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22Y1 -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9622Y1 KR200489622Y1 KR2020170004150U KR20170004150U KR200489622Y1 KR 200489622 Y1 KR200489622 Y1 KR 200489622Y1 KR 2020170004150 U KR2020170004150 U KR 2020170004150U KR 20170004150 U KR20170004150 U KR 20170004150U KR 200489622 Y1 KR200489622 Y1 KR 20048962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ing
- slit
- shape
- sliding portion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식사 도구를 분류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판상형의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슬릿을 형성하며,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움푹한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배치된 판상형의 제2 몸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로 상기 식사 도구를 투입하는 투입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양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아래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퇴식구에 설치되는 식사 도구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단위의 인원이 생활하는 학교, 연구소, 회사, 군대 등 단체시설에서는 단체 급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체 급식 장소에는 식판과 숟가락 및 젓가락을 분류하기 위한 퇴식구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의 퇴식구에는 숟가락 및 젓가락을 분류하지 않고, 하나의 통에 넣는 방식으로 퇴식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세척하는 과정에서 숟가락과 젓가락을 일일히 분류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퇴식구에 두 개의 통을 마련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을 구분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식판을 들고 있을 경우, 손이 부족하여 잘못 분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분류하여 넣는다 하더라도 인원이 많기 때문에 분류 시간이 누적되어 퇴식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한 번의 과정을 거쳐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식사 도구를 분류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판상형의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슬릿을 형성하며,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오목한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배치된 판상형의 제2 몸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로 상기 식사 도구를 투입하는 투입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양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아래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단면이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는, 서로 인접하는 일단의 단면이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는, 서로 인접하는 일단의 단면이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투입부는, 사각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보는 면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두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지지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상형 지지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슬라이딩부는, 양 끝단에 수도관을 삽입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투입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슬릿은, 상기 슬릿의 폭이 상기 식사 도구의 평균 두께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식사 도구를 동시에 하나의 입구에 투입하여 한 번에 식사 도구를 분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의 슬라이딩부의 오목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의 슬라이딩부의 오목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식사 도구는 식사를 위해 사람이 사용하는 도구로, 숟가락, 젓가락, 포크, 나이프 등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주요 실시 예의 식사 도구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는 숟가락 및 젓가락이 분류되는 슬라이딩부(120)와 식사 도구를 투입하는 투입부(110) 및 슬라이딩부(120)를 고정하는 지지대(140)를 포함한다.
투입부(110)는 슬라이딩부(12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투입부(110)는 식사 도구가 투입되어 용이하게 분류되기 위해 90°이상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슬라이딩부(120)는 판상형의 제1 몸체(120a), 제1 몸체(120a)와 슬릿(125)을 형성하며, 슬릿(125)을 중심으로 움푹한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배치된 판상형의 제2 몸체(12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120a)와 제2 몸체(120b)가 앞서 언급한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연결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슬라이딩부(120)는 식사 도구가 분류되어 놓아질 수 있도록 아래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슬릿(125)은 젓가락의 평균 두께이상, 숟가락을 눕혀 놓았을 때의 두께 이하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슬릿(125)은 상이한 폭을 가지고 z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슬릿(125)의 폭은 젓가락의 평균 두께, 숟가락 손잡이부의 평균두께, 나이프의 평균 폭 등의 다양한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치(100) 이용자가 투입부(110)를 통해 식사 도구를 투입하면 z축 방향으로 상이한 폭을 가진 슬릿(125)을 통과하면서 순서대로 식사 도구가 분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투입부(110)는 기울어진 슬라이딩부(120) 상단의 높은 부분에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슬라이딩부(12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투입부(110)가 구비되고, 퇴식장에 여러 개의 장치(100)가 아닌 하나의 장치(100)를 이용하여 식사 도구를 분류할 수 있어,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슬라이딩부(120)는 종단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투입된 식사 도구가 슬릿(125)으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부(120)의 x축 방향으로 자른 단면은 V자 형상, U자 형상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몸체(120a)와 제2 몸체(120b)는 U자 형상을 이루기 위해 판상형의 몸체가 휘어진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식사 도구가 슬릿(125)으로 모아질 수 있는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슬라이딩부(120)와 대지면 사이의 각도는, 장치(100)를 배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좁은 공간에 장치(100)를 배치하고자 할 경우, 대지면 사이의 각도를 크게 하여 장치(100)의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장치(100)는 슬라이딩부(120)의 폭과 동일한 폭의 판상형 지지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140)는 슬라이딩부(120)의 양 끝단에 투입부(100)와는 평행하고, 슬라이딩부(120)와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40)의 폭을 슬라이딩부(120)의 폭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퇴식구 공간에 장치(10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추가적인 설치 비용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의 슬라이딩부의 오목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몸체(120a)와 제2 몸체(120b)는 슬릿(125)을 형성하여 서로 인접한 일단의 종단면이 곡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종단면이 곡선이 아닌 직각 형상(도 4의 (a))일 경우, 숟가락이 슬릿(125)에 걸쳐져 대지 방향으로 흘러가는 과정에서 숟가락이 흘러가지 않고 슬릿(125)에서 끼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단면이 곡선 형상(도 4의 (b), (c))을 이루도록 하여, 숟가락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고, 빠른 분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120a)와 제2 몸체(120b)가 서로 인접한 일단에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윤활제 또는 별도의 재료를 부착하거나 형성하여, 숟가락의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입부(110)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슬라이딩부(120)의 폭 에 관계 없이 어떠한 크기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투입부(110)의 하단은 투입부(110)가 배치된 슬라이딩부(12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덮개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투입부(110)는 원형이 아닌 사각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사각형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투입부(110)의 단면의 폭이 슬라이딩부(120)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투입부(11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이 제1 몸체(120a)와 제2 몸체(120b)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이딩부(12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양의 식사 도구를 투입하더라도 장치(100) 밖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줄어들게 되며, 장치(100)의 제조 과정에서도 연장 연결된 투입부(110)와 슬라이딩부(120)를 생산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과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슬라이딩부(120)는 양 끝단에 수도관을 삽입할 수 있는 고정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식사 도구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슬롯(125)에 끼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도관을 끝단에 연결하여 일정한 수압의 물을 슬라이딩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수도관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식사 도구가 분류가 되지 않을 경우,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임의로 고정부재에 연결된 수도관으로 물을 방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장치(100)의 모든 구성요소는 스테인리스로 구성되어 장치(100)를 제작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모되지 않아, 경제성이 높다.
