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066Y1 - 쇼핑백용 손잡이 끈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쇼핑백용 손잡이 끈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066Y1
KR200488066Y1 KR2020160006970U KR20160006970U KR200488066Y1 KR 200488066 Y1 KR200488066 Y1 KR 200488066Y1 KR 2020160006970 U KR2020160006970 U KR 2020160006970U KR 20160006970 U KR20160006970 U KR 20160006970U KR 200488066 Y1 KR200488066 Y1 KR 200488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guide
block
blocks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713U (ko
Inventor
이은명
Original Assignee
이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명 filed Critical 이은명
Priority to KR2020160006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06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7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0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4Shopping bags; Shopp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26D7/0633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 테이블의 상면에 하부다이와 상부다이를 상하로 구비한 수직 프레임; 다수의 손잡이끈의 공급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안내대와 끈거치부로 구성되는 끈안내부; 손잡이끈의 각 단부에 결합하는 클립을 위치시키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안내블록과 제 1 및 제 2 안내블록의 내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결합블록, 제 1 및 제 2 결합블록 사이를 이격시켜 손잡이 끈의 잔재를 통과시켜 하부로 배출하게 형성한 배출통로, 제 2 안내블록의 외부에 손잡이 끈을 결합시킨 클립을 제거하도록 설치한 스트립퍼들로 이루어진 하부다이; 하부금형의 제 1 및 제 2 결합블록과 대응하도록 위치시킨 제 1 및 제 2 프레스블록과 제 1 및 제 2 프레스블록의 외측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클립의 진동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하는 제 1 및 네 2 고정블록으로되는 상부다이; 테이블의 후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하부다이에 클립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클립공급부와 프레임 상면에 설치되어 손잡이끈을 가공위치로 이송하고 가공이 완료된 손잡이끈을 보관위치로 원활히 이송시키는 이송부로 구성한 이송기들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쇼핑백용 손잡이 끈의 제조장치{Handle string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hopping bag}
본 고안은 쇼핑백용 손잡이 끈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손잡이 끈의 단부들을 자동으로 위치되는 클립들과 각기 결합하는 데 따른 클립 진동이거나 손잡이 끈 잔재를 없이하고 동시에 클립을 결합한 손잡이 끈을 원활히 배출하여 대량으로 가공 처리하는 쇼핑백용 손잡이 끈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배경으로 되는 기술로써 대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의 동일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65531호(2015.05.11), 발명의 명칭"쇼핑백용 손잡이 끈의 제조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선 발명은 테이블; 테이블의 상면에 하부다이와 상부다이를 상하로 구비한 수직 프레임; 테이블의 일 측면에 수직프레임 중간에 다수의 손잡이 끈의 공급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안내부와 끈거치부로 구성되는 끈안내부; 하부금형을 구비한 하부다이, 상부금형을 구비한 상부다이, 테이블의 