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38Y1 - 식품 포장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238Y1
KR200490238Y1 KR2020180000484U KR20180000484U KR200490238Y1 KR 200490238 Y1 KR200490238 Y1 KR 200490238Y1 KR 2020180000484 U KR2020180000484 U KR 2020180000484U KR 20180000484 U KR20180000484 U KR 20180000484U KR 200490238 Y1 KR200490238 Y1 KR 200490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ackaging
accommodation groove
groove
connection path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023U (ko
Inventor
윤찬석
우인봉
정준재
이성민
소유영
신주연
Original Assignee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주)핀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주)핀컴퍼니 filed Critical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Priority to KR2020180000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38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0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트레이 몸체; 상기 트레이 몸체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격자배열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수용홈; 상기 다수개의 수용홈의 사이 일부에 상기 수용홈과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는 연결로 및 상기 연결로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다수개의 수용홈의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벽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로 및 지지벽은 불규칙한 배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 포장용 트레이{Tray for food packaging}
본 고안은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바움쿠헨의 파손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 및 구조로 형성되고, 진열 및 포장작업이 편리하고 장거리 유통에 적합한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바움쿠헨은 독일을 기원으로하는 Layer Cake의 일종으로 많은 유럽 국가들의 전통 케이크이다.
또한, 바움쿠헨은 일본에서 디저트로 인기가 있는 제품이다.
이러한 바움쿠헨은 나무 케이크라는 의미로, 잘랐을 때 나타나는 나이테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층이 레이어된 형상으로 나이테가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케이크의 맛 유지와 함께 형태의 유지도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러나, 현재 바움쿠헨의 포장방법은 제조 초기 일반 케이크와 같은 물성을 지니고 있는 제품을 유통하기 위한 포장지 또는 트레이를 이용하여 제품을 냉동시킨 후 골판지 박스에 포장하여 유통하고 있는데, 이때 유통시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제품간의 충돌로 제품이 부서지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바움쿠헨은 유통시 냉동되어 유통되고 있기 때문에 냉동된 바움쿠헨 제품의 완충 및 고정 포장이 중요하고, 상품성을 위해 원형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유통 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할 수 있는 트레이 및 포장 등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바움쿠헨의 파손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 및 구조로 형성되고, 진열 및 포장작업이 편리하고 장거리 유통에 적합한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트레이 몸체; 상기 트레이 몸체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격자배열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수용홈; 상기 다수개의 수용홈의 사이 일부에 상기 수용홈과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는 연결로 및 상기 연결로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다수개의 수용홈의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벽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로 및 지지벽은 불규칙한 배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상기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2개 이상 구비하여 적층하는 경우,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대해 상측 포장용 식품용 트레이를 동일하게 적층하면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와 상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가 겹치도록 적층되고,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대해 상측 포장용 식품용 트레이를 측방향으로 180° 회전시켜 적층하면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가 상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받치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몸체는 상기 트레이 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컷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은 4x4 배열로 형성되어 제1 내지 제16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로는 상기 제2 수용홈 및 제3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1 연결로; 상기 제1 수용홈 및 제5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2 연결로; 상기 제3 수용홈 및 제7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3 연결로; 상기 제4 수용홈 및 제8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4 연결로; 상기 제6 수용홈 및 제7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5 연결로; 상기 제5 수용홈 및 제9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6 연결로; 상기 제6 수용홈 및 제10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7 연결로; 상기 제8 수용홈 및 제12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8 연결로; 상기 제9 수용홈 및 제 10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9 연결로; 상기 제11 수용홈 및 제12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10 연결로; 상기 제10 수용홈 및 제14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11 연결로; 상기 제11 수용홈 및 제15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12 연결로; 상기 제13 수용홈 및 제14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13 연결로; 상기 제14 수용홈 및 제15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14 연결로 및 상기 제15 수용홈 및 제16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15 연결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벽은 상면에서 하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 몸체의 일단 모서리측에 형성된 수용홈에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에서 상기 트레이 몸체의 일단 모서리측으로 형성되는 원형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바움쿠헨을 개별적으로 수용하여 바움쿠헨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박스에 다수개의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대해 180°회전시켜 적층할 경우 바움쿠헨이 상측 트레이 밑면에 간섭받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어 바움쿠헨의 파손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에틸렌으로 제작되어 굴곡탄성율 및 충격강도가 크고 경제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장거리 유통에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다수개를 겹치도록 적층할 수 있어 보관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진열 및 포장작업에 편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도시한 저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겹치도록 적층되기 전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겹치도록 적층된 후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받치도록 적층되기 전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받치도록 적층된 후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겹치도록 적층되기 전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겹치도록 적층된 후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받치도록 적층되기 전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받치도록 적층된 후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5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트레이 몸체(100), 수용홈(200), 연결로(300) 및 지지벽(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폴리프로에틸렌(polypropylene)으로 제조되어 굴곡탄성율 및 충격강도가 크고 경제성이 높을 수 있다.
