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15Y1 - 패널 제작용 지그 - Google Patents

패널 제작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615Y1
KR200489615Y1 KR2020170004739U KR20170004739U KR200489615Y1 KR 200489615 Y1 KR200489615 Y1 KR 200489615Y1 KR 2020170004739 U KR2020170004739 U KR 2020170004739U KR 20170004739 U KR20170004739 U KR 20170004739U KR 200489615 Y1 KR200489615 Y1 KR 200489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jig
moving device
panel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676U (ko
Inventor
이소연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4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15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B25H1/0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패널 제작용 지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제작용 지그는, 복수의 튜브와 플레이트로 구성된 패널(Panel) 제작 시 패널의 형상이나 구조에 따라 상기 패널이 놓여지는 지그(패널 거치대)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바닥과 인접한 레그부 하단에 구비되는 지그 이동 장치를 포함하며, 지그 이동 장치는, 레그부 하단에 부착되는 상판과, 상판과 평행하며 상기 바닥에 접하는 접지면을 가진 하판, 그리고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휠 수용부가 형성된 연결판을 포함하는 이동 장치 본체, 이동 장치 본체의 연결판 한 쪽 끝에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반대편 타측 단부에 휠 승강 레버가 힌지 결합된 작동 아암, 이동 장치 본체의 휠 수용부에 하나씩 위치하도록 상기 휠 수용부 위치에서 상기 작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복수의 휠 및 작동 아암의 힌지부(H1) 반대편에 위치한 작동 아암의 타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휠 승강 레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휠 승강 레버의 회전 조작 시 힌지부(H1)를 중심으로 하는 작동 아암의 피봇(Pivot) 동작으로 휠이 접지면 하부로 돌출되어 이동 장치 본체가 바닥으로부터 부양되고 휠이 바닥에 접하게 됨으로써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Description

패널 제작용 지그{Jig for manufacturing panel}
본 고안은 패널 제작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그의 위치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도록 레그부에 지그 이동 장치가 장착된 패널 제작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발전 설비용 부품, 예컨대 복수의 튜브와 튜브 사이를 연결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된 패널(Panel)의 제작에는 상면부과 하면부에 많은 가공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필요한 경우 패널의 상하 위치를 반전(180도 회전)시켜 가공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패널의 상하 위치를 반전(180도 회전)시키는 작업을 일반적으로 '턴오버(Turnover)'라 하며, 턴오버 작업이나 다른 가공 작업 시 작업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전용 지그(패널 거치대) 위에 패널을 올려 놓은 상태로 작업을 하게 된다.
패널 제작에 사용되는 전용 지그(200)는 일반적으로 도 1의 예시와 같이, 상면에 패널이 놓여지는 평평한 안착면을 형성한 안착대(210)와, 가공 대상물, 즉 패널(100)이 작업장의 바닥으로부터 부양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대(2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레그부(220)를 포함한다.