후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하부다이에 클립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클립공급부와 프레임 상면에 설치되어 손잡이 끈을 가공위치로 이송하고 가공이 완료된 손잡이끈을 보관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들로 구성되고, 하부다이가 하측 금형으로 되는 서로 대향 한 제 1 및 제 2 결합블록을 구비하고 이들의 좌우 단차가 4.5mm 형성되게 하며, 상부금형이 서로 인접하여 결합한 제 1 및 제 2 프레스블록으로 구성되게 하므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들이 서로 맞닿는 제 1 단차부와 제 2 단차부가 칼날로 기능하게 하므로, 손잡이끈의 단부들에 결합함과 동시에 절단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 발명은 손잡이 끈의 단부들을 각각 클립과 결합 및 절단함에 따라 클립의 압착으로 발생하는 진동으로 클립이 이탈되고 손잡이 끈의 절단으로 발생하는 잔재의 처리거나 클립을 결합한 손잡이 끈의 회수를 하는 데에는 주의를 필요로 하였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다수의 손잡이 끈의 단부들을 자동으로 위치되는 클립들과 각기 결합하는 데 따른 클립 진동이거나 손잡이 끈 잔재를 없이하고 동시에 클립을 결합한 손잡이 끈을 원활히 배출하여 대량으로 가공 처리하는 쇼핑백용 손잡이 끈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손잡이 끈의 단부들을 각각 클립과 결합 및 절단함에 따라 클립의 압착으로 발생하는 진동으로 클립이 이탈을 막고 손잡이 끈의 절단으로 발생하는 잔재를 처리하며, 클립을 결합한 손잡이 끈의 단부 클립을 해당 위치로부터 이격시키고 회수 시 손잡이 끈의 장력을 완화하여 원활히 배출하므로 손잡이 끈을 대량으로 가공 처리하는 쇼핑백용 손잡이 끈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테이블; 테이블의 상면에 하부다이와 상부다이를 상하로 구비한 수직 프레임; 테이블의 일 측면에 수직프레임 중간에 다수의 손잡이 끈의 공급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안내대와 끈거치부로 구성되는 끈 안내부; 서로 인접하여 대향하고 좌우에 배열되므로 쌍을 이루고 있으며 클립을 내부로 유입하는 제 1 안내블록 및 클립을 손잡이 끈과 결합시키는 제 1 결합블록을 구비한 제 1 블록유니트와; 클립을 내부로 유입하는 제 2 안내블록 및 클립을 손잡이끈과 결합시키는 제 2 결합블록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 2 블록유니트들로 구성되는 하부금형과 이송경로 외부에 인접하여 클립을 하부금형 내로 안내하는 안내부로 구성되는 하부다이; 상부지지프레임, 상부지지프레임 상에 지지되는 상부실린더, 상부지지프레임의 아래에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블록 및 상부블록 내에 위치되고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 한 상부금형을 구비한 상부다이; 하부다이의 제 1 블록유니트 좌측면에 설치한 제 1 유압실린더, 제 1 유압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 1 피스톤의 단부에 고정된 제 1 가로부재, 제 1 가로부재의 상단에 제 1 이동부재가 하부다이의 내측으로 연장하여 고정된 제 1 이동부재로 구성되는 제 1 클립이동유니트와 하부다이의 제 2 블록유니트의 우측면에 설치되는 제 2 유압실린더, 제 2 유압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 2 피스톤의 단부에 고정된 제 2 가로부재, 제 2 가로부재의 상단에는 하부다이의 내측으로 연장하여 고정된 제 2 이동부재들로 구성되는 제 2 클립이동유니트; 테이블의 후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하부다이에 클립을 공급하는 하나이상의 클립공급부와 프레임 상면에 설치되어 손잡이끈을 가공위치로 이송하고 가공이 완료된 손잡이끈을 보관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들로 구성되며,
배출통로가 제 1 및 제 2 블록유니트 사이가 일정 간격으로 분리된 상태로 떨어져 있는 하부에 형성되어 손잡이 끈의 절단 시 발생하는 잔해를 통과시켜 배출되게 하며,
배출 스트립퍼가 제 2 결합블록과 제 2 안내블록 사이에 설치되고 클립(2)들의 말단부에 일단부가 접촉되고 타측 단부가 로드에 고정되는 스트립부와 이 스트립부의 하측 단부에 고정된 로드를 정밀하게 상 및 하향 이동시키는 유압 장치거나 실린더와 같은 스트립 작동부로 구성되고, 각각 상부에 나사식 이거나 볼트식으로 고정되는 마개부, 내부가 공간부로 되어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하부에 이 스프링들을 탄성 있게 지지하는 동시에 동체 하부를 밀폐하는 밀봉부들로 구성된다.
