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357Y1 - 송풍 기능이 구비된 도어 - Google Patents

송풍 기능이 구비된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357Y1
KR200488357Y1 KR2020180003992U KR20180003992U KR200488357Y1 KR 200488357 Y1 KR200488357 Y1 KR 200488357Y1 KR 2020180003992 U KR2020180003992 U KR 2020180003992U KR 20180003992 U KR20180003992 U KR 20180003992U KR 200488357 Y1 KR200488357 Y1 KR 200488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le
louver
present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태
Original Assignee
유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태 filed Critical 유영태
Priority to KR2020180003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3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3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풍 기능이 구비된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도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 환기, 습도조절 및 냉기 유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보다 시원하고 쾌적한 환경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에 손잡이(10)가 구비되어 여닫이 또는 미닫이 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도어(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에는 일정크기로 통공(2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0)에는 공기의 강제 송풍을 위한 송풍팬(30)이 구성되며; 상기 통공(20) 일측에는 개폐루버(40)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풍 기능이 구비된 도어{DOOR FOR BLAST FUNCTION}
본 고안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에 송풍기능을 구비함으로서 실내 환풍 및 습도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송풍 기능이 구비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한 장소의 경계나 건축물의 출입구 또는 사람이 드나드는 곳에 개폐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구조물로서, 문틀 또는 벽면에 힌지 구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도어를 잠그거나 개폐시킬 수 있도록 잠금장치 및 손잡이가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는 목재 및 합성수지 또는 금속로 이루어지는 바, 통상적으로 금속 재질의 도어는 건축물의 현관 및 비상구 등과 같이 실외측에 설치되고, 목재 및 합성수지 재질의 도어는 실내측에 설치된다.
한편, 도어를 닫게 되면 양측 공간이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환기에 있어 제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특히, 여름에 욕실 도어를 닫아 놓은 경우 또는 욕실에서 샤워를 하는 경우, 욕실 내 습기가 차게 되면서 습도가 올라가게 된다. 욕실 내 습기가 차게 되면, 곰팡이 또는 세균이 번식하게 되는바, 사람들은 욕실 내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욕실 도어를 열어놓곤 한다.
다만, 거실에 에어컨을 켜놓은 상태에서 욕실 도어를 여는 경우, 욕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불편이 있다.
한편, 욕실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욕실 내 습기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사람들은 보통 환풍기를 켜게 된다.
이 경우, 습기가 제거되기는 하지만, 욕실 도어를 열어놓았을 때보다는 더 느리게 오랜 시간에 걸쳐서 습기가 제거되어지게 됨으로, 습기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0001)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16484호(2000.12.30.등록) (선행기술 0002)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229266호(2013.01.29.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도 도어에 의해 나뉘어진 양측 공간(화장실/거실 등) 상호간에 실내 환기 및 송풍이 가능하도록 송풍기능을 구비시킴으로서 실내 환기효율을 향상시키고 보다 시원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여닫이 또는 미닫이 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일정크기로 형성된 통공; 상기 통공에 구비되어 공기의 강제 송풍을 수행하는 송풍팬; 상기 통공 일측에 일정 각도로 구비된 다수의 루버; 를 포함하되, 상기 루버 표면에는 이물질의 흡착을 위한 정화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정화코팅층은 실리콘수지, 유리섬유, 자일렌수지, 멜라민수지, 알데히드, 글리세린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의 혼합 조성을 이루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에는 상황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공 타측에는 거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루버 일측에는 이물질의 흡착을 위한 흡착브러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루버는 중앙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에 따른 각도조절 및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본 고안의 송풍 도어는,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도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게 됨으로 실내 환기 및 습도조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화장실 도어에 적용하는 경우 송풍 유닛을 통해 거실의 건조한 공기 또는 냉기를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욕실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시원하고 쾌적한 화장실 이용환경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풍 도어의 개략적인 외관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 송풍 도어 정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 송풍 도어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 송풍 도어에서 송풍유닛 설치부 단면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A부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루버의 회동 개폐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의 응용 예에 따른 송풍 도어 정면 구조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풍 도어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의 도어(100)는 일측에 손잡이(10)가 구비되어 여닫이 또는 미닫이 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도어(100)에는 일정크기로 통공(20)이 형성되고, 통공(20)에는 전원인가시 정/역 회전을 통해 공기의 강제 송풍을 위한 송풍팬(30)이 구성되며, 통공(20) 일측에는 다수의 루버(40)가 일정 각도를 이루어 구비된다.
