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559Y1 -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 Google Patents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559Y1
KR200487559Y1 KR2020170002158U KR20170002158U KR200487559Y1 KR 200487559 Y1 KR200487559 Y1 KR 200487559Y1 KR 2020170002158 U KR2020170002158 U KR 2020170002158U KR 20170002158 U KR20170002158 U KR 20170002158U KR 200487559 Y1 KR200487559 Y1 KR 200487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ount
tile
magnetic
laser level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미희
Original Assignee
장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미희 filed Critical 장미희
Priority to KR2020170002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5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5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7/00Details of attaching or adjusting engine beds, frames, or supporting-legs on foundation or base; Attaching non-moving engine parts, e.g. cylinder blo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일을 시공할 때 시공되는 타일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하여 레이저 레벨러를 고정할 수 있는 자성 마운트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일 상부에 걸쳐지는 후크를 갖는 다종의 자성마운트와 이를 보관하는 수납팩으로 구성하여, 타일의 종류 및 시공 상태, 시공 장소에 따라 작업자가 자성마운트를 선택하여 타일에 설치하고, 여기에 레이저 레벨러를 자력으로 고정시켜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MOUNT KIT}
본 고안은 타일을 시공할 때 시공되는 타일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하여 레이저 레벨러를 고정할 수 있는 자성 마운트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일 상부에 걸쳐지는 후크를 갖는 다종의 자성마운트와 이를 보관하는 수납팩으로 구성하여, 타일의 종류 및 시공 상태, 시공 장소에 따라 작업자가 자성마운트를 선택하여 타일에 설치하고, 여기에 레이저 레벨러를 자력으로 고정시켜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의 타일 설치 작업 등과 같은 인테리어 시공 시, 구조물의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평, 수직을 이루도록 시공하는 것이 이들 구조물의 성능이나 내구성 등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로, 건축 및 토목 등의 분야에서는 시공 현장에 수평 및 수직의 기준라인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
수평 및 수직 기준라인의 측량 또는 설정을 위한 전통적인 방법으로, 지주의 수직 시공을 위해 수직을 측정하거나 수직의 기준라인을 설정할 때는 추가 달린 긴 줄을 천장이나 고소에 고정하여 수직의 정확도를 측정하거나 또는 수직의 기준라인을 설정하고, 바닥면의 수평시공을 위해 긴 줄이나 강선 등을 사용하여 수평 측정이나 수평의 기준라인을 설정하는 작업 방식이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방법은 대부분 긴 줄을 이용하기 때문에, 진동이나 바람 등에 의해 줄이 흔들리기 쉬워 정확한 측정 및 기준라인의 설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흔들리는 줄을 기준으로 작업자가 육안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성이 떨어지며, 시공 장소를 변경할 때마다 줄을 새로이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등의 작업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전통적인 재래식 측량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측량기나 계측기, 또는 수평 및 수직의 기준라인을 설정하기 위한 레이저조사기 등의 계측장비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계측장비를 저면에서 소정의 높이에 고정하여 설치하기 위해 삼각대와 같은 스탠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109596호, 등록특허 제10-1109597호, 공개특허 제10-2012-0000662호, 공개특허 제10-2010-0023213호 등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스탠드 장치와 계측장비의 탈부착은 대부분 장착부에 구비된 볼트에 계측장비의 장착공을 나사 체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는 지지다리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장착부에 장착된 계측장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타일 등을 시공하는 경우, 타일의 층이 올라갈 때마다 스탠드의 높이를 다시 세팅해야하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증가하고, 정확하게 타일의 높이에 세팅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시공되는 타일의 상부에 걸쳐지는 후크를 갖는 다종의 자성마운트와 이 자성마운트를 수납하는 수납팩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시공되는 타일의 종류 및 시공 장소에 맞게 다종의 자성마운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타일에 고정하며, 고정된 자성마운트에 레이저 레벨러를 부착시킬 수 있는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자성마운트가 타일의 상부에 걸쳐질 수 있도록 후크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손쉽게 타일에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여 작업의 신속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는
시공 타일 상부에 걸쳐지는 후크를 갖는 자성마운트; 및
상기 자성마운트가 보관되는 수납팩;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자성마운트는 바디와, 상기 바디 상단에 형성되는 후크로 이루어되,