한편, 패널(100)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하면부에 부착물이 다수 부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지그(200)의 안착대(210)와 패널의 부착물 사이의 간섭 회피 및 패널의 무게 중심을 고려한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패널의 구조나 형태에 따라 지그(200)의 위치를 수시로 바꿔가면서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발전 설비용 각종 패널 제작에 사용되는 지그의 상기 레그부(220)는 작업장 바닥에 접한 상태로 안착대 및 그 위에 놓여진 패널(100)을 단순히 지지하는 구조로서, 수시로 행해지는 지그의 위치 변경에 상당한 인력과 힘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작업 능률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5783호(등록일 2013.03.04)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전 설비의 패널 제작 시 수시로 행해지는 지그 위치 변경을 위한 이동 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패널 제작용 지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튜브와 플레이트로 구성된 패널(Panel) 제작 시 패널의 형상이나 구조에 따라 상기 패널이 놓여지는 지그(패널 거치대)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바닥과 인접한 상기 지그의 레그부 하단에 구비되는 지그 이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그 이동 장치는,
상기 레그부 하단에 부착되는 상판과, 상판과 평행하며 상기 바닥에 접하는 접지면을 가진 하판, 그리고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휠 수용부가 형성된 연결판을 포함하는 이동 장치 본체;
상기 이동 장치 본체의 연결판 한 쪽 끝에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반대편 타측 단부에 휠 승강 레버가 힌지 결합된 작동 아암;
상기 이동 장치 본체의 휠 수용부에 하나씩 위치하도록 상기 휠 수용부 위치에서 상기 작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복수의 휠; 및
작동 아암의 힌지부(H1) 반대편에 위치한 작동 아암의 타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휠 승강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휠 승강 레버의 회전 조작 시 상기 힌지부(H1)를 중심으로 하는 작동 아암의 피봇(Pivot) 동작으로 상기 접지면이 바닥에 접하거나, 상기 휠이 접지면 하부로 돌출되어 이동 장치 본체가 바닥으로부터 부양되고 상기 휠이 바닥에 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제작용 지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휠 수용부는 힌지부(H1)에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휠 수용부와 힌지부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휠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휠은 상기 제1 휠 수용부 위치에서 작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휠과 상기 제2 휠 수용부 위치에서 작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휠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휠 승강 레버는, 복수의 휠 중 상기 힌지부(H1)로부터 가장 먼 쪽에 위치하는 휠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도록 작동 아암의 타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휠 승강 블록 및 휠 승강 블록의 선단에 연결되고 이동 장치 본체 외측으로 연장되는 레버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휠 승강 블록의 회전 중심(H2)으로부터 휠 승강 블록의 선단까지의 거리(D1)가 휠의 반경(D2)보다 큰(D1>D2) 구성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버 손잡이를 상승 위치로 조작하면, 휠 승강 블록의 선단이 이동 장치 본체의 상판 하면 일측에 접함과 동시에 작동 아암은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밀려나 작동 아암에 부착된 휠의 일부가 하판의 접지면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이동 장치 본체는 바닥으로부터 부양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휠 승강 블록의 회전을 특정 각도(θ)로 제한하는 스토퍼가 상판의 정해진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 설비의 패널 제작용 지그에 의하면, 지그의 위치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도록 레그부에 복수의 휠을 구비하는 지그 이동 장치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지그의 위치를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어 지그 이동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작업 효율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전 설비용 패널 제작에 사용되는 전용 지그(패널 거치대)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제작용 지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그 이동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지그 이동 장치의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지그 이동 장치의 작동 상태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제작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제작용 지그(1)는 크게, 가로로 배치되는 안착대(10)와, 안착대(10)의 양단에 세로로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레그부(12)를 포함한다. 안착대(10)는 그 상면에 제품, 예컨대 패널이 놓여지는 평평한 안착면이 형성되며, 레그부(12)는 상기 안착대(10)가 작업장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한다.
지그의 상기 레그부(12) 하단에는 지그 이동 장치(14)가 구비된다. 지그 이동 장치(14)는 복수의 튜브와 플레이트로 구성된 상기 패널(Panel) 제작 시 패널의 형상이나 구조에 따라 상기 패널이 놓여지는 지그(1)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작업장의 바닥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는 복수의 휠(17a, 17b)을 포함한다.
복수의 휠(17a, 17b)은 이동 장치 본체(15)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되어 이동 장치 본체(15)의 하부 접지면(156)이 작업장 바닥에 직접 접하도록 하거나, 본체(15)의 하부로 소정거리 돌출되어 상기 본체(15)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스스로 바닥에 접함으로써 지그를 원하는 곳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휠(17a, 17b)은 상기 이동 장치 본체(15)에 위치 가변형 구조로 구비되며, 휠(17a, 17b)의 위치에 따라 이동 장치 본체(15)의 접지면(156)이 작업장 바닥과 직접 접함으로써 지그(1)의 움직임이 제한되거나, 휠(17a, 17b)에 의해 이동 장치 본체(15)가 바닥으로부터 부양되고 휠(17a, 17b)이 바닥에 접함으로써 지그(1)의 위치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지그 이동 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그 이동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지그 이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그 이동 장치(14)는 이동 장치 본체(15)를 포함한다. 이동 장치 본체(15)는 구체적으로, 상기 레그부(12) 하단에 부착되는 상판(152), 상판(152)과 평행하며 상기 바닥에 접하는 접지면(156)을 가진 하판(155) 및 상판(152)과 하판(155)을 연결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휠 수용부(154a, 154b)가 형성된 연결판(153)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장치 본체(15)는 도면(도 3)의 예시와 같이,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평판 중앙이 웹(WEB)으로 연결된 단면 형상의 I인 'I빔(I-Beam)'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면 형상이 각형이면서 길이 방향으로 둘 이상의 휠 수용부(154a, 154b)를 형성한 구성이면 무방하다.
