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263Y1 - 자동 세척 노즐 - Google Patents

자동 세척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263Y1
KR200488263Y1 KR2020180004916U KR20180004916U KR200488263Y1 KR 200488263 Y1 KR200488263 Y1 KR 200488263Y1 KR 2020180004916 U KR2020180004916 U KR 2020180004916U KR 20180004916 U KR20180004916 U KR 20180004916U KR 200488263 Y1 KR200488263 Y1 KR 200488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ixed
flow
flow nozzle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미숙
Original Assignee
오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미숙 filed Critical 오미숙
Priority to KR2020180004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2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2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4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 B05B1/3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the actuating means being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정수의 수압 변화에 관계없이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의 양쪽 제1 및 제2 홈의 위치일치 및 설정된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함으로써 세정수 분사각과 분사속도를 확실하게 유지하여 노즐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유동노즐이 중심축선(이동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고 정확한 직선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고정노즐과 유동 노즐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노즐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및 조립 공정은 물론, 부품수의 감소와 작업성 향상으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자동 세척 노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자동 세척 노즐은,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에 직선가이드면과 직선이동면을 형성하여 유동노즐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며, 직선가이드면과 직선이동면의 길이는 대기위치에서 일부가 상호 접촉하도록 길이를 설정하고, 또한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에 직각정지면과 직각밀착면을 형성하여 직각정지면에 직각밀착면이 맞닿아 밀착할 때 제1 홈과 제2 홈이 일치하여 하나의 분사공을 형성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세척 노즐{AUTOMATIC WASHING NOZZLE}
본 고안은 자동 세척 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정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노즐의 내부에 이물질이 끼이게 될 경우 자동으로 제거함은 물론 노즐이 막힌 경우에도 기계의 운전을 정지하지 않고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자동 세척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탈수기의 여과포(여과용 벨트)나 제품세정용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노즐은, 노즐이 막힐 경우 사용자가 운전(산업용 탈수기 등)을 정지하고 부러쉬로 청소 후 재가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20-0283547호(고안의 명칭 : 자동 세척 노즐)(이하, '선행기술 1' 이라 함.)와, 등록실용신안 20-0475074호(고안의 명칭 : 자동 세척 노즐)(이하, ‘선행기술 2’ 이라 함.)가 알려져 있다.
먼저 선행기술 1은, 세정파이프로부터 유입된 세정 유체(세정수)를 피세척물에 분사하는 자동 세척 노즐로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파이프(도시 안됨)를 통해 고압의 세정수가 노즐케이스(10)의 유입구(15)를 통해서 유입되면, 유입되는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탄성부재(40)가 압축되면서 유동노즐(50)을 전진시킨다.
따라서, 유동노즐(50)의 선단부에 절개공(54)이 형성된 경사절개면(a)과, 고정노즐(60)의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절개면(b)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닿아 밀착되면서 상기 유동노즐(50)과 고정노즐(60)의 토출공(53,63)이 일치하여 하나의 토출공을 형성하게 되고, 하나의 토출공(53,63)을 통해 분사된 고압의 세정수는 망상형의 여과포로 구성된 여과용 벨트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이어서, 세척 작업이 완료되어, 산업용탈수기의 세정파이프로부터 세정수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노즐케이스(10) 내에 유입되는 세정수의 유압이 급격이 하강하면서, 수축되어 있던 탄성부재(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노즐(50)이 고정노즐(60)과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는 초기상태와 같은 큰 공간이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는 유동노즐(50)의 내부에 끼인 이물질이 노즐케이스(10)의 토출구(13)를 통해 세정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므로, 다음에 세정수를 분사할 때 이물질에 의해 토출공(53,63)이 막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 1은, 유동노즐(50)과 고정노즐(60)의 양쪽 경사절개면(a,b)이 맞닿아 밀착하면서 양쪽의 토출공(53,63)이 일치되어 하나의 토출공(53,63)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이때 유동노즐(50)과 고정노즐(60) 사이의 밀착력에 의해 유동노즐(50)은 고정노즐(60)에 대하여 경사절개면(a,b)의 경사방향(도 1b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 힘은 공급되는 세정수의 수압에 비례하게 되므로, 수압이 강할 경우 유동노즐(50)이 고정노즐(60)에 대하여 경사절개면(a,b)의 경사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동노즐(50)의 토출공(53)이 고정노즐(60)의 토출공(63)보다 미세하게 더 돌출되는 불일치 현상이 발생하고, 양쪽 토출공(53,63) 사이의 간격은 설정치보다 더 벌어지게 된다.
