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722B1 -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수저통 - Google Patents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수저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9722B1 KR101149722B1 KR1020090057377A KR20090057377A KR101149722B1 KR 101149722 B1 KR101149722 B1 KR 101149722B1 KR 1020090057377 A KR1020090057377 A KR 1020090057377A KR 20090057377 A KR20090057377 A KR 20090057377A KR 101149722 B1 KR101149722 B1 KR 1011497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oon
- chopsticks
- barrel
- width
- chopsti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젓가락 수납공간을 갖는 젓가락통, 상기 젓가락통 위에 조립되고 상하부 모두 개방된 숟가락통, 상기 숟가락통의 저부에 형성되고 젖가락의 폭 보다는 크며 숟가락의 폭 보다는 작은 폭을 갖는 슬롯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분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수저통, 숟가락, 젓가락, 분리, 슬롯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숟가락통과 젓가락통을 적층시켜 숟가락과 젓가락을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수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이르는 말이다. 중국에서는 밥을 주식으로 하는 지방과, 한국에서는 전국 각지에서 밥을 떠 먹기 위한 도구로 숟가락을 사용하고, 젓가락은 반찬을 집어먹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차림에서는 반드시 이 2가지를 함께 상에 놓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저는 동양에서 특히 한국에서 식사도구로서 필수적인데, 밥그릇이나 국그릇 등 다른 도구들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수저통에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숟가락은 젓가락에 비해 보통 3 ~ 5cm 정도 길지만 대략 그 크기가 비슷하여 수저통에 함께 보관하고 사용시 수저통에서 꺼내어 사용한다.
가정에서와 같이 수저의 사용인원이 적을 때에는 수저를 수거하고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하는 작업이 별 어려움이 없지만, 학교식당이나 회사의 사원식당 등 대형식당에서는 수저의 사용량이 수백에서 수천개이어서 수거와 분리에 어려움을 격고 있다.또한 공익성이 강한 대형식당에서는 비용절감을 위하여 서비스 요원이 최소로 구성되기 때문에 잔반을 처리하거나 수저를 사용자가 직접하는 경우가 많다.
일예로서 학교식당에서는 잔반처리장소에 별도의 수저통을 마련하여 잔반처리시 사용자가 수저를 수저통에 집어 넣으면 나중에 서비스 요원이 수거해간다. 또는 숟가락통과 젓가락통을 각각 마련하여 사용자가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하여 수납시키면 서비스 요원이 수거해간다.
잔반처리시 숟가락통과 젓가락통의 구분없이 수저통에 수저를 집어넣으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편리할 수 있지만 그것을 수거해간 서비스 요원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하는 작업을 또 다시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숟가락통과 젓가락통을 별도로 구비하면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없을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지금까지 경험상 숟가락통과 젓가락통을 별도로 구비해 놓아도 사용자의 부주의나 무관심으로 인하여 섞이는 비율에 차이는 있지만 숟가락통에 숟가락과 젓가락이 함께 수납되고, 젓가락통에 젓가락과 숟가락이 함께 수납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수저통 하나만 구비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이 함께 수납되면 서비스 요원이 수거하여 분리작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학교식당이나 사원식당 등에 구비하여 잔반처리시 수저를 수거할 때 하나의 수저통에 숟가락과 젓락을 모두 집어 넣어도 간단하게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 수납되어 별도의 숟가락과 젓가락 분리 작업이 필요 없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수저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젓가락 수납공간을 갖되, 측면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에는 슬라이딩 수납부가 설치되는 젓가락통, 상기 젓가락통 위에 조립되고 상하부 모두 개방된 숟가락통, 상기 숟가락통의 저부에 형성되고 젖가락의 폭 보다는 크며 숟가락의 폭 보다는 작은 폭을 갖는 슬롯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분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수저통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저통은 학교식당이나 사원식당에서 식사후 잔반처리시 숟가락과 젓가락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수저통에 모두 집어도 간단하게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 수납되므로, 서비스 요원이 수거 후 분리작업하는 과정이 없어지므로 식당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수납부를 이용하여 숟가락통과 젓가락통을 분해하지 않고도 분리된 숟가락과 젓가락을 쉽게 수거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저통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저통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집어 넣을때 숟가락과 젖가락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저통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통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저통은 크게 젓가락통(110)과 숟가락통(120)으로 이루어진다.
