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200Y1 -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200Y1
KR200496200Y1 KR2020220001298U KR20220001298U KR200496200Y1 KR 200496200 Y1 KR200496200 Y1 KR 200496200Y1 KR 2020220001298 U KR2020220001298 U KR 2020220001298U KR 20220001298 U KR20220001298 U KR 20220001298U KR 200496200 Y1 KR200496200 Y1 KR 200496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plate part
mounting
rota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보근
Original Assignee
양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보근 filed Critical 양보근
Priority to KR2020220001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2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2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8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forward-back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12Instruments for setting out fixed angles, e.g. right ang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14Artificial horiz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개시된 레이저 레벨기는 벽면이나 시공중인 벽면타일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부;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부를 못으로 벽면에 직접 장착시키거나 시공중인 벽면타일 사이에 끼움고정하여 장착시키는 장착수단;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레이저 레벨기를 올려 거치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에 대해 접철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에 대해 전후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거치플레이트부;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와 상기 거치플레이트부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에 대한 상기 거치플레이트부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거치플레이트부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부의 후면부를 나사체결방식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말단부는 상기 가이드수단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거치플레이트부를 상기 가이드수단에 대해 전후 위치이동시키는 전후위치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SUPPORT HOLDER FOR LASER LEVELER}
본 고안은 레이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공사, 타일공사, 벽돌공사 등 각종 건축물 공사에서 수평 및 수직선상의 기준을 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이저 레벨기를 거치하는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면이나 바닥 또는 천장에 타일이나 마감재를 시공하는 것과 같은 건축물의 시공시에 있어서, 이들 구조물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평, 수직을 이루도록 시공하는 것은 이들 구조물의 성능이나 내구성 등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건축 및 토목 등의 분야에서는 공간상에 수평 및 수직 위치(기준라인)의 정확한 설정 작업이 중요한 작업중 하나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건축물 시공작업 등에 적용되는 수평, 수직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재래식 방법으로 채택되는 작업방식은, 지주의 수직시공을 위해 수직을 측정하거나 수직포인트를 설정할 때는 추가 달린 긴 줄을 천장에 매달아 수직의 정확도를 측정하거나 또는 수직포인트를 설정하고, 바닥면의 수평시공을 위해서는 수평자 등을 사용하여 수평측정이나 수평 포인트를 설정하는 작업 방식을 따른다.
이러한 종래 수직 및 수평 설정 방법은 천정에 줄을 인위적으로 매달아서 측정하는 방식으로 그 작업이 힘들고 위험함은 물론, 줄이 흔들리는 현상에 의해 정확한 설정을 기대하기 어렵고 또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만 측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수시로 장소를 이동하며 작업하게 되어 신속성과 정확성이 결여되는 등의 문제점을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벽면이나 바닥 또는 천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타일이나 마감재를 시공하기 위한 마감기준선을 표시하는 레이저 레벨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레이저 레벨기는 레이저로 표시하는 표시선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거치대에 거치하여 조사하는 면과 수평 또는 수직 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레벨기를 거치하기 위한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10-1619402호, 등록특허 10-2223943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등록특허 10-1619402호, 등록특허 10-2223943호에 개시된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는 지면에 삼각대를 배치하여 설치하거나 바닥과 천장을 연결하도록 장착되는 구조로서 벽면이나 시공중인 벽면타일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없었으며, 거치대 자체의 부피가 매우 커서 운반이나 이동이 매우 불편하고 힘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종래의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는 벽면이나 시공중인 벽면 타일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이렇게 벽면이나 시공중인 벽면타일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거치된 레이저 레벨기를 벽면에서 전방으로 전진시키거나 벽면쪽으로 후진하여 벽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없어 타일 시공용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619402호 등록특허 10-2223943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못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시키거나 시공중인 벽면타일 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형태로 장착할 수 있으며, 거치플레이트부를 앞뒤로 위치조정할 수 있고, 보관이나 이동시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거치플레이트부를 앞뒤로 미세위치조정가능하도록 개선된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거치플레이트부에 거치된 레이저 레벨기의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좌우 회전각도를 미세조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레이저 레빌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는, 벽면이나 시공중인 벽면타일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부;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부를 