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165Y1 - 약제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165Y1
KR200489165Y1 KR2020180000071U KR20180000071U KR200489165Y1 KR 200489165 Y1 KR200489165 Y1 KR 200489165Y1 KR 2020180000071 U KR2020180000071 U KR 2020180000071U KR 20180000071 U KR20180000071 U KR 20180000071U KR 200489165 Y1 KR200489165 Y1 KR 200489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ead
container
coupled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
Original Assignee
유피스판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피스판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피스판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0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1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1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89Dispens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3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61M2202/048Anaesth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약제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용기에 저장되는 액상의 약제를 유속의 저하 없이 염증부위에 직접 분사 가능하며, 상기 약제를 미립화하여 염증치료 및 진통억제에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약제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액상의 약제가 저장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딩부; 상기 용기의 배출구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딩부에 가이딩되어 승강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액상의 약제를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노즐부를 통해 용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의 약제를 유속의 저하 없이 염증부위에 직접 분사 가능하며, 상기 약제를 미립화하여 염증치료 및 진통억제에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Description

약제 분사 장치 {LIQUID MEDICAMENT SPRAYING DEVICE}
본 고안은 약제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용기에 저장되는 액상의 약제를 유속의 저하 없이 염증부위에 직접 분사 가능하며, 상기 약제를 미립화하여 염증치료 및 진통억제에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약제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제 분사 장치는 환부에 액상 의약품 등의 약제를 분사하여 염증치료 및 진통을 억제하기 위하여 제약업계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약제 분사 장치는,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약제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 내에 액상의 약제를 충진하고, 상기 용기의 상단에는 용기에 결합되어 약제를 소량씩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특히 배출구는 약제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압식 버튼을 결합하고 버튼이 가압되면 버튼에 마련된 노즐을 통해 약제가 자동 배출되도록 하는 가압식 배출구조를 많이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약제 분사 장치는, 짧은 노즐로 인해 염증부위에 직접분사 시 조준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종래의 한 방법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태의 긴 분사관을 별도로 마련하여 버튼에 결합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약제 분사 장치는 액상의 약제가 긴 분사관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분사관 내부 표면 마찰로 인하여 유속의 저하가 발생함과 더불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긴 분사관을 따로 분리하여 보관해야 함에 따라 휴대 및 보관 시 상기 분사관의 분실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0026호
본 고안은 용기에 저장되는 액상의 약제를 유속의 저하 없이 염증부위에 직접 분사 가능하며, 상기 약제를 미립화하여 염증치료 및 진통억제에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약제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내부에 액상의 약제가 저장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딩부; 상기 용기의 배출구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딩부에 가이딩되어 승강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액상의 약제를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약제 분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노즐부는 중공형의 노즐 하우징; 상기 노즐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헤드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액상의 약제가 통과되는 미세 홈부를 갖는 분사 니들; 및 상기 분사 니들의 말단에 마련된 니들 돌기에 결합되고, 상기 약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구가 마련된 노즐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홈부는 상기 분사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 니들은 상기 노즐캡과 근접되게 마련되며 상기 분사 니들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니들 머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캡은 상기 노즐캡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리브와 상기 니들 돌기와 맞닿는 측벽에 상기 분사구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전달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부는 일단이 라운딩지게 마련되는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헤드부와 밀착되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배출구와 결합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에 마련되며 상기 노즐부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저면 중앙부에 내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벽부에는 상기 배출구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내벽부와 상기 버튼부의 외벽에 마련된 토출구를 연통시키는 토출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결합부는 내면 일측에서 상기 토출구를 수용하며, 상기 토출구 상에 라운딩 홈을 갖는 돌출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노즐부의 일단에 마련된 유입구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딩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의 외벽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딩부는 상부에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1 절개부와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제2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외벽에서 상기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2 절개부 각각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의 