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701Y1 - 축구공 홀더 - Google Patents

축구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701Y1
KR200199701Y1 KR2020000013502U KR20000013502U KR200199701Y1 KR 200199701 Y1 KR200199701 Y1 KR 200199701Y1 KR 2020000013502 U KR2020000013502 U KR 2020000013502U KR 20000013502 U KR20000013502 U KR 20000013502U KR 200199701 Y1 KR200199701 Y1 KR 200199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cer ball
coupling member
longitudinal direction
coupl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관
Original Assignee
조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관 filed Critical 조병관
Priority to KR2020000013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7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7Arrangements on balls for connecting line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9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구공을 연습자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머무르도록 하기 위한 축구공 홀더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축구공이 일정 지역 외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연습자의 활동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축구공 홀더를 제공함으로서 특히 어린이들에게 축구공을 이용한 놀이의 즐거움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축구공 홀더는, 축구공(6)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반구 형상임과 함께 둘레 선단부에 결합부재(1a)가 구비되어 있는 커버시트(1)와, + 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길이방향의 선단부에 상기 결합부재(1a)와 결합하기 위한 대응결합부재(2a)가 구비된 홀딩밴드(2)와, 홀딩밴드(2)에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고정된 신축성줄(3)과, 인체의 허리에 감을 수 있는 형상임과 함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부재(4a)와 이 결합부재(4a)에 결합하기 위한 대응결합부재(4b)가 구비된 벨트(4)와, 벨트(4)를 신축성줄(3)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고리(5)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구공 홀더{Football holder}
본 고안은 축구공을 연습자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머무르도록 하기 위한 축구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축구는 현대의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 구기(球技) 운동 중의 하나이다.또 축구는 어린이들로부터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운동이기는 하나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공을 다루는 기술수준이 낮으므로 축구공을 한번 찬 후에는 공이 자신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가 많아 혼자서 축구공을 이용한 놀이에 별 흥미를 갖지 못하게 된다.
축구공이 연습자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수단으로는 축구공에 신축성의 줄을 연결하고 이 줄을 지면에 고정된 폴대에 고정시키도록 한 것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축구공 홀더는 공이 일정 지역 외로 벗어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연습자 또한 일정 지역 외로 벗어나 연습을 할 수 없는 것이므로 연습자의 활동 범위에 제한이 따르게 되어 축구공을 이용한 놀이의 즐거움을 극대화 할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축구공이 일정 지역 외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연습자의 활동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축구공 홀더를 제공함으로서 특히 어린이들에게 축구공을 이용한 놀이의 즐거움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홀더의 사용상태사시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커버시트
2. 홀딩밴드
3. 신축성줄
4. 벨트
5. 결합고리
6. 축구공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축구공 홀더는, 축구공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반구 형상임과 함께 둘레 선단부에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커버시트와, + 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길이방향의 선단부에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대응결합부재가 구비된 홀딩밴드와, 홀딩밴드에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고정된 신축성줄과, 인체의 허리에 감을 수 있는 형상임과 함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부재와 이 결합부재에 결합하기 위한 대응결합부재가 구비된 벨트와, 벨트를 신축성줄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고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축구공 홀더는, 커버시트와 홀딩밴드 사이에 축구공을 고정할 수 있고 또 벨트를 연습자의 허리에 감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므로 연습자가 활동 범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축구공을 가까이 둔 상태로 놀이를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홀더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축구공 홀더의 분해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커버시트(1)는 축구공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반구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둘레 선단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벨벳페스너(Velvet fastener)와 같은 결합부재(1a)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시트(1)에는 홀딩밴드(2)가 결합되어 있다. 홀딩밴드(2)는 커버시트(1)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부위의 축구공을 커버할 수 있는 +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길이방향의 선단부에 상기 결합부재(1a)와 결합하기 위한 벨벳페스너와 같은 대응결합부재(2a)가 구비되어 있다.
홀딩밴드(2)의 중앙부에는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재로 된 신축성줄(3)의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신축성줄(3)의 길이방향의 타단부는 인체의 허리에 감을 수 있는 길이가 긴 시트 형상임과 함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부재(4a)와 이 결합부재(4a)에 결합하기 위한 대응결합부재(4b)가 구비된 벨트(4)와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4a)와 대응결합부재(4b)는 상기와 같은 벨벳페스너를 이용한다.
지시부호 5는 벨트(4)와 신축성줄(3)을 결합하기 위하여 벨트(4)에 결합된 결합고리이고, 이 결합고리(5)는 신축성줄(3)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축구공 홀더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시트(1)와 홀딩밴드(2) 사이에 축구공(6)을 고정하고 벨트(4)를 연습자의 허리에 감아 고정하며 결합고리(5)를 이용하여 신축성줄(3)과 벨트(4)를 결합한 상태에서 축구공(6)을 이용하여 놀이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축구공 홀더에 축구공(6)을 고정한 상태로 축구공(6)을 이용하여 놀이를 할 경우에는 연습자가 활동 범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축구공을 가까이 둔 상태로 놀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축구공 홀더는, 축구공을 커버시트와 홀딩밴드 사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신축성줄에 의해 홀딩밴드에 연결된 벨트를 연습자의 허리에 감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축구공 홀더는, 연습자가 활동 범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움직이면서 축구공을 가까이 둔 상태로 놀이를 할 수 있는 것이므로 축구공을 이용한 놀이의 즐거움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고, 특히 축구공을 이용한 어린이들의 놀이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축구공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반구 형상임과 함께 둘레 선단부에 결합부재(1a)가 구비되어 있는 커버시트(1)와, + 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길이방향의 선단부에 상기 결합부재(1a)와 결합하기 위한 대응결합부재(2a)가 구비된 홀딩밴드(2)와, 홀딩밴드(2)에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고정된 신축성줄(3)과, 인체의 허리에 감을 수 있는 형상임과 함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부재(4a)와 이 결합부재(4a)에 결합하기 위한 대응결합부재(4b)가 구비된 벨트(4)와, 벨트(4)를 신축성줄(3)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고리(5)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공 홀더.
KR2020000013502U 2000-05-12 2000-05-12 축구공 홀더 KR200199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502U KR200199701Y1 (ko) 2000-05-12 2000-05-12 축구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502U KR200199701Y1 (ko) 2000-05-12 2000-05-12 축구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701Y1 true KR200199701Y1 (ko) 2000-10-02