이동 장치 본체(15)의 상기 연결판(153) 한 쪽 끝에는 작동 아암(16)의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힌지부(H1) 반대편의 작동 아암(16) 타측 단부에는 휠 승강 레버(18)가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이동 장치 본체(15)에 형성된 상기 휠 수용부(154a, 154b)에 하나씩 위치하도록 휠 수용부(154a, 154b)가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작동 아암(16)에 휠(17a, 17b)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휠 수용부(154a, 154b)는 바람직하게, 힌지부(H1)에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휠 수용부(154a)와 힌지부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휠 수용부(154b)를 포함하며, 휠(17a, 17b)은 상기 제1 휠 수용부(154a) 위치에서 작동 아암(1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휠(17a)과 제2 휠 수용부(154b) 위치에서 작동 아암(1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휠(17b)로 구분될 수 있다.
작동 아암(16)의 상기 힌지부(H1)에서 이격된 작동 아암(16)의 타측 단부에 상기 휠 승강 레버(18)가 작동 아암(16)에 대해 피봇(Pivot)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휠 승강 레버(18)의 회전 조작 시 그 회전 조작 및 이에 연동된 상기 힌지부(H1)를 중심으로 하는 작동 아암(16)의 피봇(Pivot) 동작으로 휠(17a, 17b)의 위치가 가변된다.
휠(17a, 17b)의 일부가 이동 장치 본체(15)의 상기 접지면(156) 하부로 돌출되어 바닥과 접하도록 위치한 경우, 상기 이동 장치 본체(15)는 상대적으로 휠(17a, 17b)의 돌출 높이만큼 바닥으로부터 부양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지그(1)를 밀어 원하는 위치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이동시킬 수 있다(도 4의 (a)참조).
반대로, 휠(17a, 17b)이 이동 장치 본체(15)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된 위치에 있으면, 이동 장치 본체(15) 하부, 즉 상기 하판(155) 하면의 접지면(156)이 작업장의 바닥에 직접 접하게 됨으로써 웬만한 외력에도 지그는 움직이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패널을 지지하게 된다(도 4의 (b) 참조).
휠 승강 레버(18)는 바람직하게, 복수의 휠(17a, 17b) 중 상기 힌지부(H1)로부터 가장 먼 쪽에 위치하는 휠(17b)의 회전 중심(H2)과 일치하도록 작동 아암(16)의 타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휠 승강 블록(180)과, 휠 승강 블록(180)의 선단에 연결되고 이동 장치 본체(15) 외측으로 연장되는 레버 손잡이(18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손잡이(182)는 휠 승강 블록(180)의 회전 중심(H2)을 기준으로 이동 장치 본체(15) 상승 위치(이하, '제1 위치(P1)'라 함)에서부터 이동 장치 본체(15) 하강 위치(이하, '제2 위치(P2)'라 함)에 걸쳐 회전 가능하며, 휠 승강 블록(180)은 레버 손잡이(182)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H2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한다.
이동 장치 본체(15)를 바닥으로부터 부양시키기 위해 제2 위치(P2)에 있는 레버 손잡이(182)를 제1 위치(P1)로 조작할 경우, 휠 승강 블록(180)의 선단이 이동 장치 본체(15)의 상판(152) 하면 일측에 접하는 순간부터 작동 아암(16) 및 휠(17a, 17b)을 아래로 밀어내는 힘이 상기 작동 아암(16)에 작용하게 된다.