상기 바디 또는 상기 후크 또는 이들 모두의 크기 또는 형상이 다른 다종 자성마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는
자성에 의해 고정이 가능한 레이저 레벨러를 손쉽게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시공 타일 상부에 걸쳐지는 후크를 구비한 자성마운트와, 이 자성마운트를 수납하는 수납팩으로 구성되어 상기 후크를 타일의 상부에 걸침으로서 손쉽게 레이저 레벨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신속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별도의 삼각대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작업공간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이 자성마운트를 다종의 자성마운트로 구성함에 따라 작업자가 시공되는 타일의 종류, 크기, 모양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의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의 사진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의 제1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의 제2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의 제3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의 설치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에 설치되는 레벨러의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K)는 시공 타일(T) 상부에 걸쳐지는 후크(12)를 갖는 자성마운트(10)와, 이 자성마운트(1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팩(P)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자성마운트(10)는 바디(11)와 후크(12)로 이루어지되, 이 바디(11) 또는 후크(12) 또는 이들 모두의 크기 또는 형상이 다른 다종 자성마운트(1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대한 실시도를 계략적으로 도시하였고, 도 1b는 사진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납부(P1)가 형성되는 수납팩(P)이 구비되고, 이 수납팩(P)에 후술하는 다양한 종류의 자성마운트(10)가 삽입-보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수납팩(P)은 수납부(P1)를 형성하는 일종의 파우치인 것으로서, 상기 자성마운트(10)를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시공되는 타일(T)에 국한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의 타일(T)은, 실내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타일(T) 뿐만 아니라 레이저 레벨러(20)를 사용해야 하는 벽돌 등 다양한 종류의 시공물을 말하고, 본 고안의 특징은 레이저 레벨러(20)를 부착시킬 수 있는 자성마운트(10)에 있는 것으로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성마운트(1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자성마운트(10)는 시공되는 타일(T) 상부에 걸쳐지는 후크(12)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마운트(10)는 시공된 타일(T) 전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평탄한 모양의 바디(11)와, 이 바디(11) 상부에 연장되되, 절곡되는 제1 절곡부(121)로 이루어진 후크(12)로 이루어진다.(제2 자성마운트(10-2) 중 하나)
따라서 도 2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마운트(10)를 시공된 타일(T)에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후크(12)를 상기 타일(T)의 상면에 걸쳐질 수 있도록 결합하고, 그 결과, 상기 바디(11)가 상기 타일(T)의 전면부에 밀착되게 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이렇게 타일(T)에 결합된 자성마운트(10), 특히 자성마운트(10)의 바디(11)에 레이저 레벨러(20)를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삼각대 등을 이용하는 경우, 삼각대의 높이와 타일(T)의 높이를 맞추는 1차적인 공정이 필요하였으나, 이를 생략할 수 있으며, 타일(T)이 적층되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자성마운트(10)를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어 신속성 및 편의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 실시예 및 후술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11)는 레이저 레벨러(20)가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바디에 별도의 마그넷이 구비되어 레이저 레벨러를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성마운트(10)의 제2 실시에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자성마운트(10)는 상기 후크(12)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바디(11)로부터 연장되어 바디(11)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고정귀(14)와, 상기 고정귀(14)에 인접 배열되되 상호 이격된 소후크(125)와, 상기 소후크(125) 사이에 형성되는 몰타르 고착슬릿(127)을 갖는 제1 자성마운트(10-1)(제2 실시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자성마운트(10-1)는 상기 제1 실시예와는 달리, 고정귀(14)와 소후크(125) 및 고착슬릿(1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 자성마운트(10-1)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바디(11)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바디(11)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제1 절곡부(121)와는 유사하지만,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소후크(12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소후크(125)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바디(11)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디(11)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고정귀(14)가 구비되게 된다.
