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860B1 - 응원봉 및 이를 포함하는 응원 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응원봉 및 이를 포함하는 응원 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860B1
KR102512860B1 KR1020200044278A KR20200044278A KR102512860B1 KR 102512860 B1 KR102512860 B1 KR 102512860B1 KR 1020200044278 A KR1020200044278 A KR 1020200044278A KR 20200044278 A KR20200044278 A KR 20200044278A KR 102512860 B1 KR102512860 B1 KR 102512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eering
rod
pane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6427A (ko
Inventor
박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라인
Priority to KR102020004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860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detecting audible soun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봉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막대 형상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단에 탈착 가능한 스냅 핏(snap-fit) 체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패널부와, 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전달받는 입력부와, 패널부의 구간별로 배치되어 입력부에 전달된 조작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멸하는 복수의 엘이디를 갖는 광원부와, 입력부와 광원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부와, 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응원봉 및 이를 포함하는 응원 연출 시스템{CHEERING ROD AND CHEERING DIREC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각종 공연을 관람하거나 연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응원봉 및 이를 포함하는 응원 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뮤지컬, 연극, 영화, 운동 경기, 음악 경연 프로그램, 콘서트 등을 관람할 때 사람 혹은 단체를 향해 응원하는 팬덤(fandom) 문화가 점차 다양화되면서 최근에는 여러 가지 응원 도구들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진행되는 공연의 특성상, 빛을 발할 수 있는 야광봉, 야광팔찌, 엘이디(LED) 조명이 구비된 응원봉과 머리띠 등의 다양한 응원 도구가 공연을 즐기는 팬덤(이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응원 도구들은 응원을 즐기는 이용자에 의해 자율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관람석 또는 응원석 전체를 미리 설정된 연출 모습으로 표현하기가 사실상 어렵다. 게다가 빛을 내거나 문구를 표시하는 등의 단순한 형식으로는 팬덤의 팬심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응원석 전체를 미리 설정된 모습으로 연출하여 다양한 팬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응원봉 및 이를 포함하는 응원 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봉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막대 형상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단에 탈착 가능한 스냅 핏(snap-fit) 체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패널부와, 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전달받는 입력부와, 패널부의 구간별로 배치되어 입력부에 전달된 조작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멸하는 복수의 엘이디를 갖는 광원부와, 입력부와 광원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부와, 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패널부는 복수의 문자 및/또는 사람의 얼굴 형상이 담긴 이미지가 표시된다.
몸체부는 길이 방향으로 분할된 조립 구조를 갖는 대칭 형상의 제1, 2 케이스와, 제1, 2 케이스의 상단 접합부에 형성되어 패널부의 하단이 삽입되는 슬릿과, 제1, 2 케이스의 상단 외주면에 이격된 상태로 포개지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소켓을 포함한다.
제1, 2 케이스는 상호 접하는 일부 구간마다 요철(凹凸) 구조로 이루어져 직선 결합된다.
제1, 2 케이스의 상단 접합부 양단에는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널부의 밑면을 고정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패널부의 밑면 양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결합돌기와 체결되는 결합편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돌기는 패널부의 밑면이 슬릿에 삽입될 시 결합편과 체결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초기 위치로 탄성 복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돌기는 결합편과 맞닿는 상단면이 하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몸체부의 상단에는 연결소켓과 회전 결합되며 패널부를 감싸는 구 형상의 덮개부가 구비된다.
덮개부는 대칭을 이루는 반원 형상의 제1, 2 커버가 분할된 조립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 2 커버의 접합부는 요철(凹凸) 결합된다.
덮개부는 하단 외주면이 연결소켓과 회전 결합되는 나사산 구조로 이루어진다.
