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412B1 - 하이드로포밍 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드로포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412B1
KR101729412B1 KR1020150131446A KR20150131446A KR101729412B1 KR 101729412 B1 KR101729412 B1 KR 101729412B1 KR 1020150131446 A KR1020150131446 A KR 1020150131446A KR 20150131446 A KR20150131446 A KR 20150131446A KR 101729412 B1 KR101729412 B1 KR 101729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ld
removal unit
fluid
tubula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936A (ko
Inventor
한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31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4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21D26/02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 B21D26/033Deforming tubul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21D26/02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 B21D26/033Deforming tubular bodies
    • B21D26/045Closing or seal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튜브형소재를 성형하는 하이드로포밍 장치로서, 내부에 튜브형소재가 수용되는 금형부; 전진이동하여 튜브형소재의 내부로 삽입되고, 튜브형소재를 밀폐하는 한쌍의 펀치; 및 한쌍의 펀치 중 어느 하나의 펀치 후방에 형성되어 펀치와 함께 일체로 이동하며, 후방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튜브형소재 및 금형부 내부의 이물질을 금형부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거유닛;을 포함하는 하이드로포밍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하이드로포밍 장치 {HYDRO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하이드로포밍 공법으로 튜브형소재를 성형하고 펀치가 금형 외부로 나오는 과정에서 튜브형소재 및 금형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금형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고 수집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성형을 꾀할 수 있고 나아가, 펀치의 후방에는 부싱이 더해져 금형 내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하이드로포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포밍은 튜브형소재를 금형부 사이에 위치시키고 튜브형소재를 밀폐시킨 후 튜브형소재 내부로 고압의 확관액을 이용하여 튜브형소재를 확관시켜 성형하는 공법이다.
성형과정에서 금형부 내부로 진입되는 확관액 공급수단 및 튜브형소재 밀폐수단이 금형부의 내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금형부에 손상을 입히게 되고, 성형을 마친 후 나오는 과정에서도 성형 과정에서 생성된 이물질로 인해 마찬가지로 금형부에 손상을 입히게 되어 정밀한 성형작업이 불가하였고 잦은 설비의 교체작업에 의해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2-0005792 A
본 발명은 하이드로포밍 공법으로 튜브형소재를 성형하고 펀치가 금형 외부로 나오는 과정에서 튜브형소재 및 금형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금형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고 수집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성형을 꾀할 수 있고 나아가, 펀치의 후방에는 부싱이 더해져 금형 내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하이드로포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포밍 장치는 튜브형소재를 성형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튜브형소재가 수용되는 금형부; 전진이동하여 튜브형소재의 내부로 삽입되고, 튜브형소재를 밀폐하는 한쌍의 펀치; 및 한쌍의 펀치 중 어느 하나의 펀치 후방에 형성되어 펀치와 함께 일체로 이동하며, 후방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튜브형소재 및 금형부 내부의 이물질을 금형부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거유닛;을 포함한다.
전진이동하여 금형부에서 펀치가 삽입되는 삽입구 형성 영역에 밀착되고, 제거유닛이 이동되는 경로를 둘러싸며, 제거유닛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제거유닛을 세척하는 세척유닛; 및 제거유닛과 세척유닛을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거유닛은, 펀치 후면과 연결되고, 내부로 유체가 이동하는 복수개의 분사로가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유체가 분사되는 복수개의 분사홀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분사부; 원통형 형상으로 분사부 후면과 연결되어 내부로 유체가 이동하는 제1유동로가 관통되며, 이물질이 포집되는 제1홈이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수집부; 및 원통형 형상으로 수집부 후면과 연결되어 내부로 유체가 이동하는 제2유동로가 형성되고, 제2유동로로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된 공급부;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분사로, 제1유동로 및 제2유동로는 연결될 수 있다.
