g)(122g)가 몸체(101)의 입수구(104)와 제2급수관(120)의 토수구(120b)를 폐쇄되게 하여 제1 및 제2급수관(110)(120) 모두로의 급수가 차단되게 할 수 있고,(도 5 참조) 도 6 도시와 같이 제1급수관(110)으로만 급수가 되게 할 수 있는데, 제2개폐구(122)의 고무밸브(122g)가 제2급수관(120)의 토수구(120b)를 폐쇄되게 하고, 제1개폐구(112)의 고무밸브(112g)가 몸체(101)의 입수구(104)가 개방되게 하면, 입수관(102)으로 유입되는 물은 제2급수관(120)의 통로(103) - 몸체(101)의 입수구(104)를 경유하여 제1급수관(110)으로 급수되는데, 상기 통로(103)에 위치하는 상기 제2개폐구(122)의 나사원통(122b)과 밸브압착부(122e) 사이를 경유하여 제1급수관(110)으로만 급수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도시와 같이 제2급수관(120)으로만 급수가 되게 할 수 있는데, 제1개폐구(112)의 고무밸브(112g)가 몸체(101)의 입수구(104)를 폐쇄되게 하고, 제2개폐구(122)의 고무밸브(122g)가 제2급수관(120)의 토수구(120b)를 개방되게 하면, 입수관(102)으로 유입되는 물은 제2급수관(120)의 통로(103)를 경유하여 토수구(120b)로 급수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급수관(110)(120) 모두로 급수가 되게 하려면 제1개폐구(112)와 제2개폐구(122) 모두를 개방하여 각 고무밸브(112g)(122g)가 폐쇄하고 있는 입수구(104)와 토수구(120b)를 개방되게 하면 된다.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1은 제1급수관(110)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연결구 연결용 나사부를, 121은 제2급수관(120)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연결구 연결용 나사부를, 122h는 O링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100 ... 본체 101 ... 몸체
102 ... 입수관 103 ... 통로
104 ... 입수구 110 ... 제1급수관
111 ... 나사부 112 ... 제1개폐구
112a ... 축 112b ... 나사원통
112e ... 밸브압착부 112f ... 밸브고정부
112g ... 고무밸브 120 ... 제2급수관
120a ... 나사부 120b ... 토수구
121 ... 나사부 122 ... 제2개폐구
122a ... 축 122b ... 나사원통
122c ... 머리부 122d ... 홈
122e ... 밸브압착부 122f ... 밸브고정부
122g ... 고무밸브 122h ... O링

Claims (3)

  1. 삭제
  2. 입수관과 유로가 연결되는 몸체의 앞쪽에는 제1개폐구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는 제1급수관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입수관의 유로와 연결되는 입수구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입수관의 사이에는 제2개폐구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는 제2급수관이 형성되되, 상기 제2급수관이 수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급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급수관(120)은 중단부에 상기 입수관(102)과 입수구(104)와 연결되는 통로(103)가 수평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게 하고, 상기 통로(103)의 바닥면에는 수직으로 토수구(120b)가 형성되게 하며, 상부의 내주면과 하부의 외주면 각각에 나사부(120a)(121)가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급수관(120)에 결합되는 상기 제2개폐구(122)는 축(122a)의 상부에 제2급수관(120)의 나사부(120a)에 대응하는 나사원통(122b)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나사원통(122b)의 상부에 개폐용 홈(122d)을 갖는 머리부(122c)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축(122a)의 하부에 제2급수관(120)의 토수구(120b)가 개폐되게 하는 고무밸브(122g)가 설치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
KR2020100002338U 2010-03-09 2010-03-09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 KR200450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338U KR200450207Y1 (ko) 2010-03-09 2010-03-09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338U KR200450207Y1 (ko) 2010-03-09 2010-03-09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207Y1 true KR200450207Y1 (ko) 2010-09-10

Family

ID=4447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338U KR200450207Y1 (ko) 2010-03-09 2010-03-09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2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032B1 (ko) 2012-04-06 2015-03-18 박부홍 구강세척기능의 수압조절기능을 갖는 수전
KR20210001255U (ko) * 2019-11-28 2021-06-07 신현오 다방향 가로꼭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323Y1 (ko) 2000-09-25 2001-02-15 이혜숙 밸브용 실링의 기밀구조
KR200311820Y1 (ko) * 1999-06-25 2003-05-09 주식회사 대고원종합건축사사무소 다중 배출구를 구비하는 수도관용 컨넥터
KR100420589B1 (ko) 2003-11-13 2004-03-02 주식회사 혜인교역 수도콕
KR200391526Y1 (ko) 2005-05-17 2005-08-03 김두열 수도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820Y1 (ko) * 1999-06-25 2003-05-09 주식회사 대고원종합건축사사무소 다중 배출구를 구비하는 수도관용 컨넥터
KR200213323Y1 (ko) 2000-09-25 2001-02-15 이혜숙 밸브용 실링의 기밀구조
KR100420589B1 (ko) 2003-11-13 2004-03-02 주식회사 혜인교역 수도콕
KR200391526Y1 (ko) 2005-05-17 2005-08-03 김두열 수도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032B1 (ko) 2012-04-06 2015-03-18 박부홍 구강세척기능의 수압조절기능을 갖는 수전
KR20210001255U (ko) * 2019-11-28 2021-06-07 신현오 다방향 가로꼭지
KR200493900Y1 (ko) * 2019-11-28 2021-06-23 신현오 다방향 가로꼭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852459U (zh) 厨房混合水、净水二合一龙头
KR200450207Y1 (ko) 2개의 급수관을 갖는 급수밸브
KR101286410B1 (ko) 싱크대용 수전
CN202392181U (zh) 双用水嘴
CN202203444U (zh) 一种无手柄温控台盆龙头
US20070209720A1 (en) Washing machine cock
KR20110003294U (ko) 볼 타입 앵글밸브가 구비된 감압밸브
KR200409417Y1 (ko) 수전 배관연결 밸브
CN204961907U (zh) 一体式自来水净水复合龙头
KR100760355B1 (ko) 수도꼭지
JP2005251790A5 (ko)
KR101120191B1 (ko) 수전장치
KR200391526Y1 (ko) 수도밸브
JP2008088679A5 (ko)
KR101294107B1 (ko)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의 밸브장치
KR20060076381A (ko) 분리형 수도전
CN203223578U (zh) 改进型洗涤水嘴
KR20120003716U (ko) 수도밸브
KR200336870Y1 (ko) 이중토출구를 갖는 급수밸브
CN209610970U (zh) 一种三挡带喷枪浴缸龙头
KR20110134046A (ko) 멀티 밸브
CN202790667U (zh) 一种新型双联式单手柄龙头
CN211288790U (zh) 一种龙头切换阀杆的导向结构
CN206386524U (zh) 一种多位出水的水龙头
CN205298777U (zh) 抽拉式水龙头的开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