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910A -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910A
KR20170027910A KR1020150124147A KR20150124147A KR20170027910A KR 20170027910 A KR20170027910 A KR 20170027910A KR 1020150124147 A KR1020150124147 A KR 1020150124147A KR 20150124147 A KR20150124147 A KR 20150124147A KR 20170027910 A KR20170027910 A KR 20170027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motion
illumination
beac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아
Original Assignee
신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아 filed Critical 신정아
Priority to KR1020150124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7910A/ko
Publication of KR20170027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7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8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certain areas located on the lighting device, e.g. a touch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9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a change in orientation, a movement or an accel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e.g. a tilt switch
    • H05B33/0833
    • H05B33/0845
    • H05B33/0857
    • H05B37/023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명기기를 블루투스 신호로 제어하여 색상과 밝기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을 고취시킬 수 있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행사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각각의 조명기기에서 발생하는 빛의 변화가 동기되거나 서로 다른 각각의 조명기기에서 발생하는 빛이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Emotional Illumination System Using Bluetooth Signal}
본 발명은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명기기를 블루투스 신호로 제어하여 색상과 밝기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을 고취시킬 수 있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모여서 행사를 하는 곳에서 어떠한 조명을 사용하는지는 매우 중요하다. 조명의 특성이나 변화에 따라서 사용자의 감성이 고취되고 행사에 대한 관심이나 집중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조명은 건물의 실내나 구조물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그 상태에서 점멸되거나 밝기나 색상이 조절된다.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명으로는 휴대용 플래시나 모바일 기기에 사진 촬영용으로 설치된 조명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명은 통상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고 공연과 같은 행사의 참여자들이 집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용도는 아니다.
종래에 음악 공연장에서는 주로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조명기기가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조명기기는 배터리와 LED 램프 및 이 LED 램프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로 이루어진다. 구동회로에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LED 램프가 점멸되거나 LED 램프에서 발광하는 빛의 색상이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들은 음악 공연장에서 이와 같은 휴대용 조명기기를 손에 들고 흔들면서 공연을 즐기는 용도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조명기기는 표현할 수 있는 빛의 변화에 한계가 있고, 제품마다 각각 다른 방법이나 순서로 LED 램프를 점멸시키거나 빛의 색상을 변화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조명기기는 공연장에서 관객들이 연주자를 응원하면서 공연을 즐기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을 주기는 하나 전체적으로 공연장을 산만하게 만들고 관객의 집중을 방해하는 단점도 있다.
행사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각각 휴대하는 조명기기들이 서로 동기되어 동시에 점멸되거나 일관된 순서에 따라 점멸되거나 변화한다면, 행사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의 흥미를 향상시키고 행사에 대한 집중도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행사에 참여한 사용자들의 휴대용 조명기기가 카드섹션(card section)이나 매스게임(mass game)과 같이 서로 조화되는 빛의 변화를 발생시키면 행상장의 분위기를 고취시키고 참여자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행사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각각의 조명기기에서 발생하는 빛의 변화가 동기되거나 서로 다른 각각의 조명기기에서 발생하는 빛이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은, 빛을 발광하는 구성된 단말 조명부와, 상기 단말 조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신호를 블루투스 신호로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와, 상기 단말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 조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와, 상기 단말 조명부와 단말 통신부 및 단말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각각 구비하고,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감성 단말기; 상기 복수의 감성 단말기의 단말 조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블루투스 신호의 형태로 상기 복수의 감성 단말기로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 및 상기 비콘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비콘이 상기 감성 단말기로 송신할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상기 비콘으로 송신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은, 행사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조명기기가 서로 동기되어 점멸하거나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빛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을 고취하고 행상장의 분위기를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의 감성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이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의 감성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은 복수의 감성 단말기(100)와 복수의 비콘(200; beacon)과 제어 유닛(300)과 마이크로 폰(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성 단말기(100)는 단말 조명부(110)와 단말 통신부(120)와 단말 제어부(130)와 배터리(140)와 PPG 센서(151)와 SKT 센서(153)와 GSR 센서(155)와 가속도 센서(161)와 자이로 센서(162)를 구비한다.
