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212A - 덕트호스 연결구 - Google Patents

덕트호스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212A
KR20230072212A KR1020210158725A KR20210158725A KR20230072212A KR 20230072212 A KR20230072212 A KR 20230072212A KR 1020210158725 A KR1020210158725 A KR 1020210158725A KR 20210158725 A KR20210158725 A KR 20210158725A KR 20230072212 A KR20230072212 A KR 20230072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fixing ring
connector
coupling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9472B1 (ko
Inventor
김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이엘
Priority to KR102021015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472B1/ko
Publication of KR20230072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구(2)가 위치한 케이싱(3)과 결합되는 장착결합부(110)와, 상기 장착결합부(110) 상부로 상기 배기구(2)와 연통되도록 내부에 중공부(120)를 갖는 단턱(130)에 형성된 결합홈부(140)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고정베이스(100)와, 상기 중공부(120)와 연통되는 내경부(210)의 단부 내측 링 형상의 단턱부(220)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상기 결합홈부(140)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합돌기부(230)를 포함하는 고정링(200)을 구비하며, 또한, 일측에 단턱(310)을 구비한 외경부(320)에는 상기 고정링(200)의 내경부(210)에 삽입되는 고정링 삽입부(330)와, 상기 고정링 삽입부(330)의 단부에는 상기 단턱부(220)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340)과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350)로 이루어진 탄성돌기부(360)를 구비하며, 타측에는 유연하게 휘어지는 주름관(500) 단부가 삽입되는 주름관연결부(395)를 구비하되, 상기 주름관연결부(395)는 외측으로 형성된 대형관 연결부(370)와,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 내경측에 내접하게 관통공(380)을 구비한 2개로 형성된 소형연결부(390)를 구비하고, 주름관(500)과의 연결은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 또는 2개로 형성된 소형연결부(390) 중에서 선택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름관연결구(3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호스 연결구로 한다.

Description

덕트호스 연결구 {Supercooled storage}
본 발명은 덕트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식 에어컨 또는 제습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원하는 방향 및 장소로 원활하게 안내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덕트호스를 연결하는 덕트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난방기의 열교환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풍 또는 온풍과 같은 배출 공기는 냉난방기의 배기구를 통해 일정 압력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상기 냉난방기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시 넓게 펴져 배출됨으로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불필요한 방향 및 장소까지 송풍되어 냉난방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냉난방기의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를 특정 방향으로 안내하여 배출시킴으로서 특정 방향 및 장소의 냉난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난방기용 배기덕트가 이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냉난방기용 배기덕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11)의 후단부에 냉난방기(1)의 배기구(2)가 위치한 케이싱(3)과 결합되는 장착결합부(12)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의 선단부에는 결합요홈(11a)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의 결합요홈(11a)에는 다양한 방향으로 유연하게 휘어지는 주름관(13)의 단부가 삽입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냉난방기용 배기덕트(10)는 상기 주름관(13)을 상하좌우로 절곡시켜 원화는 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냉난방기(1)의 배기구(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특정 방향 및 장소로 송풍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냉난방기용 배기덕트(10)는 배기의 방향을 안내하는 주름관(13)이 원만한 곡선을 이루며 휘어지게 됨으로 냉난방기(1)와 비교적 인접한 장소 및 방향으로는 냉난방기(1)의 배출 공기를 안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정해진 규격의 주름관(13)만을 사용하고, 이보다 작은 직경의 주름관을 2개로 분리하여 나눌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721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6594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425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난방기로 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고정링에서 주름관연결구 또는 방향전환이음관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냉난방기에 의한 냉난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덕트호스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냉난방기로 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주름관연결구를 통하여 토출구를 1개 주름관을 연결하여 집중적으로 토출하거나, 이를 2개의 장소로 분산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2개의 토출구를 가질 수 있도록 소형 주름관 2개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냉난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덕트호스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기구(2)가 위치한 케이싱(3)과 결합되는 장착결합부(110)와, 상기 장착결합부(110) 상부로 상기 배기구(2)와 연통되도록 내부에 중공부(120)를 갖는 단턱(130)에 형성된 결합홈부(140)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고정베이스(100)와, 상기 중공부(120)와 연통되는 내경부(210)의 단부 내측 링 형상의 단턱부(220)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상기 결합홈부(140)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합돌기부(230)를 포함하는 고정링(200)을 구비한다.