즉, 상기 소후크(125)는 상기 고정귀(14)에 인접배열, 보다 정확하게는 한 쌍의 고정귀(14) 내측에 상기 바디(11)로부터 절곡되어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후크(125)들이 시공되는 타일(T)의 상단면에 걸쳐짐에 따라 상기 제1 자성마운트(10-1)를 타일(T)에 고정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고정귀(14),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고정귀(14)에 구비되는 고정공(141)을 통하여 벽체 등에 볼트를 통해 고정함에 따라 결합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타일(T)을 시공하는 경우, 타일(T)을 벽체에 붙이기 위하여 몰타르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자성마운트(10)가 설치되는 타일(T)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는 몰타르가 흘러내려 상기 자성마운트(10)에 고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자성마운트(10), 구체적으로는 상기 소후크(125)들의 사이에는 흘러내리는 몰타르가 관통될 수 있는 고착슬릿(127)을 구비하여 이를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고착슬릿(127)은 직선형의 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선 등의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2 실시예, 즉 제1 자성마운트(10-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시공되는 타일(T)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4 및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성마운트(10)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제1 절곡부(121)에서 한번 더 절곡된 제2 절곡부(123)가 구비된 후크(12)의 형상을 갖게 된다.(제2 실시예 중 나머지 하나)
즉,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바디(11)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11)의 일측에 제1 절곡부(121)가 구비되고, 이 제1 절곡부(121)로부터 한번 더 절곡되어 상기 바디(11)와 이격되는 수평을 이루어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절곡부(123)를 포함하는 후크(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의 후크(12)는 'ㄷ'자 모양을 갖게 됨으로서, 상기 제2 절곡부(123)가 시공되는 타일(T)과 벽체 사이에 끼일 수 있고, 제1 절곡부(121)가 타일(T)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앞서 언급한 제1 및 제2 실시예보다 더 안정적으로 타일(T)의 전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후크(12) 및 바디(11)의 크기 또는 길이는 다양하게 구현될수 있으며, 이렇게 구성된 다종의 자성마운트(10)를 수납팩(P)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가 시공되는 타일(T)의 크기 또는 시공 장소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도 6 및 도 7은 이러한 자성 마운트에 부착되는 레이저 레벨러(20)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자성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는 레이저 레벨러(20)를 통하여 금속재질 또는 마그넷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자성마운트(10), 구체적으로는 자성마운트(10)의 바디(11)에 레이저 레벨러(20)를 부착하여 시공 시 수평 및 높이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레이저레벨러는 수평, 수직선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는 장치이고, 각종 측량기, 계측기 등 건축 시공 시 수평 및/또는 수직 측량이나 기준라인 설정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기를 장착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한정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레이저레벨러를 고정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장착부재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장착부재에 구비되는 자성체를 통해 상기 자성마운트(10)에 자력으로 결합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레이저 레벨러(20)를 자성마운트(10)에 고정하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부재(300)는 레이저 레벨러(20)가 탈착되는 제1 장착부(320)를 구비하여, 상기 바디(11)의 전면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는 것으로, 바디(11)에 상응하는 평판 형상의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제1 장착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310)에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311)가 구비되어, 장착부재(300)가 금속 재질의 바디(11)의 전면에 자력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장착부(320)는 레이저 레벨러(20)의 장착공(21)에 체결될 수 있는 제1 수나사부(324s)(331l)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레이저 레벨러(20)를 장착부재(300)에 장착한 후 장착부재(300)를 자성마운트(10), 구체적으로는 바디(11)의 전면에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1 장착부(320)는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천공된 슬릿홈(321a)을 구비하고,
레이저 레벨러(20)의 장착공(21)에 나사결합되는 제1 수나사부(324s)를 구비한 장착볼트(324)가 상기 슬릿홈(321a)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슬릿홈(321a)을 통해 장착볼트(324)를 전, 후진시켜, 이에 장착되는 레이저 레벨러(20)의 전, 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슬릿홈(321a)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슬릿홈(321a)의 좌우 폭보다 직경이 넓어지도록 확장되는 확공부(321l)가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슬릿홈(321a)의 후단에 확공부(321l)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확공부(321l)는 장착볼트(324)의 제1 수나사부(324s)의 위치를 확공부(321l)의 직경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착볼트(324)와 슬릿홈(321a)(확공부(321l) 포함)을 이용한 레이저 레벨러(20)의 위치 조절 및 나사 결합 형태의 장착을 위해, 상기 제1 장착부(320)는 상기 슬릿홈(321a)을 구비한 상판(321)과, 상기 상판(321)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하판(322)으로 구성되며, 상판(321)과 하판(322) 사이에 좌우 측면이 개구된 안내홈(32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장착볼트(324)는, 헤드부(미지칭)가 상기 안내홈(323)으로 좌우 노출되면서 수나사부(323s)가 슬릿홈(321a)을 관통하여 제1 장착부(320)의 상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장착부재(30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장착볼트(324)의 위치 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안내홈(323)으로 노출된 헤드부를 이용해 장착볼트(324)를 쉽게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이때 장착볼트(324)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장착부(320)는 상판(321)과 하판(322)의 전, 후단이 서로 연결되어 안내홈(323)의 전, 후방이 폐쇄되는 형태가 바람직한데,
제1 장착부(320)가 이러한 구조를 갖게 되면, 헤드부와 제1 수나사부(324s)가 'ㅗ'자 형상으로 연결된 장착볼트(324)를 안내홈(323) 상에 배치하기 어려우므로,
제작의 편의를 위해 장착부재(300)가 반으로 나뉜 좌, 우 분체(미도시)로 이루어져, 좌, 우 분체의 안내홈(323) 사이에 장착볼트(324)를 끼운 상태에서 좌, 우 분체를 접착하여 장착부재(300)가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레이저 레벨러(20)의 저면에 장착공(21)이 아닌 돌출된 형태의 나사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제1 장착부(320)의 하판(322)에는 레이저 레벨러(20)의 나사부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공(322s)(322l)이 마련된다.