응원봉은 몸체부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센싱부와, 전극부를 통해 위치센싱부 및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위치센싱부로부터 감지된 몸체부의 위치 변화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연산한 후, 그 결과값에 따라 광원부의 엘이디를 선택적으로 점멸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응원봉은 외부 소리(sound)를 감지하는 소리센싱부와, 전극부를 통해 소리센싱부 및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리센싱부로부터 감지된 외부 소리의 세기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연산한 후, 그 결과값에 따라 상기 광원부의 엘이디를 선택적으로 점멸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광원부는 입력부에 전달되는 조작 명령에 의해 소정의 시간동안 발광하는 제1 엘이디와, 제어부에 의해 소정의 시간동안 제1 엘이디와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제2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외부 기기와 페어링(pairing)이 가능한 무선통신 칩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 연출 시스템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제1, 2 엘이디를 가지며, 지정된 구역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외부 기기와 페어링이 가능한 복수의 응원봉과, 네트워크 망을 통해 복수의 응원봉과 페어링될 시, 복수의 응원봉을 각 지정된 구역에서 그룹화 및/또는 개별화하여 제1, 2 엘이디를 선택적으로 점멸 제어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응원봉은 몸체부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센싱부와, 외부 소리(sound)를 감지하는 소리센싱부와, 위치센싱부와 소리센싱부로부터 감지된 센싱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연산한 후, 그 결과값에 따라 상기 제1, 2 엘이디를 동시에 또는 교번 점멸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중앙 서버와 페어링될 시, 중앙 서버의 통제하에 능동 및/또는 수동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원봉은 다양한 형상(인물, 문자 등)의 사진이 담긴 액세서리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택일적 교체가 가능하고, 응원의 분위기에 맞춰 엘이디 조명 표시를 손쉽게 자동 및/또는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응원봉을 포함하는 응원 연출 시스템은 중앙 서버와 응원석에 앉은 사용자의 응원봉이 양방향으로 연결되어, 중앙 서버의 통제하에 응원석 전체를 관리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봉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봉을 정면에서 나타낸 구성 간 작동 관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봉에 있어서, 패널부가 몸체부의 상단에 탈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봉에 있어서, 인물 형상의 이미지가 담긴 패널부의 장착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봉을 측면에서 나타낸 구성 간 조립 관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 연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사용자는 응원봉을 사용하는 사람이고, 이용자는 응원봉을 통해 응원 연출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사용자와 이용자란 용어는 각 상황에 맞게 혼용될 수 있다. 또한, 팬덤은 사전적 의미처럼 가수, 배우, 운동선수 등의 유명인이나 특정 분야를 지나치게 좋아하는 사람 혹은 그 무리라는 의미로 쓰이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및 이용자와 더불어 동일한 의미로 각 상황에 맞게 혼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응원봉(도 1 내지 도 5)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응원봉을 정면에서 나타낸 구성 간 작동 관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응원봉(100)은 기본적으로 응원을 위한 하나의 도구로서, 응원의 분위기에 맞춰 별도의 조명 표시를 자동 및/또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응원봉(100)은 개인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형상의 사진이 담긴 액세서리를 교체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응원봉(100)은 본인이 좋아하는 연예인이나 운동 스타 등의 여러 사진을 취향에 맞게 교체하거나, 원하는 문구 등이 담긴 문자 형상의 액세서리를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응원봉(100)은 크게, 몸체부(100), 패널부(120), 입력부(130), 광원부(140), 전극부(150) 및 전원부(16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외관을 이루는 형태로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제1, 2 케이스(111, 112)와, 슬릿(113)과, 연결소켓(114)을 포함한다.
제1, 2 케이스(111, 112)는 길이 방향으로 분할된 조립 구조를 갖는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2 케이스(111, 112)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다.
슬릿(113)은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12)의 상단 접합부에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슬릿(113)에는 패널부(120)의 밑면이 삽입된다.
연결소켓(114)은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12)의 상단 외주면에 이격된 상태로 포개진다. 즉,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12)의 상단 외주면은 연결소켓(114)과 간격을 둔 상태에서 연결소켓(114)에 감싸진다. 이러한 연결소켓(114)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소켓(114)은 제1, 2 케이스(111, 112)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탈착 가능한 교체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몸체부(100)의 상단에는 연결소켓(114)과 회전 결합되며 패널부(120)를 감싸는 구 형상의 덮개부(116)가 구비된다. 이러한 덮개부(116)의 하단 외주면은 연결소켓(114)과 회전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덮개부(116)는 내장된 패널부(120)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패널부(120)는 복수의 문자 및/또는 사람의 얼굴 형상이 담긴 이미지가 표시된 액세서리로서,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패널부(120)는 몸체부(11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한 스냅 핏(snap-fit) 체결 구조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부(120)는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12)의 접합부 상단에 형성된 슬릿(113)에 삽입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전달받는 스위치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입력부(130)는 몸체부(110)의 외부에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입력부(130)는 하나의 스위치로 보이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입력부(130)는 이러한 스위치의 횟수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기능을 가진 여러 개의 스위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입력부(130)는 하나의 스위치로 기준시간당 누름 횟수로 기능이 다르게 출력될 수도 있다.