수집부는, 외경이 분사부의 외경보다 작은 원통형의 내심; 및 내심을 감싸고, 금형부보다 무른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된 부싱;을 포함하며, 내심에는 제1유동로가 관통되고, 부싱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제1홈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집부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개의 제1홈과 수직교차되는 복수개의 제2홈이 형성되되, 각각의 제2홈은 분사부 외주면의 분사홀에서 연장되어 분사홀로부터 분사되는 유체의 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세척유닛은, 전면은 개방되고, 후면은 폐쇄되되, 후면의 중앙부에는 제거유닛이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거유닛이 세척되는 세척공간이 형성된 챔버; 및 세척유닛이 금형부에 밀착될 때 금형부와는 이격되면서 챔버의 전면을 폐쇄하되, 중앙부에는 제거유닛이 통과되는 있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통과홀 주변에는 제거유닛에서 분사된 유체가 통과되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원형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플레이트의 전면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돌기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유닛은, 제거유닛을 전후 이동시키는 제1액츄에이터; 세척유닛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거유닛의 이동과는 별개로 세척유닛을 전후 이동시키는 제2액츄에이터; 세척유닛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2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른 세척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 및 제1액츄에이터, 제2액츄에이터 및 가이드가 형성된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이드로포밍 장치에 따르면, 하이드로포밍 공법을 이용한 성형작업 과정에서 금형부 내부의 이물질을 금형부 내부로 삽입되는 펀치에 유체 분사수단을 마련하여 금형부 외측으로 이물질을 배출함으로써 정밀한 성형작업이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이물질 끼임에 의한 작업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금형부 내부로 삽입되는 펀치에서 금형부 내면과 접촉되는 부분을 금형부보다 무른 재질로 구성하여 마찰에 의한 금형부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포밍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거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거유닛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유닛과 원형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포밍 장치는 튜브형소재를 성형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튜브형소재가 수용되는 금형부(100); 전진이동하여 튜브형소재의 내부로 삽입되고, 튜브형소재를 밀폐하는 한쌍의 펀치(200); 및 한쌍의 펀치(200) 중 어느 하나의 펀치(200) 후방에 형성되어 펀치(200)와 함께 일체로 이동하며, 후방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튜브형소재 및 금형부(100) 내부의 이물질을 금형부(100)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거유닛(300);을 포함한다.
하이드로포밍은 튜브형소재를 금형부(100) 사이에 위치시키고 튜브형소재를 밀폐시킨 후 튜브형소재 내부로 고압의 확관액을 이용하여 튜브형소재를 확관시켜 성형하는 공법이다.
성형과정에서 금형부(100) 내부로 진입되는 확관액 공급수단 및 튜브형소재 밀폐수단이 금형부(100)의 내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금형부(100)에 손상을 입히게 되고, 성형을 마친 후 나오는 과정에서도 성형 과정에서 생성된 이물질로 인해 마찬가지로 금형부(100)에 손상을 입히게 되어 정밀한 성형작업이 불가하였고 잦은 설비의 교체작업에 의해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금형부(100)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나누어진다. 튜브형소재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위치하고 튜브형소재의 개방된 양측부를 통해 확관액이 주입되어 금형부(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튜브형소재가 성형되는 것이다.
펀치(200)는 한쌍을 이루며 서로 전진 이동하여 금형부(100)의 내부로 진입 후 튜브형소재 내부로 삽입되고 밀착되어 튜브형소재를 밀폐시킨다. 펀치(200)는 확관액을 공급하는 액팅펀치와 반대편에서 튜브형소재를 밀폐하는 카운터펀치로 나누어진다.
액팅펀치는 확관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카운터펀치는 액팅펀치의 반태편에서 금형을 밀폐하여 밀폐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경우 확관액이 공급되는 액팅펀치가 아닌 밀폐력을 증대시키는 카운터펀치에 주로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후방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튜브형소재 및 금형부(100) 내부의 이물질을 금형부(100)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거유닛(300)은 상기 한쌍의 펀치(200) 중 어느 하나의 펀치(200) 후방에 형성되어 펀치(200)와 함께 일체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제거유닛(300)의 내부에는 에어 또는 물 등의 유체가 분사되기 위한 유동로가 흐른다. 따라서 펀치(200)가 튜브형소재의 성형을 마치고 금형부(100)를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유동로를 흐르는 유체를 금형부(100) 내부에서 분사함이 가능한 것이다.
