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462Y1 - 수저 분리통 - Google Patents

수저 분리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462Y1
KR200457462Y1 KR2020060029220U KR20060029220U KR200457462Y1 KR 200457462 Y1 KR200457462 Y1 KR 200457462Y1 KR 2020060029220 U KR2020060029220 U KR 2020060029220U KR 20060029220 U KR20060029220 U KR 20060029220U KR 200457462 Y1 KR200457462 Y1 KR 2004574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on space
spoon
chopsticks
inle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990U (ko
Inventor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60029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462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9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9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4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Abstract

본 고안은 수저 분리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수저 분리통은 서로 분리되고 각각 상방으로 트인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수용공간의 상방에 숟가락과 젓가락이 통과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케이스; 및 상기 제1수용공간과 상기 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입구를 통과한 젓가락이 상기 제1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숟가락이 상기 제2수용공간측으로 안내되도록, 젓가락의 폭보다는 크고 숫가락의 머리부분의 폭보다는 작은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각각 상기 제1수용공간측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가지는 다수의 봉형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스, 필터부재, 경사부, 연결부

Description

수저 분리통{Spoon and chopsticks separating container}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분리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분리통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용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과정도.
도 5는 숟가락이 그 숟가락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에 안내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과정도.
도 6은 숟가락과 젓가락의 배치상태를 보인 배치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케이스 12:케이스 본체
12a:제1수용공간 12b:제2수용공간
14:커버 14a:입구
2:필터부재 22:경사부
24:연결부 3:분리벽
A:숟가락 A1:숟가락의 길이
A2:머리부분의 폭 B:젓가락
B1:젓가락의 길이 B2:젓가락의 폭
L1:최장직선거리 L2:연직거리
W:간격
본 고안은 수저 분리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수작업에 의해 의하지 않고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수저 분리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은 세척 후 수작업에 의해 서로 분리된 채로 수저통에 수용된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숟가락과 젓가락이 세워진 채로 수용될 수 있게 하는 수저통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상기 수저통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해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시키는 분리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분리작업은 매일 단순하면서도 반복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작업능률을 떨어뜨린다.
특히, 식당에는 많은 수의 숟가락과 젓가락이 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많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하기 위해 단순노동을 수행하게 되어 피로를 더욱 크게 느끼게 된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더욱 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분리하여 수용될 수 있게 하는 수저 분리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서로 분리되고 각각 상방으로 트인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수용공간의 상방에 숟가락과 젓가락이 통과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케이스; 및 상기 제1수용공간과 상기 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입구를 통과한 젓가락이 상기 제1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숟가락이 상기 제2수용공간측으로 안내되도록, 젓가락의 폭보다는 크고 숫가락의 머리부분의 폭보다는 작은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각각 상기 제1수용공간측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가지는 다수의 봉형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벽에 의해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필터부재의 경사부의 하단은 상기 분리벽의 연직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각 필터부재의 경사부의 하단과 상기 분리벽 간의 연직거리가 상기 숫가락의 손잡이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필터부재는, 상기 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분리벽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방이 개구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을 가지는 통형의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덮이며 상기 입구가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구를 한정하는 면들 간의 최장직선거리는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분리통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분리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분리통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용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과정도이며, 도 5는 숟가락이 그 숟가락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에 안내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과정도이며, 도 6은 숟가락과 젓가락의 배치상태를 보인 배치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수저 분리통은 숟가락(A)과 젓가락(B)을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중공의 케이스(1)와 다수의 봉형 필터부재(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는 통형의 케이스 본체(12)와 상기 입구(14a)가 형성된 커버(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 본체(12)는 상방이 개구되어 있고, 젓가락(B)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12a)과 숟가락(A)이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12b)을 가진다.
상기 커버(14)는 상기 케이스 본체(12)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14)에는 숟가락(A)과 젓가락(B)이 통과할 수 있는 입구(14a)가 형성되 어 있다. 상기 입구(14a)는 상기 제1수용공간(12a)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14a)를 한정하는 면들 간의 최장직선거리(L1)는 상기 숟가락의 길이(A1)와 젓가락의 길이(B1)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숟가락(A)과 젓가락(B)이 상기 커버(14)의 상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입구(14a)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젓가락(B)이 상기 제2수용공간(12b)에 수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봉형 필터부재(2)들은 상기 제1수용공간(12a)과 입구(14a)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젓가락의 폭(B2)보다는 크고 숟가락(A)의 머리부분의 폭(A2)보다는 작은 간격(W)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젓가락(B)만이 상기 봉형 필터부재(2)들 사이사이의 간격(W)을 통과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12a)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봉형 필터부재(2)는 상기 제1수용공간(12a)측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12b)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22)를 가진다. 상기 경사부(22)는 상기 입구(14a)를 통과한 숟가락(A)을 상기 제2수용공간(12b)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숟가락(A)은 상기 경사부(22)를 타고 하강되어 상기 제2수용공간(12b)에 수용된다.
