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329Y1 - 개인 연습용 공 틀 - Google Patents

개인 연습용 공 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329Y1
KR200490329Y1 KR2020170005303U KR20170005303U KR200490329Y1 KR 200490329 Y1 KR200490329 Y1 KR 200490329Y1 KR 2020170005303 U KR2020170005303 U KR 2020170005303U KR 20170005303 U KR20170005303 U KR 20170005303U KR 200490329 Y1 KR200490329 Y1 KR 200490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upport member
frame
luminou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946U (ko
Inventor
김선희
Original Assignee
김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희 filed Critical 김선희
Priority to KR2020170005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29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9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9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7Arrangements on balls for connecting line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9/00Hollow non-inflatable balls, i.e. having no valves
    • A63B39/06Special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6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with reflect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2Tennis
    • A63B2207/0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6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enabling use in the dark, other than powered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 내부의 가스 유지가 가능한 개인 연습용 공 틀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중공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을 둘러싸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중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공은 상기 공을 끼우기 위한 공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중공 중 어느 하나의 중공을 형성하는 지지부재의 테두리는 소정의 무게를 가진 앵커부재와 상기 공 틀을 연결하는 연결끈을 결합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연습용 공 틀{PERSONAL PRACTICING BALL FRAME}
본 고안은 개인 연습용 공 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 내부의 가스 유지가 가능하고 공의 표면을 이루는 양모의 마모를 방지하는 개인 연습용 공 틀에 관한 것이다.
테니스공의 스트로크, 서브 등을 혼자서 연습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니스공(10)에 고무줄(20)을 연결한 앵커(30)가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테니스공(10)을 긴 고무줄(20)의 일단에 고정하고 고무줄(20)의 타단은 바닥에 고정되는 무거운 앵커(30)에 연결함으로써, 테니스공(10)을 쳤을 때, 고무줄(20)의 장력에 의하여 테니스공(10)이 다시 돌아오므로, 스트로크를 반복하여 연습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니스공(10)에 고무줄(20)을 직접 연결하기 위해서는 테니스공(10) 외면에 형성된 구멍(40)에 노끈(50)를 부착하고, 상기 노끈(50)에 고무줄(20)을 연결하기 때문에, 테니스공을 사용함에 따라, 상기 구멍(40) 밖으로 테니스공 내부를 채우고 있는 가스가 세어 나올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 테니스공(10)을 오래 사용하게 되면, 공 내부의 가스가 빠져나와 공을 타격하기 어려운 상태가 될 수 있으며, 테니스공을 반복해서 치다 보면, 테니스공의 표면을 이루는 양모가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고무줄(20)은 여러 개의 연결고리(6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데, 테스공(10)을 타격하여 연습하다 보면, 고무줄(20)이 꼬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공개특허 제 2010-075307호(2010.04.08 공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테니스 공 내부의 가스가 세어 나오지 않게 유지하면서 테니스를 혼자서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연습용 공 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테니스 공의 외면에 형성된 양모의 마모를 방지하는 개인 연습용 공 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야간에도 혼자서 테니스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야광물질이 도포되거나 야광발광체를 포함하는 공 틀을 제공하고 혼자서도 테니스를 오랫동안 연습할 수 있도록 공 틀에 연결된 고무줄이 꼬이지 않게 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공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연습용 공 틀은 복수의 중공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을 둘러싸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중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공은 상기 공을 끼우기 위한 공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중공 중 어느 하나의 중공을 형성하는 지지부재의 테두리는 소정의 무게를 가진 앵커부재와 상기 공 틀을 연결하는 연결끈을 결합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테두리는 상기 연결끈을 삽입하기 위한 연결끈 삽입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연습용 공 틀의 상기 지지부재는 실리콘 또는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중공은 공의 겉감인 양모의 마모방지를 위하여 마모방지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는 야광물질이 혼합되어 제작되거나 지지부재의 표면은 야광물질로 도포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연습용 공 틀은 야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빛을 조명할 수 있는 야광발광체 및 상기 야광발광체가 상기 복수의 중공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야광발광체를 지지하며 상기 중공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투명재질로 제작된 야광발광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연습용 공 틀은 지지부재와 앵커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끈은 복수의 연결고리에 의하여 연결되되,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연결고리 중앙의 이음본체; 상기 이음본체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연결링 이음부; 및 상기 연결링 이음부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연결끈이 연결되는 연결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링 이음부는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연습용 공 틀에 테니스 공을 끼우고, 종래의 테니스 개인 연습 장치인 앵커에 고무줄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종래 방식과 같이 테니스 공에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테니스 공 내부의 가스가 세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테니스 공을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모방지막이 테니스 공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테니스 공의 겉감인 양모의 마모를 방지할 수도 있다.