양쪽 토출공(53,63)의 위치일치와 간격유지는 아주 미세한 차이에 의해서도 세정수의 분사각과 분사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서, 수압 차이에 따라 양쪽 토출공(53,63)의 미세한 위치 불일치와 간격변화로 인해 노즐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고, 최근 세정수의 분사각과 분사속도에 대한 정밀성을 요구함에 따라, 이에 대한 개선이 절실한 실정에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 1은 유동노즐(50)이 고정노즐(60)에 맞닿아 밀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고, 이로써 유동노즐(50)의 이동시 세정수의 배출압력에 의해 이동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으로 큰 회전력이 작용할 경우, 이동 동작이 원활하지 않아 세척수의 분사 초기의 수초 동안에는 설정된 분사각과 분사속도를 유지할 수 없고, 이 역시 노즐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다음 선행기술 2는, 상술한 선행기술 1에 비하여 이물질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유동노즐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개선한 것이나,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노즐(20)의 일측 바깥둘레에는 유동노즐(30)의 경사접촉면(32b)과 맞닿아 접하는 경사멈춤면(24)을 형성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노즐(20)의 경사멈춤면(24)에 유동노즐(30)의 경사접촉면(32b)이 맞닿아 접할 때, 고정노즐(20)의 제1홈(21)과 유동노즐(30)의 제2홈(31)이 일치하여 하나의 분사공(50)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경사접촉면(32b)과 경사멈춤면(24) 사이에는 밀착력이 발생되고, 이 밀착력에 의해 유동노즐(30)은 고정노즐(20)에 대하여 경사방향(도 2b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 힘은 세정수의 수압에 비례하므로 수압 변화에 따라 유동노즐(30)의 제2홈31)이 고정노즐(20)의 제1홈(21)보다 미세하게 더 돌출되거나 덜 돌출하여 양쪽 토출공(21,31)의 위치가 이동축선 방향으로 미세하게 불일치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써 선행기술 1과 마찬가지로 세정수의 분사각과 분사속도에 영향을 주어 노즐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 2는, 유동노즐(30)의 이동시 직선홈(32e)이 노즐케이스(10)의 직선안내핀(15)에 안내되므로 유동노즐(30)은 이동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일 없이 정확하고 원활하게 직선 이동할 수 있고, 이로써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공(50)의 형성이 정확한 시점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세정수의 분사 초기에도 설정된 분사각과 분사속도를 확실하게 유지하여 노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유동노즐(30)의 직선이동을 위한 수단으로서, 유동노즐(30) 측에 직선홈(32e)을 형성하고, 노즐케이스(10)측에는 상기 직선홈(32e)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직선안내핀(15)을 구비한 것이므로, 노즐 내부의 전체구성이 복잡해지고, 직선홈(32e)과 직선안내핀(15)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과, 직선안내핀(15)을 노즐케이스(10)에 관통시켜 직선홈(32e)에 끼우는 작업 등에 의해 제조 및 조립 공정은 물론, 부품수를 증가시키고 작업성을 저하시켜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 2는, 직선홈(32e)과 직선안내핀(15)을 노즐케이스(10) 및 유동노즐(30)의 원주둘레 상의 어느 한곳에 구비한 것으로, 유동노즐(30)의 직선이동시 원주방향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이드하지 못하고 어느 한쪽에서만 편심지게 가이드 함에 따라, 유동노즐(30)의 직선이동을 최적의 상태로 원활하게 안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이를 위해 직선홈(32e)과 직선안내핀(15)을 노즐케이스(10)과 유동노즐(30) 원주둘레 상의 다수 곳에 구비할 경우, 제조 및 조립 공정은 물론, 부품수를 증가시키고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더욱 가중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세정수의 수압 변화에 관계없이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의 양쪽 제1 및 제2 홈의 위치일치 및 설정된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함으로써 세정수 분사각과 분사속도를 확실하게 유지하여 노즐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유동노즐이 중심축선(이동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고 정확한 직선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고정노즐과 유동 노즐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노즐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및 조립 공정은 물론, 부품수의 감소와 작업성 향상으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자동 세척 