약제를 유속의 저하 없이 염증부위에 직접 분사 가능하며, 상기 약제를 미립화하여 염증치료 및 진통억제에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헤드부를 도시한 내부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헤드부를 도시한 측단면도(도 3a의 A-A' 단면)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노즐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노즐 하우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노즐캡을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노즐부의 일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약제 분사 장치의 노즐부가 회전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약제 분사 장치의 헤드부가가 가압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는 용기(100), 가이딩부(200), 헤드부(300), 및 노즐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100)는, 원통형태로 내부에 액상의 약제가 저장되며, 상부에 상기 약제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0)가 마련된다. 상기 배출구(110)는,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 결합하거나 상기 용기(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딩부(200)는, 관형 부재로서, 상기 용기(100)의 상부와 상기 헤드부(300)의 일부를 둘러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이딩부(200)는, 하부에 내주연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260)를 마련하여 상기 용기(1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딩부(200)의 내벽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한쌍의 가이드 돌기(210)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300)의 외벽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10)와 대응되는 영역에 가이드 홈(31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딩부(200)는, 상부에 제1 절개부(230)와 상기 제1 절개부(230)와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제2 절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딩부(200)는, 상기 제1 절개부(230) 및 상기 제2 절개부(25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에 형성된 이탈방지 돌기(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300)는, 상기 용기(100)에 저장된 액상의 약제를 펌핑하기 위한 누름 버튼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배출구(110)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가이딩부(200)에 가이딩되어 승강된다. 상기 헤드부(300)는, 상기 배출구(110)와 결합되는 버튼부(310) 및 상기 버튼부(3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노즐부(400)의 일단을 수용하는 노즐 결합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부(310)와 상기 노즐 결합부(330)는 합성수지를 통해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도 있고,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조립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헤드부를 도시한 내부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헤드부를 도시한 측단면도(도 3a의 A-A' 단면)이다.
상기 버튼부(310)는, 도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중앙부에 내벽부(312)를 구비하고, 상기 내벽부(312)에는 배출구(110)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버튼부(310)는, 상기 내벽부(312)와 상기 버튼부(310)의 외벽에 마련된 토출구(332)를 연통시키는 토출로(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310)는, 상기 배출구(110)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100)에 저장된 약제가 상기 배출구(110), 상기 내벽부(312) 및 상기 토출로(314)를 경유하여 상기 토출구(332)에 전달된다. 상기 토출구(332)는, 상기 노즐부(400)의 회전 시 상기 노즐부(400)의 일단에 마련된 유입구(43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노즐 결합부(330)는, 내면 일측에서 상기 토출구(332)를 수용하며, 상기 토출구(332) 상에 라운딩 홈(334A)을 갖는 돌출벽부(334)가 마련되어, 상기 노즐부(400)의 일단이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 결합부(330)는 타측에 원형 절개부(338)가 마련되어, 상기 노즐부(400)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노즐 하우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노즐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노즐부(4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유입구(430)측으로 힌지 결합부(410)가 마련되어 상기 노즐 결합부(3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노즐부(400)는, 상기 노즐부(400)의 외벽에 꺽임방지 돌기(4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꺽임방지 돌기(420)는 상기 노즐부(400)를 상기 용기(100)와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접었을 때, 상기 가이딩부(200)의 일측에 마련되는 꺽임방지 홈(240)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400)는, 내부에 상기 헤드부(300)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액상의 약제가 전달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미세 홈부(452)를 갖는 분사 니들(450)과 상기 분사 니들(450)의 말단에 마련된 니들 돌기(454)에 결합되고 상기 약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구(472)가 마련된 노즐캡(470)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 니들(450)은, 상기 노즐캡(470)과 근접되게 마련되며 상기 분사 니들(450)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니들 머리(45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미세 홈부(452)는 상기 노즐부(4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약제를 상기 분사구(472)로 전달하는 분사로(44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사로(440)의 내경은 상기 토출구(332) 또는 상기 유입구(43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사로(440)를 통과하는 상기 약제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노즐캡을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노즐부의 일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노즐캡(47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판으로 막힌 원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캡(470)의 전면에는 분사구(472)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캡은 상기 노즐캡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리브와 상기 니들 돌기(454)와 맞닿는 측벽에 상기 분사구(472)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전달홈(476)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캡(470)은 상기 니들 돌기(454)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브(474) 사이에 공간부(474A)가 마련되고, 상기 리브(474)의 사이에는 상기 유체 전달홈(476)마련된다.