상기 제1수용공간(12a)과 제2수용공간(12b)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벽(3)에 의해 분리된다. 이러한 분리벽(3)의 연직상방에는 상기 각 경사부(22)의 하단이 위치된다. 상기 경사부(22)의 하단과 상기 분리벽(3) 간의 연직거 리(L2)는, 상기 숟가락(A)의 손잡이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 및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숟가락(A)의 머리부분이 상기 필터부재(2)들 사이의 간격(W)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경사부(22)를 타고 내려오는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분의 길이가 상기 연직거리(L2)보다 짧아 상기 숟가락(A)이 상기 제2수용공간(12b)에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필터부재(2)는, 상기 경사부(22)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분리벽(3)에 연결되는 연결부(2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부재(2)에 연결부(24)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2)의 일단부가 상기 커버(14)에 지지되고 상기 필터부재(2)의 타단부가 상기 분리벽(3)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재(2)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경사부(22)만이 구비되는 구성보다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저 분리통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수의 숟가락(A)과 젓가락(B)(이하 '수저'라 한다)을 세척한 후, 상기 수저들을 양손으로 파지하여 직립시킨 상태에서 커버(14)의 입구(14a)에 넣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저들은 상기 입구(14a)를 통과하고 필터부재(2)들 사이사이의 젓가락의 폭(B2)보다는 큰 간격(W)을 통과하여 제1수용공간(12a)에 수용된다. 상기 간격(W)은 숟가락(A)의 머리부분의 폭(A2)보다는 작기 때문에, 상기 숟가락(A)은 그 간격(W)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부재(2)의 경사부(22)에 의해 안내되어 제2수용공간(12b)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숟가락(A)과 젓가락(B)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수저들을 파지하고 상기 커버(14)의 입구(14a)에 넣기만 하면 되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숟가락(A)과 젓가락(B)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지 않게 되어, 일의 능률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14a)의 최장직선거리(L1)는 상기 숟가락의 길이(A1)와 젓가락의 길이(B1)보다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젓가락(B)이 커버(14)의 상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로 상기 입구(14a)를 통과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젓가락(B)이 상기 필터부재(2)들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제2수용공간(12b)에 수용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2)의 경사부(22)와 분리벽(3) 간의 연직거리(L2)는 상기 숟가락(A)의 손잡이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숟가락(A)의 손잡이부분이 상기 필터부재(2)들 사이사이의 간격(W)을 통과한 경우에도 상기 숟가락(A)이 상기 제2수용공간(12b)으로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장점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숟가락(A)의 머리부분의 폭(A2)이 상기 필터부재(2)들 사이의 간격(W)보다 크기 때문에 도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2)에는 그 필터부재(2)를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견고하게 지지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24)가 마련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젓가락(B)이 제1수용공간(12a)에 수용되고, 상기 숟가락(A)이 제2수용공간(12b)에 수용되고 나면, 작업자는 커버(14)를 상기 케이스 본체(12)로부터 분리한 후 숟가락(A)과 젓가락(B)을 꺼내어 사용하면 된다. 분리된 숟가락(A)과 젓가락(B)은 다른 용기(미도시)에 수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14)가 상기 케이스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작업자는 상기 커버(14)와 케이스 본체(12) 간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케이스 본체(12)는 사각통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본 고안은 케이스 본체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필터부재들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야 하고 제1수용공간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2수용공간은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수저 분리통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젓가락의 폭보다는 크고 숟가락의 머리부분의 폭보다는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필터부재가 구비됨으로써,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에 의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서로 분리되고 각각 상방으로 트인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수용공간의 상방에 숟가락과 젓가락이 통과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케이스; 및
    상기 제1수용공간과 상기 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입구를 통과한 젓가락이 상기 제1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숟가락이 상기 제2수용공간측으로 안내되도록, 젓가락의 폭보다는 크고 숫가락의 머리부분의 폭보다는 작은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각각 상기 제1수용공간측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가지는 다수의 봉형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분리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벽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각 필터부재의 경사부의 하단은 상기 분리벽의 연직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각 필터부재의 경사부의 하단과 상기 분리벽 간의 연직거리가 상기 숫가락의 손잡이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분리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필터부재는, 상기 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분리벽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분리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방이 개구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을 가지는 통형의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덮이며 상기 입구가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분리통.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를 한정하는 면들 간의 최장직선거리는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분리통.
KR2020060029220U 2006-11-07 2006-11-07 수저 분리통 KR2004574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220U KR200457462Y1 (ko) 2006-11-07 2006-11-07 수저 분리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220U KR200457462Y1 (ko) 2006-11-07 2006-11-07 수저 분리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990U KR20080000990U (ko) 2008-05-13
KR200457462Y1 true KR200457462Y1 (ko) 2011-12-20

