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721Y1 - 냉난방기용 배기덕트 - Google Patents

냉난방기용 배기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21Y1
KR200487721Y1 KR2020180000856U KR20180000856U KR200487721Y1 KR 200487721 Y1 KR200487721 Y1 KR 200487721Y1 KR 2020180000856 U KR2020180000856 U KR 2020180000856U KR 20180000856 U KR20180000856 U KR 20180000856U KR 200487721 Y1 KR200487721 Y1 KR 200487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body
housing
duct
tube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재엽
Original Assignee
가재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재엽 filed Critical 가재엽
Priority to KR2020180000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냉난방기로 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원하는 방향 및 장소로 원활하게 안내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냉난방기용 배기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의 후단부에 냉난방기의 배기구가 위치한 케이싱과 결합되는 장착결합부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덕트본체와,
상기 덕트본체의 하우징과 연통되게 배치되며 유연하게 휘어지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냉난방기용 배기덕트에 있어서,
상기 덕트본체의 하우징과 주름관 사이에 방향전환이음관이 연통되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기용 배기덕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난방기용 배기덕트{Exhaust air duck for cooling and heating system}
본 고안은 냉난방기용 배기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냉난방기로 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원하는 방향 및 장소로 원활하게 안내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냉난방기용 배기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난방기의 열교환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풍 또는 온풍과 같은 배출 공기는 냉난방기의 배기구를 통해 일정 압력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상기 냉난방기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시 넓게 펴져 배출됨으로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불필요한 방향 및 장소까지 송풍되어 냉난방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냉난방기의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를 특정 방향으로 안내하여 배출시킴으로서 특정 방향 및 장소의 냉난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난방기용 배기덕트가 이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냉난방기용 배기덕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11)의 후단부에 냉난방기(1)의 배기구(2)가 위치한 케이싱(3)과 결합되는 장착결합부(12)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의 선단부에는 결합요홈(11a)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의 결합요홈(11a)에는 다양한 방향으로 유연하게 휘어지는 주름관(13)의 단부가 삽입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어렇게 구성된 종래의 냉난방기용 배기덕트(10)는 상기 주름관(13)을 상하좌우로 절곡시켜 원화는 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냉난방기(1)의 배기구(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특정 방향 및 장소로 송풍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냉난방기용 배기덕트(10)는 배기의 방향을 안내하는 주름관(13)이 원만한 곡선을 이루며 휘어지게됨으로 냉난방기(1)와 비교적 인접한 장소 및 방향으로는 냉난방기(1)의 배출 공기를 안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문헌1,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13140호(1998.06.05. 공개) 문헌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5080호(2012.11.14. 공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냉난방기로 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냉난방기에 의한 냉난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냉난방기용 배기덕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의 후단부에 냉난방기의 배기구가 위치한 케이싱과 결합되는 장착결합부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덕트본체와,
상기 덕트본체의 하우징과 연통되게 배치되며 유연하게 휘어지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냉난방기용 배기덕트에 있어서,