또한, 일측에 단턱(310)을 구비한 외경부(320)에는 상기 고정링(200)의 내경부(210)에 삽입되는 고정링 삽입부(330)와, 상기 고정링 삽입부(330)의 단부에는 상기 단턱부(220)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340)과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350)로 이루어진 탄성돌기부(360)를 구비하며,
타측에는 유연하게 휘어지는 주름관(500) 단부가 삽입되는 주름관연결부(395)를 구비하되, 상기 주름관연결부(395)는 외측으로 형성된 대형관 연결부(370)와,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 내경측에 내접하게 관통공(380)을 구비한 2개로 형성된 소형연결부(390)를 구비하고, 주름관(500)과의 연결은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 또는 2개로 형성된 소형연결부(390) 중에서 선택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름관연결구(3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호스 연결구로 한다.
또한,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와 소형연결부(390)에는 주름관(500) 내경부에 삽입되는 내경지지부(371, 391)와, 주름관(500)의 외경부를 지지하는 외경지지부(372, 392)가 각각 형성되고, 소형연결부(390)에서 대형관 연결부(370)와 교차되는 부분(400)에는 대형관 연결부(370)의 내경지지부(371)로 형성되되,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와 상기 소형연결부(390)의 직경차이로 인한 공간부(410)에 소형연결부(390) 내경지지부(391)와 동일한 지경을 가진 주름관 지지부(42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소형연결부(390)에 연결되는 주름관의 직경(Ø1)은 대형관 연결부(370)에 연결되는 주름관의 직경(Ø2)의 1/2로 형성하며, 상기 주름관 지지부(420)는 교차되는 부분(400)에서 대형관 연결부(370)의 외경지지부(372)와 소형연결부(390)의 내경지지부(392)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형연결부(390)에 주름관(500)을 연결할 경유에는 상기 외경지지부(372) 내측으로 삽입되는 외측 삽입부(610)와, 상기 소형연결부(390)에 연결된 주름관(50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주름관 지지부(620)가 구비된 커버부재(60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링(200)의 결합돌기부(230)는 결합홈부(140)에 삽입한 후에 상기 고정링(200)의 회전에 의하여 결합돌기부(230)가 결합홈부(140)의 단턱(130) 하측(131)으로 삽입하여 고정되며, 상기 결합돌기부(230)의 상부로 돌출된 압축돌기(240)가 구비되어 고정링(200)의 회전에 의해 단턱(130) 하측과 결합돌기부(230) 사이에서 상기 압축돌기(240)의 압축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부(230)는 고정베이스(100)의 결합홈부(140)에 대향되는 위치에 하측에서 돌출된 'L'자형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결합홈부(140) 하측으로 삽입하여 회전시켜 상기 고정링(200)이 고정베이스(100)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링(200)의 외측에는 미끄럼방지 돌기(2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돌기부(360)의 탄성부(350)는 상기 고정링 삽입부(330) 단부에서 ‘11’자 형성으로 커팅된 커팅부(351)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340)은 상기 탄성부(350)의 단부(352)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끼움안내부(342)와, 상기 끼움안내부(342)의 단부와 상기 탄성부(350) 외주면을 수직되는 면으로 가지도록 형성 걸림부(341)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탄성돌기부(360)는 상기 고정링 삽입부(330) 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어 고정링(200)의 내경부(210)에 삽입되어 단턱부(220)에 걸림체결됨으로 상기 주름관연결구(300)가 고정링(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베이스(100)에 체결된 고정링(200)과 주름관연결구(300) 사이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방향전환이음관(700)이 더 포함되며, 상기 방향전환이음관(700)은 일정 각도를 갖는 곡면부(710)의 선단 내경부에 상기 주름관연결구(300)의 탄성돌기부(360) 단부가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대향 되는 위치에 바깥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관결합요홈(720)이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710)의 후단부에는 고정링(20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탄성돌기부(360)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베이스(100)에 