Family

ID=4132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220U KR200457462Y1 (ko) 2006-11-07 2006-11-07 수저 분리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4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722B1 (ko) * 2009-06-26 2012-06-08 박진주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수저통
KR200454390Y1 (ko) * 2011-04-04 2011-07-05 하유진 수저 분리기
KR102259692B1 (ko) * 2020-10-12 2021-06-02 김종문 수저 세척장치
KR102620091B1 (ko) * 2020-12-29 2023-12-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저 분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5356A (en) 1970-06-08 1971-12-07 Dynasort Corp Apparatus for continuously sorting long, slender articles by length
KR100585295B1 (ko) 2004-12-30 2006-05-30 정사교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5356A (en) 1970-06-08 1971-12-07 Dynasort Corp Apparatus for continuously sorting long, slender articles by length
KR100585295B1 (ko) 2004-12-30 2006-05-30 정사교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990U (ko) 200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462Y1 (ko) 수저 분리통
US8746467B2 (en) Dishwasher
US20110253649A1 (en) Combination bussing and washing tray and method therefor
EP2818088A1 (en) Vacuum cleaner
KR20170131421A (ko)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 장치
US6095038A (en) Egg white and yolk separator
KR101217914B1 (ko) 백 인 박스
US20170071219A1 (en) Tenderizer
KR101268995B1 (ko) 젓가락 자동정렬기
KR102301703B1 (ko) 조립성과 편의성이 개선되는 다목적 선반
JP4713226B2 (ja) 穴あきスポンジ
JP2009052348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200414384Y1 (ko) 젓가락 선별기
KR200493229Y1 (ko)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KR101149722B1 (ko)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수저통
EP2453788B1 (en) A dishwasher and a cutlery basket used therein
KR20070116780A (ko) 식기세척기내에 날붙이류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US9080343B2 (en) Leaf skimming apparatus
CN211883676U (zh) 洗碗机
KR101606446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KR200489622Y1 (ko) 퇴식구용 식사 도구 분리 장치
CN208784633U (zh) 用于水槽洗碗机的果蔬篮及具有其的水槽洗碗机
CN212816157U (zh) 清洁工具
KR200252466Y1 (ko) 일회용 종이컵 수거용기
CN210990110U (zh) 一种洗碗机的易拆装过滤组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