상기 노즐부(400)는, 상기 노즐부(400)가 회전되어 상기 토출구와 상기 유입구가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332)로 전달된 상기 약제가 상기 유입구(430), 상기 분사로(440), 상기 공간부(474A) 및 상기 유체 전달홈(476)을 경유하여 상기 분사구(472) 밖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사용 방법 및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노즐부가 회전압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헤드부가 가압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상기 노즐부(400)가 상기 용기(100)와 평행하게 접힌 상태에서 상기 노즐부(400)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부(400)의 상단 일부가 상기 원형 절개부(338)에 수용되도록 하면, 상기 토출구(332)가 상기 유입구(430)와 연통된다.
이렇게 상기 토출구(332)와 상기 유입구(430)가 연통되도록 상기 노즐부(400)를 회전시킨 후, 상기 헤드부(300)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310)를 가압하여 하강시키면, 상기 헤드부(300)는 상기 가이드 홈(316)이 상기 가이드 돌기(210)를 수용하면서 슬라이딩 되어 하강한다.
상기 헤드부(300)가 슬라이딩되어 하강되면, 상기 용기(100)에 저장된 액상의 약제는 상기 분사구(472)를 통하여 분사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300)는 상기 제1 절개부(230) 및 상기 제2 절개부(250) 각각에 걸림으로써, 상기 헤드부(300)의 하강 깊이는 제한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300)는 외벽에 상기 이탈방지 돌기(220)에 대응되는 이탈방지 홈(336)이 마련되어 상기 헤드부(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다시 상기 노즐부(400)를 상기 용기(100)와 평행하도록 회전시켜 상기 꺽임방지 돌기(420)가 상기 꺽임방지 홈(24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노즐부(400)가 불필요하게 흔들리거나 꺽이지 않게 되어, 상기 노즐부(400)의 훼손이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는, 상기 노즐부(400)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인한 유속의 감소를 상기 유입구(43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상기 미세 홈부(452)에 의해 보상함으로써, 상기 용기(100)에 저장된 액상의 약제를 유속의 저하 없이 상기 노즐부(400)를 통해 원하는 부위에 직접 분사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노즐부(400)는 상기 약제를 미립화하여 염증치료 및 진통억제에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로(440)를 형성하는 미세 홈부(452)의 축방향 중심은 상기 분사구(472)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마련되어, 상기 약제는 상기 분사 니들(450)을 통과하여 상기 노즐캡(470)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충돌 및 마찰에 의해 미립화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는, 상기 용기(10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의 약제를 유속의 저하 없이 염증부위에 직접 분사 가능하며, 상기 약제를 미립화하여 염증치료 및 진통억제에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용기 110 : 배출구
200 : 가이딩부 210 : 가이드 돌기
220 : 이탈방지 돌기 230 : 제1 절개부
240 : 꺽임방지 홈 250 : 제2 절개부
260 : 결합 돌기 300 : 헤드부
310 : 버튼부 312 : 내벽부
314 : 토출로 316 : 가이드 홈
330 : 노즐 결합부 332 : 토출구
334 : 돌출벽부 334A : 라운딩 홈
336 : 이탈방지 홈 338 : 원형 절개부
400 : 노즐부 410 : 힌지 결합부
420 : 꺽임방지 돌기 430 : 유입구
440 : 분사로 450 : 분사 니들
452 : 미세 홈부 454 : 니들 돌기
456 : 니들 머리 460 : 노즐 하우징
470 : 노즐캡 472 : 분사구
474 : 리브 474A : 공간부
476 : 유체 전달홈

Claims (13)

  1. 내부에 액상의 약제가 저장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딩부;
    상기 용기의 배출구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딩부에 가이딩되어 승강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액상의 약제를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중공형의 노즐 하우징, 상기 노즐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헤드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액상의 약제가 통과되는 미세 홈부를 갖는 분사 니들, 및 상기 분사 니들의 말단에 마련된 니들 돌기에 결합되고, 상기 약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구가 마련된 노즐캡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캡은, 상기 노즐캡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리브와 상기 니들 돌기와 맞닿는 측벽에 상기 분사구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전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홈부는 상기 분사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니들은,