체결된 고정링(200)과 결합된 방향전환이음관(700)의 탄성돌기부(3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은 냉난방기로 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고정링에서 주름관연결구 또는 방향전환이음관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냉난방기에 의한 냉난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난방기로 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주름관연결구를 통하여 토출구를 1개 주름관으로 연결하여 집중적으로 토출하거나, 이를 2개로 분산된 토출구를 가질 수 있도록 소형 주름관 2개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냉난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덕트호스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토출구를 가질 수 있도록 소형 주름관이 연결된 덕트호스 연결구를 분해하여 대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베이스를 나타낼 수 있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링을 나타낼 수 있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연결구 세부 구성들을 나타낼 수 있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이음관 세부 구성들을 나타낼 수 있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 세부 구성들을 나타낼 수 있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8 (a)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베이스(100)와, 고정링(200), 주름관연결구(300)가 연결된 사시도이고, 도 8 (b)은 고정베이스(100)와, 고정링(200), 방향전환이음관, 주름관연결구(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2개의 토출구를 가질 수 있도록 소형 주름관이 연결된 사시도이고, 도 8 (c)은 고정베이스(100)와, 고정링(200), 방향전환이음관, 주름관연결구(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1개의 토출구를 가질 수 있도록 대형 주름관이 연결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덕트호스 연결구는 고정링에 체결된 주름관연결구 또는 방향전환이음관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고, 더불어 냉난방기로 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주름관연결구를 통하여 토출구를 1개의 대형 주름관으로 토출하거나, 이를 2개의 토출구를 가질 수 있도록 2개의 소형 주름관 끼울 수 있는 주름관연결구를 구비한 덕트호스 연결구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호스 연결구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호스 연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다음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호스 연결구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호스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호스 연결구는 배기구(2)가 위치한 케이싱(3)과 결합되는 고정베이스(100)와, 고정링(200), 방향전환이음관(700), 주름관연결구(300), 커버부재(600), 주름관(500), 토출안내구(8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베이스(100)는 배기구(2)가 위치한 케이싱(3)과 결합되는 장착결합부(110)와, 상기 장착결합부(110) 상부로 상기 배기구(2)와 연통되도록 내부에 중공부(120)를 갖는 단턱(130)에 형성된 결합홈부(140)가 일체로 형성된다.
고정링(200)은 고정베이스(100)의 중공부(120)와 연통되는 내경부(210)의 단부 내측으로 링 형상의 단턱부(220)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상기 결합홈부(140)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합돌기부(230)를 포함하는 고정링(20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200)의 결합돌기부(230)는 결합홈부(140)에 삽입한 후에 상기 고정링(200)의 회전에 의하여 결합돌기부(230)가 결합홈부(140)의 단턱(130) 하측(131)으로 삽입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부(230)의 상부로 돌출된 압축돌기(240)가 구비되어 고정링(200)의 회전에 의해 단턱(130) 하측과 결합돌기부(230) 사이에서 상기 압축돌기(240)의 압축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단턱(130) 하측과 결합돌기부(230) 사이에서 상기 압축돌기(240)의 압축됨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된다.
