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776Y1 -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 - Google Patents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76Y1
KR200487776Y1 KR2020170002124U KR20170002124U KR200487776Y1 KR 200487776 Y1 KR200487776 Y1 KR 200487776Y1 KR 2020170002124 U KR2020170002124 U KR 2020170002124U KR 20170002124 U KR20170002124 U KR 20170002124U KR 200487776 Y1 KR200487776 Y1 KR 200487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protrusions
closure member
protrusion
end 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강
권오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강, 권오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강
Priority to KR2020170002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열패널의 제조시 우레탄폼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단열패널의 제조가 용이하고 단열패널의 생산성도 향상시키는 새로운 구성의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End closure member for insulation panel and insulation panel using that}
본 고안은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패널의 제조시 우레탄폼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단열패널의 제조가 용이하고 단열패널의 생산성도 향상시키는 새로운 구성의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창고 등의 축조시에 사용되는 단열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금속판(10)과, 이들 금속판(10)의 단부에 구비되어 금속판(10)을 연결시키는 단부마감부재(20)와, 금속판(10)과 단부마감부재(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발포충진되는 우레탄폼(3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금속판(10)의 단부에는 내향으로 절곡된 절곡단부(12)가 형성되고, 단부마감부재(20)의 전후 양측에는 금속판(10)의 절곡단부(12)가 삽입되는 끼움홈(22)이 형성되어, 금속판(10)의 절곡단부(12)가 단부마감부재(20)의 끼움홈(22)에 삽입되어 금속판(10)과 단부마감부재(20)가 조립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단열패널의 제조시에 전후 금속판(10)과 단부마감부재(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우레탄폼을 충진하기 위해 우레탄발포액을 주입하면, 우레탄발포액의 주입력에 의해 금속판(10)의 절곡단부(12)와 단부마감부재(20)의 끼움홈(22) 사이로 우레탄발포액이 새어 나와서 단열패널 외부로 우레탄폼이 붙어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단열패널 외부로 우레탄폼이 붙어있게 되면 지저분하여 보기에도 좋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단열패널을 연결조립할 때 단열패널 외부에 붙어 있는 우레탄폼 때문에 단열패널의 조립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단열패널을 제조한 후, 외부로 새어 나온 우레탄폼을 제거하는 별도의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생산성도 저하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6890호(2011. 05. 31.)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열패널의 제조시 우레탄폼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단열패널의 제조가 용이하고 단열패널의 생산성도 향상시키는 새로운 구성의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단부에는 내향되게 절곡된 절곡단부(120)가 형성되어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금속판(100)의 둘레부에 결합되어, 상기 금속판(100)과 함께 우레탄폼(300)이 충진되는 공간을 구획형성하는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200)에 있어서, 상기 단부마감부재(200)의 전후 양측에는 전후로 개방되어 상기 금속판(100)의 절곡단부(120)가 끼워지는 끼움홈(210)이 형성되되, 상기 단부마감부재(200)의 전후 양측에는 이격되게 위치되어 측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제1, 2돌출부(202,204)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2돌출부(202,204)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상기 끼움홈(210)을 이루고, 상기 제1, 2돌출부(202,204) 중에서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우레탄폼(300)과 면하는 제1돌출부(202)의 선단에는 내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금속판(1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보조돌출부(206)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돌출부(206)의 금속판(100)과 접하는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홈(20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조돌출부(206)는 선단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조돌출부(206)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차단플랩(220)이 더 구비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단열패널의 전후 표면을 형성하는 금속판(100)과 접하게 되는 보조돌출부(206)의 외측면에 오목홈(207)이 형성되기 때문에, 단열패널의 제조시에 금속판(100)과 보조돌출부(206) 사이로 우레탄발포액이 외부로 새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을 사용하여 단열패널을 제조하면 단열패널 외부로 우레탄발포액이 새지 않기 때문에 단열패널을 제조한 후 단열패널 외부에 붙은 우레탄폼을 제거하는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며, 이러한 이유로 단열패널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코스트도 저하된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돌출부(206)가 선단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차단플랩(220)이 더 구비되면, 이들 구성들의 상호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우레탄발포액이 새는 것이 거의 완벽하게 차단된다.