    상기 노즐캡과 근접되게 마련되며 상기 분사 니들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니들 머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일단이 라운딩지게 마련되는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헤드부와 밀착되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배출구와 결합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에 마련되며 상기 노즐부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저면 중앙부에 내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벽부에는 상기 배출구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내벽부와 상기 버튼부의 외벽에 마련된 토출구를 연통시키는 토출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결합부는,
    내면 일측에서 상기 토출구를 수용하며, 상기 토출구 상에 라운딩 홈을 갖는 돌출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노즐부의 일단에 마련된 유입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의 외벽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는,
    상부에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1 절개부와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제2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외벽에서 상기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2 절개부 각각에 걸림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KR2020180000071U 2018-01-05 2018-01-05 약제 분사 장치 KR200489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071U KR200489165Y1 (ko) 2018-01-05 2018-01-05 약제 분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071U KR200489165Y1 (ko) 2018-01-05 2018-01-05 약제 분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165Y1 true KR200489165Y1 (ko) 2019-05-10

Family

ID=6653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071U KR200489165Y1 (ko) 2018-01-05 2018-01-05 약제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165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422Y1 (ko) * 2001-08-14 2002-03-18 강성일 겔상 화장품 배출장치
JP2002248384A (ja) * 2001-02-26 2002-09-03 Mitani Valve Co Ltd 長尺ノズル付噴射ボタン
KR20090010026U (ko) 2008-03-31 2009-10-06 김의철 분사캡을 갖춘 스프레이
KR20110010442U (ko) * 2010-04-30 2011-11-07 펌텍코리아 (주) 화장품 용기의 디스펜서 헤드
KR20130052984A (ko) * 2011-11-14 2013-05-23 박형탄 액상 약제 살포용 분무장치의 분사관
KR101600550B1 (ko) * 2014-08-14 2016-03-07 이정남 화장품용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384A (ja) * 2001-02-26 2002-09-03 Mitani Valve Co Ltd 長尺ノズル付噴射ボタン
KR200262422Y1 (ko) * 2001-08-14 2002-03-18 강성일 겔상 화장품 배출장치
KR20090010026U (ko) 2008-03-31 2009-10-06 김의철 분사캡을 갖춘 스프레이
KR20110010442U (ko) * 2010-04-30 2011-11-07 펌텍코리아 (주) 화장품 용기의 디스펜서 헤드
KR20130052984A (ko) * 2011-11-14 2013-05-23 박형탄 액상 약제 살포용 분무장치의 분사관
KR101600550B1 (ko) * 2014-08-14 2016-03-07 이정남 화장품용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13800B2 (en) Atomizer for nasal therapy
KR100236431B1 (ko) 비강용 투약기
KR101661575B1 (ko) 스프레이 오리피스 구조
JPH11245979A (ja) 媒体ディスペンサ
KR102009496B1 (ko) 앰플 장착형 미스트 분무 장치
CN109789051B (zh) 分配器
EP3188824B1 (en) Minimally clogging device for delivery of fluids and method of use
KR101280865B1 (ko)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분사장치
KR101928392B1 (ko) 비강 세척기
KR200489165Y1 (ko) 약제 분사 장치
JP6384834B2 (ja) 粉体投与容器
KR100979592B1 (ko) 비강 세척용 약액분사장치
JP5602520B2 (ja) 注出ノズル
KR200497249Y1 (ko) 비강용 스프레이 용기
CN220002613U (zh) 一种喷雾装置
KR200482070Y1 (ko) 필터를 갖는 비강내 약물 분사 장치
JP3473719B2 (ja) 噴霧ノズル
US20230173516A1 (en) Hand piece for aesthetic and medical device
JP2023081215A (ja) 液体噴出器
JP2019043594A (ja) 吐出容器
JP2001227475A (ja) 噴射ボタン
CN115089824A (zh) 一种雾化器
JP2023551060A (ja) 用量分の眼科用液体の噴霧剤を送達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眼科用液体の噴霧剤を送達するためのデバイスに適したポンプ
KR101307320B1 (ko)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분사장치
KR20190090155A (ko) 앰플 장착형 미스트 분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