단말 조명부(110)는 복수의 LED 램프(111, 112, 113)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말 조명부(110)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각 적색(R), 녹색(G), 청색(B)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3개의 LED 램프(111, 112, 11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3개의 LED 램프(111, 112, 113)를 점멸시키거나 각 LED 램프(111, 112, 113)의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단말 조명부(110)에서 발생하는 빛의 색상과 밝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LED 램프들이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배열되도록 단말 조명부를 구성하여 더욱 다양한 조명의 변화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LED 램프만을 구비하는 단말 조명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단말 통신부(120)는 비콘(200)에서 송신하는 조명 제어 신호를 블루투스 신호의 형태로 수신한다. 조명 제어 신호는 단말 조명부(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즉, 단말 조명부(110)의 LED 램프들(111, 112, 113)의 점멸이나 밝기를 조절하는 명령이 조명 제어 신호의 형태로 수신된다.
단말 제어부(130)는 단말 통신부(120)로부터 조명 제어 신호를 전달 받아 단말 조명부(110)의 각 LED 램프(111, 112, 113)의 작동을 제어한다.
조명 제어 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조명부(110)의 각 LED 램프(111, 112, 113)의 점멸과 밝기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명령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단말 조명부(110)에서 발생할 빛의 색상과 밝기를 지정하는 명령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단말 조명부(110)의 각 LED 램프(111, 112, 113)의 점멸과 밝기를 조합하여 조명 제어 신호가 지정하는 색상과 밝기가 되도록 단말 제어부(130)가 자신에게 연결된 단말 조명부(110)의 특성에 맞추어 단말 조명부(11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각각의 감성 단말기(100)가 구비하는 LED 램프(111, 112, 113)의 특성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이와 같이 각 감성 단말기(100)의 단말 제어부(130)가 자신의 특성에 맞게 LED 램프(111, 112, 113)를 제어하면 감성 단말기들(100) 사이의 빛의 특성의 차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PPG 센서(151)는 광전용적맥파 센서(Photoplethysmography Sensor)이고, SKT 센서(153)는 피부 온도 센서(Skin Temperature Sensor)이고, GSR 센서(155)는 피부전기반응 센서(Galvanic Skin Response Sensor)이다.
PPG 센서(151)는 사람의 인체 피부로 광원이 투과되어 피부를 투과하는 빛의 강도를 통해 혈관의 이완 및 수축 정도를 측정한다. 사용자의 피부에 발광부와 광검출기를 부착하여 피부를 투과하는 빛의 강도를 측정하면 광검출기의 출력에 나타나는 신호는 심장 박동 주기에 따라 요동하는데, PPG 센서(151)는 수축기에 조직에서 빛의 감쇠가 증가하여 신호가 감소하고 이완기에 증가하는 광전용적맥파 신호를 측정한다. PPG 센서(151)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혈관의 이완 및 수축의 정도를 생체 신호로서 측정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는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SKT 센서(153)는 사용자의 피부 온도를 측정한다.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피부 온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는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GSR 센서(155)는 사용자의 피부 전기 저항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사용자의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의 길항 작용에 따른 땀샘의 활동을 전기 저항 값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가속도 센서(161)와 자이로 센서(162)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활동량이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PPG 센서(151), SKT 센서(153), GSR 센서(155), 가속도 센서(161) 및 자이로 센서(162)에서 측정된 값은 단말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단말 제어부(130)는 각각의 센서에서 수신된 값을 감정 정보(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단말 통신부(120)를 통해 블루투스 신호의 형태로 외부로 송신한다. 이때, 단말 제어부(130)는 각각의 센서에서 수신된 값 자체를 감정 정보로서 외부로 송신할 수도 있고, 각각의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종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한 결과값을 감정 정보로서 송신할 수도 있다. 단말 제어부(130)는, 감성 단말기(100)에 설치된 센서들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흥분 상태나 감정 상태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감정 정보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터리(140)는 단말 조명부(110)와 단말 통신부(120)와 단말 제어부(130)와 PPG 센서(151)와 SKT 센서(153)와 GSR 센서(155)와 자이로 센서(162)와 가속도 센서(161)에 각각 전력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감성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흔들 수 있는 형태로 감성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경우에는 사용자의 손바닥과 접촉하는 손잡이 부분에 PPG 센서(151), SKT 센서(153), GSR 센서(155)가 설치될 수 있다. 