유체를 분사하는 수단의 분사방향은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할 경우 펀치(200)가 나오는 과정에서 제거유닛(300)이 하방을 향해 유체를 분사하여 튜브형소재 및 금형부(100) 내부에 존재하는 철가루 등의 이물질을 금형부(100) 바깥으로 끌고 나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제거유닛(300)에서 금형부(100)의 내면과 접촉되는 부분은 동이나 황동과 같이 금형부(100)보다 무른 소재를 활용하여 금협부의 내면이 아닌 제거부가 손상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형부(100)의 내면과 접촉되는 부분을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설비의 손상에 의한 작업중단 시간을 최소화시킨다.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기술적 사상은 하이드로포밍 공법으로 튜브형소재를 성형하고 펀치(200)가 금형부(100) 외부로 나오는 과정에서 튜브형소재 및 금형부(100)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금형부(100)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고 수집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성형을 꾀할 수 있고 나아가, 펀치(200)의 후방에는 부싱(323)이 더해져 금형부(100) 내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하이드로포밍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포밍 장치는 전진이동하여 금형부(100)의 펀치(200)가 삽입되는 삽입구 형성 영역에 밀착되고, 제거유닛(300)이 이동되는 경로를 둘러싸며, 제거유닛(300)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제거유닛(300)을 세척하는 세척유닛(400); 및 제거유닛(300)과 세척유닛(400)을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거유닛(300)이 후방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튜브형소재 및 금형부(100) 내부의 이물질을 금형부(100) 외부로 인출함에 따라 제거유닛(300)에는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세척유닛(400)을 마련하여 제거유닛(300)을 세척시킨다.
세척유닛(400)도 제거유닛(300)처럼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전진이동으로 금형부(100) 외측의 펀치(200)가 삽입되는 삽입구 형성 영역에 밀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거유닛(300)은 세척유닛(400)을 통과하도록 설계되어 후방이동으로 세척유닛(400)을 통과해 나가는 과정에서 제거유닛(300)의 세척작업이 마쳐질 수 있도록 한다. 세척유닛(400)의 내부로 제거유닛(300)의 세척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시켜 세척유닛(400) 내부에서 세척수 등을 분사하여 제거유닛(300)의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동유닛(500)의 경우 금형부(100) 외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이동유닛(500)에 제거유닛(300) 및 세척유닛(400)이 연결된다. 다만, 제거유닛(300)과 세척유닛(400)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실린더 등과 같은 이송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제거유닛(300)과 세척유닛(400)을 작동시킬 것이다. 또한, 제거유닛(300)과 세척유닛(400)을 작동시키는 이송수단을 별개로 마련하여 제거유닛(300)과 세척유닛(400)의 각기 독립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포밍 장치에서 제거유닛(300)은, 펀치(200) 후면과 연결되고, 내부로 유체가 이동하는 복수개의 분사로(311)가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유체가 분사되는 복수개의 분사홀(312)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분사부(310); 원통형 형상으로 분사부(310) 후면과 연결되어 내부로 유체가 이동하는 제1유동로(321)가 관통되며, 이물질이 포집되는 제1홈이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수집부(320); 및 원통형 형상으로 수집부(320) 후면과 연결되어 내부로 유체가 이동하는 제2유동로(331)가 형성되고, 제2유동로(331)로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된 공급부(330);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분사로(311), 제1유동로(321) 및 제2유동로(331)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분사부(310)는 금형부(100) 내부에서 후방을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분사부(310)에는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홀(312)이 형성되고 분사부(310) 내부에는 유체가 분사홀(312)까지 이동하는 분사로(311)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분사홀(312) 및 분사로(311)는 복수개 형성되며, 분사로(311)의 경우 분사부(310) 내부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유체가 후방을 향하게 분사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분사부(310)의 외경은 튜브형소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펀치(200)의 외경과 같음으로써 펀치(200)가 튜브형소재 내부로 삽입될 때 함께 삽입되어 유체를 튜브형소재 내부에서 분사하여 튜브형소재 내의 이물질 제거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수집부(320)는 튜브형소재 및 금형부(100) 내부의 이물질을 수집하는 구간이다. 원통형 모양으로 분사부(310)의 후면에 연결된다. 수집부(320)의 내부에는 유체가 이동하는 제1유동로(321)가 형성되는데 이 제1유동로(321)는 분사부(310) 내부의 복수개의 분사로(311)까지 이어진다. 이로써 수집부(320) 내부를 제1유동로(321)를 통해 관통하여 흐르는 유체가 분사부(310)의 분사로(311)까지 이어져 분사홀(312)로 분사되는 것이다.