못으로 벽면에 직접 장착시키거나 시공중인 벽면타일 사이에 끼움고정하여 장착시키는 장착수단;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레이저 레벨기를 올려 거치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에 대해 접철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에 대해 전후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거치플레이트부;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와 상기 거치플레이트부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에 대한 상기 거치플레이트부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거치플레이트부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플레이트부의 후면부를 나사체결방식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말단부는 상기 가이드수단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거치플레이트부를 상기 가이드수단에 대해 전후 위치이동시키는 전후위치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못으로 벽면에 고정장착하기 위한 못 장착홀이 형성된 장착본체부; 및, 상기 장착본체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벽면에 시공되는 벽면타일 사이틈새에 삽입고정되는 끼움고정패널;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부는 상하 길이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거치플레이트부에 거치된 레이저레벨기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하단 양측부에 힌지가능하게 구성되며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안내홀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플레이트부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링크패널; 상기 한 쌍의 링크패널 각각의 전단부 하단에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플레이트부를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에 대해 직각된 상태로 지지하는 각도제한패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링크패널의 후단부를 연결하여 한 쌍의 링크패널이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패널이 구성되며, 상기 간격패널에는 상기 전후위치 조절수단의 말단부가 관통된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공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플레이트부는, 상기 가이드수단에 의해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거치베이스판; 상기 거치베이스판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레이저 레벨기를 올려 거치하고 거치된 레이저 레벨기의 좌우회전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거치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거치베이스판에 대해 상기 회전거치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각도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은 못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시키거나 시공중인 벽면타일 사이에 끼워서 고정장착해 사용할 수 있어 벽면 타일 시공시에 다양한 방식으로 장착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벽면측에 고정장착된 상태에서 거치된 레이저 레벨기를 전후로 이동시켜 레이저 레벨기를 벽면에서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장착위치를 조정할 필요 없이 보다 편리하게 레이저 기준선을 설정할 수 있으며, 특히, 거치플레이트부에 레이저 레벨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레이저 레벨기를 벽면에서 전후로 미세 위치 조정하여 레이저 기준선을 정밀하게 위치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관시에는 거치플레이트부를 고정플레이트부에 대해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이 쉽고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플레이트부의 길이를 조정하여 레이저 레벨기의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거치대의 장착높이를 재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거치플레이부가 거치된 레이저레벨기를 좌우로 회전각도 조정할 수 있어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에 대한 측면도로서, 도 2는 시공중인 타일 사이에 끼워서 걸어주는 형태로 고정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못으로 벽면에 고정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레이저 레벨기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고정플레이트부의 길이를 줄여 길이가변시킨 상태를 나타낸 돔녀이고,
도 6은 도 1에서 거치플레이트부를 앞으로 위치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에서 회전거치판이 좌우 회전각도 조절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의 사용예시도로서, 보관이나 이동을 위해 거치플레이트부를 고정플레이트부에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10)는 고정플레이트부(110), 장착수단(120), 거치플레이트부(130), 가이드수단(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고정플레이트부(110)는 상단에 행거수단(120)에 구성되어 장착수단(120)에 의해 벽면에 직접 못으로 고정되거나 벽면에 시공중인 벽면 타일들 사이에 끼워져 벽면이나 벽면 타일에 밀착되게 설치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고정플레이트(110)는 거치플레이트부(130)에 거치된 레이저 레벨기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길이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플레이트부(110)는 하부 고정플레이트(111), 상부 고정플레이트(114), 길이고정수단(117)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하부 고정프레이트(111)의 하단 양측에는 각각 후방으로 직각되게 절곡형성되어 거치플레이트부(130)의 접철동작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회전지지패널(112)이 구성되고, 하부 고정플레이트(111)의 양측에는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제1길이조절패널(113)이 형성된다. 이때, 제1길이조절패널(113)의 상단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홀(113a)이 형성된다.
상부 고정플레이트(114)는 하부 고정플레이트(111)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단 양측에는 후방으로 직각되게 절곡되어 장착수단(120)의 회전동작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회전지지패널(115)이 구성되고, 상부 고정플레이트(114)의 양측에는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제1길이조절패널(113)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하 위치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길이조절패널(116)이 구성되며, 이 제2길이조절패널(116)에는 제1길이조절패널(113)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홀(116a)이 길이방향을 따라 장홀 형태로 형성된다.