시계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거나 장갑과 같이 사용자의 손에 착용하는 형태의 감성 단말기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감성 단말기(100)는 행사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구입하도록 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게 무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판촉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감성 단말기(100)가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포함된 상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비콘(200)은 감성 단말기(100)가 블루투스 신호의 형태로 송신하는 감정 정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후술하는 제어 유닛(300)으로 전달한다. 비콘(200)은 조명 제어 신호를 제어 유닛(300)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블루투스 신호의 형태로 송신한다. 비콘(200)에서 송신하는 블루투스 신호의 도달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감성 단말기들(100)은 해당 비콘(200)이 송신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비콘(200)은 제어 유닛(300)이 송신하는 조명 제어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다. 비콘(200)은 제어 유닛(300)과 유선 네크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고 무선 네크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WiFi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유닛(300)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40)를 구비하는 구조로 비콘(200)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비콘(200)의 경우 행사장이나 건물의 내부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비콘들(200)은 건물의 내부나 행사장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비콘만을 구비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복수의 비콘(200)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의 비콘들(200)을 복수의 비콘 그룹(210, 220, 230)으로 나누어 작동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비콘들(200)이 설치된 영역을 복수의 영역을 분할하고, 동일한 영역에 속하는 비콘들(200)은 동일한 비콘 그룹(210, 220, 230)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3을 참조하면, 3개의 비콘 그룹(210, 220, 230)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행사장이 분할된다. 이와 같이 비콘 그룹(210, 220, 230)에 대응하는 영역을 분할하는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통상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을 운용하는 운영자가 원하는 기준에 따라 비콘 그룹(210, 220, 230)에 대응하는 영역이 정해진다.
제어 유닛(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비콘들(20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제어 유닛(300)은 비콘들(200)로부터 감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조명 제어 신호를 각 비콘들(200)로 송신한다. 비콘들(200)은 다시 그 조명 제어 신호를 블루투스 신호의 형태로 감성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어 유닛(300)은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저장된 조명 제어 신호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송신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실시간으로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제어 유닛(300)은 비콘들(200)로부터 수신한 감성 단말기(300) 사용자들의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들의 흥분 정도나 환희, 슬픔, 기쁨, 분도 등의 감정 상태를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거나 추측한 후, 그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유닛(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비콘 그룹(210, 220, 230)으로 분류된 비콘들(200)에 대하여 각 비콘 그룹(210, 220, 230)마다 다른 조명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일 비콘 그룹(210, 220, 230)에 속하는 비콘들(200)은 동일한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신호로 송신하지만, 속하는 비콘 그룹(210, 220, 230)이 다른 비콘들(200)은 다른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신호로 송신하게 된다.
감성 단말기(100)가 2개 이상의 비콘 그룹(210, 220, 230)과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2종류의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단말 제어부(130)는, 단말 통신부(120)에 더 강한 세기로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를 송신한 비콘(200)의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단말 조명부(110)를 제어한다. 비콘(200)과 감성 단말기(1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블루투스 신호가 더 강하게 수신되므로, 감성 단말기(100)와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한 비콘(200)의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단말 제어부(130)가 단말 조명부(11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어 유닛(300)은 마이크로 폰(400)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비콘들(200)로 송신한다. 마이크로 폰(400)은 주위의 소리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그 전기적 신호를 제어 유닛(300)으로 전달한다. 마이크로 폰(400)은 감성 단말기(100)를 휴대하는 사용자들이 참여한 행사가 열리는 곳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음악 공연이 열리는 공연장(500)의 경우 무대(501) 위의 연주자들과 가까운 곳에 마이크로 폰(400)이 설치되어, 연주되는 음악의 소리를 감지한다.