또한, 수집부(320)의 표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제1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거유닛(300)이 튜브형소재의 성형을 마치고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분사부(310)에 의해 하방으로 가이드된 이물질을 제1홈의 사이에 수집하면서 금형부(100) 바깥으로 끌고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수집부(320)의 경우 펀치(200)가 튜브형소재 내부로 삽입되어 밀착될 때 금형부(100)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이므로 금형부(100) 내면에 마찰 등에 의한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 표면을 금형부(100)보다 무른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수집부(320)와 분사부(310)의 체결은 수집부(320)에서 분사부(310)가 공전되도록 연결하고, 분사로(311)의 방향은 단순히 후방이 아니라 대각선으로 기울어지게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유체가 분사홀(312)을 통해 분사되는 힘으로 수집부(320)에서 분사부(310)가 회전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따라 튜브형소재 및 금형부(100) 내부의 이물질을 금형부(100) 외측으로 유도하는 효과가 상승될 것이다.
공급부(330)는 수집부(320)의 후명에 연결된다. 공급부(330)의 내부에는 유체가 이동하는 제2유동로(331)가 형성된다. 제2유동로(331)의 일측에는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되고 제2유동로(331)의 타측에는 제1유동로(321)가 연결되어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유체가 제2유동로(331), 제1유동로(321) 및 분사로(311)를 따라 이동하여 분사홀(312)로 분사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포밍 장치에서 수집부(320)는, 외경이 분사부(310)의 외경보다 작은 원통형의 내심(322); 및 내심(322)을 감싸고, 금형부(100)보다 무른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된 부싱(323);을 포함하며, 내심(322)에는 제1유동로(321)가 관통되고, 부싱(323)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제1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집부(320)의 경우 금형부(100) 내면과 접촉이 되는바 금형부(1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동, 황동 등의 무른 성질의 재료로 구성한다. 다만, 무른 성질의 재료가 손상될 경우 제거유닛(300)으로부터 간편한 교체가 이루어게 하기 위해 수집부(320)를 내심(322)과 부싱(323)으로 구성시킨다.
제1유동로(321)가 존재하는 내심(322)을 부싱(323)이 감싸도록 설계하여 내심(322)과 부싱(323)을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설비 교체에 의한 작업중단 등의 손실을 상당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포밍 장치에서 수집부(32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개의 제1홈과 수직교차되는 복수개의 제2홈이 형성되되, 각각의 제2홈은 분사부(310) 외주면의 분사홀(312)에서 연장되어 분사홀(312)로부터 분사되는 유체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거유닛(300)이 금형부(100) 내부로 삽입될 때 제거유닛(300)과 금형부(100) 간의 간극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거유닛(300)의 분사부(310)로부터 유체가 분사될 때 유체가 빠져나갈 수 있는 유체의 이동경로가 필요하다. 따라서 분사부(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사홀(312)로부터 시작되는 이동경로를 마련한다. 수집부(320)에 제거유닛(3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제2홈을 형성시키되, 각각의 제2홈의 시작점은 분사홀(312)이 되도록하여 분사부(310)로부터 분사된 유체는 이물질을 금형부(100) 외측 후방으로 유도하고 제2홈을 통해 형성된 이동경로를 따라 외부로 유출됨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포밍 장치에서 세척유닛(400)은, 전면은 개방되고, 후면은 폐쇄되되, 후면의 중앙부에는 제거유닛(300)이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거유닛(300)이 세척되는 세척공간이 형성된 챔버(410); 및 세척유닛(400)이 금형부(100)에 밀착될 때 금형부(100)와는 이격되면서 챔버(410)의 전면을 폐쇄하되, 중앙부에는 제거유닛(300)이 통과되는 있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통과홀 주변에는 제거유닛(300)에서 분사된 유체가 통과되는 복수개의 구멍(421)이 형성된 원형플레이트(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원형플레이트(420)의 전면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돌기(422)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챔버(410)는 제거유닛(300)이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거유닛(300)이 드나들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제거유닛(300)이 세척이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상부에서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게 세척공간 상부에 세척수의 공급장치(411)가 형성된다. 세척공간 하부에는 세척수와 세척수에 의해 씻겨진 이물질이 빠져나갈 수 있게 복수개의 배출구(412)가 형성된다. 챔버(410)는 이동유닛(500)에 연결되어 금형부(100)의 외측으로 전진이동하여 밀착될 수 있게 전후 이동가능하다.
