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386Y1 -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 - Google Patents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386Y1
KR200488386Y1 KR2020170002977U KR20170002977U KR200488386Y1 KR 200488386 Y1 KR200488386 Y1 KR 200488386Y1 KR 2020170002977 U KR2020170002977 U KR 2020170002977U KR 20170002977 U KR20170002977 U KR 20170002977U KR 200488386 Y1 KR200488386 Y1 KR 200488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molding
decorative member
slot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590U (ko
Inventor
김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도해상케이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도해상케이블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도해상케이블카
Priority to KR2020170002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38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5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3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 B44C3/123Mosaic constr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형물을 구성하는 금속판에 장식부재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형물의 형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판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에 있어서,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제작된 바디, 상기 바디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슬롯 및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서 상기 슬롯의 일단까지 절개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절개부를 중심으로 해서 상기 바디의 일측 상단부 및 일측 하단부는 서로 어긋난 상태로 벌어지며, 상기 바디의 일측 상단부를 상기 금속판의 체결구멍에 끼워넣는 과정에서 상기 금속판의 외측면은 상기 바디의 슬롯에 끼워지며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A sculpture}
본 고안은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형물을 구성하는 금속판에 장식부재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형물은 대부분 금속을 용해하여 주물로 그 형태를 주형한 다음 외모를 세공하는 매우 힘든 작업으로 각종 조형물을 만들었기 때문에, 조형물 제작기간과 비용이 고가였음은 물론 그 전체적인 중량에 있어서도 매우 무겁게 이루어져서 운반과 설치작업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몸체의 골격을 형성하고 골격의 외부을 덧씌우는 작업을 통해 저렴한 비용의 조형물을 제조하고 있다.
상기 조형물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모형들은 만들고자 하는 형상에 상응하도록 여러개의 조각체를 만들어 상호 조립함으로써 몸체의 골격을 형성하고, 그 몸체의 골격에 두꺼운 철판을 몸체골격과 이웃하는 철판 사이를 용접하여 조형물을 완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조형물은 만들고자 하는 형태로 설계한 후 그 설계에 맞춰 다수의 프레임으로 골격을 형성한 다음 철판을 용접하여 조형물을 완성시키고 있음에 따라 최초 설계된 형태 외에는 변경하여 제작할 수 없으며, 굴곡과 같은 곡선의 표현시에는 정확한 수치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장시간의 작업시간이 요구되었으며, 단순하게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골격이 형성되어짐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손쉽게 파손되어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철판을 용접할 경우, 조형물이 완성된 이후에 온도변화에 따라 철판과 철판 사이를 용접한 부분이 수축 및 팽창되면서 일측 방향으로 부풀어오르거나 함몰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조형물을 다시 보수하거나 철거해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되었다. 특히 철판은 빗물 등에 의해 쉽게 부식이 발생됨에 따라 외관이 크게 훼손되어 보는 사람에게 예술적 가치와 외관의 아름다움을 제공하려는 조형물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0-0040014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판을 연속적으로 세워가며 전체적으로 특정 형상을 연출하게 되는 조형물에서 상기 금속판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지는 장식부재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형물의 형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판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에 있어서,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제작된 바디, 상기 바디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슬롯 및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서 상기 슬롯의 일단까지 절개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절개부를 중심으로 해서 상기 바디의 일측 상단부 및 일측 하단부는 서로 어긋난 상태로 벌어지며, 상기 바디의 일측 상단부를 상기 금속판의 체결구멍에 끼워넣는 과정에서 상기 금속판의 외측면은 상기 바디의 슬롯에 끼워지며 체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조형물의 형상을 이루는 각 금속판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조형물의 장식이나 혹은 표면 마감재 등 다양하게 사용되어 지는 장식부재에 절개부 및 슬롯을 형성하여, 상기 금속판의 양측면에 장식부재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형물 제작에 따른 작업의 간편함을 구현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형물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조형물의 금속판에 체결되는 장식부재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장식부재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와 장식부재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제시될 "장식부재"라는 용어는 조형물의 표면을 마감 처리하거나 장식하여 조형물의 완성미와 현실감은 물론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장식물을 뜻하는 데, 특히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조형물이 용의 형상을 가짐에 따라 조형물의 완성미, 현실감을 살리기 위해 용의 비늘을 장식부재로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형물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형물(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판(10)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설치하게 된다.
상기 각 금속판(10)의 상면은 조금씩 다른 형상으로 제작하고, 또한 각 금속판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제작하여, 각 금속판(10)을 연속적으로 배열하였을 때, 각 금속판(10)의 상면 및 높이 차이를 통한 조합으로 전체적으로 봤을 때, 특정 형상, 즉 본 고안에서는 "용"의 형상을 가진 조형물로 제작되어 진다.
상기 금속판(10)의 하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베이스프레임(50)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50) 상에 상기 금속판(10)의 하면을 하나씩 부착시켜 금속판(10)을 지지토록 한다.
한편, 상기 조형물(100)의 형상을 구성하는 각 금속판(10)의 양측면에는 상기 금속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1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금속판(10)의 체결구멍(12)으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클립형 장식부재(20)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제시된 조형물(100)은 전체적으로 용의 형상을 가짐에 따라 금속판(10)을 뼈대라 가정할 때, 금속판(10)의 양측면에 체결되어 지는 장식부재(20)는 용의 비늘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첨부된 도 2는 조형물의 금속판에 체결되는 장식부재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장식부재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장식부재(20)는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정면상으로 봤을 때 육각형의 형상을 가진 바디(22)로 외형을 구성한다. 상기 바디(22)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장식부재(20)와 금속판(10)의 체결은 원터치 타입으로 손쉽게 이루어지는 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판(10)의 양측면에 체결구멍(12)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멍(12)으로 장식부재(20)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하여 장식부재(20)를 금속판(10)에 고정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22)의 중앙에는 장공 형상의 슬롯(2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바디(22)의 일측에는 절개부(26)가 절개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26)는 상기 바디(22)의 외측면에서 상기 슬롯(24)의 일단까지 절개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를 가진 장식부재(20)는 체결시,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바디(22)의 절개부(26)를 중심으로 해서 상기 바디(22)의 일측 상단부(28)와 일측 하단부(30)(즉, 상기 절개부(26)를 중심으로 해서 상기 바디(22)의 위쪽을 일측 상단부(28)라 지칭하고, 상기 절개부(26)를 중심으로 해서 상기 바디(22)의 아래쪽을 일측 하단부(30)라 지칭함)는 서로 어긋난 상태로 벌린 다음, 상기 바디(22)의 일측 상단부(28)를 금속판(10)의 체결구멍(12)에 끼워넣게 되면 금속판(10)의 외측면은 상기 바디(22)의 일측 상단부(29)가 상기 금속판(10)의 체결구멍(12)에 끼워지는 동안 상기 바디(22)의 슬롯(24)에 끼워지며 장식부재(20)를 원터치 방식으로 금속판(10)의 외측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롯(24)이 가지는 길이(L)는 상기 금속판(10)의 외측면과 체결구멍(12) 사이 거리(D) 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금속판(10)의 외측면이 상기 슬롯(24)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간섭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금속판(10)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조형물(100)의 장식이나 혹은 표면 마감재 등 다양하게 사용되어지는 장식부재를 금속판(10)의 양측면에 원터치로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어 조형물 작업의 간편함을 구현할 수 있다.
10: 금속판 12: 체결구멍
20: 장식부재 22: 바디
24: 슬롯 26: 절개부
28: 일측상단부 30: 일측하단부