나아가, 종래의 개인 연습용 공은 공 자체에 고무줄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테니스 공으로부터 고무줄을 분리할 수 없으므로, 개인 연습용 외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 틀을 사용하면 공 틀에 테니스 공을 간단하게 끼우거나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연습용 뿐 만 아니라, 상대방과 함께 즐기는 테니스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평소 자신이 사용하던 테니스공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 틀은 야광물질로 도포되거나 야광발광체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야간에도 혼자서 테니스 연습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 틀은 공틀에 연결된 고무줄이 연결고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연결고리는 연결링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고무줄이 꼬이지 않아서 사용자가 혼자서도 테니스 연습 할 때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개인 연습용 테니스 공의 사용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연습용 공 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연습용 공 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연습용 공 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야광발광체를 포함하는 공 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광발광체가 공 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공"은 테니스 공을 일 실시예로 설명되고 있으나, 테니스 공에 한정되지 않고 정구공, 라켓볼, 라테스민턴, 리턴볼, 스쿼시볼 등 라켓을 사용하는 스포츠 공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연습용 공 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개인 연습용 공 틀은 복수의 중공(1)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을 둘러싸기 위한 지지부재(2)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중공(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공은 테니스 공을 끼우기 위한 공 출입구(3)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1)을 형성하는 지지부재(2)를 벌려 테니스공을 넣고 뺄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는데, 지지부재(2)는 예컨대 실리콘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지지부재(2)의 소재는 실리콘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축성이 있는 소재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 틀의 전체적인 부피는 공 틀에 삽입되는 테니스공의 부피보다 작을 수 있는데, 예컨대 테니스공 부피의 70%로 구성될 수 있다. 공 틀의 부피가 공의 부피보다 작기때문에, 테니스공이 공 틀에 꽉 삽입됨으로써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 틈 사이로 형성된 복수의 중공(1)은 상하로 쌍을 이루고 있으나, 공 틀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쌍으로 형성된 것일 뿐 중공의 개수, 모양 및 상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고, 공 틀의 크기는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테니스 공을 수용하기 위한 지지부재(2)는 하나의 횡방향 지지대와 복수의 종방향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횡방향 지지대와 종방향 지지대는 두께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호간에 연결되면서, 테니스 공의 표면을 둘러쌈으로써 테니스 공과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중공 중 어느 하나의 중공을 구성하는 지지부재(2)의 테두리 상에 연결끈(4)을 묶고, 상기 연결끈(4)의 타단은 앵커부재에 결합됨으로써, 공 틀은 앵커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앵커부재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기 때문에 지면에 고정되므로, 공 틀이 튕겨져 나가도 앵커부재 주변으로 다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앵커부재는 공이 튕겨 날라가지 않도록 지면에 고정될 수 있는 정도의 무거운 무게를 가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끈(4)에는 고무줄이 사용될 수 있으나, 고무줄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력을 가진 소재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 출입구(3)를 구성하는 지지부재(2)를 벌려 테니스 공을 삽입한 다음, 테니스 공 틀을 테니스채로 타격하면 앵커부재에 연결된 고무줄에 의하여 테니스 공 틀은 사용자 주변으로 다시 복귀되므로 사용자는 혼자서도 테니스를 연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종래 테니스 공에 구멍을 뚫어 사용하는 대신 테니스 공을 공 틀에 끼워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테니스 공에 형성된 구멍에서 가스가 세어 나와 테니스 공을 오래 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개인 연습용 공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 틀을 사용하면 테니스 공을 공 틀에 간편하게 넣고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연습용 뿐 만 아니라, 상대방과 함께 연습할 때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연습용 공 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의 테두리는 연결끈(4)을 삽입하기 위한 연결끈 삽입공(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끈 삽입공(5)에 고무줄 등의 연결끈(4)을 끼우고 매듭 지음으로써 공 틀과 연결끈(4)을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끈이 결합되는 지지부재의 테두리 측에 형성된 중공은 다른 중공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중공의 지름은 약 2cm 내지 3cm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을 형성하는 테두리면의 두께는 두껍게 제작되므로, 연결끈이 당겨짐에 따른 장력을 보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공의 크기가 다른 중공의 크기보다 작고 중공을 형성하는 테두리면의 두께가 두꺼운 이유는, 연결끈(4)을 테두리 상에 묶거나 연결끈 삽입공(5)에 연결끈(4)을 삽입함으로써 연결끈(4)을 공 틀에 결합한 후 공이 삽입된 공 틀을 타격할 때, 연결끈(4)에 의하여 지지부재의 테두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위하여 중공의 상하측에 형성된 테두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측면에 형성된 테두리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중공의 상하측에 형성된 테두리의 폭은 10mm인 반면, 중공의 측면에 형성된 테두리의 폭은 4 내지 5mm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연습용 공 