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048Y1 - 응원봉 - Google Patents

응원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048Y1
KR200489048Y1 KR2020170000110U KR20170000110U KR200489048Y1 KR 200489048 Y1 KR200489048 Y1 KR 200489048Y1 KR 2020170000110 U KR2020170000110 U KR 2020170000110U KR 20170000110 U KR20170000110 U KR 20170000110U KR 200489048 Y1 KR200489048 Y1 KR 200489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pper housing
light emitting
lower hou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177U (ko
Inventor
김환중
Original Assignee
김환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중 filed Critical 김환중
Priority to KR2020170000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04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1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0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응원봉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손잡이부의 역할을 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은 영역 별로 서로 다른 표면거칠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응원봉을 통해 특정 패턴의 광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응원하고자 하는 대상자 또는 주제 별로 구분되도록 특정 패턴의 광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 화려함을 부여하면서도 타인에게 시각적 피로감이나 불쾌감을 주지 않을 수 있으며, 응원봉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구성되어 파손을 방지하고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응원봉{LAMP FOR CHEER}
본 고안은 응원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체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양이 영역 별로 달라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응원대상 또는 주제에 따라 특정 패턴의 무늬를 달리 표시할 수 있으며, 봉이 흔들릴 경우 반짝이는 광이 발광되도록 하고,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특정 부분을 시각적으로 강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응원봉에 관한 고안이다.
종래 응원을 위해 이용되는 도구로서는 징과 같은 악기 또는 종이에 그림을 표현한 정도가 이용되었으나, 근래 각종 스포츠 게임과 공연의 발달로 응원을 위한 도구들도 다양화되고 있다.
최근 이용되는 응원도구로써는 합성수지재 봉에 공기를 주입하여 이용하거나, 어두운 공연장에서 발광되도록 구성되는 램프 형태의 응원봉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 램프 형태 응원봉의 경우, 엘이디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무색 또는 특정 색깔의 광을 발광하는 식의 단순한 방식으로 식별된다.
하지만, 최근 문화계 활성화에 의해 각종 아이돌 그룹을 비롯한 다양한 가수들에 의해 여러 형태의 공연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상기 종래 응원봉으로써는 응원 대상자 또는 공연 주제에 따라 다양한 패턴을 표현하기에 한계가 있다.
또한, 응원봉에 유색광 엘이디가 설치되는 경우, 응원과정에서 유색광이 뒷사람의 시야에 직접 들어오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타인에게 시각적 피로감과 불쾌감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응원봉은 그 특성 상 공연장에서 격렬히 흔들어지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러한 과정에서 충격이 가해져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응원 대상 또는 공연 주제에 따라 특정 패턴의 광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응원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려한 광이 조사되도록 구성되면서도, 타인에게 시각적 피로감을 유발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응원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응원봉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되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응원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응원봉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손잡이부의 역할을 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은 복수 개의 하우징들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은 영역 별로 서로 다른 표면거칠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하우징에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색깔과는 다른 색깔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강조발광부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강조발광부로 광을 유도하기 위한 광유도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는 광반사입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는 충격흡수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에는 충전지가 수용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에는 유에스비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하우징은 구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강조발광부는 상기 구의 중심으로부터 30도 내지 35도 편심되어 설치된다.