젓가락통(110)은 대략 직사각형태의 육면체로서 젓가락이 수납될 수 있도록 하부는 폐쇄되어 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젓가락통(110)의 크기는 제한받지 않으나 젓가락의 크기를 고려하여 폭은 젓가락 길이를 1/3 ~ 2/3 정도로 하고, 길이는 젓가락의 길이 보다 5 ~ 10cm 정도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 대중에게 사용되는 젓가락의 길이는 약간씩 차이는 있으나 그 차이는 1 ~ 5cm 이내이므로 젓가락통의 길이는 젖가락의 길이보다 좀더 길게 형성한 것이다. 물론 젖가락통의 길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더 길게 설계하거나 짧게 형성 할 수 있다.
젓가락통(110)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젓가락의 수납량을 결정하는 것으로써, 높이가 높을수록 수납량이 많아지지만, 너무 높으면 사용하거나 다루기가 불편하므로 5 ~ 15cm 정도가 바람직하다.
숟가락통(120)은 젖가락통(110)의 위에 조립되는 것으로, 젓가락통(110)의 폭과 길이가 일치해야 하고, 높이는 젓가락통(120)과 다르게 할 수 있지만 젓가락통(110)과 마찬가지로 5 ~ 15c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숟가락통(120)의 하부와 상부는 모두 개방되어 있고 하단에는 젓가락통(110) 위에 조립시킬 수 있도록 끼움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부(122)는 높이가 1 ~ 3mm이고 숟가락통(120)의 폭보다 약간 작게 숟가락통(12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다. 즉 그 폭이 젓가락통(110)의 내경과 일치되도록 형성하여 젓가락통 위에 올려 조립되었을 때 끼움부(122)가 젓가락통(110)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젓가락통(110) 위에서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숟가락통(120)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덮개가 덮이면서 덮개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외주를 따라 걸림턱(124)이 형성되어 있다. 숟가락통 위에는 숟가각통을 통해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140)가 조립된다.
숟가락통(120)의 하부에는 젓가락통(110)과 숟가락통(120)의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판(130)이 형성되는데, 숟가락통(120)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숟가락통(120)에서 분리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수저를 분리 수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분리판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분리판(130)에는 숟가락통(120)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관통되는 슬롯(132)이 형성되는데, 슬롯(132)의 길이는 분리판(130)의 길이보다는 약간 작지만 대략 일치하고, 그 폭은 젓가락의 폭 보다는 크고 숟가락의 폭 보다는 작게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젓가락의 폭(젓가락 상부의 최대폭)은 4 ~ 6mm이고 숟가락의 폭(숟가락 머리 부분을 제외한 손잡이 부분의 폭)은 8 ~ 12mm 인데, 슬롯(132)의 폭을 7mm 정도로 하여 중첩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슬롯(132)의 길이는 젓가락의 길이 보다는 10 ~ 30mm 긴 220 ~ 250mm 로 한다. 젓가락의 일반적인 길이는 200 ~ 210mm 이므로 이 보다 좀 더 길게 하여 젓가락이 용이하게 빠지도록 한 것이다. 젓가락의 길이는 제조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그 길이를 간단히 가변시킬 수 있는데, 이럴때는 슬롯(132)의 길이도 젓가락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하면 된다.
슬롯(132)은 분리판(130)에 전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한다. 이는 수저가 수납될 때 분리판(130)의 어디에 떨어지더라도 젓가락이 가장 근접한 슬롯(132)을 통해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저통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저통은 식사후 잔반처리 장소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잔반처리후 숟가락과 젓가락을 모두 수저통에 집어 넣으면 숟가락과 젓가락이 숟가락통(120) 안에 수납된다.