고정링(200)을 고정베이스(100)에 용이하게 회전시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돌기부(230)는 고정베이스(100)의 결합홈부(140)에 대향되는 위치에 하측에서 돌출된 'L'자형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결합홈부(140) 하측으로 삽입하여 회전시켜 상기 고정링(200)이 고정베이스(100)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링(200)의 외측에는 미끄럼방지 돌기(25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고정링(200)의 외측에 구비된 미끄럼방지 돌기(25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주름관연결구(300)는 일측에 단턱(310)을 구비한 외경부(320)에는 상기 고정링(200)의 내경부(210)에 삽입되는 고정링 삽입부(330)와, 상기 고정링 삽입부(330)의 단부에는 상기 단턱부(220)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340)과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350)로 이루어진 탄성돌기부(360)를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돌기부(360)의 탄성부(350)는 상기 고정링 삽입부(330) 단부에서 ‘11’자 형성으로 커팅된 커팅부(351)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340)은 상기 탄성부(350)의 단부(352)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끼움안내부(342)와, 상기 끼움안내부(342)의 단부와 상기 탄성부(350) 외주면을 수직되는 면으로 가지도록 형성 걸림부(341)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탄성돌기부(360)는 상기 고정링 삽입부(330) 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어 고정링(200)의 내경부(210)에 삽입되어 단턱부(220)에 걸림체결됨으로 상기 주름관연결구(300)가 고정링(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타측에는 냉난방기로 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유연하게 휘어지는 주름관(500) 단부가 삽입되는 주름관연결부(395)를 구비하되, 상기 주름관연결부(395)는 외측으로 형성된 대형관 연결부(370)와,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 내경측에 내접하게 관통공(380)을 구비한 2개로 형성된 소형연결부(390)를 구비하고, 주름관(500)과의 연결은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 또는 2개로 형성된 소형연결부(390) 중에서 선택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름관연결구(300)를 구비 한다.
즉, 주름관연결구(300)의 일측은 고정링(20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유연하게 휘어지는 주름관(50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주름관연결부(395)를 구비하되, 대형관 1개가 삽입할 수 있는 대형관 연결부(370)와,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소형연결부(390)가 구비되어 있으나, 냉난방기로 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소형연결부(39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380)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 또한 대형관 연결부(370) 내경측에 내접된 관통공(380)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 내경측에 내접하게 관통공(380)을 구비한 2개로 형성된 소형연결부(39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와 소형연결부(390)에는 주름관(500) 내경부에 삽입되는 내경지지부(371, 391)와, 주름관(500)의 외경부를 지지하는 외경지지부(372, 392)가 각각 형성되고, 소형연결부(390)에서 대형관 연결부(370)와 교차되는 부분(400)에는 대형관 연결부(370)의 내경지지부(371)로 형성되되,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와 상기 소형연결부(390)의 직경차이로 인한 공간부(410)에 소형연결부(390) 내경지지부(391)와 동일한 지경을 가진 주름관 지지부(42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주름관 지지부(420)의 내측은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의 외경지지부(372)로 형성되고, 상기 주름관 지지부(420)의 외측은 소형연결부(390)의 내경지지부(391)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소형연결부(390)에 연결되는 주름관의 직경(Ø1)은 대형관 연결부(370)에 연결되는 주름관의 직경(Ø2)의 1/2로 형성하며, 상기 주름관 지지부(420)는 교차되는 부분(400)에서 대형관 연결부(370)의 외경지지부(372)와 소형연결부(390)의 내경지지부(392)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형연결부(390)에 주름관(500)을 연결할 경유에는 상기 외경지지부(372) 내측으로 삽입되는 외측 삽입부(610)와, 상기 소형연결부(390)에 연결된 주름관(50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주름관 지지부(620)가 구비된 커버부재(600)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600)의 외측 삽입부(610)가 외경지지부(372)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고정된 커버부재(600)의 주름관 지지부(620)는 내측에 구비되는 주름관(500)의 외주면을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베이스(100)에 체결된 고정링(200)과 주름관연결구(300) 사이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방향전환이음관(700)이 더 포함되며, 상기 방향전환이음관(700)은 일정 각도를 갖는 곡면부(710)의 선단 내경부에 상기 주름관연결구(300)의 탄성돌기부(360) 단부가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대향 되는 위치에 바깥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관결합요홈(720)이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710)의 후단부에는 고정링(20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탄성돌기부(36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돌기부(360)는 