즉 레버 손잡이(182)를 제1 위치(P1) 쪽으로 돌리면, 휠 승강 블록(180)이 상판(152) 하면에 접하는 순간부터 작동 아암(16) 및 휠(17a, 17b)을 아래로 밀어내는 힘이 작동 아암(16)에 작용하며, 그 상태에서 더욱 힘을 가해 정해진 제1 위치(P1)까지 레버 손잡이(182)를 돌리면, 작동 아암(16)이 더욱 아래로 밀려나 작동 아암(16)에 부착된 휠(17a, 17b)의 일부가 하판(155)의 접지면(156) 아래쪽으로 돌출되며 상대적으로 이동 장치 본체(15)는 바닥으로부터 부양하게 된다.
레버 손잡이(182)를 정해진 제1 위치(P1)까지 돌렸을 때 휠 승강 블록(180)은 상판(152)의 정해진 위치에 부착된 스토퍼(19)에 걸려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스토퍼(19)는 바람직하게, 레버 손잡이(182)를 제1 위치(P1)까지 돌렸을 때 작동 아암(16)에 대한 휠 승강 블록(180)의 각도(θ)를 대략 91 ~ 95도로 제한하는 위치의 상판(15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 손잡이(182)를 제1 위치(P1)까지 돌렸을 때 휠 승강 블록(180)은 스토퍼(19)에 걸려 작동 아암(16)과 대략 91 ~ 95도 각도를 유지한 채 상판(152) 하면 일측에 접해 받침점(SP)을 형성하게 되며, 이로 인해 휠(17a, 17b)에 의해 이동 장치 본체(15)가 바닥으로부터 부양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위치(P1)에 있던 레버 손잡이(182)를 제2 위치(P2)로 조작하면, 휠 승강 블록(180)과 상판(152) 하면 사이의 상기 받침점(SP)이 사라지고, 지그의 자체 하중에 의해 작동 아암(16)이 힌지부(H1)을 중심으로 휠(17a, 17b)을 이동 장치 본체(15) 내측에 인입시키는 방향으로 피봇 작동된다.
이에 따라, 휠(17a, 17b)에 의해 들어 올려 졌던 이동 장치 본체(15)가 다시 바닥 측으로 내려 앉아 바닥과 직접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승강 매커니즘을 위해서는, 휠 승강 블록(180)의 회전 중심(H2)으로부터 휠 승강 블록(180)의 선단까지의 거리(D1)가 적어도 제2 휠(7b)의 반경(D2)보다는 커야 하며(D1>D2), 휠(17a, 17b)이 위치하는 휠 수용부(154a, 154b)는 휠(17a, 17b)이 이동 장치 본체(15) 내측으로 인입된 경우 휠(17a, 17b)의 정점(頂點)부가 휠 수용부(154a, 154b)를 구획하는 상측의 한 변과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큰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지그 이동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지그의 승강 및 이동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제작용 지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 도면으로서, 도 5는 레버 손잡이(182)를 제1 위치(P1, 이동 장치 본체 상승 위치)로 조작하여 지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레버 손잡이(182)를 제2 위치(P2, 이동 장치 본체 하강 위치)로 조작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된 지그를 그 위치에 고정시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먼저 참조하면, 레버 손잡이(182)를 제1 위치(P1)로 조작하여 레그부(12) 하단의 이동 장치 본체(15)를 바닥으로부터 부양시킴으로써 지그(1)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장치 본체(15)를 바닥으로부터 부양시키기 위해 제2 위치(P2)에 있는 레버 손잡이(182)를 제1 위치(P1)로 조작할 경우, 휠 승강 블록(180)의 선단이 이동 장치 본체(15)의 상판(152) 하면 일측에 접하는 순간부터 작동 아암(16) 및 휠(17a, 17b)을 아래로 밀어내는 힘이 상기 작동 아암(16)에 작용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더욱 힘을 가해 정해진 제1 위치(P1)까지 레버 손잡이(182)를 돌리면, 힌지부(H1)를 중심으로 하는 작동 아암(16)의 피봇 동작으로 작동 아암(16)은 더욱 아래로 밀려나게 되며, 작동 아암(16)에 부착된 휠(17a, 17b)의 일부가 하판(155)의 접지면(156) 아래쪽으로 돌출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이동 장치 본체(15)는 휠(17a, 17b)이 돌출된 높이만큼 바닥으로부터 부양하게 된다.