노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세정파이프와 결합하는 후단과 토출구가 형성된 선단을 가지는 노즐케이스; 상기 노즐케이스에 수용 및 고정된 고정노즐; 상기 고정노즐과 맞닿아 밀착하여 하나의 원통형상을 이루는 분사위치와 고정노즐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케이스 내에 수용된 유동노즐; 및 상기 노즐케이스와 유동노즐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유동노즐이 대기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노즐이 고정노즐과 접하여 하나의 원통형상을 이루는 분사위치로 이동할 때 일치하여 하나의 분사공을 형성하는 제1 홈과 제2 홈이 상기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의 선단에 각각 형성된 자동 세척 노즐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이 맞닿아 밀착하여 하나의 원통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중심위치가 되는 고정노즐의 일면에는 중심축선 방향으로 직선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상기 직선가이드면과 대응하는 유동노즐의 중심위치에는 중심축선 방향으로 직선이동면을 형성하여 유동노즐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유동노즐의 대기위치에서 직선가이드면과 직선이동면의 일부가 상호 접촉하도록 하여 대기위치에서는 유동노즐이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되도록 상기 직선가이드면과 직선이동면의 중심축선 방향 길이를 설정하고, 상기 고정노즐의 후단에는 중심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직각정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노즐에는 상기 직각정지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기위치에서 직각정지면과 이격되고 분사위치에서 직각정지면에 맞닿아 밀착하는 직각밀착면을 형성하여 상기 직각정지면에 직각밀착면이 맞닿아 밀착할 때 상기 제1 홈과 제2 홈이 일치하여 하나의 분사공을 형성하도록 된 자동 세척 노즐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의 직선가이드면과 유동노즐의 직선이동면은,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을 일체로 제조한 후, 선단 중심위치에서 중심축선 방향으로 절단가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정노즐의 직각정지면과 유동노즐의 직각밀착면은, 상기 직선가이드면 및 직선이동면 후단측 끝단에 연이어서 중심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절단가공하여 형성되는 자동 세척 노즐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자동 세척 노즐에 의하면,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에 형성한 직선가이드면과 직선이동면에 의해 유동노즐의 직선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직각정지면과 직각밀착면에 의해서는 세정수의 수압에 관계 없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상호 접촉하여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의 제1 홈과 제2 홈이 정확한 위치에서 일치되어 하나의 분사공을 형성하고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공의 형성이 정확한 시점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설정된 세정수 분사각과 분사속도를 확실하게 유지하여 노즐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유동노즐의 직선이동을 안내하고 대기위치에서 유동노즐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이 별도 구성의 추가 없이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에 형성한 직선가이드면과 직선이동면에 의해 수행됨에 따라, 노즐의 내부 구성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고, 종래의 직선홈과 직선안내핀으로 이루어진 구성에 비하여 원주방향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수단이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을 제조하기 위해 가공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형성됨에 따라, 부품수의 절감으로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노즐의 성능을 유지하고 제조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산업상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선행기술 1의 자동 세척 노즐을 나타낸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선행기술 2의 자동 세척 노즐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척 노즐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다른 자동 세척 노즐에서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척 노즐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 세척 노즐은, 세정파이프(미도시)로부터 유입된 세정수를 여과필터와 같은 피세척물에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노즐케이스(110)와, 고정노즐(120)과, 유동노즐(130)과, 스프링(140)을 포함한다.