가령,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한 번 짧게 누르면, 광원부(140)가 온(On) 되고 다시 한 번 길게 누르면, 광원부(140)가 오프(Off)되는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1초내 2번 이상이 눌릴 경우 발광의 형태가 달라질 수도 있다.
광원부(140)는 패널부(120)의 구간별로 배치되어 입력부(130)에 전달된 조작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멸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부(140)는 소정의 시간동안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제1, 2 엘이디(141, 142)를 포함한다.
전극부(150)는 입력부(130)와 광원부(140)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러한 전극부(150)는 각종 케이블이나 배선을 통합하여 연결하는 회로가 장치된 기판과 이에 연결되는 각종 부품 등을 포괄한다. 이때, 전극부(150)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외부 기기와 페어링이 가능한 무선통신 칩(미도시)이 구비된다.
전원부(160)는 전극부(1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부(160)는 몸체부(110)의 내부 수용 공간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원부(160)는 USB 포트 등의 외부와 연결 가능한 커넥터 포트(미도시)가 구성된 충전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160)가 몸체부(110)의 하단부에 삽입되면, 몸체부(110)의 하단부는 하부캡(117)에 의해 닫히며, 하부캡(117)은 전원부(160)가 외부 기기에 의해 충전 타입으로 이루어질 시, 커넥터 포트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응원봉(100)은 위치센싱부(170), 소리센싱부(180) 및 제어부(19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싱부(170)는 몸체부(11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한다. 이러한 위치센싱부(170)는 자이로 센서(미도시)와 드라이브 모듈(미도시)이 포함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전극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리센싱부(180)는 외부 소리(sound)를 감지한다. 이러한 소리센싱부(180)는 외부 음파에 의해 출력하는 콘덴서 마이크 소자(미도시)와 별도의 증폭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위치센싱부(170)와 소리센싱부(180)가 감지한 센싱값을 전달받아 제어 로직에 의해 캘리브레이션한 후 광원부(140)의 제1, 2 엘이디(141, 142)를 선택적으로 점멸한다.
먼저, 위치센싱부(170)와 제어부(190)가 연결된 제어 로직을 살펴보면, 제어부(190)는 위치센싱부(170)로부터 감지된 몸체부(110)의 위치 변화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연산한 후, 그 결과값에 따라 광원부(140)의 제1, 2 엘이디(141, 142)를 선택적으로 점멸한다. 이때, 기 설정된 기준값은 몸체부(110)의 위치 변화가 제로인 설정에 기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응원봉(100)을 조금이라도 미세하게 흔들면 위치센싱부(170)가 몸체부(11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제어부(190)에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190)는 그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 연산하여 미리 정해진 로직에 의해 광원부(140)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소리센싱부(180)와 제어부(190)가 연결된 제어 로직을 살펴보면, 제어부(190)는 소리센싱부(180)로부터 감지된 외부 소리의 세기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연산한 후, 그 결과값에 따라 광원부(140)의 제1, 2 엘이디(141, 142)를 선택적으로 점멸한다. 이때, 기 설정된 기준값은 몸체부(110) 주변의 음파가 제로인 설정에 기인한다. 따라서, 소리센싱부(180)에 의해 주변의 소리가 조금이라도 미세하게 감지되면, 소리센싱부(180)는 제어부(190)에 감지한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190)는 그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 연산한 후 미리 정해진 로직에 의해 광원부(140)를 출력한다.
위치센싱부(170)와 소리센싱부(180)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한편, 광원부(140)의 제1 엘이디(141)와 제2 엘이디(142)는 사용자에 의해 점멸 로직이 설정될 수 있다. 가령, 제1 엘이디(141)는 입력부(130)에 전달되는 조작 명령에 의해 소정의 시간동안만 발광하고, 제2 엘이디(142)는 제어부(190)에 의해 소정의 시간동안 제1 엘이디(141)와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예가 이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봉에 있어서, 패널부가 몸체부의 상단에 탈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120)는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12) 상단에 형성된 슬릿(113)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패널부(120)를 슬릿(113)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 2 케이스(111, 112)의 상단 접합부 양단에는 슬릿(113)을 사이에 두고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15)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15)는 패널부(120)의 밑면(121)을 고정한다. 여기서, 패널부(120)의 밑면(121) 양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결합돌기(115)와 체결되는 결합편(122)이 형성된다.