숟가락통(120)에 수납된 숟가락은 슬롯(132) 보다 폭이 크므로 슬롯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고 젓가락은 슬롯(132) 보다 폭이 작으므로 슬롯(132)을 통해 빠져나가 젓가락통(110)에 수납된다. 이와 같은 반복과정으로 숟가락통(120)과 젓가락통(110)에 숟가락과 젓가락이 채워지면 서비스 요원이 숟가락통(120)의 숟가락을 수거하고, 숟가락통(120)을 분해하여 젓가락통(110)의 젓가락을 수거하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젓가락통(110)의 일측면에 개구 부(112)를 형성하고, 개구부(112)에는 슬라이딩 수납부(150)를 형성하여 젓가락통(110)의 젓가락을 꺼낼 때 숟가락통(120)을 분해하지 않고도 슬라이딩 수납부(150)를 잡아당겨 간단히 꺼낸 후 다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저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저통의 측단면도로서, 숟가락과 젓가락이 모두 수저통에 집어넣을 때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저통의 평면도로서, 숟가락통 안에 젓가락은 모두 빠져나가고 숟가락만 남아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저통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젓가락통 120 : 숟가락통
122 : 끼움부 124 : 걸림턱
130 : 분리판 132 : 슬롯
140 : 덮개
Claims (3)
-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젓가락 수납공간을 갖되, 측면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에는 슬라이딩 수납부가 설치되는 젓가락통;상기 젓가락통 위에 조립되고 상하부 모두 개방된 숟가락통;상기 숟가락통의 저부에 형성되고 젖가락의 폭 보다는 크며 숟가락의 폭 보다는 작은 폭을 갖는 슬롯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분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수저통.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7377A KR101149722B1 (ko) | 2009-06-26 | 2009-06-26 |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수저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7377A KR101149722B1 (ko) | 2009-06-26 | 2009-06-26 |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수저통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0041A KR20110000041A (ko) | 2011-01-03 |
KR101149722B1 true KR101149722B1 (ko) | 2012-06-08 |
Family
ID=4360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7377A KR101149722B1 (ko) | 2009-06-26 | 2009-06-26 |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수저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972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20091B1 (ko) * | 2020-12-29 | 2023-12-29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수저 분리기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1880U (ko) * | 1992-06-03 | 1994-01-03 | 엘지전자주식회사 | 브이씨알의 문개폐용 점성댐퍼 |
KR980000585U (ko) * | 1997-11-13 | 1998-03-30 | 조병화 | 위생덮개가 설치된 개량 수저통 |
KR200424246Y1 (ko) * | 2006-05-16 | 2006-08-22 | 김광호 | 이쑤시개와 냅킨을 함께 수납하는 냅킨박스 |
KR20080000990U (ko) * | 2006-11-07 | 2008-05-13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수저 분리통 |
KR20090018294A (ko) * | 2007-08-17 | 2009-02-20 | 김진탁 | 수저분류장치 |
-
2009
- 2009-06-26 KR KR1020090057377A patent/KR10114972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1880U (ko) * | 1992-06-03 | 1994-01-03 | 엘지전자주식회사 | 브이씨알의 문개폐용 점성댐퍼 |
KR980000585U (ko) * | 1997-11-13 | 1998-03-30 | 조병화 | 위생덮개가 설치된 개량 수저통 |
KR200424246Y1 (ko) * | 2006-05-16 | 2006-08-22 | 김광호 | 이쑤시개와 냅킨을 함께 수납하는 냅킨박스 |
KR20080000990U (ko) * | 2006-11-07 | 2008-05-13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수저 분리통 |
KR20090018294A (ko) * | 2007-08-17 | 2009-02-20 | 김진탁 | 수저분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0041A (ko) | 2011-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13089B2 (en) | Cutlery dispenser | |
US20150360833A1 (en) | Receptacle top with removable dust pan lid | |
KR101610505B1 (ko) | 씽크대 서랍 수납용 주방용구 보관함 | |
WO2010132239A2 (en) | Suspended utensil storage system and method | |
KR101149722B1 (ko) | 숟가락과 젓가락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수저통 | |
US20070131697A1 (en) | Plate with utensil pocket | |
KR200469077Y1 (ko) | 식기수거시스템 | |
KR200427512Y1 (ko) | 숟가락과 젓가락 분리기 | |
KR200457462Y1 (ko) | 수저 분리통 | |
JP4569890B2 (ja) | コップ回収ボックス | |
JP4899225B2 (ja) | コップ回収ボックス | |
US20190343308A1 (en) | Tableware Organizer for Large Group Gatherings | |
KR102336364B1 (ko) | 개별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한 위생 숟가락 보관함 | |
KR101553698B1 (ko) | 조립식 치실 케이스 | |
US9339122B2 (en) | Lid dispenser | |
KR200479854Y1 (ko) | 커버 분리형 밥상 | |
EP1669304A1 (en) | A protective carrier and handle for cans | |
KR20080037277A (ko) | 젓가락선별기 | |
KR200355786Y1 (ko) | 칼 수납부를 갖는 도마 | |
CN211130792U (zh) | 一种多功能厨房置物架 | |
CN221044440U (zh) | 便携式餐具盒 | |
CN209252585U (zh) | 带储物盒的组合式置物篮 | |
KR101128945B1 (ko) | 위생수저통 덮개 | |
KR200491413Y1 (ko) | 반출도구 손잡이 | |
KR20220083248A (ko) | 개별 인출 구조를 갖는 수저 보관 케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