길이고정수단(117)은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나사부가 레일홀(116a)을 관통하여 암나사홀(113a)에 나사체결되도록 구성된다. 길이고정수단(117)은 암나사홀(113a)을 나사체결되어 조일 경우, 제2길이조절패널(116)을 제1길이조절패널(113) 측으로 가압하여 길이조정된 제1길이조절패널(113)과 제2길이조절패널(116)을 상호 고정시켜 고정플레이트부(110)의 조정길이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고정플레이트부(110)는 길이고정수단(117)을 레일홀(116a)에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길이조절패널(116)이 제1길이조절패널(113)을 가압고정한 상태를 해제한 후, 제1길이조절패널(113)과 제2길이조절패널(116)의 상호 길이를 조정하여 하부 고정플레이트(111), 상부 고정플레이트(114)의 사이간격을 조절 한 후, 길이고정수단(117)을 레일홀(116a)에 나사체결방향으로 조여서 제2길이조절패널(116)을 제1길이조절패널(113)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시켜 줌으로써 조정된 길이가 고정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고정플레이트부(110)를 길이가변시킴으로써, 고정플레이트부(110)의 설치위치가 달라지게 변경하지 않고도 거치플레이트부(140)에 거치된 레이저 레벨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고정플레이트부(110)는 한 쌍의 제2길이조절패널(116)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한 쌍의 제2길이조절패널(116)의 사이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패널(118)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장착수단(120)은 고정플레이트부(110)의 상단에 구성되어 고정플레이트부(110)를 못을 이용하여 벽면에 직접적으로 고정되게 장착시키거나, 고정플레이트부(110)를 벽면에 시공되는 벽면타일 사이에 끼워서 고정장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장착수단(120)은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플레이트부(110)의 상단부에 회전동작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전후면에 서로 일치하도록 관통형성되어 장착수단(120)을 못으로 벽면에 고정시키는 못 장착홀(122)이 구성된 장착본체부(121)와, 이 장착본체부(121)의 일면 말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벽면에 시공되는 벽면 타일들 사이에 삽입되어 장착수단(120)을 벽면타일에 고정시키는 끼움고정패널(12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장착본체부(121)는 서로 마주하도록 소정간격 이격되며, 각각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못 장착홀(122)이 형성되는 한 쌍의 장착패널(121a,121b)과, 이 한 쌍의 장착패널(121a,121b)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패널(121c)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장착본체부(121)의 양측부에는 하측의 장착패널(121b)로부터 상부로 직각되게 절곡형성되어 제2회전지지패널(115)의 상단부 내측면과 마주하는 측면패널(121d)이 구성된다.
장착본체부(121)는 한 쌍의 제2회전지지패널(115)의 사이에 삽입되고, 한 쌍의 제2회전지지패널(115)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장착본체부(121)는 측면패널(121d)에 회전핀(124)이 설치되되, 회전핀(124)은 제2회전지지패널(115)을 관통하여 말단부가 측면패널(121d)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핀(125)에 의해 장착본체부(121)는 양측의 제2회전지지패널(115)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장착본체부(121)를 회전조작하여, 끼움고정패널(125)이 장착본체부(12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한 후, 끼움고정패널(125)을 시공중인 벽면타일(t)의 사이틈새에 끼워줌으로써 본 고안의 거치대(10)를 벽면타일의 사이공간에 끼움방식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장착본체부(121)를 도 2에 대해 90도 회전시켜 끼움고정패널(125)이 상부 고정플레이트(114)의 상부로 세워진 형태가 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장착본체부(121)의 전후 장착패널(121a,121b)에 각각 형성된 못 장착홀(122)을 통해 못(p)을 이용하여 벽면(w)에 직접 박아 고정시킴으로써 거치대(10)를 벽면에 고정장착시킬 수 있다. 이때, 못(p)을 벽면(w)에 먼저 박은 후, 못 장착홀(122)에 못(p)이 끼워지도록 장착수단(120)을 걸어주는 방식으로 거치대를 벽면에 장착시킬 수도 있다.
거치플레이트부(130)는 고정플레이트(110)의 하단부에 구성되며, 레이저 레벨기를 올려 거치하도록 구성된다.