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연습용 공 틀은 양모의 마모방지를 위하여 마모방지막(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중공은 마모방지막(6)으로 막혀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모방지막(6)은 불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지지부재(2)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 틀은 테니스 공을 공 틀에 끼운 상태에서 테니스를 연습하더라도 테니스 공의 양모가 바닥에 마찰되지 않도록 하여 양모에 대한 마모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 틀을 사용하면 테니스 공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2)는 야광물질로 도포되고 양광물질 상에 투명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거나, 공 틀이 빛을 조명할 수 있는 야광발광체(7)를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야광발광체를 포함하는 공 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광발광체가 공 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광발광체(7)는 LED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9)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오래 사용할 수 있는데, 배터리를 교체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광발광체(7)는 야광발광체 커버(8) 상에 지지되고, 상기 야광발광체 커버(8)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 틀의 하단에 형성된 중공을 덮는 형태로 공 틀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야광발광체 커버(8) 외주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덮개가 지지부재 상에 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덮개 하면에는 부직포가 구성되어 있어서, 부직포 결합에 의하여 상기 덮개가 공 틀의 지지부재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야광발광체 커버(8) 외주 상의 덮개가 지지부재에 형성된 틈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야광발광체 커버(8)는 공 틀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야광발광체 커버(8)가 공 틀에 결합되는 방식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광발광체 커버(8)는 투명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야광발광체 커버(8) 내부에 위치한 야광발광체(7)로부터 발생된 빛이 공 틀 외부로 투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야광물질이 도포되거나 야광발광체를 포함하는 공 틀을 사용하면, 야간에도 혼자서 테니스를 연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 틀은 지지부재에 고무줄과 같은 연결끈(20)이 연결되는 구성을 취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끈(20) 사이에 연결고리(6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60)는 중앙에 이음본체(62), 이음본체(62) 양단에 한 쌍의 연결링 이음부(63) 및 연결링 이음부(63) 각각에 결합된 연결링(6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링(61)은 이음본체(62)의 양단에 구성된 연결링 이음부(63) 내부를 관통하며, 연결링 이음부(63)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연결링(61)도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연결끈이 연결된 한 쌍의 연결링(61) 각각 회전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테니스 공을 반복하여 연습하더라도 연결끈이 꼬이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중공
2 : 지지부재
3: 공 출입구
4 : 연결끈
5 : 연결끈 삽입공
6 : 마모방지막
7 : 야광발광체
8 : 야광발광체 커버
9 : 배터리
10 : 테니스 공
20 : 고무줄
30 : 앵커
40 : 구멍
50 : 노끈
60 : 연결고리
61 : 연결링
62: 이음본체
63 : 연결링 이음부

Claims (7)

  1. 개인 연습용 공 틀에 있어서,
    복수의 중공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을 수용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하나의 횡방향 지지대와 복수의 종방향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지지대와 상기 종방향 지지대는 두께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호간에 연결되면서, 상기 공의 표면을 둘러쌈으로써 상기 공과 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중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공은 상기 공을 끼우기 위한 공 출입구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중공 중 어느 하나의 중공을 형성하는 지지부재의 테두리는 소정의 무게를 가진 앵커부재와 상기 공 틀을 연결하는 연결끈을 결합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중공은 공의 겉감인 양모의 마모방지를 위하여 마모방지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연습용 공 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을 결합하기 위해 제공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테두리는 상기 연결끈을 삽입하기 위한 연결끈 삽입공을 더 포함하는 개인 연습용 공 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실리콘 또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연습용 공 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야광물질이 혼합되어 제작되거나 상기 지지부재의 표면은 야광물질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연습용 공 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 틀을 야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빛을 조명할 수 있는 야광발광체 및
    상기 야광발광체가 상기 복수의 중공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야광발광체를 지지하며 상기 중공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투명재질로 제작된 야광발광체 커버를 더 포함하는 개인 연습용 공 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앵커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끈은 복수의 연결고리에 의하여 연결되되,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연결고리 중앙의 이음본체;
    상기 이음본체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연결링 이음부; 및
    상기 연결링 이음부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연결끈이 연결되는 연결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링 이음부는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연습용 공 틀.
