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444Y1 - 대형 간판 - Google Patents

대형 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444Y1
KR200488444Y1 KR2020180002518U KR20180002518U KR200488444Y1 KR 200488444 Y1 KR200488444 Y1 KR 200488444Y1 KR 2020180002518 U KR2020180002518 U KR 2020180002518U KR 20180002518 U KR20180002518 U KR 20180002518U KR 200488444 Y1 KR200488444 Y1 KR 200488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housing
signboard
acrylic plat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형우
Original Assignee
류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형우 filed Critical 류형우
Priority to KR2020180002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4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4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09F2013/044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간판은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 및 제4측면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부착된 아크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과 제2 측면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1 측면과 제2측면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면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제3 측면의 상부에는 서로 길이가 다른 다수의 돌기가 번갈아 부착되고, 상기 돌기 중 하나 또는 두개는 상기 제3 측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나사공이 형성된 다른 부분보다 넓게 형성된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에는 결합나사가 체결되어 하우징과 아크릴판을 고정하고,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의 외측면에는 나사공이 형성된 체결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형 간판 {LARGE SIGNBOARD}
본 고안은 대형 간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간판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대형 간판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외벽이가 건축물에는 대형 간판이 부착되는 경우가 많다.
대형 간판은 철제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LED나 형광등과 같은 조명등을 장착하고, 투명수지로 마감을 하여 제작을 한다.
하지만, 이런 대형 간판은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제작 후 이동을 하거나 건물에 부착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대형 간판의 경우, 간판 프레임에 글씨를 새기는 것이 아니라 글씨 자체가 간판이기 때문에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동 및 작업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아파트 벽면에 부착된 대형 간판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같이 대형 간판을 일체로 제작하는 경우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 간판을 분리하여 제작한 후 결합하는 경우 결합 부위에 그림자가 생겨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대형 간판은 일체로 제작되어 부착된다.
즉, 대형 간판의 경우 분리 제작하고, 각 분리된 간판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동이나 부착 등 여러 장점이 있으나, 그림자가 생겨 간판 본연의 기능을 훼손 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
공개특허공보 10-2015-0110066, 엘이디노출식 간판 (공개일 :2015.10.02)
본 고안은 복수의 간판을 연결할 경우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대형 간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간판은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 및 제4측면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부착된 아크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과 제2 측면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1 측면과 제2측면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면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제3 측면의 상부에는 서로 길이가 다른 다수의 돌기가 번갈아 부착되고, 상기 돌기 중 하나 또는 두개는 상기 제3 측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나사공이 형성된 다른 부분보다 넓게 형성된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에는 결합나사가 체결되어 하우징과 아크릴판을 고정하고,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의 외측면에는 나사공이 형성된 체결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판은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는 돌출 길이가 가장 짧은 제1 돌기, 상기 제1 돌기보다 돌출 길이가 긴 제2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보다 돌출 길이가 긴 제3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돌기 및 제2 돌기의 폭은 1mm 이고, 상기 제3돌기는 상기 제3측면이 인접한 영역에서 8mm의 폭을 가지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어 1mm의 폭을 가지는 제2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복수의 간판을 연결시에도 그림자가 생기지 않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간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간판의 제작, 이동 , 및 부착시 업무 효율을 획기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돌기를 형성하여 아크릴판이 수축되는 경우에도 아크릴판이 함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형 간판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간판의 분할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 간판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 간판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례에 따른 대형 간판의 연결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간판의 분할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 간판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 간판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대형 간판은 크기가 매우 커서 일체로 제작하는 경우 이동 및 부착에 어려움이 많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형 간판을 분할 제작하고 분할 제작된 간판을 연결하는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2에서는 대형 간판을 4개 영역으로 분할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간판이 크기나 작업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분할 개수 및 분할 부분을 자유롭게 변경가능하다.