각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트레이 몸체(100)는 내측에 수용홈(200), 연결로(300) 및 지지벽(40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몸체(100)는 컷팅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컷팅부(110)는 트레이 몸체(100)의 둘레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컷팅부(110)는 트레이 몸체(100)의 둘레에서 다수개의 수용홈(200)의 사이에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컷팅부(110)는 트레이 몸체(100)의 둘레에 인접하고 있는 수용홈(200)의 형상에 따라 컷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움쿠헨이 수용된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박스에 포장할 때 포장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박스에서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파지하여 꺼내기도 용이할 수 있다.
수용홈(200)은 트레이 몸체(100)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격자배열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홈(200)은 원형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홈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수용홈(2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200)은 4x4배열로 형성되어 제1 내지 제16 수용홈(201 내지 2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16 수용홈(201 내지 216)은 원점방향에서 x축방향 순으로 형성되되, 원점방향에서 y축방향 순으로 4x4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16 수용홈(201 내지 216)은 동일한 구성이나, 식품 포장용 트레이의 구조(배열)를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기 위해 예시로 설명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로(300)는 다수개의 수용홈(200)의 사이 일부에 수용홈(200)과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로(300)는 다수개의 수용홈(200)의 사이 일부에 형성되어 하나의 수용홈(200)과 또 다른 하나의 수용홈(200)을 연결할 수 있다.
지지벽(400)은 연결로(300)가 형성되지 않은 다수개의 수용홈(20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로(300) 및 지지벽(400)은 불규칙한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일 예로,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연결로(300) 및 지지벽(400)의 배열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로(300)는 제1 내지 제 15 연결로(301 내지 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로(301)는 제2 수용홈(202) 및 제3 수용홈(203) 사이에 x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 수용홈(202) 및 제3 수용홈(203)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로(302)는 제1 수용홈(201) 및 제4 수용홈(204) 사이에 y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수용홈(201) 및 제4 수용홈(204)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연결로(303)는 제3 수용홈(203) 및 제7 수용홈(207) 사이에 y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3 수용홈(203) 및 제7 수용홈(207)을 연결할 수 있다.
제4 연결로(304)는 제4 수용홈(204) 및 제8 수용홈(208) 사이에 y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4 수용홈(204) 및 제8 수용홈(208)을 연결할 수 있다.
제5 연결로(305)는 제6 수용홈(206) 및 제7 수용홈(207) 사이에 x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6 수용홈(206) 및 제7 수용홈(207)을 연결할 수 있다.
제6 연결로(306)는 제5 수용홈(205) 및 제9 수용홈(209) 사이에 y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5 수용홈(205) 및 제9 수용홈(209)을 연결할 수 있다.
제7 연결로(307)는 제6 수용홈(206) 및 제10 수용홈(210) 사이에 y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6 수용홈(206) 및 제10 수용홈(210)을 연결할 수 있다.
제8 연결로(308)는 제8 수용홈(208) 및 제12 수용홈(212) 사이에 y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8 수용홈(208) 및 제12 수용홈(212)을 연결할 수 있다.
제9 연결로(309)는 제9 수용홈(209) 및 제10 수용홈(210) 사이에 x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9 수용홈(209) 및 제10 수용홈(21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0 연결로(310)는 제11 수용홈(211) 및 제12 수용홈(212) 사이에 x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1 수용홈(211) 및 제12 수용홈(212)을 연결할 수 있다.
제11 연결로(311)는 제10 수용홈(210) 및 제14 수용홈(214) 사이에 y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0 수용홈(210) 및 제14 수용홈(214)을 연결할 수 있다.
제12 연결로(312)는 제11 수용홈(211) 및 제15 수용홈(215) 사이에 y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1 수용홈(211) 및 제15 수용홈(215)을 연결할 수 있다.
제13 연결로(313)는 제13 수용홈(213) 및 제14 수용홈(214) 사이에 x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3 수용홈(213) 및 제14 수용홈(214)을 연결할 수 있다.