본 고안에 의해, 응원하고자 하는 대상자 또는 주제 별로 특정 패턴의 광을 구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타인에게 시각적 피로감이나 불쾌감을 주지 않으면서 시각적으로 화려함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응원봉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구성되어 파손을 방지하고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응원봉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응원봉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응원봉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응원봉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응원봉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응원봉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응원봉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손잡이부의 역할을 하는 하부하우징(10)과, 상기 하부하우징(10)의 상부에 결합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상부하우징(20)과, 상기 하부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는 전력공급부(30)와, 상기 전력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4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하우징(10)은 복수 개의 하우징들(2, 4)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20)은 영역 별로 서로 다른 표면거칠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하우징(10)은 본 발명에 따른 응원봉의 손잡이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ABS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하우징(10)은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네 개의 분할하우징(2, 4)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할하우징(2, 4) 하부에는 마개하우징(6)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하우징(10)이 네 개의 분할하우징(2, 4)들로 분할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네 개의 분할하우징(2, 4)들이 결합되어 응원봉의 손잡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분할하우징(2, 4)들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요소들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상기 분할하우징(2, 4)들에 가해지는 충격이 상기 상부하우징(20)으로 전달되는 것을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다.
즉, 상기 분할하우징(2, 4)들 간의 결합 부분에 의해 상기 분할하우징(2, 4)들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진 충격이 완화되어 나머지 분할하우징 및 상부하우징(20)으로 전달된다.
상기 분할하우징(2, 4) 내부에는 엘이디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발광부(40)와 상기 발광부(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로서의 전지(30)가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하부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스위치(7)를 온시킴으로써, 상기 발광부(40)로 전력을 공급하여 발광하게 된다.
상기 분할하우징(2, 4) 하부에서 결합되는 마개하우징(6)에는 유에스비(USB)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는 커넥터부(8)가 형성되어, 스마트폰 충전을 위한 유에스비 커넥터를 결합하여 상기 전지(30)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할하우징(2, 4)과 상부하우징(20)은 완충부재(50)를 매개로 하여 상호 결합된다.
상기 완충부재(50)는 상기 하부하우징(10)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재와는 다른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50)를 꽃받침과 같은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화려한 외관을 부여하면서도, 충격완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하부하우징(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어 상기 상부하우징(20)으로 전달되고, 상부하우징(20)에 가해지는 충격 역시 완화되어 하부하우징(10)으로 전달됨으로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부재(50)는 상기 하부하우징(10)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재보다 탄력성이 큰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20)은 전체적으로 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하우징(20)에서 예를 들어 중심부(22)와 상하부(24)는 표면거칠기가 다르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심부(22) 영역은 매끈한 투명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24) 영역은 다소 거친 표면으로 형성되어 뿌연 반투명 외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중심부(22) 부분을 통해서는 상기 발광부(40)로부터의 광이 투명하게 외부로 비치고, 상기 상하부(24)로부터는 뿌연 느낌의 광이 외부로 비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매끈하게 투명한 영역과 거친 표면 영역을 구분하여 형성함으로써, 응원하고자 하는 대상 또는 주제에 따라 상기 발광부(4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다르게 표현되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20)에는 상기 상부하우징(20)의 색깔과는 다른 색깔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강조발광부(28)가 결합된다.
상기 강조발광부(28)는 예를 들어 투명 또는 반투명한 붉은색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상부마개부재(26)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하우징(2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20) 내부에는 상기 발광부(40)로부터 상기 강조발광부(28)로 광을 전달하기 위한 광유도부재(60)가 설치된다.
상기 광유도부재(60)는 광 전달을 위한 광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상기 발광부(40)로부터 상기 강조발광부(28)로 전달되는 광이 상기 광유도부재(60)를 통해 외부로 표현된다.
그리고, 상기 광유도부재(60)를 통해 상기 강조발광부(28)로 전달된 광은 예를 들어 붉은색으로 형성된 상기 강조발광부(28) 부분에서 은은한 붉은색 광으로 표현된다.
또한, 상기 강조발광부(28)는 구의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상부하우징(20)의 수직 중심(V)으로부터 30도 내지 35도 편향되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강조발광부(28)가 은은한 붉은색으로 표현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수직 중심(V)으로부터 편향되게 배치되므로, 상기 강조발광부(28)가 응원대상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때에, 뒷사람의 시야에 노출되는 붉은색 광이 최소화될 수 있어, 타 응원자에게 시각적 피로감이나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20) 내부에는 실리콘재질로써 작은 구슬 형태로 형성되는 광반사입자(70)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응원봉을 파지한 상태에서 흔들 경우 상기 광반사입자(70)들이 상부하우징(20) 내부에서 요동되어 역동적인 광반사 형태를 시각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하부하우징
20: 상부하우징
30: 전력공급부
40: 발광부
50: 완충부재
60: 광유도부재
70: 광반사입자