도 2는 분할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과 도4는 도 2의 B 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간판은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110)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제1측면(120), 제2측면(130), 제3측면(140), 및 제4측면(150)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개방된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부착된 아크릴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측면과 제2 측면은 서로 마주보며, 제3측면과 제4측면이 서로 마주본다.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4 측면은 하부면(110)과 일체로 연결된 측면을 명명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부여한 명칭이다.
상기 제1 측면과 제2측면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면(121, 131)이 각각 부착된다. 즉, 제1 측면(120)의 상부에는 제1 돌출면(121)가 부착되고, 제2 측면(130)의 상부에는 제2 돌출면(131)가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아크릴판(200)이 부착되어 하므로, 돌출면(121, 131)을 평평하게 형성하여 아크릴판(200)이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돌출면(121, 131)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한 후 아크릴판(200)을 접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크릴판(200)을 사용하였으나,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라면 아크릴판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면(110)에는 다수의 LED(11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LED(111)의 개수 및 배치는 제작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3 측면(140)의 상부에는 서로 길이가 다른 다수의 돌기(160)가 번갈아 부착되어 있다. 상기 돌기(160)는 이웃하는 간판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간판의 양측이 모두 결합할 때에는 제4 측면(150)에도 동일한 형태의 돌기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의 A영역 간판의 경우에는 돌기가 일측면에만 형성되지만, B영역의 간판에는 돌기가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중 하나 또는 두개는 상기 제3 측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나사공(165)이 형성된 다른 부분보다 넓게 형성된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165)에는 결합나사(300)가 체결되어 하우징과 아크릴판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의 외측면에는 나사공이 형성된 리브(126, 1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브는 이웃하는 간판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리브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해 두개의 간판을 결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브(126, 136)의 기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돌기(160)는 돌출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돌기(160)는 돌출 길이가 가장 짧은 제1 돌기(161), 상기 제1 돌기보다 돌출 길이가 긴 제2 돌기(162), 및 상기 제2 돌기보다 돌출 길이가 긴 제3 돌기(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돌출 길이가 가장 긴 제3 돌기(163)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어 아크릴판(200)을 하우징(100)에 단단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돌기(160)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은 하우징(100)과 아크릴판(200)의 열평창률이 다르기 때문이다. 열평창률의 차이로 인해 아크릴판(200)이 수축하는 경우 자칫 아크릴판(200)이 하우징 내부로 함몰될 수도 있기 때문에 돌기는 이를 방지한다. 함몰 방지를 위해서는 돌기를 넓게 형성하거나 길게 형성하면 되지만 이렇게 할 경우 이로 인해 그림자가 생기기 때문에 돌기의 폭과 길이는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돌기의 길이가 너무 짧은 경우 함몰 방지라는 원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길이가 서로 다른 돌기를 제공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상기 제1 돌기(161)의 길이는 대략 3mm 정도이고, 제2 돌기(162)의 길이는 9.5mm 정도이고, 제3 돌기(163)의 길이는 대략 16mm 정도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돌기의 폭은 모두 대략 1mm 정도일 수 있다. 다만, 제3 돌기(163)는 하우징의 측면과 연결된 부분의 폭은 넓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부분은 대략 8mm 정도이다. 이 부분에 나사공(16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제3 돌기는 상기 제3측면이 인접한 영역은 8mm의 폭을 가지는 제1 영역(166)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어 1mm의 폭을 가지는 제2 영역(167)로 구분되어 있다.
도 5는 리브에 나사공의 통해 두개의 간판을 체결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A 간판과 B 간판을 체결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결합부분에 돌기(1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면과 제2면의 상부는 금속판의 두께보다 폭이 넓은 부분(121, 131)이 형성되어 있으나, 제3면의 경우, 제1면이나 제2면과 같이 상부의 폭을 넓게 하면 해당 부분에는 LED 빛이 통과하지 못하여 그림자가 생기게 된다. 그림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3면의 상부는 별도의 돌출면을 형성하지 않고, 돌기만 형성하여 그림자를 최소화하였다. 그리고 그림자 최소화를 위해 아크릴판에 투명테이프를 더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아파트 등의 벽면에 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부면(110)에는 리브(11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리브(116)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어 아파트 벽면에 고정 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하부면
120 : 제1면 130 : 제2면
140 : 제3면 150 : 제4면
121, 131 : 돌출면 126, 136 : 리브
160 : 돌기 161, 162, 163 : 제1 내지 제3 돌기
200 : 아크릴판