제14 연결로(314)는 제14 수용홈(214) 및 제15 수용홈(215) 사이에 x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4 수용홈(214) 및 제15 수용홈(215)을 연결할 수 있다.
제15 연결로(315)는 제15 수용홈(215) 및 제16 수용홈(216) 사이에 x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5 수용홈(215) 및 제16 수용홈(216)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지지벽(400)은 연결로(300)가 형셩되지 않은 수용홈(200) 사이에 형성되어 제1 내지 제9 지지벽(401 내지 40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벽(401)은 제1 수용홈(201) 및 제2 수용홈(20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벽(402)은 제3 수용홈(203) 및 제4 수용홈(20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지지벽(403)은 제2 수용홈(202) 및 제6 수용홈(20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지지벽(404)은 제5 수용홈(205) 및 제6 수용홈(20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5 지지벽(405)은 제7 수용홈(207) 및 제8 수용홈(208)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6 지지벽(406)은 제7 수용홈(207) 및 제11 수용홈(21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7 지지벽(407)은 제10 수용홈(210) 및 제11 수용홈(21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8 지지벽(408)은 제9 수용홈(209) 및 제13 수용홈(2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9 지지벽(409)은 제12 수용홈(212) 및 제16 수용홈(21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로(300) 및 지지벽(400)이 이와 같은 배열로 형성되어, 식품용 포장용 트레이의 휨강도를 보강하여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적층하는 경우,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대해 상측 포장용 식품용 트레이를 동일하게 적층하여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와 상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가 겹치도록 적층할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적층하는 경우,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대해 상측 포장용 식품용 트레이를 측방향으로 180° 회전시켜 적층하여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가 상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받치도록 적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배열로 연결로(300) 및 지지벽(400)이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불규칙한 배열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불규칙한 배열은 상기에서 설명한 연결로(300) 및 지지벽(400)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즉,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2개 이상 구비하여 적층하는 경우,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대해 상측 포장용 식품용 트레이를 동일하게 적층하면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와 상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가 겹치도록 적층되고,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대해 상측 포장용 식품용 트레이를 측방향으로 180° 회전시켜 적층하면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가 상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받치도록 적층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다수개를 겹치도록 적층하여 부피를 최소화하고 보관이 용이할 수 있고, 사용할 경우 다수개가 받치도록 적층되어 하측 트레이에 수용된 바움쿠헨이 상측 트레이 밑면에 간섭받지 않을 수 있어 바움쿠헨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벽(400)은 지지홈(45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홈(450)은 지지벽(400)의 상면 중심에서 하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받치도록 적층하는 경우에 상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의 연결로(300)가 지지홈(450)에 거치되어 다수개의 식품 포장용 트레이의 적층 상태가 쉽게 틀어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원형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원형홈(500)은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서 지지력이 취약한 모서리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트레이 몸체(100)의 일단 모서리측에 형성된 수용홈(2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원형홈(500)은 수용홈(200)에서 트레이 몸체(100)의 일단 모서리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형홈(500)은 수용홈(200)과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2개 이상 구비하여 적층할 시,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대해 상측 포장용 식품용 트레이를 측방향으로 180° 회전시켜 적층하는 경우에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의 타단 모서리에 상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의 원형홈(500)이 받쳐질 수 있다.
