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360Y1 -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360Y1
KR200488360Y1 KR2020180003075U KR20180003075U KR200488360Y1 KR 200488360 Y1 KR200488360 Y1 KR 200488360Y1 KR 2020180003075 U KR2020180003075 U KR 2020180003075U KR 20180003075 U KR20180003075 U KR 20180003075U KR 200488360 Y1 KR200488360 Y1 KR 200488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lange
disposed
hole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근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엠
Priority to KR2020180003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3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3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53Fixation of 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 개의 패널이 결합되어, 승강 케이지를 이루는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로서, 상기 복수 개의 상기 패널은, 각각의 측부가 서로 맞대어 배치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측부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홀을 관통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꺽인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플랜지와 오버랩되어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크기는 상기 홀보다 작고, 상기 몸체의 길이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제1 두께보다 크고 상기 제1 두께의 3배보다 작은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Assembly structure of elevator wall}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벽체와 천정과 바닥으로 둘러싸인 탑승 공간을 갖는다. 엘리베이터의 벽은 복수 개의 패널이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20-0314365호(203.05.27. 공고,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엘리베이터 벽의 조립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에서는, 엘리베이터 벽체을 이루는 복수 개의 패널을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의 각각의 패널의 양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플랜지에는 복수의 볼트 구멍이 배치되어 있다. 볼트 구멍에는 볼트와 너트가 체결된다. 각각의 패널의 플랜지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를 통해 패널들이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구조는, 패널을 조립하고 분리하는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설치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볼팅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립구조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밖에서 작업을 진행되기 때문에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공구 등이 추락하여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20-0314365호(203.05.27. 공고)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엘리베이터 벽을 이루는 패널의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복수 개의 패널이 결합되어, 승강 케이지를 이루는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로서, 상기 복수 개의 상기 패널은, 각각의 측부가 서로 맞대어 배치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측부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홀을 관통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꺽인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플랜지와 오버랩되어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크기는 상기 홀보다 작고, 상기 몸체의 길이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제1 두께보다 크고 상기 제1 두께의 3배보다 작은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은, 각각 벽 패널과, 코너 패널, 입구 패널 및 컬럼 패널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패널이 코너 패널이고, 상기 제2 패널이 벽 패널인 경우, 상기 돌기의 수평 단면은, 길이가 폭보다 크며, 상기 제1 패널이 코너 패널이고, 상기 제2 패널이 컬럼 패널인 경우, 상기 돌기의 수평 단면은, 길이가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패널이 코너 패널이고, 상기 제2 패널이 벽 패널인 경우, 상기 돌기의 수평 단면은, 길이가 폭보다 크며, 상기 제1 패널이 입구 패널이고, 상기 제2 패널이 컬럼 패널인 경우, 상기 돌기의 수평 단면은, 길이가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은, 일 측부에 상기 제1 플랜지가 배치되고, 타측 부에 상기 제2 플랜지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널의 양 측부에 각각 배치된 플랜지부는 상기 패널에서 연장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패널이 상기 컬럼 패널인 경우, 상기 제1 패널의 일측 측부에 배치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패널에 수평하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널의 타측 측부에 배치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패널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볼팅 작업 없이 패널을 조립하여, 패널의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벽 패널의 제1 플랜지와 코너 패널의 제2 플랜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 변형례에 따른 돌기와 홈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돌기와 홈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코너 패널의 제1 플랜지와 입구 패널의 제2 플랜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2 변형례에 따른 돌기와 홈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 변형례에 따른 돌기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2 변형례에 따른 돌기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1 플랜지(50)와 제2 플랜지(60)의 변형례들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컬럼 패널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엘리베이터의 벽을 이루는 패널은 볼팅 작업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승강 케이지를 이룬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가 배치되는 승강벽 사이는 공간이 좁기 때문에, 볼팅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패널 중 어느 하나의 패널만을 분리하거나 조립할 때,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는,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볼팅 작업 없이 패널을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안출된 구조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로서, 복수 개의 패널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패널 중 측부가 서로 맞대어 배치되는 패널을 각각 제1 패널과 제2 패널로 정의한다.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각각 벽 패널(10), 코너 패널(20), 입구 패널(30) 및 컬럼 패널(4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엘리베이터 벽체는 사각 박스 형태이다. 4개의 코너 패널(20)이 모서리에 배치된다. 그리고 벽 패널(10)이 코너 패널(20) 사이에 배치된다. 코너 패널(20) 사이에 배치되는 벽 패널(10)은 단일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컬럼 패널(40)은 코너 패널(20)과 맞대어 배치된다. 컬럼 패널(40)의 상부는 입구 패널(30)과 맞대어 배치된다. 입구 패널(30)의 하측에는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배치된다.
도 3은 벽 패널(10)의 제1 플랜지(50)와 코너 패널(20)의 제2 플랜지(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각각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는 제1 플랜지(50)와 제2 플랜지(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플랜지(50)는 홀(100)을 포함하는 플랜지부로 정의되며, 제2 플랜지(60)는 돌기(200)를 포함하는 플랜지부로 정의된다. 제1 플랜지(50)는 제1 패널의 측부 또는 제2 패널의 측부에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1 플랜지(50)와 제2 플랜지(60)는 맞대어 배치된다.
