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729B1 - 대형 간판 - Google Patents

대형 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729B1
KR101944729B1 KR1020180082806A KR20180082806A KR101944729B1 KR 101944729 B1 KR101944729 B1 KR 101944729B1 KR 1020180082806 A KR1020180082806 A KR 1020180082806A KR 20180082806 A KR20180082806 A KR 20180082806A KR 101944729 B1 KR101944729 B1 KR 101944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idewall
acrylic plate
attached
sign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형우
Original Assignee
류형우
(주)유원광고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형우, (주)유원광고기업 filed Critical 류형우
Priority to KR102018008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 간판은 다수의 LED(111)가 부착된 하부면(110)과 상기 하부면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제1측벽(120), 제2측벽(130), 제3측벽(140), 및 제4측벽(150)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개방된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부착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덮개(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과 제2 측벽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1 측벽과 제2측벽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면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제3 측벽은 간판과 연결되고, 상기 제3 측벽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나사공이 형성된 아크릴판(300)이 상기 하부면과 이격되어 부착되고, 상기 아크릴판의 아래 하부면에는 그림자 방지용 LED(11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형 간판 {LARGE SIGNBOARD}
본 발명은 대형 간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간판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대형 간판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외벽이가 건축물에는 대형 간판이 부착되는 경우가 많다.
대형 간판은 철제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LED나 형광등과 같은 조명등을 장착하고, 투명수지로 마감을 하여 제작을 한다.
하지만, 이런 대형 간판은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제작 후 이동을 하거나 건물에 부착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대형 간판의 경우, 간판 프레임에 글씨를 새기는 것이 아니라 글씨 자체가 간판이기 때문에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동 및 작업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아파트 벽면에 부착된 대형 간판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같이 대형 간판을 일체로 제작하는 경우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 간판을 분리하여 제작한 후 결합하는 경우 결합 부위에 그림자가 생겨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대형 간판은 일체로 제작되어 부착된다.
즉, 대형 간판의 경우 분리 제작하고, 각 분리된 간판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동이나 부착 등 여러 장점이 있으나, 그림자가 생겨 간판 본연의 기능을 훼손 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
또한, 대형 간판의 경우 중량 또한 상당하기 때문에 연결부위를 단단히 고정하여 한다. 그림자를 안 생기도록 하게 위해 연결 부위의 측벽을 얇게 하는 경우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5-0110066, 엘이디노출식 간판 (공개일 :2015.10.02)
본 발명은 복수의 간판을 연결할 경우 연결부위의 견고히 하면서도 동시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대형 간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 간판은 다수의 LED(111)가 부착된 하부면(110)과 상기 하부면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제1측벽(120), 제2측벽(130), 제3측벽(140), 및 제4측벽(150)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개방된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부착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덮개(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과 제2 측벽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1 측벽과 제2측벽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면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제3 측벽은 이웃하는 간판의 측벽과 연결되고, 상기 제3 측벽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나사공이 형성된 아크릴판(300)이 상기 하부면과 이격되어 부착되고, 상기 아크릴판의 아래 하부면에는 그림자 방지용 LED(11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그림자 방지용 LED(112)는 상기 제3 측벽의 내측벽에 접촉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3측벽의 내측면에는 고정볼트(310)가 부착되고, 상기 아크릴판(300)은 상기 고정볼트(310)가 관통하여 제3측벽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볼트(310)에 결합되는 너트(32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측벽의 상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간판의 빛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측벽과 아크릴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310)는 상기 관통공 및 이웃하는 간판의 측벽을 관통하고, 상기 너트(320)에 의해 고정되어, 이웃하는 측벽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아크릴판(300)의 상면에 도포되는 투명접착제(410); 상기 덮개의 상부에 부착된 무광코팅필름(420); 및 상기 덮개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나사(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간판을 연결시에도 그림자가 생기지 않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간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판의 제작, 이동 , 및 부착시 업무 효율을 획기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크릴판을 연결부위에 부착하고 아크릴판에 나사를 결합하여 연결함으로써 연결을 튼튼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형 간판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간판의 분할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 간판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3의 아크릴판(300)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 간판의 A-A'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 간판의 B-B'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 간판의 연결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간판의 분할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 간판의 한 부분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아크릴판 영역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3의 B-B'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대형 간판이 연결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대형 간판은 크기가 매우 커서 일체로 제작하는 경우 이동 및 부착에 어려움이 많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형 간판을 분할 제작하고 분할 제작된 간판을 연결하는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2에서는 대형 간판을 4개 영역으로 분할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간판이 크기나 작업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분할 개수 및 분할 부분을 자유롭게 변경가능하다.