밀봉부들은 상부에 볼트와 같은 고정구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고정블록들의 하부에 인접하는 머리부와 머리부의 일 측으로부터 제 1 및 제 2 결합블록을 따라 하향 연장한 다리부들로 구성된다,
이송기는 테이블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에 인접하여 테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손잡이 끈의 일 측에 클립을 결합시키고 다른 손잡이 끈의 타 측에도 클립을 결합하도록 이송하는 제 1 클램프를 구비한 주 이송부재와 제 1 클램프에 의하여 최종 이송된 손잡이 끈의 단부를 제 3 안내봉을 따라 일정거리 수평이동시키는 제 2 및 제 3 클램프를 각각 설치한 제 1 및 제 2 보조 이송부재들로 구성된다.
멈춤구는 제 2 보조 이송부재의 이송거리를 제한하도록 제 3 안내봉에 설치된다.
본 고안은 손잡이 끈의 단부들을 각각 클립과 결합 및 절단함에 따라 클립의 압착으로 발생하는 진동으로 클립이 이탈되지 않게 하고, 손잡이 끈의 절단으로 발생하는 잔재의 처리거나 클립을 결합한 손잡이 끈의 회수를 원활히 하게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 끈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 끈 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 끈 제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 끈 제조장치의 하부다이를 상세히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 끈 제조장치의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확대하여 손잡이 끈의 절단 작동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5c는 하부금형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스트립퍼를 보인 하부다이의 측 단면도이고,
도 6은 손잡이 끈을 제 1 및 제 2 보조 이송부재들에 의하여 이송시키는 과정을 측면 및 상부로 상세히 보인 도면들이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끈 제조장치(10)는 테이블(20)과 수직프레임(30), 끈공급부(40), 하부다이(50), 상부다이(60), 이송기(70) 및 클립공급부(80)로 구성된다.
테이블(20)의 상면에는 수직프레임(30)이 설치되고, 이 수직프레임(30)에는 그의 상하부에 각각 하부다이(50)와 상부다이(60)가 설치되며, 테이블(20)의 일 측에 고정되는 끈안내부(40)는 다수의 손잡이끈(1)의 공급을 안내하는 안내대(41)와 끈거치부(42)를 구비하며 수직프레임(30)의 입구 측 중간에 설치되어 있다. 끈거치부(42)는 다수의 손잡이끈(1)의 일정한 길이의 선단을 일렬로 정렬시키고 안내하는 고정지그(43)을 구비하여, 손잡이끈(1)이 이후 상세히 기술되는 이송부(70)의 제 1 클램프 (73)에 파지되어 절단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하부다이(50)는 수직프레임(3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금형(51)을 구비하고 이후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상부다이(60)와 협력하여 손잡이 끈(1)을 그 위로 위치하는 클립(2)과 결합하고 절단시킨다.
상부다이(60)는 수직프레임(3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후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금형(64)을 구비하여 하부금형(51)과 협력하여 손잡이끈(1)을 절단한다.
이송기(70)는 테이블(20)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30)에 인접하여 테이블(20)의 길이방향으로 손잡이 끈(1)의 일 측에 클립(2)을 고정함과 동시에 절단하고, 이 손잡이 끈(1)의 일정 길이 정도 이송 후 다시 클립(2)을 고정함과 동시에 절단하므로 제조되는 최종 제품의 손잡이 끈(1)을 파지하고 보관위치로 이송한다. 이때, 손잡이 끈(1)은 이후 기술되는 블록형 절단 날의 양 측면으로 클립(2)들이 위치되는 상태에서 연속하여 절단된다.
클립공급부(80)는 두 개가 설치되고, 테이블(20)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일정길이로 대략 반구형의 전단 날개를 가지며 이 날개부가 압착되어 손잡이 끈(1)과 결합되는 클립(2)을 하부다이(50)에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 클립공급부(80)는 이 기술에서 잘 알려진 대표적인 것으로 위 선등록 특허 10-0942411와 선 등록 특허 10-1040371에 기재된 것과 동일 유사한 것으로, 쌍을 이루어 설치된 드럼(81)에 넣어진 클립(2)을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진동모터에 의한 진동으로 정렬하여 두 개의 이송경로(82)를 따라 하부다이(50)에 손잡이 끈(1)의 가공위치까지 이송하여 공급한다.