도 1은 종래 단열패널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이 단부마감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단열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단부마감부재(200)는 경질 합성수지로 압출성형되는데, 폭방향 양측, 즉, 전후 양측에는 금속판(100)의 절곡단부(120)를 끼우기 위한 끼움홈(210)이 길게 연장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마감부재(200)의 전후 양측에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외측으로 나란하게 돌출되는 제1, 2돌출부(202,204)가 형성되어, 이 제1, 2돌출부(202,204)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끼움홈(21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2돌출부(202,204) 중에서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되어 단열패널의 제조시 내부에 충진되는 우레탄폼(300)과 면하는 제1돌출부(204)의 선단에는 내향으로 절곡되어 단열패널의 금속판(1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보조돌출부(206)가 형성되는데, 이 보조돌출부(206)의 금속판(100)과 접하는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홈(207)이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단부마감부재(200)는 암, 수로 이루어져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암, 수 단부마감부재(200)가 금속판(100)의 서로 대향되는 단부에 끼워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단열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각형상을 갖는 한 쌍의 금속판(100)을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하여 금속판(100)의 둘레부에 상기 단부마감부재(200)를 조립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판(100)의 단부에는 상호 내향되도록 90°절곡된 절곡단부(120)가 형성되고, 이 절곡단부(120)가 단부마감부재(200)의 끼움홈(210)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금속판(100)과 단부마감부재(200)를 조립한 다음, 금속판(100)과 단부마감부재(2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우레탄폼(300)을 충진하기 위해 우레탄발포액을 주입한다.
한편, 우레탄발포액의 주입시 우레탄발포액이 주입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보조돌출부(206)와 금속판(100) 사이로 우레탄발포액이 유출될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우레탄발포액이 이들 사이로 유출되는 경우에 우레탄발포액이 상기 오목홈(207)에 채워지면서 우레탄발포액의 흐름속도가 감속되고, 따라서 우레탄발포액이 금속판(100)과 보조돌출부(206) 사이로 새어나가는 흐름이 멈추게 되므로, 우레탄발포액이 금속판(100)의 절곡단부(120)와 단부마감부재(200)의 끼움홈(210) 사이로 까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단열패널 외부로 새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우레탄폼(300)을 충진시키기 위한 우레탄발포액이 금속판(100)과 단부마감부재(200) 사이로 새는 것이 방지되므로 단열패널 제조 후에 단열패널 외부에 붙어 있는 우레탄폼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단열패널의 제조공정이 단축되고, 생산성도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돌출부(206)가 선단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소정각도(α)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단부마감부재(200)가 경질합성수지로 압출성형되고, 상기 보조돌출부(206)가 얇은 두께로 돌출되므로 보조돌출부(206)가 탄성을 가지는데, 보조돌출부(206)가 선단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기 때문에 단부마감부재(200)와 금속판(100)을 조립하면 보조돌출부(206)의 선단이 금속판(100)에 의해 밀리면서 금속판(100)에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보조돌출부(206)의 선단이 금속판(100)에 탄성가압됨에 따라 금속판(100)과 보조돌출부(206)의 밀착력이 향상되므로 금속판(100)과 보조돌출부(206) 사이로 우레탄발포액이 새어 나갈 우려가 더욱 저하된다.
도 5와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돌출부(206)의 외측면에 차단플랩(220)이 더 구비된다. 이 차단플랩(220)은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탄성연질소재로 이루어져서 보조돌출부(206)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는데, 차단플랩(220)은 단부마감부재(200)의 사출성형시에 기단부가 인서트되어 단부마감부재(200)와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한 단부마감부재(200)를 사용하여 단열패널을 제조하면, 차단플랩(220)이 금속판(100)에 밀착되어 우레탄발포액이 금속판(100)과 보조돌출부(206) 사이로 유입되어 외부로 새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보조돌출부(206)에 오목홈(207)이 형성되고, 보조돌출부(206)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와 더불어 차단플랩(220)이 더 구비되면, 이들 구성들의 상호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우레탄발포액이 외부로 새어 나갈 우려가 거의 없다.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단부마감부재(200)가 코너연결용으로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보조돌출부(206)가 선단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돌출되게 경사지고, 보조돌출부(206)의 외측면에 오목홈(207)이 형성된다.