상기 덕트본체의 하우징과 주름관 사이에 방향전환이음관이 연통되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기용 배기덕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냉난방기용 배기덕트는 냉난방기로 부터 발생된 공기를 상기 냉난방기와 인접된 장소를 포함하여 다양한 방향 및 장소로 안내하여 송풍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냉난방 장치에 의한 냉난방의 효율성 및 선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2는 종래의 냉난방기용 배기덕트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기용 배기덕트를 분해 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냉난방기용 배기덕트를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냉난방기용 배기덕트를 조립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인 냉난방기용 배기덕트를 조립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인 냉난방기용 배기덕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기용 배기덕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실시예에 의한 냉난방기용 배기덕트(100)는
내부에 중공부(111a)를 갖는 하우징(111)의 후단부에 냉난방기(1)의 배기구(2)가 위치한 케이싱(3)과 결합되는 장착결합부(112)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덕트본체(110)와,
상기 덕트본체(110)의 하우징(111)과 연통되게 배치되며 유연하게 휘어지는 주름관(120)으로 이루어진 냉난방기용 배기덕트(100)에 있어서,
상기 덕트본체(110)의 하우징(111)과 주름관(120) 사이에 방향전환이음관(130)이 연통되게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방향전환이음관(130)은
일정 각도를 갖는 곡면부(131)의 선단부에 상기 주름관(120)의 단부가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관결합요홈(13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곡면부(131)의 각도는 송풍의 방향을 냉난방기(1)과 인접된 방향 및 장소로 원활하게 송풍할 수 있는 30°~ 60°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이음관(130)의 곡면부(131) 후단부와 상기 덕트본체(110)의 하우징(111)은 회전결합수단(1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전결합수단(140)는 방향전환이음관(130)의 곡면부(131) 후단부에 다수의 탄성돌조부(141)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덕트본체(110)의 하우징(111) 선단부에 위치한 중공부(111a)에는 상기 탄성돌조부(141)가 탄성적으로 끼워져 지지 결합되는 회전안내탄지부(142)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돌조부(141)의 단부 및 회전안내탄지부(142)의 후단부에는 상호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141a)와 걸림단턱(142a)이 각각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이음관(130)의 곡면부(131) 외주면에는 상기 덕트본체(110)의 회전안내탄지부(142) 후단부에 걸려 지지되는 탄지스커트(14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덕트본체(110)와 방향전환이음관(130)의 결합은
상기 덕트본체(110)의 하우징(111) 내부에 방향전환이음관(130)의 탄성돌조부(141)를 진입시켜 상기 방향전환이음관(130)의 걸림돌기(141a)가 덕트본체(110)의 회전안내탄지부(142)를 지나 덕트본체(110)의 걸림단턱(142a)에 걸리도록 하면 상기 덕트본체(110)와 방향전환이음관(130)의 결합이 완료되며,
이때, 상기 방향전환이음관(130)의 탄지스커트(143)가 덕트본체(110)의 회전안내탄지부(142) 입구에 걸려 지지되면서 상기 덕트본체(110)와 방향전환이음관(130)의 결합 상태가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덕트본체(110)의 회전안내탄지부(142) 선단부에 상기 주름관(120)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 결합되는 관삽입요홈(113)이 전방 개구되게 형성되어, 경우에 따라 상기 주름관(120)을 덕트본체(110)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이음관(130)의 곡면부(131) 후단부에 위치한 외주면에는
상기 덕트본체(110)의 관삽입요홈(113)을 가리면서 동시에 덕트본체(110)의 하우징(111) 선단부에 걸려 지지되는 가림스커트(133)가 형성되어, 상기 덕트본체(110)의 관삽입요홈(113)으로 먼지나 이룰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방향전환이음관(130)이 덕트본체(110)에 보다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본체(110)의 하우징(111) 내부에 위치한 중공부(111a)에는 배기량을 조절하는 개폐판(114)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고, 상기 개폐판(114)은 개폐조절레버(115)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덕트본체(110)의 하우징(111)을 통과하는 공기의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주름관(120)의 선단부에는 마감링(150)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상기 주름관(120)의 단부를 매끄럽게 마감 및 보호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마감링(150)의 후단부에는 상기 주름관(12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후방 개구된 관결합홀(15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냉난방기용 배기덕트(100)를 이용해 냉난방기(1)의 배기구(2)로 배출되는 공기를 원하는 방향 및 장소로 안내할 경우에는
먼저, 덕트본체(110)의 하우징(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방향전환이음관(130)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방향전환이음관(130)의 곡면부(131)가 송풍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방향전환이음관(130)과 연통되게 결합된 주름관(120)을 절곡시켜 송풍하고자 하는 방향 및 장소를 향하도록 미세하게 조절하면 냉난방기(1)의 배기구(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보다 다양하게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게된다.
1: 냉난방기 2: 배기구
3: 케이싱
100: 냉난방기용 배기덕트
110: 덕트본체
111: 하우징 111a: 중공부
112: 장착결합부 113: 관삽입요홈
114: 개폐판 115: 개폐조절레버
120: 주름관
130: 방향전환이음관
131: 곡면부 132: 관결합요홈
133: 가림스커트
140: 회전결합수단
141: 탄성돌조부 141a: 걸림돌기
142: 회전안내탄지부 142a: 걸림단턱
143: 탄지스커트
150: 마감링
151: 관결합홀