주름관연결구(300)에 구비된 탄성돌기부(360)와 동일하고, 상기 탄성돌기부(360)의 탄성부(350)는 상기 고정링 삽입부(330) 단부에서 ‘11’자 형성으로 커팅된 커팅부(351)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340)은 상기 탄성부(350)의 단부(352)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끼움안내부(342)와, 상기 끼움안내부(342)의 단부와 상기 탄성부(350) 외주면을 수직되는 면으로 가지도록 형성 걸림부(341)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탄성돌기부(360)는 상기 고정링 삽입부(330) 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어 고정링(200)의 내경부(210)에 삽입되어 단턱부(220)에 걸림체결됨으로 상기 고정베이스(100)에 체결된 고정링(200)과 결합된 방향전환이음관(700)의 탄성돌기부(3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2 : 배기구 3 : 케이싱
100 : 고정베이스 110 : 장착결합부
120 : 중공부 140 : 결합홈부
200 : 고정링 210: 내경부
230 : 결합돌기부 240 : 압축돌기
300 : 주름관연결구 330 : 고정링 삽입부
360 : 탄성돌기부 370 : 대형관 연결부
380 : 관통공 390 : 소형연결부
420 : 주름관 지지부 500 : 주름관
600 : 커버부재 700 : 방향전환이음관

Claims (6)

  1. 배기구(2)가 위치한 케이싱(3)과 결합되는 장착결합부(110)와, 상기 장착결합부(110) 상부로 상기 배기구(2)와 연통되도록 내부에 중공부(120)를 갖는 단턱(130)에 형성된 결합홈부(140)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고정베이스(100)와,
    상기 중공부(120)와 연통되는 내경부(210)의 단부 내측 링 형상의 단턱부(220)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상기 결합홈부(140)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결합돌기부(230)를 포함하는 고정링(200)과,
    일측에 단턱(310)을 구비한 외경부(320)에는 상기 고정링(200)의 내경부(210)에 삽입되는 고정링 삽입부(330)와,
    상기 고정링 삽입부(330)의 단부에는 상기 단턱부(220)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340)과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350)로 이루어진 탄성돌기부(360)를 구비하며,
    타측에는 유연하게 휘어지는 주름관(500) 단부가 삽입되는 주름관연결부(395)를 구비하되,
    상기 주름관연결부(395)는 외측으로 형성된 대형관 연결부(370)와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 내경측에 내접하게 관통공(380)을 구비한 2개로 형성된 소형연결부(390)를 구비하고,

    주름관(500)과의 연결은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 또는 2개로 형성된 소형연결부(390) 중에서 선택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름관연결구(3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호스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와 소형연결부(390)에는 주름관(500) 내경부에 삽입되는 내경지지부(371, 391)와, 주름관(500)의 외경부를 지지하는 외경지지부(372, 392)가 각각 형성되고,
    소형연결부(390)에서 대형관 연결부(370)와 교차되는 부분(400)에는 대형관 연결부(370)의 내경지지부(371)로 형성되되,
    상기 대형관 연결부(370)와 상기 소형연결부(390)의 직경차이로 인한 공간부(410)에 소형연결부(390) 내경지지부(391)와 동일한 지경을 가진 주름관 지지부(4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호스 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연결부(390)에 연결되는 주름관의 직경(Ø1)은 대형관 연결부(370)에 연결되는 주름관의 직경(Ø2)의 1/2로 형성하며,
    상기 주름관 지지부(420)는
    교차되는 부분(400)에서 대형관 연결부(370)의 외경지지부(372)와 소형연결부(390)의 내경지지부(392)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호스 연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연결부(390)에 주름관(500)을 연결할 경유에는 상기 외경지지부(372) 내측으로 삽입되는 외측 삽입부(610)와
    상기 소형연결부(390)에 연결된 주름관(50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주름관 지지부(620)가 구비된 커버부재(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호스 연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200)의 결합돌기부(230)는 결합홈부(140)에 삽입한 후에 상기 고정링(200)의 회전에 의하여 결합돌기부(230)가 결합홈부(140)의 단턱(130) 하측(131)으로 삽입하여 고정되며,
    상기 결합돌기부(230)의 상부로 돌출된 압축돌기(240)가 구비되어 고정링(200)의 회전에 의해 단턱(130) 하측과 결합돌기부(230) 사이에서 상기 압축돌기(240)의 압축되어 고정되며,
    상기 결합돌기부(230)는
    고정베이스(100)의 결합홈부(140)에 대향되는 위치에 하측에서 돌출된 'L'자형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결합홈부(140) 하측으로 삽입하여 회전시켜 상기 고정링(200)이 고정베이스(100)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링(200)의 외측에는 미끄럼방지 돌기(2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호스 연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부(360)의 탄성부(350)는
    상기 고정링 삽입부(330) 단부에서 ‘11’자 형성으로 커팅된 커팅부(351)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340)은
    상기 탄성부(350)의 단부(352)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끼움안내부(342)와,
    상기 끼움안내부(342)의 단부와 상기 탄성부(350) 외주면을 수직되는 면으로 가지도록 형성 걸림부(341)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탄성돌기부(360)는 상기 고정링 삽입부(330) 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어 고정링(200)의 내경부(210)에 삽입되어 단턱부(220)에 걸림체결됨으로 상기 주름관연결구(300)가 고정링(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호스 연결구.