마이크로 폰(400)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공연장(500)의 음악 소리의 음량의 변화와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감성 단말기(100)에서 발광하는 빛의 색상과 밝기가 변하도록 제어 유닛(300)은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드럼 박자에 따라 감성 단말기(100)의 LED 램프들(111, 112, 113)을 점멸시키거나 밝기를 증감시키도록 제어 유닛(300)이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공연장(500)의 음악 소리의 음의 높낮이(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감성 단말기(100)의 단말 조명부(110)에서 발생하는 빛의 색이 변하도록 제어 유닛(300)이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3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각 비콘 그룹(210, 220, 230) 별로 다른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어느 비콘 그룹(210, 220, 230)의 감성 단말기(100)의 단말 조명부(110)는 꺼지고 다른 비콘 그룹(210, 220, 230)의 감성 단말기(100)의 단말 조명부(110)는 켜지게 할 수 있다. 비콘 그룹(210, 220, 230)과 조명 제어 신호를 다양하게 구성하면 관객석에 카드 섹션이 벌어지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무대(501) 위에 설치된 조명뿐만 아니라 관객석의 감성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빛을 영역별로 변화시킴으로써 공연장(500)의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도 3을 주로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이 실내 공연장(500)에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음악이 연주되는 무대(501)의 상측에 마이크로 폰(400)이 설치된다. 마이크로 폰(400)은 제어 유닛(300)과 연결된다. 관객석의 천정(502)에는 복수의 비콘(200)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무대(501)에 가까운 순서로 3개의 비콘(200)이 각각 하나의 비콘 그룹(210, 220, 230)을 구성하도록 설정된다. 관객들은 각각 감성 단말기(100)를 휴대하고 객석에 앉아 공연을 감상하고 있다. 편의상 관객들과 무대(501) 위의 악기 및 연주자는 도 3에 도시하지 않았다.
무대(501) 위에서 연주되는 음악의 소리를 마이크로 폰(400)이 감지하여 제어 유닛(300)으로 전달한다. 제어 유닛(300)은 음악의 박자와 음이 높낮이에 따라 변화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각 비콘들(200)로 송신한다. 이때 제어 유닛(300)은 각 비콘 그룹(210, 220, 230)마다 다른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비콘들(200)은 제어 유닛(300)에서 수신한 조명 제어 신호를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감성 단말기(100)의 단말 통신부(120)는 수신한 블루투스 신호를 단말 제어부(130)로 송신한다. 감성 단말기(100)가 서로 다른 비콘(200)에서 서로 다른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단말 제어부(130)는 그 중 강한 신호로 수신된 조명 제어 신호를 선택하여 단말 조명부(110)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감성 단말기(100)에 더 가까운 위치의 비콘(200)이 송신하는 조명 제어 신호를 구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동일한 비콘 그룹(210, 220, 230)의 영역 내에 위치한 감성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조명을 서로 동기시킬 수 있다. 종래의 휴대용 조명 장치와 같이 제각각 조명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특정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감성 단말기(100)는 동일하게 작동하게 함으로써 공연장(500)의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고 관객의 감성을 더욱 자극할 수 있다. 또한, 비콘 그룹(210, 220, 230)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마다 감성 단말기(100)가 집단적으로 서로 다르게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연장(500)의 분위기를 더욱 다양하게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무대(501) 위의 연주자들뿐만 아니라 관객도 공연에 참여하는 분위기를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객석의 조명을 실시간으로 변화시키고 음악의 흐름에 대응하도록 객석에서 발생하는 빛이 변화하도록 함으로써 객석도 무대(501)의 일부분이 된 듯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비콘(200)을 통해 수신한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그 감정 상태에 호응하거나 그 감정 상태를 사용자의 감성 단말기(100)를 통해 조명으로 표현할 수 있는 조명 제어 신호를 제어 유닛(300)에서 송신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어울리는 조명이 감성 단말기(100)를 통해 표출되므로 사용자들은 행사에 더욱 집중할 수 있고 만족감을 갖게 된다.