Claims (5)

  1. 내부에 중공부(111a)를 갖는 하우징(111)의 후단부에 냉난방기(1)의 배기구(2)가 위치한 케이싱(3)과 결합되는 장착결합부(112)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덕트본체(110)와,
    상기 덕트본체(110)의 하우징(111)과 연통되게 배치되며 유연하게 휘어지는 주름관(120)과,
    상기 덕트본체(110)의 하우징(111)과 주름관(120) 사이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방향전환이음관(13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방향전환이음관(130)은
    일정 각도를 갖는 곡면부(131)의 선단부에 상기 주름관(120)의 단부가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관결합요홈(132)이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131)의 후단부와 상기 덕트본체(110)의 하우징(111)은 회전결합수단(1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냉난방기용 배기덕트(100)에 있어서,
    상기 회전결합수단(140)는 방향전환이음관(130)의 곡면부(131) 후단부에 다수의 탄성돌조부(141)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덕트본체(110)의 하우징(111) 선단부에 위치한 중공부(111a)에는 상기 탄성돌조부(141)가 탄성적으로 끼워져 지지 결합되는 회전안내탄지부(142)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돌조부(141)의 단부 및 회전안내탄지부(142)의 후단부에는 상호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141a)와 걸림단턱(142a)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이음관(130)의 곡면부(131) 외주면에는 상기 덕트본체(110)의 회전안내탄지부(142) 후단부에 걸려 지지되는 탄지스커트(143)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기용 배기덕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본체(110)의 회전안내탄지부(142)에 상기 주름관(120)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 결합되는 관삽입요홈(113)이 전방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이음관(130)의 곡면부(131) 외주면에는 상기 덕트본체(110)의 관삽입요홈(113)을 가리면서 동시에 덕트본체(110)의 하우징(111) 선단부에 지지되는 가림스커트(133)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기용 배기덕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본체(110)의 하우징(111)에 위치한 중공부(111a)에는 개폐판(114)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기용 배기덕트.
KR2020180000856U 2018-02-26 2018-02-26 냉난방기용 배기덕트 KR200487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56U KR200487721Y1 (ko) 2018-02-26 2018-02-26 냉난방기용 배기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56U KR200487721Y1 (ko) 2018-02-26 2018-02-26 냉난방기용 배기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721Y1 true KR200487721Y1 (ko) 2018-10-25

Family

ID=6404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856U KR200487721Y1 (ko) 2018-02-26 2018-02-26 냉난방기용 배기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212A (ko)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나우이엘 덕트호스 연결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33U (ja) * 1991-07-13 1994-01-2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ダクト類の接続構造
JPH084006B2 (ja) * 1986-06-24 1996-01-17 マイン・セイフテイ・アプライアンセス・カンパニ− 熱電池
KR19980013140U (ko) 1996-08-30 1998-06-05 배순훈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송풍덕트장치
KR0129827Y1 (ko) * 1995-06-17 1999-02-18 김수곤 건축배관용 슬리브관
JP2006234251A (ja) * 2005-02-24 2006-09-07 Sharp Corp 一体型空気調和機
KR20120092257A (ko) * 2011-02-11 2012-08-21 (주)동일하우징 환기장치 또는 급배기구와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는 커플러
KR20120125080A (ko) 2011-05-06 2012-11-14 (주)창원테크 산업용 이동식 냉난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06B2 (ja) * 1986-06-24 1996-01-17 マイン・セイフテイ・アプライアンセス・カンパニ− 熱電池
JPH064533U (ja) * 1991-07-13 1994-01-2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ダクト類の接続構造
KR0129827Y1 (ko) * 1995-06-17 1999-02-18 김수곤 건축배관용 슬리브관
KR19980013140U (ko) 1996-08-30 1998-06-05 배순훈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송풍덕트장치
JP2006234251A (ja) * 2005-02-24 2006-09-07 Sharp Corp 一体型空気調和機
KR20120092257A (ko) * 2011-02-11 2012-08-21 (주)동일하우징 환기장치 또는 급배기구와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는 커플러
KR20120125080A (ko) 2011-05-06 2012-11-14 (주)창원테크 산업용 이동식 냉난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212A (ko)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나우이엘 덕트호스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5347A (ko) 팬 어셈블리
KR20130033434A (ko) 팬 어셈블리
EP3604937B1 (en) Housing assembly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200487721Y1 (ko) 냉난방기용 배기덕트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KR100910615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US20190154277A1 (en) Fan assembly for a packaged terminal air conditioner unit
CN106321473B (zh) 用于空调器的贯流风机
JP2010071170A (ja) 遠心式送風機
JP3745916B2 (ja) 空気調和機
JP201603817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251049B2 (ja) 加湿通路の接続用ジョイント
KR100602438B1 (ko)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환기장치
JP4940769B2 (ja) 空調ダクト
CN108826673B (zh) 一种离心风机反置安装的取暖器
JPH10185231A (ja) 空気調和機
JP3087283B2 (ja) 熱交換換気装置
CN216409124U (zh) 一种空调器
JP2005098535A (ja) 空気調和機
JP2003083599A (ja) 空気調和機
CN220275125U (zh) 吹风机
CN218119897U (zh) 一种空调及其室内机
JPH03263537A (ja) 熱交換換気装置
JP4017284B2 (ja) 浴室暖房機
JP2998753B1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