즉 레버 손잡이(182)를 제1 위치(P1)로 조작하면, 레버 손잡이(182)의 제1 위치(P1) 조작에 연동되는 휠 승강 블록(180) 및 작동 아암(16)의 피봇 동작으로, 이동 장치 본체(15) 내측에 인입되어 있던 휠(17a, 17b)이 이동 장치 본체(15)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바닥에 접하고, 바닥에 접했던 이동 장치 본체(15)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지그(1)를 전후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지그(1)를 원하는 방향으로 밀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원하는 위치로 지그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위치(P1)에 있던 레버 손잡이(182)를 제2 위치(P2)로 조작하면, 휠 승강 블록(180)과 상판(152) 하면 사이의 받침점(SP)이 사라지고, 지그의 하중에 의해 작동 아암(16)이 힌지부(H1)을 중심으로 휠(17a, 17b)을 이동 장치 본체(15) 내측에 인입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휠(17a, 17b)에 의해 들어 올려 졌던 이동 장치 본체(15)는 다시 바닥 측으로 내려 앉아 바닥과 직접 접하게 됨으로써 웬만한 외력이 가해져도 지그(1)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 설비의 패널 제작용 지그에 의하면, 지그의 위치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도록 레그부에 복수의 휠을 구비하는 지그 이동 장치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지그의 위치를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어 지그 이동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작업 효율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지그 10 : 안착대
12 : 레그부 14 : 지그 이동 장치
15 : 이동 장치 본체 16 : 작동 아암
17a : 제1 휠 17b : 제2 휠
18 : 휠 승강 레버 19 : 스토퍼
152 : 상판 153 : 연결판
154a : 제1 휠 수용부 154b : 제2 휠 수용부
155 : 하판 156 : 접지면
180 : 휠 승강 블록 182 : 레버 손잡이

Claims (6)

  1. 상면에 제품이 놓여지는 안착면을 가진 안착대(10);
    상기 안착대(10)의 양단에 세로로 배치되어 안착대(10)를 바닥으로부터 부양된 상태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레그부(12); 및
    상기 레그부(12) 하단에 구비되는 지그 이동 장치(14);를 포함하며,
    상기 지그 이동 장치(14)는,
    상기 레그부(12) 하단에 부착되는 상판(152)과, 상판(152)과 평행하며 상기 바닥에 접하는 접지면(156)을 가진 하판(155), 그리고 상판(152)과 하판(155)을 연결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휠(17a, 17b) 수용부(154)가 형성된 연결판(153)을 포함하는 이동 장치 본체(15);
    상기 이동 장치 본체(15)의 연결판(153) 한 쪽 끝에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반대편 타측 단부에 휠 승강 레버(18)가 힌지 결합된 작동 아암(16);
    상기 이동 장치 본체(15)의 휠 수용부(154a, 154b)에 하나씩 위치하도록 상기 휠 수용부(154a, 154b) 위치에서 상기 작동 아암(1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복수의 휠(17a, 17b); 및
    작동 아암(16)의 힌지부(H1) 반대편에 위치한 작동 아암(16)의 타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휠 승강 레버(18);를 포함하며,
    상기 휠 승강 레버(18)의 회전 조작 시 상기 힌지부(H1)를 중심으로 하는 작동 아암(16)의 피봇(Pivot) 동작으로 상기 접지면(156)이 바닥에 접하거나, 상기 휠(17a, 17b)이 접지면(156) 하부로 돌출되어 이동 장치 본체(15)가 바닥으로부터 부양되고,
    상기 휠 승강 레버(18)는, 복수의 휠(17a, 17b) 중 상기 힌지부(H1)로부터 가장 먼 쪽에 위치하는 휠(17b)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도록 작동 아암(16)의 타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휠 승강 블록(180)과 상기 휠 승강 블록(180)의 선단에 연결되고 이동 장치 본체(15) 외측으로 연장되는 레버 손잡이(182)로 구성되되, 휠 승강 블록(180)의 회전 중심(H2)에서 휠 승강 블록(180)의 선단까지의 거리(D1)가 휠(17b)의 반경(D2)보다 적어도 크게 형성되며,