도 2는 대형 간판의 분할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다른 도면과 간판 모양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간판은 다수의 LED가 부착된 하부면(110)과 수직으로 연결된 제1측벽(120), 제2측벽(130), 제3측벽(140), 및 제4측벽(150)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개방된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부착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덮개(20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200) 상에는 무광코팅필름(420), 고정나사(430), 및 고정편(440)이 부착되어 덮개(200)가 하우징(10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은 서로 마주보며, 제3측벽과 제4측벽이 서로 마주본다. 상기 제1측벽 내지 제4측벽은 하부면(110)과 일체로 연결된 측면을 명명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부여한 명칭이다.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면(121, 131)이 각각 부착된다. 즉, 제1측벽(120)의 상부에는 제1 돌출면(121)가 부착되고, 제2측벽(130)의 상부에는 제2 돌출면(131)가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덮개(200)가 부착되어 하므로, 돌출면(121, 131)을 평평하게 형성하여 덮개(200)가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돌출면(121, 131)에 실리콘 접착제와 같은 투명 접착제를 도포한 후 덮개(200)를 접착한다. 상기 덮개(200)로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를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아크릴판(300)의 상면에는 투명접착제(410)를 도포한다. 아크릴판(300)은 빛이 투과되어 나가는 부분이므로 투명 접착제(410)를 사용하여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상기 덮개(200)의 상면에는 무광코팅필름(420)이 부착된다. 상기 무광코팅필름(420)은 덮개(200)와 하우징(100)에 걸쳐서 부착되어 덮개를 고정하는 역할과 함께 코팅필름이 외부 광을 반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인 코팅필름을 사용하게 되면 고정 기능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번쩍임 현상이 발생하여 미관을 해치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무광코팅필름(420)을 사용하게 되면 고정력을 향상시킨과 동시에 번쩍임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나사(430)를 이용하여 더욱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200)의 길이 방향으로는 고정편(440)이 부착되는데, 상기 고정편(440)은 'ㄱ' 형상으로 덮개(200)를 하우징에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은 제1 측벽(120) 및 제2 측벽(130)의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면(110)에는 다수의 LED(11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LED(111)의 개수 및 배치는 제작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3측벽(140)은 이웃하는 간판의 다른 측벽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그림자 방지를 위해 아크릴판(300)이 부착된다. 간판이 가장 자리에 배치될 때에는 제3 측벽(140)에만 아크릴판이 배치되고, 간판이 가운데 부분에 배치될 때에는 제3 측벽(140)과 제4 측벽(150)의 양측벽에 아크릴판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의 A 영역에 배치될 때에는 제3 측벽(140)에만 아크릴판이 배치되고, B 영역에 배치될 때에는 제3 측벽(140)과 제4 측벽(145)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시 그림자 방지 및 연결의 견고함을 위해 제3 측벽의 내측면에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 아크릴판(300)이 부착된다. 이때 제3 측벽(140)의 두께는 대략 1.2mm 정도이고, 아크릴판(300)의 두께는 대략 15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측벽(140)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수 있고,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그림자가 생길 수 있다.