도 4, 도 5a, 5b 및 5c에 도시와 같이 하부다이(50)는 쌍을 이룬 이송경로(82)를 양측면에 설치하고 손잡이 끈(1)의 하부금형(51)과 이송경로(82) 외부에 인접하여 클립(20)을 하부금형(51)로 안내하는 안내부(52)(도 3 참조)가 설치된다.
하부금형(51)은 서로 대향 하여 좌우에 배열되고 각각 쌍을 이룬 두 개의 제 1 블록유니트(53)과 제 2 블록유니트(54)를 구비한다. 제 1 블록유니트(53)은 클립(2)을 내부로 유입하는 제 1 안내블록(55)을 구비하고 클립(2)을 손잡이끈(1)과 결합시키는 제 1 결합블록(56)과 인접하여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블록유니트(54)도 제 1 블록유니트(53)와 동일한 구성으로 내부로 유입하는 제 2 안내블록(55')을 구비하며 클립(2)을 손잡이끈(1)과 결합시키는 제 2 결합블록(56')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하부금형(51)은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결합블록(56), (56')들로 구성되고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상부금형(64)과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제 1 및 제 2 블록유니트(53), (54)은 그들 사이가 다소 분리된 상태로 떨어져 있으며 손잡이 끈(1)이 절단 시 발생하는 잔해를 통과시켜 그 하부에 배출통로(59)로 배출하여 손잡이 끈(1)의 연속 절단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결합블록(56')과 제 2 안내블록(55') 사이에는 배출 스트립퍼(120)가 설치된다. 이 배출 스트립퍼(120)는 클립(2)들의 말단부에 일단부가 접촉되고 타측 단부가 로드(123)에 고정되는 스트립부(121), 이 스트립부(121)의 하측 단부에 고정된 로드(123)를 정밀하게 상 및 하향 이동시키는 유압 장치거나 실린더와 같은 스트립 작동부(122)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손잡이 끈(1)이 이후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제 1 클램프(76)로부터 제 3 클램프(79)로 이송 시 제 2 결합블록(55')에 끼이거나 다른 장치에 걸림이 없도록 한다.
제 1 및 제 2 블록유니트(53), (54) 각각의 외측 좌우에는 제 1 및 제 2 클립이동유니트(91), (92)들이 설치된다. 제 1 클립이동유니트(91)는 하부다이(50)의 좌측면에 제 1 유압실린더(93)가 설치된다. 제 1 유압실린더(93)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 1 피스톤(94)의 단부에는 제 1 가로부재(95)가 고정되며, 이 제 1가로부재(95)의 상단에는 제 1 이동부재(96)가 하부다이(50)의 내측으로 연장하여 고정되므로, 제 1 안내블록(55) 위에 이송경로(82)상에 클립(2)을 위치시키는 동시에 또다른 클립(2)이 제 1 결합블록(56)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클립이동유니트(92)는 하부다이(50)의 우측면에 제 2 유압실린더(93')가 설치되어있다. 제 2 유압실린더(93')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 2 피스톤(94')의 단부에는 제 2 가로부재(95')가 고정되며, 제 2 가로부재(95')의 상단에는 제 2 이동부재(96')가 하부다이(50)의 내측으로 연장하여 고정되고 제 2 안내블록(55') 위에 이송경로(82)상에 클립(2)을 위치시키는 동시에 또 다른 클립(2)이 제 2 결합블록(56')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제 1 및 제 2 블록유니트(53), (54)들은 서로에 대한 설치 높이가 다르며 하측 금형으로 되는 서로 대향한 제 1 및 제 2 결합블록(56), (56')의 좌우 단차가 4.5mm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부다이(60)는 상부실린더(61), 상부블록(62), 상부지지프레임(63) 및 상부금형(64)들로 구성되며, 상부실린더(61)는 상부블록(62)에 지지되어 수직프레임(30)의 상단에 구비된다. 즉, 수직프레임(30)의 상단에 상부지지프레임(63)의 바로 아래에 상부블록(62)이 설치되어 실린더(61)에 연결된 상부금형(64)의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도 1 및 도 2 참조).