도 6은 본 고안의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치(100)의 투입부(110)에 숟가락 및 젓가락을 투입하는 것 만으로도 젓가락은 지지대(140) 하단에 위치한 제1 영역(143)으로, 숟가락은 장치(100) 앞에 위치한 제2 영역(145)에 분류될 수 있다.
기존의 숟가락 및 젓가락을 분리하는 과정은, 단순히 젓가락과 숟가락을 구분지어 놓은 바구니에 사람이 직접 일일히 분류하여야 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완벽하게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류하기 힘들고, 또 다시 분류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했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숟가락과 젓가락을 투입부(110)에 넣는 동작만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슬릿(125)이 z축 방향으로 상이한 폭을 가질 경우 제1 영역(143)에 식사 도구가 분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사 도구가 완전히 분류될 수 있어, 급식을 관리하는 직원의 편리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퇴식구에서 식사 도구를 분류하기 위해 소요되었던 시간이 감소되어 급식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시간 절약이 가능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고안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안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장치
110: 투입부 115: 덮개부
120 a: 제1 몸체 120 b: 제2 몸체
120: 슬라이딩부 125: 슬릿
130: 연결부 140: 지지대
143: 제1 영역 145: 제2 영역
110: 투입부 115: 덮개부
120 a: 제1 몸체 120 b: 제2 몸체
120: 슬라이딩부 125: 슬릿
130: 연결부 140: 지지대
143: 제1 영역 145: 제2 영역
Claims (9)
- 식사 도구를 분류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판상형의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슬릿을 형성하며,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오목한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배치된 판상형의 제2 몸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로 상기 식사 도구를 투입하는 투입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양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아래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는,
서로 인접하는 일단의 단면이 상기 슬릿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 또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일단의 단면의 기울기가 상기 슬릿 방향으로 갈수록 커지는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며,
상기 제1 몸체의 상면과 제2 몸체의 상면 사이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단면이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원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상기 투입부가 배치된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사각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보는 면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두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상형 지지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양 끝단에 수도관을 삽입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슬릿의 폭이 상기 식사 도구의 평균 두께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4150U KR200489622Y1 (ko) | 2017-08-04 | 2017-08-04 |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4150U KR200489622Y1 (ko) | 2017-08-04 | 2017-08-04 |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413U KR20190000413U (ko) | 2019-02-13 |
KR200489622Y1 true KR200489622Y1 (ko) | 2019-07-12 |
Family
ID=6536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4150U KR200489622Y1 (ko) | 2017-08-04 | 2017-08-04 |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9622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7512Y1 (ko) * | 2006-07-03 | 2006-09-27 | 이형국 | 숟가락과 젓가락 분리기 |
KR200454390Y1 (ko) * | 2011-04-04 | 2011-07-05 | 하유진 | 수저 분리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7914B1 (ko) * | 2010-08-18 | 2013-02-27 | 유콜 (주) | 수저 자동 세척 및 분리기 |
-
2017
- 2017-08-04 KR KR2020170004150U patent/KR200489622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7512Y1 (ko) * | 2006-07-03 | 2006-09-27 | 이형국 | 숟가락과 젓가락 분리기 |
KR200454390Y1 (ko) * | 2011-04-04 | 2011-07-05 | 하유진 | 수저 분리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413U (ko) | 2019-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4221B1 (ko) | 수저분류장치 | |
US20050269273A1 (en) | Retainer block for use with dish rack | |
US20190150673A1 (en) | Culinary tool holder | |
US9516991B2 (en) | Removable dishwasher utensil basket that transforms into a utensil holder for a drawer | |
KR102328623B1 (ko) | 젓가락 선별기 | |
KR200489622Y1 (ko) |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 |
US3545613A (en) | Sorting various pieces of silverware by kind and size | |
US6644639B1 (en) | Cutting board | |
US6994334B2 (en) | Preparation surface with residue receptacle | |
KR100585295B1 (ko) |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 |
US8863960B2 (en) | Utensil sorting apparatus | |
KR20140004985A (ko) | 수저분리장치 | |
KR200457462Y1 (ko) | 수저 분리통 | |
KR200427512Y1 (ko) | 숟가락과 젓가락 분리기 | |
US6237779B1 (en) | Utensil sorting apparatus | |
EP0914801B1 (de) | Besteckkorb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 |
KR102158502B1 (ko) | 젓가락 정렬 및 수집장치 | |
US8534466B2 (en) | Utensil sorting apparatus | |
CN216736359U (zh) | 一种自动化餐具分类传输装置 | |
US6460707B2 (en) | Utensil sorting apparatus | |
KR20150069590A (ko) | 수저 및 젓가락 분류기 | |
KR20080037277A (ko) | 젓가락선별기 | |
KR20070116780A (ko) | 식기세척기내에 날붙이류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 |
KR101149722B1 (ko) |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수저통 | |
US5622269A (en) | Apparatus and method of item jogging with registration-barrier cutout to pass under-height i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