챔버(410)의 개방된 전면에는 원형플레이트(420)가 마련되어 전면을 폐쇄하되, 제거유닛(300)이 드나들 수 있게 원형플레이트(420)의 중앙부에는 통과홀이 형성된다. 또한, 튜브형소재 및 금형부(100) 내부를 쓸고온 유체가 챔버(410)에 형성된 배출구(412)를 통해 배출되도록 원형플레이트(420)에는 복수개의 구멍(421)이 형성된다. 게다가 원형플레이트(420)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돌기(422)가 형성되어 금형부(100) 내부를 쓸고온 유체에 포함된 고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작용이 가능하다. 챔버(410)로부터 원형플레이트(420)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원형플레이트(420)의 청소가 간편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포밍 장치에서 이동유닛(500)은, 제거유닛(300)을 전후 이동시키는 제1액츄에이터(510); 세척유닛(4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거유닛(300)의 이동과는 별개로 세척유닛(400)을 전후 이동시키는 제2액츄에이터(520); 세척유닛(4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2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른 세척유닛(400)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530); 및 제1액츄에이터(510), 제2액츄에이터(520) 및 가이드(530)가 형성된 지지대(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동유닛(500)은 제거유닛(300)과 세척유닛(400)을 전후 이동시키되, 제거유닛(300)과 세척유닛(400)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는 제거유닛(300)과 세척유닛(400)이 제1액츄에이터(510)와 제2액츄에이터(520)를 매개로 지지대(540)와 연결됨으로써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액츄에이터는 실린더로 구성하여 제거유닛(300)과 세척유닛(400)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금형부 200 : 펀치
300 : 제거유닛 310 : 분사부
311 : 분사로 312 : 분사홀
320 : 수집부 321 : 제1유동로
322 : 내심 323 : 부싱
330 : 공급부 331 : 제2유동로
400 : 세척유닛 410 : 챔버
420 : 원형플레이트 422 : 돌기
500 : 이동유닛 510 : 제1액츄에이터
520 : 제2액츄에이터 530 : 가이드

Claims (8)

  1. 튜브형소재를 성형하는 하이드로포밍 장치로서,
    내부에 튜브형소재가 수용되는 금형부;
    전진이동하여 튜브형소재의 내부로 삽입되고, 튜브형소재를 밀폐하는 한쌍의 펀치;
    한쌍의 펀치 중 어느 하나의 펀치 후방에 형성되어 펀치와 함께 일체로 이동하며, 후방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튜브형소재 및 금형부 내부의 이물질을 금형부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거유닛;
    전진이동하여 금형부의 펀치가 삽입되는 삽입구 형성 영역에 밀착되고, 제거유닛이 이동되는 경로를 둘러싸며, 제거유닛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제거유닛을 세척하는 세척유닛; 및
    제거유닛과 세척유닛을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하이드로포밍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거유닛은,
    펀치 후면과 연결되고, 내부로 유체가 이동하는 복수개의 분사로가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유체가 분사되는 복수개의 분사홀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분사부;
    원통형 형상으로 분사부 후면과 연결되어 내부로 유체가 이동하는 제1유동로가 관통되며, 이물질이 포집되는 제1홈이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수집부; 및
    원통형 형상으로 수집부 후면과 연결되어 내부로 유체가 이동하는 제2유동로가 형성되고, 제2유동로로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된 공급부;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분사로, 제1유동로 및 제2유동로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포밍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수집부는,
    외경이 분사부의 외경보다 작은 원통형의 내심; 및
    내심을 감싸고, 금형부보다 무른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된 부싱;을 포함하며,
    내심에는 제1유동로가 관통되고, 부싱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제1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포밍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수집부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개의 제1홈과 수직교차되는 복수개의 제2홈이 형성되되,
    각각의 제2홈은 분사부 외주면의 분사홀에서 연장되어 분사홀로부터 분사되는 유체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포밍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척유닛은,