거치플레이트부(130)는 레이저레벨기의 좌우 회전기능 없이 단일 패널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플레이트부(130)는 거치베이스판(131)과, 이 거치베이스판(131)의 상면에 회전축(135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레이저레벨기를 거치시키는 회전거치판(13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회전거치판(135)에 거치된 레이저레벨기는 회전거치판(135)이 거치베이스판(131)에 대해 회전각도 조정됨으로써 레이저레벨기의 좌우 회전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거치플레이트부(130)는 고정플레이트부(110)의 하단에 형성된 제1회전지지패널(112)에 대해 회동되어 접철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고정플레이트부(110)에 대해 전후로 이동되어 고정플레이트부(110)에 대해 전후로 이격된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수단(140)은 고정플레이트부(110)와 거치플레이트부(13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거치플레이트부(130)의 접철동작을 안내하고, 거치플레이트부(130)의 전후 위치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수단(140)은 한 쌍의 링크패널(141)과 각도 제한패널(14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링크패널(141)은 소정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안내홀(141a)이 형성된다.
각각의 링크패널(141)은 전단부가 제1회전지지패널(112)에 힌지부(143)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각도제한패널(144)은 링크패널(141)의 전단부에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링크패널(141)이 거치플레이트부(130)와 함께 고정플레이트부(110)에 대해 직각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링크패널(141)은 제1회전지지패널(112)에 대해 힌지부(143)에 으ㅟ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도 8과 같이, 링크패널(141)과 함께 거치플레이트부(130)가 고정플레이트부(110)에 대해 접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도제한패널(144)은 링크패널(141)의 전단에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링크패널(141)과 함께 거치플레이트부(130)를 고정플레이트부(110)에 대해 벌어지도록 펼치는 경우, 링크패널(141)과 함께 거치플레이트부(130)가 각도제한패널(144)에 의해 고정플레이트부(110)에 직각된 상태로 펼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링크패널(141)의 후단부를 연결하여 한 쌍의 링크패널(141)이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패널(142)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거치비에스판(131)의 양측부에는 하방으로 직각되게 절곡형성되어 링크패널(141)과 겹쳐진 상태로 링크패널(141)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한 쌍의 하부 이동패널(132)이 구성된다. 즉, 거치플레이트(130)의 양측부에는 하부 이동패널(132)이 구성되어, 거치플레이트부(130)가 링크패널(141)을 따라 전후 위치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링크패널(141)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안내홀(141a)이 형성되며, 각각의 하부 이동패널(132)의 전단부에는 이동핀(145)이 구성되며, 이 이동핀(145)은 하부이동패널(132) 및 이동안내홀(141a)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이동핀(145)이 이동안내홀(141a)을 따라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거치플레이트부(130)의 전후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이동핀(145)은 소정길이를 갖는 전산볼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양측의 하부이동패널(132)의 폭보다 길도록 구성되어, 양측부가 이동안내홀(141a)을 통과하고 하부이동패널(132)의 전단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양단에는 이동핀(145)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동핀(145)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노브(145a)를 구비한다. 이 이동핀(145) 및 회전노브(145a)는 후술할 회전각도 조절수단(160)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회전노브(145a)를 파지하여 이동핀(145)을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각도 조절수단(160)이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동핀(145)은 한 쌍의 하부 이동패널(132)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핀(145)은 각각 별개로 구성되고, 이 별개로 구성된 이동핀(145)이 하부이동패널(142)의 전단부를 관통하고 이동안내홀(141a)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한 쌍의 링크패널(141)의 각 후단부에 각각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각도 제한패널(144)과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어, 각도제한 패널(144)과 함께 지면에 지지되어 거치플레이트부(130)가 수평된 상태로 거치대(10)를 공사장 바닥지지면에 거치시키기 위한 바닥지지패널(147)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거치플레이트부(130)를 가이드수단(140)에 전후 위치이동시키는 전후위치 조절수단(15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후위치 조절수단(150)은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의해 거치플레이트부(13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수단(140)은 거치베이스판(131)의 후단에 폭방향 중간으로 하향되게 절곡형성되며 나사홀(133a, 도 4참조)이 형성된 나사결합패널(133)이 구성된다.