상기 아크릴판(300)은 하부면(110)과는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3측벽(140)에 인접하여 부착된다. 즉, 아크릴판(300)의 하부는 하우징의 하부면(110)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부면은 덮개(200)와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아크릴판(300)의 아래에는 다수의 그림자 방지용 LED(112)가 부착되어 있다. 그림자 방지용 LED(112)를 아크릴판(300)의 수직 아래에 배치하게 되면, 그림자 방지용 LED(112)에서 조사되는 광이 아크릴판(300)을 관통하게 되어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측벽(140)의 상부에는 홈(14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측벽(140)은 제1 돌출면(121)와 제2 돌출면(131)과 접촉하는 면은 덮개(200)와 접촉하고, 가운데 부분은 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3 측벽(140)은 '
Figure 112018070352291-pat00001
' 형상의 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홈(141)을 형성하는 경우 이웃하는 간판의 불빛이 홈을 통해 통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연결된 간판간 빛이 통과함으로써 연결 부위가 보다 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다. 상기 홈(141)의 상부에는 고정편(440)이 위치하지 않아야 한다. 고정편(440)이 홈(141)의 상부에 까지 위치하게 되면 그림자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3측벽의 내측면에는 고정볼트(310)가 용접되어 있고, 상기 아크릴판(300)은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에 고정볼트(310)에 삽입한 후 너트(320)를 조이게 되면 아크릴판(300)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310)는 제3 측벽(140)의 아래 부분과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두개의 간판을 연결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볼트(310)와 너트(320)를 통해 아크릴판(300)이 제3 측벽(14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볼트(310)가 제3 측벽(140)에 부착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고정볼트(310)가 연결된 두개의 측벽(칸막이)과 아크릴판(300)을 관통하여 두개의 측벽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의 외측면에는 나사공이 형성된 리브(126, 1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브(126, 136)는 이웃하는 간판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리브(126, 136)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해 두개의 간판을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은 아파트 등의 벽면에 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부면(110)에는 리브(11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리브(116)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어 아파트 벽면에 고정 부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아크릴판(300)의 일정 간격으로 경사부(330)를 형성한 것이다. 경사부(330)를 형성함으로써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경사부(330)은 일정폭으로 반복되어 형성되고, 아크릴판(300)의 상면이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홈의 깊이가 얕아지지면서 경사부(330)가 형성된다.
경사부(330)의 두께(d1, 홈의 깊이)는 전체 아크릴판(300) 두께의 대략 2/3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경사부의 두께(d1)와 경사부를 제외한 아크릴판의 두께(d2)의 비율은 대략 2:1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330)의 높이(h)는 전체 아크릴판(300)의 두께의 두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크릴판의 두께(d1+d2)가 15mm 정도이면, 상기 경사부(330)의 두께는 대략 3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하부면
120 : 제1측벽 130 : 제2측벽
140 : 제3측벽 141 : 홈
150 : 제4측벽 121, 131 : 돌출면
126, 136 : 리브 200 : 아크릴판
300 : 아크릴판 310 : 고정볼트
320 : 너트 330 : 경사부
410 : 투명접착제 420 : 무광코팅필름
440 : 고정편

Claims (7)

  1. 다수의 LED(111)가 부착된 하부면(110)과 상기 하부면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제1측벽(120), 제2측벽(130), 제3측벽(140), 및 제4측벽(150)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개방된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부착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덮개(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과 제2 측벽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1 측벽과 제2측벽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면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제3 측벽은 이웃하는 간판의 측벽과 연결되고, 상기 제3 측벽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아크릴판(300)이 상기 하부면과 이격되어 부착되고,
    상기 아크릴판의 아래 하부면에는 그림자 방지용 LED(112)가 배치되어 있는 대형 간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자 방지용 LED(112)는 상기 제3 측벽의 내측벽에 접촉하여 부착되는 대형 간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벽의 상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간판의 빛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간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측벽의 내측면에는 고정볼트(310)가 부착되고,
    상기 아크릴판(300)은 상기 고정볼트(310)가 관통하여 제3측벽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볼트(310)에 결합되는 너트(32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간판.