제1 플랜지(50)는 홀(100)을 포함한다. 홀(100)은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100)은 일렬 또는 복열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랜지(60)는 제1 패널의 측부 또는 제2 패널의 측부에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2 플랜지(60)는 돌기(200)를 포함한다. 돌기(200)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기(200)는 일렬 또는 복열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돌기(200)의 개수는 홀(100)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도 4는 제1 변형례에 따른 돌기(200)와 홀(1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돌기(200)와 홀(1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코너 패널(20)의 제1 플랜지(50)와 입구 패널(30)의 제2 플랜지(6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제2 변형례에 따른 돌기(400)와 홀(3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1 변형례에 따른 돌기(20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제2 변형례에 따른 돌기(40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패널이 코너 패널(20)이고, 제2 패널이 벽 패널(10)인 경우, 제1 변형례에 따른 돌기(200)와 홀(100)이 마련될 수 있다. 돌기(200)는 “ㄱ” 자 형태의 블록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돌기(200)는 몸체(210)와 연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는 제2 플랜지(60)에서 돌출되어 배치된다. 연장부(220)는 몸체(210)에서 하향하여 꺽어 배치된다. 홀(100)은 장홀 형태이다.
도 3 및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1 플랜지(50)와 제2 플랜지(60)가 맞닿는 과정에서, 돌기(200)가 홀(100)을 관통한다. 이후, 도 3 및 도 4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200)가 홀(100)을 관통한 이후, 벽 패널(10) 또는 코너 패널(20)이 하향 이동하면서, 돌기(200)의 몸체(210)가 홀(100)을 따라 이동하여, 몸체(210)가 홀(100)의 하단에 걸린다. 이때, 연장부(220)는 제1 플랜지(50)와 오버랩되어 제1 플랜지(50)와 제2 플랜지(60)의 결합력을 확보한다. 따라서, 볼팅 작업 없이, 코너 패널(20)과 벽 패널(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홀(100)과 돌기(200)가 정렬되도록, 제1 플랜지(50)와 제2 플랜지(60)를 맞대어 배치하면, 코너 패널(20)이 자중에 의하여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플랜지(50)와 제2 플랜지(60)가 자연스럽게 결합되기 때문에,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 매우 용이하게 코너 패널(20)과 벽 패널(10)을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연장부(220)의 크기는 홀(100)보다 작다. 이는 돌기(200)가 홀(100)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함이다. 그리고, 몸체(210)의 길이(D)는 제1 플랜지(50)의 제1 두께(t)보다 크고 제1 두께(t)의 3배보다 작다. 몸체(210)가 홀(100)의 하단에 걸릴 때, 연장부(220)는 도 5의 P와 같이, 제1 플랜지(50)와 연장부(220)의 오버랩 영역을 형성한다.
도 8의 (a)는 제1 변형례에 따른 돌기(2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돌기(200)의 수평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변형례에 따른 돌기(200)의 수평 단면은, 장방형으로 길이(L1)가 폭(W1)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돌기(200)는 패널의 자중에 대한 강도가 강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 중량인 벽 패널(10)이나 코너 패널(20)을 연결하는데 적합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패널이 입구 패널(30) 또는 코너 패널(20)이고, 제2 패널이 컬럼 패널(40)인 경우, 제2 변형례에 따른 돌기(400)와 홀(300)이 마련될 수 있다. 돌기(400)는 “ㄱ” 자 형태의 블록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돌기(400)는 몸체(410)와 연장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410)는 제2 플랜지(60)에서 돌출되어 배치된다. 연장부(420)는 몸체(410)에서 하향하여 꺽어 배치된다. 홀(300)은 장홀(300) 형태이다.
돌기(400)가 홀(300)을 관통한 이후, 컬럼 패널(40) 또는 입구 패널(30)이 하향 이동하면서, 돌기(400)의 몸체(410)가 홀(300)을 따라 이동하여, 몸체(410)가 홀(300)의 하단에 걸린다. 이때, 연장부(420)는 제1 플랜지(50)와 오버랩되어 제1 플랜지(50)와 제2 플랜지(60)의 결합력을 확보한다.