Claims (1)

  1. 조형물(100)의 형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판(1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12)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에 있어서,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제작된 바디(22);
    상기 바디(22)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슬롯(24) 및;
    상기 바디(22)의 외측면에서 상기 슬롯(24)의 일단까지 절개 형성된 절개부(26)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22)의 절개부(26)를 중심으로 해서 상기 바디(22)의 일측 상단부(28) 및 일측 하단부(30)는 서로 어긋난 상태로 벌어지며, 상기 바디(22)의 일측 상단부(28)를 상기 금속판(10)의 체결구멍(12)에 끼워넣는 과정에서 상기 금속판(10)의 외측면은 상기 바디(22)의 슬롯(24)에 끼워지며 체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




KR2020170002977U 2017-06-13 2017-06-13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 KR200488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977U KR200488386Y1 (ko) 2017-06-13 2017-06-13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977U KR200488386Y1 (ko) 2017-06-13 2017-06-13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590U KR20180003590U (ko) 2018-12-21
KR200488386Y1 true KR200488386Y1 (ko) 2019-01-22

Family

ID=6495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977U KR200488386Y1 (ko) 2017-06-13 2017-06-13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3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034B1 (ko) 2021-04-19 2021-10-28 김민주 조형물 브라켓 매립형 조형물 제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205B1 (ko) 2008-10-09 2011-08-22 양동민 조형물 및 이의 제작방법
JP3149591U (ja) * 2009-01-22 2009-04-02 王 文燦 ドアノブに掛ける収納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49591 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034B1 (ko) 2021-04-19 2021-10-28 김민주 조형물 브라켓 매립형 조형물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590U (ko)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2000B2 (en) Plastics moulding
CN107572761B (zh) 手机3d玻璃加工方法
JP6369618B2 (ja) ビーズ法発泡合成樹脂成形用金型、及びビーズ法発泡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488386Y1 (ko) 조형물에 설치되는 클립형 장식부재
WO2007021092A1 (en) Solid panel for decoration
CN104924835B (zh) 一种金属画及其制作方法
CN101304791B (zh) 包括改进的三维拼板的玩具
CN100556576C (zh) 一种车辆外板覆盖件的工艺补充方法
KR101058205B1 (ko) 조형물 및 이의 제작방법
CA114833S (en) Vehicle grille
BR0112341A (pt) Métodos para projetar um pneu, e para produzir pneus
BR9611106A (pt) Elemento modular e processo de montagem
CN206632605U (zh) 一种模块式金属型材抽屉
KR101444062B1 (ko) 아크용접을 이용한 입체 조형물 제조방법
RU2542556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озаического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контура
KR980000854A (ko) EPS(Expanded Polystyren)를 소재로 하는 조형물 제조방법
KR102551497B1 (ko) 금속 조형물 및 그 제작방법
KR200340254Y1 (ko) 구획홈이 형성된 금속제 문짝
JP5809581B2 (ja) 建築板
ES2226535B1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escaleras de mano.
JP3145547U (ja) 丸竹パネルユニット
KR200316098Y1 (ko) 모형 조립완구
KR20110107719A (ko) 조립형 장식무늬판이 구비된 복층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318282A (zh) 金属仿木建材的制造方法
KR200279336Y1 (ko) 플라스틱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