    상기 상판(152)의 하면에는 상기 휠 승강 블록(180)의 회전을 특정 각도(θ)로 제한하는 스토퍼(1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제작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 수용부(154a, 154b)는 힌지부(H1)에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휠 수용부(154a)와 힌지부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휠 수용부(154b)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휠(17a, 17b)은 상기 제1 휠 수용부(154a) 위치에서 작동 아암(1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휠(17a)과 상기 제2 휠 수용부(154b) 위치에서 작동 아암(1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휠(17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제작용 지그.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레버 손잡이(182)를 상승 위치(P1)로 조작하면, 휠 승강 블록(180)의 선단이 이동 장치 본체(15)의 상판(152) 하면 일측에 접함과 동시에 작동 아암(16)이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밀려나 작동 아암(16)에 부착된 휠(17a, 17b)의 일부가 하판(155)의 접지면(156)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이동 장치 본체(15)는 바닥으로부터 부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제작용 지그.
  6. 삭제
KR2020170004739U 2017-09-07 2017-09-07 패널 제작용 지그 KR200489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39U KR200489615Y1 (ko) 2017-09-07 2017-09-07 패널 제작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39U KR200489615Y1 (ko) 2017-09-07 2017-09-07 패널 제작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76U KR20190000676U (ko) 2019-03-15
KR200489615Y1 true KR200489615Y1 (ko) 2019-10-01

Family

ID=6572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739U KR200489615Y1 (ko) 2017-09-07 2017-09-07 패널 제작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15Y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237Y2 (ja) * 1993-10-26 1997-03-19 孝行 長澤 キャスター付き家具
KR20050116650A (ko) * 2004-06-08 2005-12-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출몰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용 캐스터
KR200465783Y1 (ko) 2007-12-11 2013-03-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엔진의 조립 및 시운전용 정반
KR20110098532A (ko) * 2010-02-26 2011-09-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스페이스 롤러
KR101582889B1 (ko) * 2014-05-20 2016-01-08 (주)태진이엔지 이동식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76U (ko)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3302B2 (ja) ワーク転回装置
EP3187311A1 (en) Apparatus for use with power tools
US8657306B2 (en) Lifting machine base assembly for a machine tool
CN107775610B (zh) 一种车轮组整体翻转方法
KR101182378B1 (ko) 반송 로봇
KR200489615Y1 (ko) 패널 제작용 지그
JP2018176370A (ja) ロボット装置
CN108284341B (zh) 一种装刀设备
JPWO2012160886A1 (ja) 板材加工システム
JP6226672B2 (ja) 加工装置の作業用スタンド
KR20220031295A (ko) 리프팅 암을 가지는 가진 턴오버 장치
CN104690527A (zh) 舷外机生产用托盘装置
JP4887693B2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およびワーク位置決め方法
WO2018018715A1 (zh) 压力容器圆度检测工具
CN103008943B (zh) 一种驾驶室底板总成焊接工装
CN207149449U (zh) 一种用于户外高压断路器翻转装配平台
CN206185318U (zh) 用于线材去漆的上下双头激光设备
CN203853981U (zh) 移动支撑车
KR20150030999A (ko) 이동 로봇 장치
JP2012024832A (ja) ワーク保持装置
KR102122661B1 (ko) 안전 사다리
CN207735949U (zh) 汽车轴承加工夹具
JP2012066311A (ja) 作業平面が回転する作業台装置
KR100832143B1 (ko) 트랜스퍼 프레스 금형의 핑거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시뮬레이션 방법
JP2013107102A (ja) ワーク支持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