결합돌기(115)는 패널부(120)의 밑면(121)이 슬릿(113)에 삽입될 시, 결합편(122)과 스냅 핏(snap-fit) 체결된다. 이때, 결합돌기(115)는 결합편(122)과 체결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다시 초기 위치로 탄성 복원된다.
결합돌기(115)는 결합편(122)과 맞닿는 상단면이 하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패널부(120)의 밑면(121)이 슬릿(113)에 삽입될 때 용이하게 억지 끼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합편(122) 역시 결합돌기(115)와 용이하게 억지 끼움되도록, 결합편(122) 하단면이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봉에 있어서, 인물 형상의 이미지가 담긴 패널부의 장착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응원봉(100)의 패널부(120)는 개인이 좋아하는 인물(연예인, 운동 선수 등)의 형상이 담긴 복수의 액세서리로 이루어져, 몸체부(110)의 상단에 탈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봉을 측면에서 나타낸 구성 간 조립 관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덮개부(116)는 대칭을 이루는 반원 형상의 제1 커버(116a)와 제2 커버(116b)가 분할된 조립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커버(116a)와 제2 커버(116b)의 접합부는 요철(凹凸) 결합된다.
덮개부(116)는 제1 커버(116a)와 제2 커버(116b)가 조립된 상태에서 연결소켓(114)에 삽입되는 상태로 회전 결합된다.
한편,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12)는 상호 접하는 일부 구간마다 요철(凹凸) 구조로 이루어져 직선 결합된다.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12)의 하단부는 전원부(160)를 내장한 상태에서 하부캡(117)이 회전 결합되며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12)의 하단부를 개폐한다.
응원 연출 시스템(도 6)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 연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응원 연출 시스템은 응원봉(100)과 중앙 서버(200)가 네트워크 망을 통해 페어링시켜, 무대 공연을 연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응원봉(100)은 응원석에 앉은 사용자가 네트워크 망을 통해 응원봉(100)을 중앙 서버(200)와 페어링시키면, 중앙 서버(200)의 통제하에 응원봉(100)의 제1, 2 엘이디(141, 142)가 선택적으로 점멸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중앙 서버(200)는 복수의 응원봉(100)과 페어링될 시, 복수의 응원봉(100을 각 지정된 구역에서 그룹화 및/또는 개별화하여 제1 엘이디(141)와 제2 엘이디(142)를 선택적으로 점멸한다.
예컨대, 중앙 서버(20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응원 연출을 위하여 응원석을 세분화한 뒤, 원하는 문구(예: EVERLINE)를 표현하고 싶을 때, 해당 문구가 표현될 수 있는 응원석에 배치된 응원봉(100)을 점등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 그룹은 중앙 서버(200)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각 그룹의 속한 그룹원끼리 소지한 응원봉(100)의 제1, 2 엘이디(141, 142)가 중앙 서버(200)의 통제와 별개로 점등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응원봉(100)은 위치센싱부(170), 소리센싱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며, 이 구성들의 설명은 전술하였으며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그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190)는 위치센싱부(170)와 소리센싱부(180)로부터 감지된 센싱값을 제어 로직에 따라 캘리브레이션하여 제1, 2 엘이디(141, 142)를 동시에 또는 교번 점멸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90)는 중앙 서버(200)와 페어링될 시, 중앙 서버(200)의 통제하에 능동 및/또는 수동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각 응원석에 앉은 사용자는 중앙 서버(200)의 통제하에 응원봉(100)이 빛나게 하거나, 자체적으로 응원봉(100)을 흔들 때 자동 및/또는 수동으로 제1, 2 엘이디(141, 142)의 점등 형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 서버(200)의 통제하에 응원봉(100)의 제1 엘이디(141)가 빨간색으로 점등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도 1의 130)를 눌러 수동으로 제1 엘이디(141)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외부의 움직임 또는 소리에 의해 자동으로 제2 엘이디(142)가 제1 엘이디(141)와 다른 파란색으로 점등되는 방식이 이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응원봉 110: 몸체부
111: 제1 케이스 112: 제2 케이스
113: 슬릿 114: 연결소켓
115: 결합돌기 116: 덮개부
116a: 제1 커버 116b: 제2 커버
117: 하부캡 120: 패널부
121: 밑면 122: 결합편
130: 입력부 140: 광원부
141: 제1 엘이디 142: 제2 엘이디
150: 전극부 160: 전원부
170: 위치센싱부 180: 소리센싱부
190: 제어부 200: 중앙 서버

Claims (15)

  1.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막대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탈착 가능한 스냅 핏(snap-fit) 체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패널부;
    상기 패널부를 감싼 채로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구 형상의 덮개부;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전달받는 하나의 스위치로서 기능하고, 기준시간당 누름 횟수로 복수의 기능이 출력되도록 하는 입력부;
    상기 패널부의 구간별로 배치되어 상기 입력부에 전달된 조작 명령, 상기 몸체부의 위치 변화 및 외부 소리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점멸하거나, 서로 다른 점등 방식으로 발광하되 점등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제1, 2 엘이디를 갖는 광원부;