Claims (4)

  1. 하부면(110)과 상기 하부면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제1측면(120), 제2측면(130), 제3측면(140), 및 제4측면(140)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개방된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부착된 아크릴판(2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과 제2 측면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1 측면과 제2측면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면(121, 131)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제3 측면의 상부에는 서로 길이가 다른 다수의 돌기(160)가 번갈아 부착되고,
    상기 돌기는 돌출 길이가 가장 짧은 제1 돌기(161), 상기 제1 돌기보다 돌출 길이가 긴 제2 돌기(162), 및 상기 제2 돌기보다 돌출 길이가 긴 제3 돌기(163)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돌기(163)는 나사공(165)이 형성되는 넓게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공(165)에는 결합나사가 체결되어 하우징과 아크릴판을 고정하고,
    상기 제3 측면(140)의 외측면의 양쪽 측면에는 이웃하는 간판과 결합하기 위한 리브(126, 1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간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판은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간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 및 제2 돌기의 폭은 1mm 이고,
    상기 제3돌기는 상기 제3측면이 인접한 영역은 8mm의 폭을 가지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어 1mm의 폭을 가지는 제2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간판.
KR2020180002518U 2018-06-08 2018-06-08 대형 간판 KR200488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518U KR200488444Y1 (ko) 2018-06-08 2018-06-08 대형 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518U KR200488444Y1 (ko) 2018-06-08 2018-06-08 대형 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444Y1 true KR200488444Y1 (ko) 2019-02-01

Family

ID=6536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518U KR200488444Y1 (ko) 2018-06-08 2018-06-08 대형 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444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069Y1 (ko) * 1986-08-30 1989-11-20 태평양화학 공업 주식회사 세제용기의 유출개폐장치
KR960003554Y1 (ko) * 1994-06-20 1996-04-25 오배근 텔레비젼에 의한 차량 후방 감시장치
KR20110019858A (ko) * 2009-08-21 2011-03-02 이설규 일체화된 바디를 갖는 탈,부착식 입체 문자채널 장치
KR20140024990A (ko) * 2012-08-20 2014-03-04 (주)프린애드컴 조립식 채널간판
KR20150110066A (ko) 2014-03-24 2015-10-02 이종철 엘이디노출식간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069Y1 (ko) * 1986-08-30 1989-11-20 태평양화학 공업 주식회사 세제용기의 유출개폐장치
KR960003554Y1 (ko) * 1994-06-20 1996-04-25 오배근 텔레비젼에 의한 차량 후방 감시장치
KR20110019858A (ko) * 2009-08-21 2011-03-02 이설규 일체화된 바디를 갖는 탈,부착식 입체 문자채널 장치
KR20140024990A (ko) * 2012-08-20 2014-03-04 (주)프린애드컴 조립식 채널간판
KR20150110066A (ko) 2014-03-24 2015-10-02 이종철 엘이디노출식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8829B2 (en)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bulbs
JP4321191B2 (ja) 液晶表示装置
CN101943351A (zh) 液晶显示装置及其侧光式背光模块
JP2004360891A (ja) 直列連結モータの連結構造
US20090313919A1 (en) Panel assembly structure for multiple purposes
US820808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fasten structure
US9897290B2 (en) Wall lamp
US11272635B2 (en) Frame and electronic frame
KR200488444Y1 (ko) 대형 간판
JP5942100B2 (ja) 灯具
KR200475505Y1 (ko) 천장매입형 조명장치
KR20120028535A (ko)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
TW201400747A (zh) 發光裝置
KR101944729B1 (ko) 대형 간판
KR102053923B1 (ko) 면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2075149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KR200493099Y1 (ko) 스크린 패널 조립체
US20120087120A1 (en) Grille light fixture and housing thereof
RU193217U1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5291152B2 (ja) 光源アセンブリ
KR200279948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KR200387291Y1 (ko) 벌집 액자
KR200238760Y1 (ko) 전선보호용 몰딩부재
US6650381B2 (en) Base of architecture of LCD backlight shield
US20240117957A1 (en) Lighting fixture with threadless f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