노즐케이스(110)는 상기 고정노즐(120), 유동노즐(130) 및 스프링(14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노즐케이스(110)의 후단 외면에는 세정파이프(미도시)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111)이 구비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토출구(112)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노즐(120)은, 노즐케이스(11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노즐케이스(110)와 고정나사(15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고정노즐(120)의 선단 내측에는 제1 홈(121)을 형성하고, 제1 홈(121)은 후술하는 유동노즐(130)의 제2 홈(131)과 함께 하나의 분사공(160)을 형성하는 것으로, 분사공(16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노즐(120)과 유동노즐(130)이 맞닿아 밀착하였을 때 제1 홈(121)과 제2 홈(131)이 일치하여 형성된다.
유동노즐(130)은 노즐케이스(110)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노즐(120)과 접하여 하나의 원통형상을 이루는 분사위치(도 3b 위치)와 고정노즐(12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이들 사이의 선단에 큰 통로를 형성하는 대기위치(도 3a 위치) 사이에서 축선방향(X-X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노즐케이스(110)와 유동노즐(130) 사이에는 패킹(170)이 구비되어 세정수가 유동노즐(130) 내부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동노즐(130)은 선단 내측에 제2 홈(131)을 형성하고 있다.
스프링(140)은, 노즐케이스(110)와 유동노즐(130) 사이에 탄력설치되고, 유동노즐(130)이 항상 고정노즐(120)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작용한다. 따라서 세정파이프로부터 세정수가 유입되지 않거나 비교적 약한 압력의 세정수가 유입되면, 유동노즐(130)은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노즐(120)로부터 이격된 대기위치 상태에 놓인다.
이러한 대기위치 상태에서는 고정노즐(120)과 유동노즐(130) 사이의 선단측에 큰 통로를 형성하여 세정수와 함께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세정파이프로부터 스프링(140)의 압축력보다 큰 고압의 세정수가 유입되면 유동노즐(130)은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노즐(120)과 맞닿아 밀착하는 분사위치 상태에 놓이고, 이 상태에서는 고정노즐(120)의 제1 홈(121)과 유동노즐(130)의 제2 홈(131)의 위치가 일치되고 제1 홈(121)과 제2 홈(131)은 분사위치에서 일정한 간격(틈새)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설정된 세정수 분사각과 분사속도로 세정수를 분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고정노즐(120)과 유동노즐(130)에는 유동노즐(130)이 대기위치와 분사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직선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직선가이드면(122)과 직선이동면(132)을 형성한다.
상기 직선가이드면(122)은 고정노즐(120)과 유동노즐(130)이 접하여 하나의 원통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중심위치가 되는 고정노즐(120)의 일면에 중심축선(X-X)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선이동면(132)은 직선가이드면(122)과 대응하는 유동노즐(130)의 중심위치에서 중심축선(X-X) 방향으로 형성한다.
직선가이드면(122)과 직선이동면(132)의 중심축선 방향 길이는, 도 3a에서와 같이 유동노즐(130)이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직선가이드면(122)과 직선이동면(132)의 일부가 상호 접촉하여 유동노즐(130)이 중심축선(X-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고정노즐(120)과 유동노즐(130)에는 분사위치에서 상기 제1 홈(121)과 제2 홈(131)이 일치하여 하나의 분사공(160)을 형성하도록 하는 직각정지면(123)과 직각밀착면(133)이 구비된다.