    전면은 개방되고, 후면은 폐쇄되되, 후면의 중앙부에는 제거유닛이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거유닛이 세척되는 세척공간이 형성된 챔버; 및
    세척유닛이 금형부에 밀착될 때 금형부와는 이격되면서 챔버의 전면을 폐쇄하되, 중앙부에는 제거유닛이 통과되는 있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통과홀 주변에는 제거유닛에서 분사된 유체가 통과되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원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포밍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원형플레이트의 전면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돌기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포밍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유닛은,
    제거유닛을 전후 이동시키는 제1액츄에이터;
    세척유닛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거유닛의 이동과는 별개로 세척유닛을 전후 이동시키는 제2액츄에이터;
    세척유닛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2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른 세척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 및
    제1액츄에이터, 제2액츄에이터 및 가이드가 형성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포밍 장치.
KR1020150131446A 2015-09-17 2015-09-17 하이드로포밍 장치 KR101729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46A KR101729412B1 (ko) 2015-09-17 2015-09-17 하이드로포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46A KR101729412B1 (ko) 2015-09-17 2015-09-17 하이드로포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936A KR20170033936A (ko) 2017-03-28
KR101729412B1 true KR101729412B1 (ko) 2017-04-24

Family

ID=5849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46A KR101729412B1 (ko) 2015-09-17 2015-09-17 하이드로포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218A (ko)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에이치티씨 방향제어용 고압용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653B1 (ko) * 2019-07-31 2020-03-06 김민철 난연재 성분이 포함된 아스콘 도로포장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723B1 (ko) 2010-07-09 2013-02-01 주식회사 포스코 하이드로 포밍용 이물 배출형 펀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218A (ko)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에이치티씨 방향제어용 고압용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936A (ko)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741B1 (ko) 이형제 스프레이 모듈의 세척장치
JP2007007532A (ja) 円筒体洗浄装置
KR101729412B1 (ko) 하이드로포밍 장치
KR101572340B1 (ko) 제막 방법, 제막용 노즐 및 제막 장치
WO2015012030A1 (ja) 洗浄装置
CN101982651A (zh) 缸盖内孔自动清洗装置
KR101115337B1 (ko) 열간성형 제품용 금형 냉각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528824B2 (ja) バリ取り洗浄装置及びバリ取り洗浄方法
JP2016107358A (ja) ドライ加工装置
US9403308B2 (en) Molding tool for producing a component in a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process
KR20190140339A (ko) 슬라이드 코어와 함께 이동 가능한 이형제 분사기구를 갖춘 다이캐스팅 금형
KR20190140338A (ko) 슬라이드 코어 전용 이형제 분사기구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KR101442924B1 (ko) 노즐 헤더 장치
KR101520013B1 (ko) 발포 성형 원료 공급장치
CN105593426A (zh) 包括清洁剂分配器的清洗机
KR102298636B1 (ko)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
KR101425969B1 (ko) 고압분사용 살수노즐
KR101868987B1 (ko) 언더컷 성형용 슬라이드 코어가 있는 다이캐스팅 금형
CN203778417U (zh) 一种用于发动机缸体主油道高压清洗的高压清洗喷头
CN203842890U (zh) 一种缸筒清洗机用的喷头
CA2770267C (en) Thread cleaning apparatus
KR101868986B1 (ko) 슬라이드 코어가 있는 다이캐스팅 금형
JPH11156865A (ja) 金型洗浄装置及び金型洗浄方法
KR100956940B1 (ko) 청소용 분사 장치
KR100579276B1 (ko) 금형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