상부금형(64)은 하측 금형으로 되는 서로 대향 한 제 1 및 제 2 결합블록(56), (56')에 대응하여 단차 4.5mm를 형성하도록 제 2 프레스블록(65')을 제 1 프레스블록(65)보다 돌출시키고 서로 인접하여 결합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시키므로 상부금형(64)과 하부금형(51)은 서로 맞닿는 부분이 제 1 단차부(66)와 제 2 단차부(57)가 서로 협력하므로 칼날로 기능 한다.
제 1 및 제 2 프레스블록(65), (65')들은 그의 좌우 측에 인접하여 각각 클립(2)을 위치고정 하는 제 1 및 제 2 고정블록(68), (68')들이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고정블록(68), (68')들은 상부에 나사식 이거나 볼트식으로 고정되는 마개부(11, 11'), 내부가 공간부로 되어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12, 12')과 하부에 이 스프링(12, 12)들을 탄성 있게 지지하는 동시에 제 1 및 제 2 고정블록(68), (68')들을 각기 하부에서 밀폐하는 밀봉부(13, 13')들을 구비한다. 밀봉부(13, 13')들은 상부에 볼트와 같은 고정구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고정블록(68), (68')들의 하부에 인접하는 머리부(14, 14')와 머리부(14, 14')의 일 측으로부터 제 1 및 제 2 결합블록(66)(66')을 따라 하향 연장한 다리부(15, 15')들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고정블록(68), (68')들은 스프링(12, 12')들의 탄성에 의하여 다리부(15, 15')들이 제 1 및 제 2 프레스블록(65)(65')들에 대향하여 제 1 및 제 2 결합블록(56), (56')들 위에 놓이는 클립(2)을 고정하므로 손잡이 끈(1)의 절단 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클립(2)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송기(70)은 위에서 간략히 기재한 바와 같이 하부금형(51) 상에 위치되게 하고 결합 후 절단된 우측 손잡이 끈(1)을 보관위치로 이송하고 일단에 클립(2)이 고정된 손잡이 끈(1)을 다시 소정길이 이송시켜 다른 단부에 클립(2)이 위치되도록 하여 절단되는 처리가 연속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이송기(7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송부(71)와 제 2 이송부(72)로 구성되며, 이들 제 1 이송부(71)와 제 2 이송부(72)들은 각각 서브모터와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되게 한 주 이송부재(73)와 제 1 및 제 2 보조 이송부재(74), (75)들을 구비한다,
즉, 제 1 이송부(71)는 도 3에 도시와 같이 테이블(20)의 위에 수직프레임(3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데, 이송거리에 해당하여 양단부에 제 1 및 제 2 연결지주(101) 및 (101)(도 1)들이 설치된다. 이 제 1 및 제 2 연결지주(101), (102)들은 그들의 상단에 제 1 및 제 2 안내봉(104), (105)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이격되어 그들 사이에 연결되어 주 이송부재(73)를 이송 안내한다. 제 1 및 제 2 안내봉(104), (105)의 바로 아래에 제 1 연결지주(101)에 인접하여 서브모터(106) 및 제 1 및 제 2 연결지주(101, 102)에 인접하여 제 1 및 제 2 플리(107, 108)가 설치되며, 제 1 및 제 2 플리(107, 108)들은 그들 사이에 타이밍벨트(109)에 의하여 서브모터(106)의 동력으로 회전된다(도 1).
주 이송부재(73)는 상부가 제 1 및 제 2 안내봉(104), (105)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가 타이밍벨트(108)의 상하의 위치에 일자로 고정되어 이동가능 하게 된다. 주 이송부재(73)은 유압실린더(도시안됨)를 구비하고 유압실린더가 하부다이(50) 위로 안내되는 다수의 손잡이 끈(1)을 파지하는 제 1 클램프(76)를 구비한다.