Claims (4)

  1. 단부에는 내향되게 절곡된 절곡단부(120)가 형성되어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금속판(100)의 둘레부에 결합되어, 상기 금속판(100)과 함께 우레탄폼(300)이 충진되는 공간을 구획형성하는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200)에 있어서,
    상기 단부마감부재(200)의 전후 양측에는 전후로 개방되어 상기 금속판(100)의 절곡단부(120)가 끼워지는 끼움홈(210)이 형성되되,
    상기 단부마감부재(200)의 전후 양측에는 이격되게 위치되어 측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제1, 2돌출부(202,204)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2돌출부(202,204)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상기 끼움홈(210)을 이루고,
    상기 제1, 2돌출부(202,204) 중에서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우레탄폼(300)과 면하는 제1돌출부(202)의 선단에는 내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금속판(1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보조돌출부(206)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돌출부(206)는 선단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금속판(100)과 접하는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홈(207)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207)의 상기 제1돌출부(202)에 근접되는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차단플랩(2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
  2. 삭제
  3. 삭제
  4. 단부에는 내향되게 절곡된 절곡단부(120)가 형성되어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금속판(100)과, 상기 금속판(100)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홈(210)이 전후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금속판(100)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부재(200)와, 상기 금속판(100)과 단부마감부재(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충진되는 우레탄폼(300)을 포함하는 단열패널에 있어서,
    상기 단부마감부재(200)의 전후 양측에는 상호 이격되도록 외측으로 나란하게 돌출되는 제1, 2돌출부(202,204)가 형성되어, 이들 제1, 2돌출부(202,204) 사이에 상기 끼움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2돌출부(202,204) 중에서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우레탄폼(300)과 면하는 제1돌출부(202)의 선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금속판(1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보조돌출부(206)가 형성되되,
    상기 보조돌출부(206)는 선단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조돌출부(206)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홈(207)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207)의 상기 제1돌출부(202)에 근접되는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차단플랩(2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KR2020170002124U 2017-04-26 2017-04-26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 KR200487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24U KR200487776Y1 (ko) 2017-04-26 2017-04-26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24U KR200487776Y1 (ko) 2017-04-26 2017-04-26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776Y1 true KR200487776Y1 (ko) 2018-11-01

Family

ID=6432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124U KR200487776Y1 (ko) 2017-04-26 2017-04-26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7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1397A (ko)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성강 압출프레임 자동제조시스템
KR20210151396A (ko)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성강 압출프레임 자동제조시스템
KR102400896B1 (ko) * 2021-10-08 2022-05-20 이원우 우레탄 판넬 제조방법
KR102569797B1 (ko) * 2022-12-27 2023-08-25 (주)에스앤티 공조 장비용 립씰 판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하우징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714U (ja) * 1993-03-31 1994-10-21 日本軽金属株式会社 貼着複合パネル
KR20110056890A (ko) 2009-11-23 2011-05-31 주식회사 성강 단열패널용 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
JP2015148123A (ja) * 2014-02-10 2015-08-20 日軽パネルシステム株式会社 パネル及びパネルの接合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714U (ja) * 1993-03-31 1994-10-21 日本軽金属株式会社 貼着複合パネル
KR20110056890A (ko) 2009-11-23 2011-05-31 주식회사 성강 단열패널용 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
JP2015148123A (ja) * 2014-02-10 2015-08-20 日軽パネルシステム株式会社 パネル及びパネルの接合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1397A (ko)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성강 압출프레임 자동제조시스템
KR20210151396A (ko)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성강 압출프레임 자동제조시스템
KR102400896B1 (ko) * 2021-10-08 2022-05-20 이원우 우레탄 판넬 제조방법
KR102569797B1 (ko) * 2022-12-27 2023-08-25 (주)에스앤티 공조 장비용 립씰 판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하우징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776Y1 (ko) 단열패널용 단부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
US7332207B2 (en) Component for a vehicle interior and a method of assembly
TWI635821B (zh) 防水拉鍊
JP3714890B2 (ja) 液密ジッパー
US20080276540A1 (en) Gasket of Door for Refrigerator and Making Method the Same
US3768687A (en) Plastic breaker strip
WO2009145102A1 (ja) 発泡成形用の金型及び発泡成形方法
WO2015118588A1 (ja) パネル及びパネルの接合構造
KR20110056890A (ko) 단열패널용 마감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
JP6275669B2 (ja) 樹脂製品
JP4778191B2 (ja) ユニットの密封装置
US6471313B1 (en) Corner cover mounting structure for heat-insulated housing for use in refrigerator
JP6212322B2 (ja) 断熱パネル
KR200484329Y1 (ko) 방화문용 단열유닛 및 이를 갖는 방화문
KR101913502B1 (ko)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6371151B2 (ja) 冷却貯蔵庫の扉装置
EP3186055A1 (en) Improved foam injection plug assembly for use in a refrigeration appliance
JP4982882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於ける漏水防止用シール材及び漏水防止用シール材を使用した漏水防止方法
JP5471012B2 (ja) 表皮付発泡成形部材、および表皮付発泡成形部材の成形方法
JP2020148352A (ja) 断熱箱体の注入口開閉装置
JP2016169928A (ja) 冷蔵庫の断熱扉及びその製造方法
JP6577771B2 (ja) 断熱パネル
CN111649524A (zh) 一种对开门冰箱的双门间隙密封装置
JP4457385B2 (ja) 合成樹脂からなる密閉容器
KR100673774B1 (ko) 냉장고용 도어의 개스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