한편, 관객이 감성 단말기(100)를 휴대한 채 다른 비콘 그룹(210, 220, 230)이 속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더라도 감성 단말기(100)는 자동으로 자신이 위치하는 영역의 다른 감성 단말기(100)와 동일한 작동을 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휴대폰과 같은 자신의 모바일 기기와 감성 단말기(100)를 패어링한 경우에는 그 모바일 기기를 통해 행사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모바일 기기의 표시부를 통해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300)에서 조명 제어 신호 외에 추가로 행사와 관련된 정보(예컨대, 현재 연주되고 있는 곡의 명칭)를 송신하는 경우, 그 정보는 비콘(200)으로부터 모바일 기기에 바로 전달되거나 감성 단말기(100)를 거쳐서 모바일 기기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기기와 감성 단말기(100)를 페어링하면서 모바일 기기를 통해 동의한 경우, 모바일 기기의 이동 통신 전화 번호,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SNS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 유닛(300)으로 송신하고 제어 유닛(300)은 연주곡의 명칭이나 행사와 관련된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문자 메시지나 SNS 메시지 또는 이메일로 직접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감성 단말기(100)를 통해 비콘(200)으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동안은 그 감성 단말기(100)를 휴대하는 사용자 역시 행사장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사실이 확인되는 동안에 한해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행사와 관련된 정보를 제어 유닛(300)에서 송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복수의 비콘들(200)은 복수의 비콘 그룹(210, 220, 230)으로 나누어져서 작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비콘 그룹으로 나뉘지 않고 모든 비콘이 동일하게 작동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비콘만을 구비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마이크로 폰(400)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였으나, 마이크로 폰이 없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 유닛은 운영자에 의해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저장된 조명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감성 단말기들을 작동시킨다.
또한, 앞에서 단말 조명부(110)는 LED 램프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백라이트를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OLED 디스플레이 형태의 단말 조명부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감성 단말기(100)는, PPG 센서(151), SKT 센서(153), GSR 센서(155), 자이로 센서(162), 가속도 센서(161)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들 센서 중 일부만을 구비하는 감성 단말기를 사용하거나 이와 같은 센서들을 구비하지 않는 감성 단말기를 사용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감성 단말기 110: 단말 조명부
111, 112, 113: LED 램프 120: 단말 통신부
130: 단말 제어부 140: 배터리
151: PPG 센서 153: SKT 센서
155: GSR 센서 161: 가속도 센서
162: 자이로 센서 200: 비콘
210, 220, 230: 비콘 그룹 300: 제어 유닛
400: 마이크로 폰 500: 공연장
501: 무대 502: 천정

Claims (11)

  1. 빛을 발광하는 단말 조명부와, 상기 단말 조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신호를 블루투스 신호로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와, 상기 단말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 조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와, 상기 단말 조명부와 단말 통신부 및 단말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각각 구비하고,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감성 단말기;
    상기 복수의 감성 단말기의 단말 조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블루투스 신호의 형태로 상기 복수의 감성 단말기로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 및
    상기 비콘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비콘이 상기 감성 단말기로 송신할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상기 비콘으로 송신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단말기의 단말 조명부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LED 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성 단말기의 단말 조명부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상과 밝기를 조절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상기 비콘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단말기의 단말 제어부는,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색상과 밝기로 발광하도록 상기 단말 조명부의 각 LED 램프의 점멸과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은 복수개 마련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상기 복수의 비콘을 복수의 비콘 그룹으로 나누어 각 비콘 그룹마다 다른 조명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비콘으로부터 상기 조명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감성 단말기의 단말 제어부는 상기 단말 통신부에 더 강한 세기로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를 송신한 상기 비콘의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 조명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들이 설치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비콘들 중 동일 영역에 속하는 비콘들을 동일 비콘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주위의 소리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마이크로 폰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크로 폰에서 수신된 소리의 음량의 변화와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감성 단말기의 