이러한 나사공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복수개(도면에서는 2개)가 마련되어 서로 다른 종류 또는 사양의 레이저 레벨러(20)를 모두 장착부재(300)에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 나사공(322s)은 슬릿홈(321a)과 수직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나사공(322l)은 확공부(321l)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직경이 서로 다른 제1, 제2 나사공(321s)(322l)을, 슬릿홈(321a)과 확공부(321l)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하게 되면, 장착부재(300)를 뒤집어 바디(11)의 전면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장착공(21)이 없는 레이저 레벨러(20)의 장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300)는 몸체부(310)의 좌우 측면에 눈금(313)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눈금(313)을 이용해 레이저 레벨러(20)의 높이 조절을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착부재(300)는 레이저 레벨러(20)의 장착공(21) 크기에 맞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체블록(330)을 포함한다.
상기 교체블록(330)은 장착볼트(324)의 제1 수나사부(324s)와 다른 직경을 갖는 제3 수나사부(331l)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3 수나사부(331l)의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교체블록(330)의 사용 또한 가능하다.
즉, 레이저 레벨러(20)의 직경이 서로 다를 경우,
이에 대응하여, 장착부재(300)는 소형 레이저 레벨러(20)의 장착공(21)에 대응하는 상대적으로 소형의 제1 수나사부(324s)를 갖는 장착볼트(324)와, 대형 레이저 레벨러(20)의 장착공(21)에 대응하는 상대적으로 대형의 제3 수나사부(331l)를 갖는 교체블록(3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교체블록(330)의 저면에는 상기 장착볼트(324)의 제1 수나사부(324s)(즉 소형 레이저 레벨러(20)의 장착공(21))에 대응하는 결합공(332s)이 마련되어, 교체블록(330)을 제1 장착부(320)에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레이저 레벨러(2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교체블록(330)은 상부로 돌출된 제3 수나사부(331l)를 갖는 상부 회전체(331)와, 상기 상부 회전체(331)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장착볼트(324)의 제1 수나사부(324s)가 결합되는 결합공(332s)을 갖는 하부 고정체(332)로 구성된다.
따라서 교체블록(330)을 장착볼트(324)에 나사 결합하게 되면, 하부 고정체(332)가 제1 장착부(320)에 고정되고, 레이저 레벨러(20)가 장착되는 상부 회전체(331)는 하부 고정체(33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여 레이저 레벨러(20)의 좌우 방향을 가변할 수 있다.
상부 회전체(331)는 외주에 천공된 복수개의 볼트 체결공(332s)을 구비하고, 하부 고정체(332)는 볼트 체결공(331a)에 대응하여 축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332b)을 구비하여, 볼트부재(333)가 볼트 체결공(331a)을 통해 결합되어 가이드홈(332b)에 삽입되면,
상부 회전체(331)와 하부 고정체(332) 상호간의 결속 및 회전이 가능해지며, 이 경우 볼트부재(333)의 조임에 의해 상부 회전체(33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볼트 체결공(331a) 및 가이드홈(332b)의 구성은 도면과 반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회전체(331)와 하부 고정체(332) 사이는 별도의 제동수단 없이 자유 회전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볼트부재(333)를 이용해 상부 회전체(331)를 고정시킬 때 계측장비의 무게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에서 틀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회전체(331)의 수평 회전을 안정적으로 보장하면서도 고정 상태를 정밀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도입하였다.