따라서, 모서리의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돌출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홈(600)은 하나 이상의 수용홈(2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수용홈(200)의 내부 일측 상단에 형성되고, 수용홈(200)의 둘레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굴곡을 가지는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홈(600)은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경우에 적당한 강도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2개 이상 구비하여 적층할 시,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대해 상측 포장용 식품용 트레이를 동일하게 적층하는 경우에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의 수용홈(200)과 상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의 돌출홈(600)이 밀착 고정되어 적층된 식품 포장용 트레이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와 상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가 적당한 강도로 결합되어 적층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아 다수개를 겹치도록 적층하는 경우에 적층된 다수개의 식품 포장용 트레이가 외부의 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바움쿠헨을 개별적으로 수용하여 바움쿠헨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박스에 다수개의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대해 180°회전시켜 적층할 경우 바움쿠헨이 상측 트레이 밑면에 간섭받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어 바움쿠헨의 파손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에틸렌으로 제작되어 굴곡탄성율 및 충격강도가 크고 경제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장거리 유통에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다수개를 겹치도록 적층할 수 있어 보관이 편리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트레이 몸체
200: 수용홈
201 내지 216: 제1 수용홈 내지 제16 수용홈
300: 연결로
301 내지 315: 제1 연결로 내지 제15 연결로
400: 지지벽
401 내지 409: 제1 지지벽 내지 제9 지지벽
450: 지지홈
500: 원형홈
600: 돌출홈

Claims (5)

  1. 트레이 몸체;
    상기 트레이 몸체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격자배열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수용홈;
    상기 다수개의 수용홈의 사이 일부에 상기 수용홈과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는 연결로 및
    상기 연결로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다수개의 수용홈의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벽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로 및 지지벽은,
    불규칙한 배열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은,
    4x4 배열로 형성되어 제1 내지 제16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로는,
    상기 제2 수용홈 및 제3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1 연결로;
    상기 제1 수용홈 및 제5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2 연결로;
    상기 제3 수용홈 및 제7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3 연결로;
    상기 제4 수용홈 및 제8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4 연결로;
    상기 제6 수용홈 및 제7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5 연결로;
    상기 제5 수용홈 및 제9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6 연결로;
    상기 제6 수용홈 및 제10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7 연결로;
    상기 제8 수용홈 및 제12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8 연결로;
    상기 제9 수용홈 및 제 10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9 연결로;
    상기 제11 수용홈 및 제12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10 연결로;
    상기 제10 수용홈 및 제14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11 연결로;
    상기 제11 수용홈 및 제15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12 연결로;
    상기 제13 수용홈 및 제14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13 연결로;
    상기 제14 수용홈 및 제15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14 연결로 및
    상기 제15 수용홈 및 제16 수용홈을 연결하는 제15 연결로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상기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2개 이상 구비하여 적층하는 경우,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대해 상측 포장용 식품용 트레이를 동일하게 적층하면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와 상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가 겹치도록 적층되고,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에 대해 상측 포장용 식품용 트레이를 측방향으로 180° 회전시켜 적층하면 하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가 상측 식품 포장용 트레이를 받치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몸체는,
    상기 트레이 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컷팅부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트레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용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 몸체의 일단 모서리측에 형성된 수용홈에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에서 상기 트레이 몸체의 일단 모서리측으로 형성되는 원형홈을 더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트레이.
KR2020180000484U 2018-01-31 2018-01-31 식품 포장용 트레이 KR200490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484U KR200490238Y1 (ko) 2018-01-31 2018-01-31 식품 포장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484U KR200490238Y1 (ko) 2018-01-31 2018-01-31 식품 포장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23U KR20190002023U (ko) 2019-08-08
KR200490238Y1 true KR200490238Y1 (ko) 2019-10-16

Family

ID=6758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484U KR200490238Y1 (ko) 2018-01-31 2018-01-31 식품 포장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3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7317A1 (en) * 2003-10-27 2005-08-04 Patrick Barrett Packaging tra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4103A (en) * 1971-07-26 1975-09-09 Keyes Fibre Co Packaging tray
US3896239A (en) * 1972-04-24 1975-07-22 Leo Peters Butter pat pack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7317A1 (en) * 2003-10-27 2005-08-04 Patrick Barrett Packaging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23U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9415B2 (en) Tri-fold egg carton for jumbo eggs
EP2409929A1 (en) Egg package
US20090084835A1 (en) Container Having an Integral Divider
KR200490238Y1 (ko) 식품 포장용 트레이
KR102301199B1 (ko) 포장용 상자
KR101055325B1 (ko) 제품을 지지하기 위한 개선된 베이스
KR101133790B1 (ko) 제품 포장용 좌판
CN207536481U (zh) 蛋品矩形集堆包装结构
JP2005219795A (ja) 梱包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梱包装置
KR20150003292U (ko) 포장박스
JP3211700U (ja) 卵トレイ
JP2014162492A (ja) 果実緩衝積み重ね容器
US3056523A (en) Packaging
CN216784435U (zh) 一种方形平面靶材包装箱
KR102614983B1 (ko) 수납용 트레이
KR20080010184A (ko) 포장용 트레이
CN211593620U (zh) 一种可循环使用的包装内衬
KR20150060202A (ko) 포장박스
KR20140093136A (ko) 과일포장용 난좌
JP5367900B1 (ja) 育苗ポット用収納トレイ
EP2676899B1 (en) Packing insert
CN211167771U (zh) 包装结构
JP3220972U (ja) 運搬具
JPS5855188Y2 (ja) 長イモ用包装体
KR20230069352A (ko) 다단 적층이 용이한 판형 부품용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