직각정지면(123)은 고정노즐(120)의 후단에 중심축선(X-X)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직각밀착면(133)은 상기 직각정지면(123)과 대응하도록 유동노즐(130)에 형성된다. 직각밀착면(133)은 대기위치에서 직각정지면(123)과 이격되고 분사위치에서 직각정지면(123)에 맞닿아 밀착함으로써 수압에 관계없이 제1 홈(121)과 제2 홈(131)을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일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노즐(120)의 직선가이드면(122) 및 직각정지면(123)과, 유동노즐(130)의 직선이동면(132) 및 직각밀착면(133)은 각각 별개로 형성하지 않고, 고정노즐(120)과 유동노즐(130)의 제조를 위해 가공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형성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분사공(160)을 포함하여 고정노즐(120)과 유동노즐(130)을 일체로 가공한 후, 분사공(160)이 형성된 선단의 중심위치에서 중심축선(X-X) 방향으로 소정길이 절단가공하여 상기 고정노즐(120)의 직선가이드면(122)과 유동노즐(130)의 직선이동면(13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가이드면(122) 및 직선이동면(132) 후단측 끝단에 연이어서 중심축선(X-X)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절단가공하여 상기 고정노즐(120)의 직각정지면(123)과 유동노즐(130)의 직각밀착면(13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 세척 노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서와 같이 유동노즐(130)이 고정노즐(120)로부터 이격된 대기위치 상태에서 세정파이프(미도시)로부터 고압의 세정수가 공급되면, 유동노즐(130)은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노즐(120)의 직각정지면(123)에 유동노즐(130)의 직각밀착면(133)이 맞닿아 밀착할 때까지 이동한다. 이때 유동노즐(130)의 직선이동면(132)이 고정노즐(120)의 직선가이드면(122)에 안내되므로, 유동노즐(130)은 중심축선(X-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일없이 정확하고 원활하게 직선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노즐(130)이 대기위치에서 분사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스프링(140)은 압축된 상태가 되고, 고정노즐(120)의 제1 홈(121)과 유동노즐(130)의 제2 홈(131)은 일치하여 하나의 분사공(160)을 형성하게 되며, 이 분사공(160)을 통해 세정수가 오염된 피세척물로 강하게 분사됨으로써 세척작업이 수행된다.
이후, 피세척물의 세척이 완료되어 세정수의 압력을 낮추면, 유동노즐(130)은 스프링(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도 3a에서와 같이 고정노즐(120)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고정노즐(120)과 유동노즐(130)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며, 이 통로를 통해 유동노즐(130)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세정수와 함께 토출구(112)로 배출되므로, 다음에 세정수를 분사할 때, 이물질에 의해 분사공(16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은, 고정노즐(120)과 유동노즐(130)의 중심위치에 중심축선(X-X) 방향으로 형성한 직선가이드면(122)과 직선이동면(132)에 의해 유동노즐(130)의 직선이동이 안내되므로, 유동노즐(130)의 원주둘레 상의 어느 한곳에 직선핀과 직선홈을 형성하여 편심지게 가이드하는 선행기술에 비하여 원주방향 전체적으로 균일한 안내가 이루어져 유동노즐(130)의 직선이동을 최적의 상태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노즐(120)과 유동노즐(130)의 중심축선(X-X)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형성한 직각정지면(123)과 직각밀착면(133)이 맞닿아 상호 밀착하는 것에 의해 유동노즐(130)이 분사위치에서 정지하는 것이므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수압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분사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정노즐(120)의 제1 홈(121)과 유동노즐(130)의 제2 홈(131)의 위치와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세정수의 수압에 관계없이 분사각과 분사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노즐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노즐(13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직선가이드면(122) 및 직선이동면(132)과, 유동노즐(130)을 항상 일정한 분사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직각정지면(123) 및 직각밀착면(133)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노즐(120) 및 유동노즐(130)을 제조하기 위하여 일체로 제작한 후, 분리를 위한 절단 가공시 동시에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아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은 물론, 제조 및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노즐의 성능을 유지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노즐케이스 120 : 고정노즐
121 : 제1 홈 122 : 직선가이드면
123 : 직각정지면 130 : 유동노즐
131 : 제2 홈 132 : 직선이동면
133 : 직각밀착면 140 : 스프링
150 : 고정나사 160 : 분사공
X-X : 중심축선

Claims (2)

  1. 세정파이프와 결합하는 후단과 토출구가 형성된 선단을 가지는 노즐케이스;
    상기 노즐케이스에 수용 및 고정된 고정노즐;
    상기 고정노즐과 맞닿아 밀착하여 하나의 원통형상을 이루는 분사위치와 고정노즐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케이스 내에 수용된 유동노즐; 및
    상기 노즐케이스와 유동노즐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유동노즐이 대기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노즐이 고정노즐과 접하여 하나의 원통형상을 이루는 분사위치로 이동할 때 일치하여 하나의 분사공을 형성하는 제1 홈과 제2 홈이 상기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의 선단에 각각 형성된 자동 세척 노즐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이 맞닿아 밀착하여 하나의 원통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중심위치가 되는 고정노즐의 일면에는 중심축선 방향으로 직선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상기 직선가이드면과 대응하는 유동노즐의 중심위치에는 중심축선 방향으로 직선이동면을 형성하여 유동노즐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유동노즐의 대기위치에서 직선가이드면과 직선이동면의 일부가 상호 접촉하도록 하여 대기위치에서는 유동노즐이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되도록 상기 직선가이드면과 직선이동면의 중심축선 방향 길이를 설정하고,
    상기 고정노즐의 후단에는 중심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직각정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노즐에는 상기 직각정지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기위치에서 직각정지면과 이격되고 분사위치에서 직각정지면에 맞닿아 밀착하는 직각밀착면을 형성하여 상기 직각정지면에 직각밀착면이 맞닿아 밀착할 때 상기 제1 홈과 제2 홈이 일치하여 하나의 분사공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의 직선가이드면과 유동노즐의 직선이동면은,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을 일체로 제조한 후, 선단 중심위치에서 중심축선 방향으로 절단가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정노즐의 직각정지면과 유동노즐의 직각밀착면은, 상기 직선가이드면 및 직선이동면 후단측 끝단에 연이어서 중심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절단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 노즐.