그리고, 도어(100)의 타측면에는 상황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50)가 구비됨과 함께 통공(20) 및 송풍팬(30)의 외부 노출 방지를 위한 거울(60)이 타측이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거울(60)은 통공(20)과 동일한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하였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 및 송풍팬(30)은 미도시된 전선을 통해 연결되어 외부로 부터 전원을 인가받게 되며, 미설명 부호 70은 송풍팬(30)의 구동 제어를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송풍 도어의 설치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송풍 도어는 거실, 안방, 현관 또는 화장실 도어 등에 설치하여 실내 환기 및 습도조절, 냉방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그 일 예로 화장실 도어로 본 고안의 송풍 도어(100)의 설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도어(100)를 닫고서 화장실 내에서 샤워를 하게 되면 내부 습도가 증가되어지게 된다.
이때에는 송풍팬(30)을 동작시키게 되면, 송풍팬(30)이 회전되어짐에 따라 거실측 건조한 공기가 화장실 내부로 유입되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실내 환기 및 습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여름철 거실에서 에어컨이 가동중인 경우에는 송풍팬(30)을 동작시키게 되면 거실의 냉기가 화장실 내부로 유입되어지게 됨으로서 화장실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화장실 내부 냉방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되어 보다 쾌적하고 시원하게 화장실 또는 욕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어(100) 일측에는 루버(4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거울(60)이 구성됨으로서 통공(20)을 통한 화장실 내부와 외부 상호간의 노출이 차단됨과 함께 송풍팬(30)의 노출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도어(100)에는 LED 화면의 디스플레이부(50)가 구비됨으로서 여러가지 상황(사용중/외출중/취침중 등...)을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고안의 도어(100)는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도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게 됨으로 실내 환기 및 습도조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화장실 도어에 적용하는 경우 송풍 유닛을 통해 거실의 건조한 공기 또는 냉기를 욕실 내부로 유입시키게 됨으로서, 보다 쾌적하고 시원하게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루버(40) 표면에는 이물질의 흡착을 위한 정화코팅층(42)이 형성되되, 상기 정화코팅층(42)은 실리콘수지, 유리섬유, 자일렌수지, 멜라민수지, 알데히드, 글리세린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의 혼합 조성을 이루게 된다.
일 예로, 실리콘수지 20~30중량%, 유리섬유 10~20중량%, 자일렌수지 10~20중량%, 멜라민수지 10~20중량%, 알데히드 10~20중량%, 글리세린 1~10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10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루버(40) 일측에는 이물질의 흡착을 위한 합성수지 재질의 흡착브러쉬(43)가 구비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정화코팅층(42) 및 흡착브러쉬(43)의 추가적인 구성을 이루게 되면, 공기의 유동 과정에서 루버(40)를 경유하면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 입자 등과 같은 이물질의 흡착 및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흡착브러쉬(43)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지의 차단이 이루어짐과 함께 정화코팅층(42)은 점착 및 살균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먼지 흡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특히 자일렌수지는 내수성이 좋은 열경화성 수지이기 때문에 코팅층의 열변형을 방지함과 함께 열경화성 수지인 멜라민수지는 코팅층의 점착 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정화코팅층(42)에 첨가된 유리섬유 및 알데히드 성분으로 인해 코팅층의 내구성이 증가되어 크랙발생을 방지하게 되며, 토코페릴아세테이트는 유리섬유의 활성화를 통해 전체적으로 코팅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유지되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송풍 도어 설치에 따른 공기 정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루버(40)는 중앙의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회동에 따른 각도조절 및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송풍팬(30)을 통해 송풍이 이루어지는 공기의 송풍 각도가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절되어질 수 있게 됨과 함께 필요에 따라서는 모든 루버(40)를 동시에 수직으로 세워서 송풍공간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송풍도어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거울(60)이 사각형상을 이루는 것이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도 7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거울(60)은 원형 등과 같이 다양항 형상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울(60) 장착 위치에는 필요에 따라 액자나 사진 등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의 설치 위치는 화장실 뿐만 아니라 현관이나 다용도실, 세탁실 등에도 적용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손잡이 20 : 통공
30 : 송풍팬 40 : 루버
50 : 디스플레이부 60 : 거울
70 : 온/오프 스위치 100 : 도어

Claims (6)