제 2 이송부(72)는 하부다이(50)의 우측에 테이블(20) 후변부에 인접하여 도 1 및 도 3에 도시와 같이 제 3 연결지주(111)가 설치되고, 테이블(20)의 우측변부에 제 4 연결지주(112)가 설치된다. 제 3 연결지주(111) 및 제 4 연결지주(112)의 사이에는 제 3 안내봉(113)이 설치되고 이 제 3 안내봉(113)을 따라 활주하도록 제 1 보조 이송부재(74) 및 제 2 보조 이송부재(75)가 설치된다. 이 제 1 및 제 2 보조 이송부재(74, 75)들은 구동원이 테이블(20)의 가장 우측 변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14)이고 이 유압실린더(114)의 피스톤(115)에 고정되어 활주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보조 이송부재(74, 75)들은 각각 제 2 및 제 3 클램프(78, 79)들을 설치한 제 2 및 제 3 클램프(76, 77)들을 구비한다. 또한 제 3 안내봉(113)에는 완충기로 구성되는 멈춤구(116)가 실린더(114)의 일정 거리 떨어진 전면에 설치되어 이후 기재와 같이 제 2 보조 이송부재(75)의 이동거리, 즉 손잡이끈(1)의 이동거리 실예를 들면 200mm 중 180mm에 위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이송기(70)는 고정지그(43)에 위치되는 다수의 손잡이끈(1)의 일 단부를 제 1 클램프(76)가 파지하게 되고 이 클램프(76)를 이송시키는 주 이송부재(73)를 이송시켜 손잡이 끈(1)을 제 1 결합블록(56)상에 공급된 클립(2)위로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금형(64)은 하부에 제 1 결합블록(56)에 놓인 클립(2)이 손잡이 끈(1)의 일단부와 결합하도록 압착되는 동시에 손잡이 끈(1)을 절단하게 되고 동시에 제 1 및 제2 고정블록(68, 68')도 하향이동하여 다리부(15, 15')들이 클립(2)들이 클램핑되지 않는 부위를 고정하므로 진동이거나 이탈을 방지한다.
이후 클립(2)의 결합부위는 다시 제 1 클램프(76)가 파지하게 되고 그에 연결된 손잡이 끈(1)과 함께 제 1 이송부(71)의 주 이송부재(73)에 의하여 일정거리, 실례를 들면 200mm 이동시키게 되고 제 1 및 제 2 보조 이송부재(74, 75)들의 제 2 및 제 3 클램프(78, 79)들에 파지 된다. 동시에 제 1 및 제 2 결합블록(56) 및 (56')에 새로 공급된 클립(2) 위에 주 이송부재(73)가 새로운 손잡이 끈(1)들을 파지하여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손잡이 끈(1)이 제 1 및 제 2 결합블록(56) 및 (56')위에 놓인 클립(2)들과 결합하고 칼날로서 기능 하는 제 1 단차부(66)와 제 2 단차부(57)에 의하여 절단되며, 이렇게 절단되어 가공이 완료된 손잡이 끈(1)의 결합부위가 제 2 이송부(72)에 인계된다. 즉, 주 이송부재(73)에 의하여 이송되는 제 1 클램프(76)로부터 가공된 손잡이 끈(1)을 제 2 및 제 3 클램프(78, 79)들로 동시에 인계되고 제 1 및 제 2 보조 이송부재(74, 75)들은 양단을 클립(2)으로 고정한 손잡이 끈(1)을 보관 장소로 이송하여 보관하도록 한다.
즉, 도 6 A, B 및 C 에 도시와 같이, 이송기(70)는 먼저 손잡이 끈(1)을 제 2 클램프(78)을 지나 인계받은 제 3 클램프(79)를 구비한 제 2 보조 이송부재(75)가 먼저 이송거리 180mm를 이송하여 거리를 조정한 종점으로 작용하는 멈춤구(115)까지 이동한다.