도 9의 (a)는 제2 변형례에 따른 돌기(4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의 (b)는 도 9의 (a)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돌기(400)의 수평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변형례에 따른 돌기(400)의 수평 단면은, 폭(W2)이 길이(L2)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돌기(400)는 패널의 자중에 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입구 패널(30) 또는 컬럼 패널(40)를 연결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연장부(420)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패널 간 결합력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엘리베이터 벽체를 이루는 패널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제1 변형례에 따른 돌기(200)와 홀(100)과, 제2 변형례에 따른 돌기(400)와 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거나 서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제1 플랜지(50)와 제2 플랜지(60)의 변형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예를 들어, 벽 패널(10))의 양 측부에는 각각 제1 플랜지(50) 및 제2 플랜지(60) 중 어느 하나만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의 양 측부 중 일 측부에 제1 플랜지(50)가 배치되고, 타 측부에 제2 플랜지(6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널의 플랜지부(50,60)는 제1 패널의 일 측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타 측부에서는 수직하게 꺽여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0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널의 플랜지부(50,60)는 양 측부에서 제1 패널에 수평하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0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널의 플랜지부(50,60)는 양 측부에서 제1 패널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1은 컬럼 패널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컬럼 패널(40)은 입구 패널(30)과 코너 패널(20) 사이에 배치된다. 컬럼 패널(40)의 일 측부에는 제1 플랜지(50)가 수직하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타 측부에는 제2 플랜지(60)가 수직하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랜지(50)에는 제2 변형례에 따른 홈(300)이 배치되고, 제2 플랜지(60)에는 제2 변형례에 따른 돌기(4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벽 패널
20: 코너 패널
30: 입구 패널
40: 컬럼 패널
50: 제1 플랜지
60: 제2 플랜지
100,300: 홀
200,400: 돌기
210,410: 몸체
220,420: 연장부

Claims (7)

  1. 복수 개의 패널이 결합되어, 승강 케이지를 이루는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로서,
    상기 복수 개의 상기 패널은,
    각각의 측부가 서로 맞대어 배치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측부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홀을 관통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꺽인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플랜지와 오버랩되어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크기는 상기 홀보다 작고, 상기 몸체의 길이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제1 두께보다 크고 상기 제1 두께의 3배보다 작고,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은, 각각 벽 패널과, 코너 패널, 입구 패널 및 컬럼 패널 중 어느 하나인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이 코너 패널이고, 상기 제2 패널이 벽 패널인 경우, 상기 돌기의 수평 단면은, 길이가 폭보다 크며,
    상기 제1 패널이 코너 패널이고, 상기 제2 패널이 컬럼 패널인 경우, 상기 돌기의 수평 단면은, 길이가 폭보다 작은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이 코너 패널이고, 상기 제2 패널이 벽 패널인 경우, 상기 돌기의 수평 단면은, 길이가 폭보다 크며,
    상기 제1 패널이 입구 패널이고, 상기 제2 패널이 컬럼 패널인 경우, 상기 돌기의 수평 단면은, 길이가 폭보다 작은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은,
    일 측부에 상기 제1 플랜지가 배치되고, 타측 부에 상기 제2 플랜지가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양 측부에 각각 배치된 플랜지부는 상기 패널에서 연장 방향이 상이한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이 상기 컬럼 패널인 경우,
    상기 제1 패널의 일측 측부에 배치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패널에 수평하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널의 타측 측부에 배치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패널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
KR2020180003075U 2018-07-04 2018-07-04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 KR200488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075U KR200488360Y1 (ko) 2018-07-04 2018-07-04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075U KR200488360Y1 (ko) 2018-07-04 2018-07-04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360Y1 true KR200488360Y1 (ko) 2019-01-17

Family

ID=6526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075U KR200488360Y1 (ko) 2018-07-04 2018-07-04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36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143A (ja) * 1992-12-17 1994-07-05 Bridgestone Corp ユニット式ル−ムの壁パネルの組立構造
KR200314365Y1 (ko) 2003-02-27 2003-05-27 김명자 엘리베이터 카벽의 장식 패널
WO2016044858A2 (en) * 2014-09-10 2016-03-24 Eleclip Interior Systems, Llc Wall pan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143A (ja) * 1992-12-17 1994-07-05 Bridgestone Corp ユニット式ル−ムの壁パネルの組立構造
KR200314365Y1 (ko) 2003-02-27 2003-05-27 김명자 엘리베이터 카벽의 장식 패널
WO2016044858A2 (en) * 2014-09-10 2016-03-24 Eleclip Interior Systems, Llc Wall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06063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及びその組立方法
US9718644B2 (en) Elevator car
KR100972197B1 (ko) 건축 모듈러 유닛
JP6227153B2 (ja) 天井ユニットおよび天井ユニット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のかご
JP5449467B2 (ja) 乗客コンベア
CN108367758B (zh) 铁道车辆的车身
KR200488360Y1 (ko) 엘리베이터 벽체 조립 구조
KR101347622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거주구역 내 단열 보드의 설치 구조와 그 방법
KR102086247B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
KR20110049484A (ko) 케이스를 구비한 팔레트
JP2008280118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
KR100976934B1 (ko) 조립식 건물 구조체
KR101907746B1 (ko) 확장형 기둥 구조를 갖는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US1718014A (en) Elevator-car inclosure
KR101609267B1 (ko) 보수관리가 용이한 조립식 물탱크
JP5371390B2 (ja) 建物ユニットの補強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2016017323A (ja) 制震構造
WO2016006062A1 (ja) エレベータかご室のパネル連結具
WO2019176105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天井装置
KR101786030B1 (ko) 컨테이너선의 가이드 구조
JP2513745B2 (ja) エレベ―タ―かごの床
KR100892006B1 (ko) 스틸 하우스의 벽 패널 상부 보강 구조
CN210457110U (zh) 电梯轿厢的轿顶结构
KR102609271B1 (ko) 벽체 구조
JP5861886B2 (ja) 壁式混合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