  5. 제4항에 있어서,
    제3 측벽과 아크릴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310)는 상기 관통공 및 이웃하는 간판의 측벽을 관통하고, 상기 너트(320)에 의해 고정되어, 이웃하는 측벽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간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판(300)의 상면에 도포되는 투명접착제(410);
    상기 덮개(200)의 상부에 부착된 무광코팅필름(420); 및
    상기 덮개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나사(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간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판(300)은 상면이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홈의 깊이가 얕아지는 경사부(3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간판.
KR1020180082806A 2018-07-17 2018-07-17 대형 간판 KR101944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806A KR101944729B1 (ko) 2018-07-17 2018-07-17 대형 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806A KR101944729B1 (ko) 2018-07-17 2018-07-17 대형 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729B1 true KR101944729B1 (ko) 2019-02-01

Family

ID=6536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806A KR101944729B1 (ko) 2018-07-17 2018-07-17 대형 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72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2150A (ja) * 2000-04-03 2001-10-12 Seibido:Kk 看 板
JP2010080302A (ja) * 2008-09-26 2010-04-08 Nec Lighting Ltd 照明器具、該照明器具の連結部材、および照明器具組立体
KR20100083664A (ko) * 2009-01-14 2010-07-22 심현섭 길이방향으로 확장연결 구성을 갖는 엘이디 조명등 장치
KR20100007661U (ko) * 2009-01-21 2010-07-29 주식회사 네이트시스템 블록 연결 조명
KR20150110066A (ko) 2014-03-24 2015-10-02 이종철 엘이디노출식간판
KR20160095484A (ko) * 2015-02-03 2016-08-11 주식회사 린노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20160141110A (ko) * 2015-05-28 2016-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패널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2150A (ja) * 2000-04-03 2001-10-12 Seibido:Kk 看 板
JP2010080302A (ja) * 2008-09-26 2010-04-08 Nec Lighting Ltd 照明器具、該照明器具の連結部材、および照明器具組立体
KR20100083664A (ko) * 2009-01-14 2010-07-22 심현섭 길이방향으로 확장연결 구성을 갖는 엘이디 조명등 장치
KR20100007661U (ko) * 2009-01-21 2010-07-29 주식회사 네이트시스템 블록 연결 조명
KR20150110066A (ko) 2014-03-24 2015-10-02 이종철 엘이디노출식간판
KR20160095484A (ko) * 2015-02-03 2016-08-11 주식회사 린노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20160141110A (ko) * 2015-05-28 2016-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패널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5629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lamp comprising the illumination devices
KR102193121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곡할 수 있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명등기구
US20020181229A1 (en) Beam structure of dividing screen
KR101605402B1 (ko) 천정매입형 등기구 프레임
KR102117794B1 (ko) Led조명등
KR101779970B1 (ko) 측면 발광식 조명장치
KR101944729B1 (ko) 대형 간판
KR200478893Y1 (ko) 조명등 커버프레임용 판스프링체결구
KR200475505Y1 (ko) 천장매입형 조명장치
US10302274B2 (en) Luminaire, modular surface covering arrangement and luminaire kit
KR200480130Y1 (ko) 등기구
KR200488444Y1 (ko) 대형 간판
RU193217U1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3218908U (ja) 篏合構造を備えた照明器具
KR200485023Y1 (ko) 조명등용 투광판 고정장치
KR101703248B1 (ko) 간판용 프레임
JP2005232695A (ja) 間仕切りパネルの段差連結構造
JP3840585B2 (ja) フリーサイズ表示灯
JP6085381B2 (ja) 板状体
USD982224S1 (en) Planar optical panel for a light fixture
KR102050195B1 (ko) 천장등 조립체
JP2005068801A (ja) 仮設パネル
JP2014075315A (ja) 発光装置
KR102070457B1 (ko) 발광 효율이 개선된 led 벽시계
CN220599026U (zh) 一种带灯光装饰的装配式阳角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