  1. 일측에 손잡이(10)가 구비되어 여닫이 또는 미닫이 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도어(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에 일정크기로 형성된 통공(20);
    상기 통공(20)에 구비되어 공기의 강제 송풍을 수행하는 송풍팬(30);
    상기 통공(20) 일측에 일정 각도로 구비된 다수의 루버(40);
    를 포함하되,
    상기 루버(40) 표면에는 이물질의 흡착을 위한 정화코팅층(42)이 형성되며, 상기 정화코팅층(42)은 실리콘수지, 유리섬유, 자일렌수지, 멜라민수지, 알데히드, 글리세린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기능이 구비된 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에는 상황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기능이 구비된 도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공(20) 타측에는 거울(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기능이 구비된 도어.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버(40) 일측에는 이물질의 흡착을 위한 흡착브러쉬(4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기능이 구비된 도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버(40)는 중앙의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회동에 따른 각도조절 및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기능이 구비된 도어.
KR2020180003992U 2018-08-28 2018-08-28 송풍 기능이 구비된 도어 KR200488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92U KR200488357Y1 (ko) 2018-08-28 2018-08-28 송풍 기능이 구비된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92U KR200488357Y1 (ko) 2018-08-28 2018-08-28 송풍 기능이 구비된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357Y1 true KR200488357Y1 (ko) 2019-01-17

Family

ID=65266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992U KR200488357Y1 (ko) 2018-08-28 2018-08-28 송풍 기능이 구비된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3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7868A (zh) * 2022-04-06 2022-07-12 浙江海博门业有限公司 一种具有透风除湿功能景观居室门
WO2023058552A1 (ja) * 2021-10-04 2023-04-13 株式会社Lixil 住宅換気システム及びその室内ドア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921U (ko) * 1998-11-13 2000-06-05 박영환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현관문
KR200216484Y1 (ko) 2000-09-25 2001-03-15 한창동 도어용 장식틀
KR101229266B1 (ko) 2010-05-10 2013-02-08 김지영 화장실용 도어
KR20180001344U (ko) * 2016-10-28 2018-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해물질 흡착모듈을 포함하는 도장공장용 환기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921U (ko) * 1998-11-13 2000-06-05 박영환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현관문
KR200216484Y1 (ko) 2000-09-25 2001-03-15 한창동 도어용 장식틀
KR101229266B1 (ko) 2010-05-10 2013-02-08 김지영 화장실용 도어
KR20180001344U (ko) * 2016-10-28 2018-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해물질 흡착모듈을 포함하는 도장공장용 환기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552A1 (ja) * 2021-10-04 2023-04-13 株式会社Lixil 住宅換気システム及びその室内ドア
CN114737868A (zh) * 2022-04-06 2022-07-12 浙江海博门业有限公司 一种具有透风除湿功能景观居室门
CN114737868B (zh) * 2022-04-06 2023-08-22 浙江海博门业有限公司 一种具有透风除湿功能景观居室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1913B1 (en) Exterior sealed window-mounted fan
KR200488357Y1 (ko) 송풍 기능이 구비된 도어
KR100915364B1 (ko) 창호 일체형 공기청정 시스템
KR20190025270A (ko) 창문형 환기 필터장치
KR100639037B1 (ko) 공동주택의 환기장치
KR200442087Y1 (ko) 창문용 다단조절 통풍장치
KR100871924B1 (ko) 창호 부착용 자연환기 장치
KR102087826B1 (ko) 창문 설치용 환기장치
JP4725860B2 (ja) エアーカーテン機能付回転式自動扉装置
JP4460887B2 (ja) 自然換気装置
JP3990923B2 (ja) ダブルスキンカーテンウォール
KR200440195Y1 (ko) 창문용 통풍 개폐장치
KR101995119B1 (ko) 창문설치형 공기청정기
KR101286260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구조
KR101210422B1 (ko) 창호를 이용한 자연 환기장치
JP2567401Y2 (ja) ドアの換気装置
KR200496230Y1 (ko) 차량용 환풍장치
JP3214956B2 (ja) カーテンボックス組込み換気扇
KR200216482Y1 (ko)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
JP4373140B2 (ja) 換気ユニット
JP2002013359A (ja) 自然換気用建具
KR101776296B1 (ko) 창호 통풍구조
JP3623370B2 (ja) ドア枠
KR200422771Y1 (ko) 무동력 댐퍼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JP3113694U (ja) 2つに分けられる網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