Family

ID=1965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502U KR200199701Y1 (ko) 2000-05-12 2000-05-12 축구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7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306Y1 (ko) 2011-03-16 2011-06-29 김영주 구기연습장치
KR20190000946U (ko) * 2017-10-13 2019-04-23 김선희 개인 연습용 공 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306Y1 (ko) 2011-03-16 2011-06-29 김영주 구기연습장치
KR20190000946U (ko) * 2017-10-13 2019-04-23 김선희 개인 연습용 공 틀
KR200490329Y1 (ko) 2017-10-13 2019-10-29 김선희 개인 연습용 공 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6147B2 (ja) 遊戯用具
EP1076587B1 (en) Apparatus for soccer training
US4883441A (en) Doll
US20090120987A1 (en) Electronic Device Tether
US4072256A (en) Game ball holder
US20060183570A1 (en) Sports training apparatus
US5209490A (en) Multi-purpose toy
US5544894A (en) Tethered ball having facial features and sound output
KR200199701Y1 (ko) 축구공 홀더
US5938549A (en) Game of tag and apparatus used therein
EP1291051A3 (en) Three-dimensional toy built up with freely connectable parts
US6537160B2 (en) Training device
JPH0450053Y2 (ko)
US20060287567A1 (en) Therapeutic magnet band
KR20030000797A (ko) 훌라후프
KR200207021Y1 (ko) 훌라후프
US57949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a hand game
KR200271302Y1 (ko) 연속된 다수의 고리를 내장한 호스와 구슬을 이용한운동기구
USD458659S1 (en) Golf training and conditioning device
US7036819B2 (en) Three-way ring puzzle
KR200261601Y1 (ko) 축구 연습장치
KR200206977Y1 (ko) 휴대 및 건강증진용 후프
KR19990016073A (ko) 허리운동기구
JP3118548U (ja) 人形用アクセサリー
KR19980058354U (ko) 연습용 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