본 고안의 제어수단은
상기 상부 회전체(331)와, 상기 하부 고정체(332) 사이에서 서로 접하도록 개재되어 있으며, 각각의 접면에 서로 치합되는 톱니부(334a)를 구비한 제1 고정판(334A)및 제2 고정판(334B),
상기 상부 회전체(331)와 상기 제1 고정판(334A) 사이,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체(332)와 상기 제2 고정판(334B)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인장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제1 스프링(334a) 및 제2 스프링(334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프링(334a)-제1 고정판(334A)-제2 고정판(334B)-제2 스프링(334b)은 상부 회전체(331)와 하부 고정체(332)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 개재되어 있으며, 각각은 중앙에 삽입홀(미지칭)이 마련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 고정체(332)의 축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적층된다.
이에 따라, 제1 고정판(334A)은 제1 스프링(334a)에 의해 하부 고정체(332) 방향(하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제2 고정판(334B)은 상기 제2 스프링(334b)에 의해 상부 회전체(331) 방향(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부재(333)를 풀어서 상부 회전체(331)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제2 고정판(334A)(334B)이 제1, 제2 스프링(334a)(334b)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각 톱니부(334a)가 서로 치합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상부 회전체(331)를 수평 회전시키면,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제1, 제2 스프링(334a)(334b)이 각각 압축되면서 제1, 제2 고정판(334A)(334B)이 동반 회전하게 되고, 상부 회전체(331)의 회전을 멈추면 제1, 제2 고정판(334A)(334B)의 치합에 의해 상부 회전체(331)의 회전 상태가 고정, 유지된다.
이 경우 상부 회전체(331)와 제1 고정판(334A), 그리고 하부 고정체(332)와 제2 고정판(334B)이 서로 완전 분리되어 있으면 제1, 제2 고정판(334A)(334B)과 별개로 상부 회전체(331)만이 따로 공회전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부 회전체(331)와 제1 고정판(334A), 그리고 하부 고정체(332)와 제2 고정판(334B)은 각각 제1, 제2 고정판(334A)(334B)이 승강할 수 있는 승강봉(미도시)으로 연결되어, 하부 고정체(332)와 제2 고정판(334B)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회전체(331)와 제1 고정판(334A)만이 수평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제2 스프링(334a)(334b)은 각각 직경이 다른 복수개가 서로 동심원 형태로 중첩 배열되어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다(도면에서는 제1, 제2 스프링(334a)(334b)이 각각 두 개씩 내, 외측에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음).
그리고 상부 회전체(331)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1차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재(333)를 조이게 되면, 상부 회전체(331)가 하강하면서 제1, 제2 스프링(334a)(334b)이 압축 한계까지 압축됨에 따라 제1, 제2 고정판(334A)(334B)의 치합 상태가 고정되어, 상부 회전체(331)의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제어수단을 도입하면, 상부 회전체(331)를 회전시켜 방향을 조절할 때 계측장비의 무게로 인해 상부 회전체(331)의 회전상태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볼트부재(333)와 더불어 제1, 제2 고정판(334A)(334B)의 치합으로 인한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K :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P : 수납팩 P1 : 수납부
T : 타일 10 : 자성마운트
11 : 바디 12 : 후크
121 : 제1 절곡부 123 : 제2 절곡부
125 : 소후크 127 : 고착슬릿
14 : 고정귀 141 : 고정공
10-1 : 제1 자성마운트 10-2 : 제2 자성마운트
20 : 레이저레벨러 21 : 장착공
300 : 장착부재 310 : 몸체부
311 : 자성체 312 : 걸이공
314 : 미끄럼 방지부재 313 : 눈금
320 : 제1 장착부 321 : 상판
322 : 하판 323 : 안내홈
324 : 장착볼트 321a : 슬릿홈
321b : 확공부 330 : 교체블록
331 : 회전체 332 : 고정체
332s : 볼트 체결공 334A, 334B : 고정판
334a, 334b : 스프링 334T : 톱니부
121l, 324s, 331l : 수나사부 322l, 322s : 나사공

Claims (4)

  1. 시공 타일 상부에 걸쳐지는 후크(12)를 갖는 자성마운트(10); 및
    상기 자성마운트(10)가 보관되는 수납팩(P);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자성마운트(10)는 바디(11)와, 상기 바디(11) 상단에 형성되는 후크(12)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디(11) 또는 상기 후크(12) 또는 이들 모두의 크기 또는 형상이 다른 다종 자성마운트가 구비되고,
    상기 자성마운트(10)는
    상기 후크(12)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바디(11)로부터 연장되어 바디(11)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고정귀(14)와, 상기 고정귀(14)에 인접 배열되되 상호 이격된 소후크(125)와, 상기 소후크(125) 사이에 형성되는 몰타르 고착슬릿(127)을 갖는 제1 자성마운트(1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후크(125)는 한 쌍의 고정귀(14) 내측에 상기 바디(11)로부터 절곡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귀(14)에는