    상기 입력부와 상기 광원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대칭을 이루는 반원 형상의 제1, 2 커버가 분할된 조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2 커버는 상호 요철(凹凸) 결합되되, 해당 결합부의 상단 일부분은 상기 제1, 2 커버가 결합될 시, 상기 제1, 2 커버의 분할된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채 틈을 유지하는 것인 응원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복수의 문자 및/또는 사람의 얼굴 형상이 담긴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인 응원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길이 방향으로 분할된 조립 구조를 갖는 대칭 형상의 제1, 2 케이스;
    상기 제1, 2 케이스의 상단 접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부의 밑면이 삽입되는 슬릿; 및
    상기 제1, 2 케이스의 상단 외주면에 이격된 상태로 포개지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는 것인 응원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케이스는
    상호 접하는 일부 구간마다 요철(凹凸) 구조로 이루어져 직선 결합되는 것인 응원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케이스의 상단 접합부 양단에는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널부의 밑면을 고정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패널부의 밑면 양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체결되는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패널부의 밑면이 상기 슬릿에 삽입될 시, 상기 결합편과 체결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초기 위치로 탄성 복원되는 것인 응원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편과 맞닿는 상단면이 하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인 응원봉.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덮개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덮개부와 회전 결합되는 것인 응원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수용 공간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 기기와 연결 가능한 커넥터 포트를 구비하는 것인 응원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해진 횟수 이상이 눌릴 경우 발광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인 응원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센싱부와,
    상기 전극부를 통해 상기 위치센싱부 및 상기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위치센싱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몸체부의 위치 변화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연산한 후, 그 결과값에 따라 상기 제1, 2 엘이디를 선택적으로 점멸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응원봉.
  11.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소리(sound)를 감지하는 소리센싱부와,
    상기 전극부를 통해 상기 소리센싱부 및 상기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소리센싱부로부터 감지된 외부 소리의 세기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연산한 후, 그 결과값에 따라 상기 제1, 2 엘이디를 선택적으로 점멸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응원봉.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외부 기기와 페어링(pairing)이 가능한 무선통신 칩이 구비되는 것인 응원봉.
  13. 지정된 구역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외부 기기와 페어링이 가능한 복수의 응원봉과,
    네트워크 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응원봉과 페어링될 시, 상기 복수의 응원봉을 각 지정된 구역에서 그룹화 및/또는 개별화 제어가 가능한 중앙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응원봉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탈착 가능한 스냅 핏(Snap-fit) 체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패널부;
    상기 패널부를 감싼 채로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구 형상의 덮개부;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전달받는 하나의 스위치로서 기능하고, 기준시간당 누름 횟수로 복수의 기능이 출력되도록 하는 입력부; 및
    상기 몸체부의 구간별로 배치되어 상기 입력부에 전달된 조작 명령, 상기 몸체부의 위치 변화 및 외부 소리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점멸하거나, 서로 다른 점등 방식으로 발광하되 점등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제1, 2 엘이디를 갖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대칭을 이루는 반원 형상의 제1, 2 커버가 분할된 조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2 커버는 상호 요철(凹凸) 결합되되, 해당 결합부의 상단 일부분은 상기 제1, 2 커버가 결합될 시, 상기 제1, 2 커버의 분할된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채 틈을 유지하는 것인 응원 연출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봉은
    몸체부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센싱부;
    외부 소리(sound)를 감지하는 소리센싱부; 및
    상기 위치센싱부와 상기 소리센싱부로부터 감지된 센싱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연산한 후, 그 결과값에 따라 상기 제1, 2 엘이디를 동시에 또는 교번 점멸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 서버와 페어링될 시, 상기 중앙 서버의 통제하에 능동 및/또는 수동 제어되는 것인 응원 연출 시스템.