KR1020210158725A 2021-11-17 2021-11-17 덕트호스 연결구 KR102579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725A KR102579472B1 (ko) 2021-11-17 2021-11-17 덕트호스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725A KR102579472B1 (ko) 2021-11-17 2021-11-17 덕트호스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212A true KR20230072212A (ko) 2023-05-24
KR102579472B1 KR102579472B1 (ko) 2023-09-15

Family

ID=8654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725A KR102579472B1 (ko) 2021-11-17 2021-11-17 덕트호스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4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5443A (ja) * 1994-11-16 1996-06-07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調和機のダクト接続口およびその接続方法
KR200487721Y1 (ko) 2018-02-26 2018-10-25 가재엽 냉난방기용 배기덕트
KR200490909Y1 (ko) * 2019-05-14 2020-01-21 (주)한솔일렉트로닉스 냉난방기용 연결덕트
KR102194256B1 (ko) 2019-04-11 2020-12-23 대성하이원 주식회사 소형 이동식 에어컨
KR102246594B1 (ko) 2020-10-15 2021-04-30 (주)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조 배관용 플랙시블 덕트를 갖는 분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5443A (ja) * 1994-11-16 1996-06-07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調和機のダクト接続口およびその接続方法
KR200487721Y1 (ko) 2018-02-26 2018-10-25 가재엽 냉난방기용 배기덕트
KR102194256B1 (ko) 2019-04-11 2020-12-23 대성하이원 주식회사 소형 이동식 에어컨
KR200490909Y1 (ko) * 2019-05-14 2020-01-21 (주)한솔일렉트로닉스 냉난방기용 연결덕트
KR102246594B1 (ko) 2020-10-15 2021-04-30 (주)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조 배관용 플랙시블 덕트를 갖는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472B1 (ko)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937B1 (en) Flexible duct sleeve
US20040240214A1 (en) Light fixture having air ducts
EP3279573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5158328A (en) Universal duct elbow and connector plate
EP2947397B1 (en)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230072212A (ko) 덕트호스 연결구
EP3974739A1 (en) Air duct assembly and mobile air conditioner
CN209743827U (zh) 用于新风设备的新风风管及具有该新风风管的新风设备
EP3903043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0397232U (zh) 一种贯流风叶及空调器
CN207515195U (zh) 空调壳体、排风管接头和移动空调
CN211854394U (zh) 风管接头及空调器
KR102661220B1 (ko) 실내기의 조립 구조
KR100602438B1 (ko)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환기장치
CN210373776U (zh) 新风模块、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08224564B (zh) 送风组件及具有该送风组件的柜式空调室内机
TWM464622U (zh) 移動式空氣調節機的可旋式排氣結構
JP2000121137A (ja) ダクト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CN216897546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11059392A (zh) 一种新风接管组件安装结构
EP4043806A1 (en) Movable air conditioner
CN220062073U (zh) 新风管路组件和空调器
JP2005233313A (ja) 配管カバー
CN217952487U (zh) 空调器
CN213696814U (zh) 烘鞋风嘴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