    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공(1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슬릿(127)은 직선형의 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KR2020170002158U 2017-04-28 2017-04-28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KR200487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58U KR200487559Y1 (ko) 2017-04-28 2017-04-28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58U KR200487559Y1 (ko) 2017-04-28 2017-04-28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559Y1 true KR200487559Y1 (ko) 2018-10-08

Family

ID=6386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158U KR200487559Y1 (ko) 2017-04-28 2017-04-28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5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476Y1 (ko) * 2021-12-09 2022-05-31 양보근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KR200496200Y1 (ko) * 2022-05-26 2022-11-25 양보근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7518A (ja) * 2003-05-23 2004-12-09 Tjm Design Corp レーザー墨出し器のホルダー
JP2007163281A (ja) * 2005-12-13 2007-06-28 Max Co Ltd レーザー墨出し器用支持機構
JP4272589B2 (ja) * 2004-05-27 2009-06-03 新明和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測量器用支持装置
JP2010190877A (ja) * 2009-02-17 2010-09-02 Takahiro Watanabe 磁力固定装置・結束固定装置を持つ建築用レーザー測定器台座
KR101675068B1 (ko) * 2015-11-17 2016-11-11 신영측기(주)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스탠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7518A (ja) * 2003-05-23 2004-12-09 Tjm Design Corp レーザー墨出し器のホルダー
JP4257729B2 (ja) * 2003-05-23 2009-04-22 株式会社Tjmデザイン レーザー墨出し器のホルダー
JP4272589B2 (ja) * 2004-05-27 2009-06-03 新明和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測量器用支持装置
JP2007163281A (ja) * 2005-12-13 2007-06-28 Max Co Ltd レーザー墨出し器用支持機構
JP2010190877A (ja) * 2009-02-17 2010-09-02 Takahiro Watanabe 磁力固定装置・結束固定装置を持つ建築用レーザー測定器台座
KR101675068B1 (ko) * 2015-11-17 2016-11-11 신영측기(주)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스탠드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476Y1 (ko) * 2021-12-09 2022-05-31 양보근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KR200496200Y1 (ko) * 2022-05-26 2022-11-25 양보근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068B1 (ko)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스탠드 어셈블리
KR101861603B1 (ko) 계측장비의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
JP6023183B2 (ja) 表示装置及び他の対象物用の支持装置
KR101477770B1 (ko)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지지대
KR200487559Y1 (ko)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US8826555B2 (en) Self-supporting story pole
KR101409187B1 (ko) 지표면의 수준측량과 지형 간 거리를 측량하는 측지용 삼각대의 지면충격 보호장치
KR101619402B1 (ko) 레이저 레벨기를 삼각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KR101349214B1 (ko) 정밀수준측량용 인바스타프 높낮이 조절장치
JP2018518679A (ja) 高低調節が可能なレーザーレベル装置
KR101604106B1 (ko) 광파 측량기 타겟 거치대
CN102116090A (zh) 墙体垂直挂线仪
KR101985749B1 (ko)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
JP2017026504A (ja) 墜落防止手すりの強度試験装置
US20070215773A1 (en) Mounting bracket assembly
JP6460718B2 (ja) 建築用ボードの設置方法
JP2020010212A (ja) 防犯・監視カメラのハウジング装置
KR101998156B1 (ko) 블라인드 클립용 설치도구
CN209876415U (zh) 一种建筑工程仪支撑架
CN206959837U (zh) 一种可伸缩、可移动工具式吊线装置
CN217028169U (zh) 吊装用放线模块及吊装用放线装置
JP4575938B2 (ja) メジャーテープ取付部材
JP3861085B2 (ja) 支持用金具、支持用金具の設置方法、支持用金具の高さ調整方法及びモルタルの敷き均し方法。
JP2017015630A (ja) 計測器用支持装置
CN210225669U (zh) 一种吊装辅助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