이후, 손잡이 끈(1)은 제 2 클램프(78)에 파지하게 되고 제 1 보조 이송부재(74)가 이송거리, 실례를 들면 20mm 더 이동하여 제 1 및 제 2 보조 이송부재(74) 및 (75) 사이에 손잡이 끈(1)이 느슨하게 된다. 이는 제 2 및 제 3 클램프(78, 79)들 사이에 장력을 해제하므로 손잡이 끈(1)의 회수를 원활히 한다. 그러므로 이후에도 손잡이 끈(1)은 연속하여 제 1 및 제 2 결합블록(56), (56')위로 순차로 공급되게 한 클립(2)위로 위치시키고, 상부금형(64)을 하부로 압착 되게 하여 손잡이끈(1)과 클립(2)을 결합시키고 동시에 클립(2)들 사이에 손잡이 끈(1)을 절단하며, 이후 제 1 클램프(76)가 가공된 손잡이 끈(1)을 제 2 및 제 3 클램프(78, 79)로 인계하여 보관되게 하는 작동을 반복한다.
20: 테이블 30: 수직 프레임
40: 끈안내부 50: 하부다이
60: 상부다이 70: 이송기
80: 클립공급부 53: 제 1 블록유니트
54: 제 2 블록유니트 55, 55': 제 1 및 제 2 안내블록
59: 배출통로 56, 56'; 제 1 및 제 2 결합블록
68, 68': 제 1 및 제 2 고정블록 73: 주 이송부제
74, 75: 제 1 및 제 2 보조 이송부재 115: 멈춤구 120: 스트립퍼

Claims (3)

  1. 테이블; 테이블의 상면에 하부다이와 상부다이를 상하로 구비한 수직 프레임; 테이블의 일 측면에 수직프레임 중간에 다수의 손잡이 끈의 공급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안내대와 끈거치부로 구성되는 끈 안내부; 서로 인접하여 대향하고 좌우에 배열되므로 쌍을 이루고 있으며 클립을 내부로 유입하는 제 1 안내블록 및 클립을 손잡이 끈과 결합시키는 제 1 결합블록을 구비한 제 1 블록유니트와; 클립을 내부로 유입하는 제 2 안내블록 및 클립을 손잡이끈과 결합시키는 제 2 결합블록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 2 블록유니트들로 구성되는 하부금형과 이송경로 외부에 인접하여 클립을 하부금형 내로 안내하는 안내부로 구성되는 하부다이; 상부지지프레임, 상부지지프레임 상에 지지되는 상부실린더, 상부지지프레임의 아래에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블록 및 상부블록 내에 위치되고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 한 상부금형을 구비한 상부다이; 하부다이의 제 1 블록유니트 좌측면에 설치한 제 1 유압실린더, 제 1 유압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 1 피스톤의 단부에 고정된 제 1 가로부재, 제 1 가로부재의 상단에 제 1 이동부재가 하부다이의 내측으로 연장하여 고정된 제 1 이동부재로 구성되는 제 1 클립이동유니트와 하부다이의 제 2 블록유니트의 우측면에 설치되는 제 2 유압실린더, 제 2 유압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 2 피스톤의 단부에 고정된 제 2 가로부재, 제 2 가로부재의 상단에는 하부다이의 내측으로 연장하여 고정된 제 2 이동부재들로 구성되는 제 2 클립이동유니트; 테이블의 후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하부다이에 클립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클립공급부와 프레임 상면에 설치되어 손잡이 끈을 가공위치로 이송하고 가공이 완료된 손잡이끈을 보관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들로 구성되는 쇼핑백용 손잡이 끈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부금형에는 하부금형의 제 1 및 제 2 결합블록과 대응하도록 위치시킨 제 1 및 제 2 프레스블록과 제 1 및 제 2 프레스블록의 외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며,제 1 및 제 2 프레스블록들의 좌우 측에 인접하여 제 1 및 제 2 고정블록들이 설치되고, 제 1 및 제 2 고정블록들에는 하부를 밀봉하도록 그들의 상부에 나사식 고정되는 마개부, 내부가 공간부로 되어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하부에 이 스프링들을 탄성 있게 지지하게 한 밀봉부들을 설치하고,