  15. 삭제
KR1020200044278A 2020-04-10 2020-04-10 응원봉 및 이를 포함하는 응원 연출 시스템 KR102512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278A KR102512860B1 (ko) 2020-04-10 2020-04-10 응원봉 및 이를 포함하는 응원 연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278A KR102512860B1 (ko) 2020-04-10 2020-04-10 응원봉 및 이를 포함하는 응원 연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427A KR20210126427A (ko) 2021-10-20
KR102512860B1 true KR102512860B1 (ko) 2023-03-23

Family

ID=7826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278A KR102512860B1 (ko) 2020-04-10 2020-04-10 응원봉 및 이를 포함하는 응원 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620B1 (ko) * 2022-07-04 2023-10-12 주식회사 하이브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응원봉 제어 시스템 및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를 통한 응원봉 제어 방법
KR102660527B1 (ko) 2023-06-22 2024-04-24 주식회사 팬라이트 외부에서 출력 중인 음원에 적합한 발광을 수행하는 발광 장치 및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 장치
KR20240018535A (ko) 2024-01-23 2024-02-13 주식회사 팬라이트 발광 장치 및 그의 작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09674U1 (de) * 1998-05-29 1998-08-13 Sieper Werke Gmbh Spiel- und/oder Modellfahrzeug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7598B2 (en) * 2005-06-07 2007-09-11 Connector Set Limited Partnership Interfacings between block type and rod and connector type construction toy sets
KR101921241B1 (ko) * 2017-01-03 2018-11-22 주식회사 팬라이트 발광 응원 도구 및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
KR200489048Y1 (ko) * 2017-01-06 2019-04-22 김환중 응원봉
KR20190111486A (ko) * 2018-03-23 2019-10-02 최귀현 응원도구
KR20190111485A (ko) * 2018-03-23 2019-10-02 최귀현 응원시스템
KR102305581B1 (ko) * 2018-08-09 2021-09-27 박덕선 공연 정보와 연동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09674U1 (de) * 1998-05-29 1998-08-13 Sieper Werke Gmbh Spiel- und/oder Modell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427A (ko)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860B1 (ko) 응원봉 및 이를 포함하는 응원 연출 시스템
US20140091719A1 (en) Christmas string light control system and string light device thereof
KR101795717B1 (ko) 스틱형 발광 장치
US11156345B2 (en) Wreath decoration system
US10751637B1 (en) Wearable and illuminating wings
US8376565B2 (en) Illuminated glove having an inner and an outer glove
TWI525293B (zh) Light emitting device
US20140218926A1 (en) Illuminated Light Effect Ornament
US9693597B2 (en) Shoe with sound and light device
CN210076873U (zh) 智能化妆镜
KR200490197Y1 (ko) 스트랩 발광기
US10900494B2 (en) Adaptable sport cover for interior and exterior features
KR102002353B1 (ko) 실시간 날씨정보 기반 조명 및 음향제어 시스템
CN202349628U (zh) 感应光纤灯
KR20170027910A (ko)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CN2937806Y (zh) 儿童助眠玩具灯
JP2018181498A (ja) 照明器具
CN209019516U (zh) 多功能熏香机
JP3226804U (ja) 照明器具
US20230144816A1 (en) Multi-Colored Night Light with Sound Output Imitating Breathing Pattern Cadence
JP3145518U (ja) 帽子
CN209019517U (zh) 多功能熏香机
CN219872601U (zh) 播放设备
KR101434998B1 (ko) 조명기능을 가지는 가구 및 조명기능과 음향기능을 가지는 가구세트
US11168868B2 (en) Dec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