KR2020180004916U 2018-10-30 2018-10-30 자동 세척 노즐 KR200488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916U KR200488263Y1 (ko) 2018-10-30 2018-10-30 자동 세척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916U KR200488263Y1 (ko) 2018-10-30 2018-10-30 자동 세척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263Y1 true KR200488263Y1 (ko) 2019-01-04

Family

ID=6501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916U KR200488263Y1 (ko) 2018-10-30 2018-10-30 자동 세척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26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149B1 (ko) * 2019-09-03 2020-02-07 농업회사법인 (주)와이에이치산업 농약 살포용 노즐 조립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농약 살포 장치
KR102082612B1 (ko) * 2019-09-27 2020-02-27 오미숙 고정 노즐의 제조 방법
CN113262915A (zh) * 2021-05-19 2021-08-17 刘和凯 一种节能环保材料制造用自动清除堵塞的涂胶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149B1 (ko) * 2019-09-03 2020-02-07 농업회사법인 (주)와이에이치산업 농약 살포용 노즐 조립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농약 살포 장치
KR102082612B1 (ko) * 2019-09-27 2020-02-27 오미숙 고정 노즐의 제조 방법
CN113262915A (zh) * 2021-05-19 2021-08-17 刘和凯 一种节能环保材料制造用自动清除堵塞的涂胶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263Y1 (ko) 자동 세척 노즐
JP2532323Y2 (ja) ノズル
CN102046296B (zh) 喷嘴
KR102045179B1 (ko) 복합 가공기에 의한 자동 세척 노즐의 제조 방법
TWI699244B (zh) 粉塵去除裝置及粉塵去除系統
KR101941028B1 (ko) 슬릿 타입의 분사구를 가지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
CN1420806A (zh) 用于排放均匀化学制品的滴落歧管
JP2012152470A (ja) シャワー吐水装置
US20200070223A1 (en) Jig for cleaning a bowl of a spin coater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bowl of a spin coater including the same
KR101896849B1 (ko) 스터드 홀 세척 장치
KR200475074Y1 (ko) 자동 세척 노즐
KR101881379B1 (ko) 정반 세정 장치
KR101729412B1 (ko) 하이드로포밍 장치
KR101289501B1 (ko) 디스펜싱용 젯 밸브의 노즐 청소 블레이드
KR102004952B1 (ko) 에어 나이프 장치
KR102258633B1 (ko) 자동 세척 노즐
KR20210084113A (ko)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장치
CN219916179U (zh) 一种雾化喷嘴、雾化组件和半导体加工设备
JPH09266187A (ja) 洗浄装置
KR200334527Y1 (ko) 세정용 스프레이 헤드
KR20150039161A (ko) 노즐 팁
CN117463548B (zh) 一种基于塑料制品加工的喷涂装置
KR101352081B1 (ko) 스프레이 바
KR102225277B1 (ko) 스프레이 노즐의 크리닝 장치
KR102252226B1 (ko) 피부미용 관리장치의 노즐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