    하부금형에는 배출통로가 제 1 및 제 2 블록유니트 사이가 일정 간격으로 분리된 상태로 떨어져 있는 하부에 형성되어 손잡이 끈의 절단 시 발생하는 잔해를 통과시켜 배출되게 하며, 배출 스트립퍼가 제 2 결합블록과 제 2 안내블록 사이에 설치되고 클립들의 말단부에 일단부가 접촉되고 타측 단부가 로드에 고정되는 스트립부와 이 스트립부의 하측 단부에 고정된 로드를 정밀하게 상 및 하향 이동시키는 유압 장치거나 실린더와 같은 스트립 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쇼핑백용 손잡이 끈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60006970U 2016-12-01 2016-12-01 쇼핑백용 손잡이 끈의 제조장치 KR200488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70U KR200488066Y1 (ko) 2016-12-01 2016-12-01 쇼핑백용 손잡이 끈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70U KR200488066Y1 (ko) 2016-12-01 2016-12-01 쇼핑백용 손잡이 끈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13U KR20180001713U (ko) 2018-06-11
KR200488066Y1 true KR200488066Y1 (ko) 2018-12-10

Family

ID=6259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970U KR200488066Y1 (ko) 2016-12-01 2016-12-01 쇼핑백용 손잡이 끈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0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324B1 (ko) 2022-03-03 2022-08-25 김동수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3650B (zh) * 2019-08-05 2021-04-23 珠海市宸思健康产业科技有限公司 一种棚栽蔬菜加工自动切菜设备
KR102364654B1 (ko) 2019-11-20 2022-02-18 심민수 반려동물 미끄럼 방지용 슈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371B1 (ko) * 2010-11-25 2011-06-13 유창우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KR101413038B1 (ko) * 2012-09-05 2014-07-17 김부운 쇼핑백용 손잡이줄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681A (ko) * 2015-05-11 2016-11-21 이은명 쇼핑백용 손잡이끈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371B1 (ko) * 2010-11-25 2011-06-13 유창우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KR101413038B1 (ko) * 2012-09-05 2014-07-17 김부운 쇼핑백용 손잡이줄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324B1 (ko) 2022-03-03 2022-08-25 김동수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13U (ko)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066Y1 (ko) 쇼핑백용 손잡이 끈의 제조장치
CN102873527B (zh) 一种汽车软管接头装配设备
CN106794642B (zh) 用于生产塑料型材的方法和装置
US82314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neck bone
TWI546031B (zh) 拉鏈組裝裝置
CN104555401B (zh) 长u形弯管机自动收料装置
CN108098896B (zh) 一种塑料管接口全自动开槽机
CN104379227B (zh) 拉链组装装置
KR100903956B1 (ko) 복합 인발장치
KR101662248B1 (ko) 포장용 끈의 금속팁 체결장치
CN107283926B (zh) 手提袋自动穿绳装置
KR101278061B1 (ko) 이송셔틀이 구비된 프레스 장치
US20140070473A1 (en) Machin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 machining
KR20160132681A (ko) 쇼핑백용 손잡이끈의 제조장치
CN109483795A (zh) 注塑装置
CN210588447U (zh) 一种上料装置及应用该上料装置的倒角机
JP2018073735A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装置
CN211728233U (zh) 流苏扎紧穿入车把套设备
KR101603542B1 (ko) 뎀퍼링 자동 장착장치
DE3361402D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pping a slide fastener stringer
CN109365657B (zh) 一种角度调节器的限位套自动铆接设备
CN108015162B (zh) 一种液压冲孔系统
US74414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swaging of tubes
TWI566924B (zh) Access to equipment
JP3186860B2 (ja) 養殖用貝類の結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