Claims (7)

  1.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손잡이부의 역할을 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은 복수 개의 하우징들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은 영역 별로 서로 다른 표면거칠기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는 광반사입자들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는 충격흡수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에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색깔과는 다른 색깔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강조발광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강조발광부로 광을 유도하기 위한 광유도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에는 충전지가 수용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에는 유에스비 커넥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구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강조발광부는 상기 구의 중심으로부터 30도 내지 35도 편심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봉.
  6. 삭제
  7. 삭제
KR2020170000110U 2017-01-06 2017-01-06 응원봉 KR200489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10U KR200489048Y1 (ko) 2017-01-06 2017-01-06 응원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10U KR200489048Y1 (ko) 2017-01-06 2017-01-06 응원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77U KR20180002177U (ko) 2018-07-16
KR200489048Y1 true KR200489048Y1 (ko) 2019-04-22

Family

ID=6304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110U KR200489048Y1 (ko) 2017-01-06 2017-01-06 응원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0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8430A (ko) 2022-02-04 2023-08-11 (주)마크원테크놀로지 대화형 아이돌 굿즈, 이를 이용한 음성 서비스 기능을 갖는 대화형 아이돌 굿즈 시스템 및 대화형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118428A (ko) 2022-02-04 2023-08-11 (주)마크원테크놀로지 음성 서비스 기능을 갖는 아이돌 굿즈 및 이를 이용한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860B1 (ko) * 2020-04-10 2023-03-23 주식회사 에버라인 응원봉 및 이를 포함하는 응원 연출 시스템
KR20240011897A (ko) 2022-07-19 2024-01-29 박영 플래시 기기를 이용한 응원도구
KR20240011898A (ko) 2022-07-19 2024-01-29 박영 스마트폰 불빛을 이용한 응원도구
KR102493932B1 (ko) 2022-10-21 2023-02-01 박영 응원도구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0908A1 (en) * 2007-06-27 2010-10-28 Abel Systems Incorporation Fluorescent lamp compatible led illumin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396A (ko) * 2004-02-05 2005-08-10 최병천 발광유희구 및 그 발광유희구를 갖는 막대사탕
KR100827850B1 (ko) * 2006-02-15 2008-05-07 동진전자 주식회사 곤충 발광장치
KR20100012763U (ko) * 2009-06-16 2010-12-24 김학열 응원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0908A1 (en) * 2007-06-27 2010-10-28 Abel Systems Incorporation Fluorescent lamp compatible led illuminat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8430A (ko) 2022-02-04 2023-08-11 (주)마크원테크놀로지 대화형 아이돌 굿즈, 이를 이용한 음성 서비스 기능을 갖는 대화형 아이돌 굿즈 시스템 및 대화형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118428A (ko) 2022-02-04 2023-08-11 (주)마크원테크놀로지 음성 서비스 기능을 갖는 아이돌 굿즈 및 이를 이용한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77U (ko)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048Y1 (ko) 응원봉
JP3186173U (ja) 発光レンズ構造
JP2011238609A (ja) 照明装置
JP6250541B2 (ja) キャンドルライトled電球
RU2431775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TWI439638B (zh) 光罩及具光罩的燈具
JP6798372B2 (ja) 導光体、表示装置及び遊技機
US10436396B2 (en) Artificial candle and its light bulb
EP20680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llumination of levitating bodies
CN104797880B (zh) 具有三维效果的车辆信号装置
JP5330420B2 (ja) Led電球
JP2015193287A (ja) 車両用信号灯具
JP5247592B2 (ja) フットライト
JP5125437B2 (ja) 照明体
JP6101537B2 (ja) 面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エンブレム
US10094970B1 (en) Light-emitting apparatus
JP5575627B2 (ja) 電球型ledランプ
JP2019200316A (ja) 反射部材
JP3135936U (ja) 電子線香器
CN106764946B (zh) 一种led灯
JP5719638B2 (ja) 光源装飾体および照明装置
KR200390684Y1 (ko) 광장식 기능을 갖는 안경
CN209782305U (zh) 照明装置
JP4736600B2 (ja) 万華鏡
JP4849560B2 (ja) 遊技機用照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