KR2020170005303U 2017-10-13 2017-10-13 개인 연습용 공 틀 KR200490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303U KR200490329Y1 (ko) 2017-10-13 2017-10-13 개인 연습용 공 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303U KR200490329Y1 (ko) 2017-10-13 2017-10-13 개인 연습용 공 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46U KR20190000946U (ko) 2019-04-23
KR200490329Y1 true KR200490329Y1 (ko) 2019-10-29

Family

ID=66248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303U KR200490329Y1 (ko) 2017-10-13 2017-10-13 개인 연습용 공 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3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407B1 (ko) * 2019-06-04 2020-01-08 박재현 원반던지기 게임기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7117A (en) 1978-11-13 1981-01-27 Zeppa, Inc. Torso tethered training device
KR200199701Y1 (ko) 2000-05-12 2000-10-02 조병관 축구공 홀더
US6168539B1 (en) 1998-10-27 2001-01-02 Ryan Maina Soccer ball spin training tether
JP3168590B2 (ja) 1991-03-07 2001-05-21 日本電気株式会社 縮小投影露光方法
KR100686584B1 (ko) * 2005-08-02 2007-02-26 강예석 골프 연습 보조장치
KR101129696B1 (ko) * 2011-12-02 2012-03-28 글로벌라테스그룹(주) 휴대용 테니스 연습장치
EP2641636A1 (en) 2012-03-21 2013-09-25 Kevin Schlapik Improved tethered led illuminated bal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7353A (en) * 1977-03-16 1979-04-03 Moore Jerrell O Soccer retriever
JPH0884794A (ja) * 1994-09-14 1996-04-02 Katsunori Nito テ ニ ス 練 習 具
JPH08141125A (ja) * 1994-11-16 1996-06-04 Hitomi Kise ボールホルダー
KR960030529U (ko) * 1995-03-14 1996-10-22 이춘수 공놀이 완구
US6770012B2 (en) * 2002-09-06 2004-08-03 Hsiu-Min Kuo Self-generating wrist ball
JP2010075307A (ja) 2008-09-25 2010-04-08 Showa Holdings Co Ltd テニス用ボール打ち練習具
KR20100011089U (ko) * 2009-05-04 2010-11-12 정창협 나홀로 테니스
JP3168590U (ja) * 2011-04-08 2011-06-16 株式会社ウイニング ボール型パンチング用具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7117A (en) 1978-11-13 1981-01-27 Zeppa, Inc. Torso tethered training device
JP3168590B2 (ja) 1991-03-07 2001-05-21 日本電気株式会社 縮小投影露光方法
US6168539B1 (en) 1998-10-27 2001-01-02 Ryan Maina Soccer ball spin training tether
KR200199701Y1 (ko) 2000-05-12 2000-10-02 조병관 축구공 홀더
KR100686584B1 (ko) * 2005-08-02 2007-02-26 강예석 골프 연습 보조장치
US9333398B1 (en) 2011-03-24 2016-05-10 Kevin Daniel Schlapik Handheld tethered ball device
KR101129696B1 (ko) * 2011-12-02 2012-03-28 글로벌라테스그룹(주) 휴대용 테니스 연습장치
EP2641636A1 (en) 2012-03-21 2013-09-25 Kevin Schlapik Improved tethered led illuminated b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46U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0269B2 (en) Athletic clothing with sting reduction padding
WO2005070068A3 (en) Extended-use ball striking training device
KR200490329Y1 (ko) 개인 연습용 공 틀
US4248423A (en) Tetherball
US8834306B2 (en) Racquet with elongated grommet barrels
JP2003180883A (ja) スポーツラケットの2ピースグロメット組立体
US20180221738A1 (en) Athletic equipment weight apparatus
US4877166A (en) Apparatus for retaining a ball
KR101129696B1 (ko) 휴대용 테니스 연습장치
CA2086459A1 (en) Ball racket
US20230149780A1 (en) Y-String Racket
KR200453743Y1 (ko) 라켓 헤드 커버
CN211676218U (zh) 一种体育器材防护套
WO2010021497A2 (ko) 셔틀콕
US6561933B1 (en) Shockproof device in the throat of a tennis racket
KR101312191B1 (ko) 배드민턴용 셔틀콕
KR101609704B1 (ko) 골프연습장치
CN205434861U (zh) 一种可拆卸防滑羽毛球拍
CN109847260A (zh) 多功能缠绕式训练配重
KR200428670Y1 (ko) 테니스야구공
KR101785988B1 (ko) 테배콕을 이용한 레저스포츠 세트
KR100945948B1 (ko) 라켓 헤드용 커버
KR19980037284A (ko) 라켓의 자석으로 공, 셔틀콕을 집어 올릴 수 있게 한 자성체 공 또는 셔틀콕
CN100423802C (zh) 带护腕的高尔夫球及棒球手套
KR102369728B1 (ko) 홀로 공차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