단말 조명부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상 또는 밝기가 변하도록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비콘들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콘들은 공연장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공연장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동일 영역에 설치된 비콘들은 동일 비콘 그룹으로 분류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공연장에서 재생되는 음향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상기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마이크로 폰으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통해 파악한 상기 음향의 박자와 주파수에 따라 변하는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각 비콘 그룹의 상기 비콘들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주위의 소리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마이크로 폰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크로 폰에서 수신된 소리의 음량의 변화와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감성 단말기의 단말 조명부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상 또는 밝기가 변하도록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비콘들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성 단말기는, 그 감성 단말기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광전용적맥파(PPG)를 감지하는 PPG 센서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피부온도(SKT)를 감지하는 SKT 센서와 및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피부전기반응(GSR)을 감지하는 GSR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감성 단말기의 단말 제어부는, 상기 PPG 센서와 SKT 센서와 GSR 센서가 각각 측정한 값을 전달 받아 감정 정보로서 상기 단말 통신부로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감성 단말기의 단말 통신부는, 상기 단말 제어부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감정 정보를 블루투스 신호로 송신하고,
    상기 비콘은, 상기 복수의 감성 단말기가 송신하는 상기 감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유닛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정 정보의 변화를 반영하여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비콘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성 단말기는,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감성 단말기의 단말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가 각각 감지한 값을 전달 받아 상기 감정 정보로서 상기 단말 통신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KR1020150124147A 2015-09-02 2015-09-02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KR20170027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147A KR20170027910A (ko) 2015-09-02 2015-09-02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147A KR20170027910A (ko) 2015-09-02 2015-09-02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910A true KR20170027910A (ko) 2017-03-13

Family

ID=5841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147A KR20170027910A (ko) 2015-09-02 2015-09-02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79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8883A1 (en) * 2017-09-11 2019-03-14 Fantastec Sports Technology Ltd PORTABLE DEVICE FOR THE EXPRESSION OF COLLECTIVE EMOTIONS
WO2019132094A1 (ko) * 2017-12-27 2019-07-04 파워실리콘(주) 컬러led를 이용한 공간감성조명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8883A1 (en) * 2017-09-11 2019-03-14 Fantastec Sports Technology Ltd PORTABLE DEVICE FOR THE EXPRESSION OF COLLECTIVE EMOTIONS
WO2019132094A1 (ko) * 2017-12-27 2019-07-04 파워실리콘(주) 컬러led를 이용한 공간감성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953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4285247B (zh) 用于交互式电子设备的照明应用
US102646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KR101353195B1 (ko)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CN107439056B (zh) 照明控制装置
WO2016192294A1 (zh) 按摩指示仪和按摩指示方法
CN105917160B (zh) 发光装置
JP2015060828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US8506107B2 (en) Movement-based feedback device
TW201738840A (zh) 情緒交互裝置及方法
KR20180110472A (ko) IoT기반 입체 감성조명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8477986B1 (en) Audience participation gloves
KR20170027910A (ko)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JP6268482B2 (ja) 照明システム
KR101663911B1 (ko) 스마트 감정조명장치
US11959627B2 (en) Night light with sound output, and power stand
KR20100045878A (ko) 감성 조명 시스템 및 방법
JP5458268B2 (ja) 脳波スイッチ制御装置とその方法
WO2015172353A1 (zh) 具有可调节发光阵列的智能可穿戴设备
KR20110037038A (ko) 조명 장치
JP2017091840A (ja) 灯具システム及び灯具
JP2021509072A (ja) 肌照明デバイス
US11920771B2 (en) Multi-colored night light with sound output imitating breathing pattern cadence
US20210113805A1 (en) Lighting device with circadian rhythm based feedback control
CN216394036U (zh) 交互感应装置及交互感应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