전후위치 조절수단(150)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태로 이루어지며, 나사홀(133a)에 나사체결되어 나사결합패널(133)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말단부에는 간격패널(142)의 좌우 중간부에 형성된 회전공(146)에 관통되어 간격패널(14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153)가 구성된다.
즉, 전후위치 조절수단(150)은 말단의 회전부(153)가 간격패널(143)의 회전공(146)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나사결합패널(133)에 형성된 나사홀(133a)에 나사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전후위치 조절수단(150)의 후단에 구성된 손잡이(152)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나사홀(133a)이 형성된 나사결합패널(133)과 함께 거치베이스판(131)을 포함하는 거치플레이트부(130)가 전후위치 조절수단(150)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여 거치플레이트부(130)의 전후이동이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회전공(146)은 전후위치 조절수단(150)의 말단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며, 회전부(153)에는 회전공(146)의 전후측에 너트로 이루어진 이탈방지부재(154,155)가 나사체결되도록 구성되어, 회전부(153)가 회전공(146)에서 전후로 빠지지 않고 회전공(146)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탈방지부재(154,155)는 너트형태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후위치 조절수단(150)의 말단부에 구성된 회전부(153)가 회전공(146)을 관통한 상태에서 전후로 빠지지 않고 회전공(146)에서 회전될 수 있으면 너트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전후위치 조절수단(150)의 말단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간격패널(142)에 형성된 회전공(146)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는 구조이면 여타의 다양한 회전축 연결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벨기 거치대(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거치판(135)을 거치베이스판(131)에 대해 좌우 회전시켜 회전거치판(135)에 거치된 레이저 레벨기의 좌우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각도 조절수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각도 조절수단(160)은 사용자가 이동핀(145)의 양측에 구성된 회전노브(145a)를 회전조작하는 것에 의해 회전거치판(135)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회전각도 조절수단(160)은 가이드레일(161), 회전유도레일(163), 회전유도부재(16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레일(161)은 거치베이스판(131)의 전단부에 좌우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회전유도레일(163)은 회전거치판(135)에 관통형성되되, 회전거치판(135)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회전거치판(135)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회전유도레일(163)의 길이를 연장시키도록 서로 이격되게 구성되는 한 쌍의 레일연장부재(136)가 더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유도레일(163)은 가이드레일(161)에 크로스되도록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회전유도부재(164)는 이동핀(135)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레일(161)를 따라 이동되고 회전유도레일(163)을 따라 이동하여 회전거치판(135)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유도부재(164)는 하부에 이동핀(135)이 관통되되 이동핀(13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체결된 나사체결블록(165)과, 이 나사체결블록(165)의 상단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가이드레일(161)을 관통하고 회전유도레일(163)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가이드레일(161)를 따라 이동되면서 회전유도레일(163)을 이동하여 회전거치판(135)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도핀(166)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회전유도핀(166)은 하부는 가이드레일(161)에 삽입되어 가이드레일(161)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부는 회전유도레일(163)에 삽입되어 회전유도레일(163)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회전유도핀(166)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게 구성된 나사체결블록(165)에 이동핀(135)이 나사체결된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회전노브(145a)를 회전조작하여 이동핀(135)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나사체결블록(165)이 이동핀(135)을 따라 이동되고 회전유도핀(166)은 가이드레일(161)을 따라 이동되게 되며, 이와 함께 회전유도핀(166)이 회전거이판(135)의 회전이 발생하도록 회전유도레일(163)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회전노브(145a)를 회전조작하여 회전유도핀(166)이 가이드레일(161)의 일측부로 이동되는 경우, 도 7과 같이 회전거치판(13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반대로 회전유도핀(166)이 가이드레일(161)의 타측부로 이동되는 경우, 회전거치판(135)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거치판(135)의 거치된 레이저 레벨기의 좌우 회전각도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고정플레이트부
111...하부 고정플레이트
112...제1회전지지패널
113...제1길이조절패널
114...상부 고정플레이트
115...제2회전지지패널
116...제2길이조절패널
117...길이고정수단
118...간격유지패널
120...장착수단
121...장착본체부
122...못 장착홀
125...끼움고정패널
130...거치플레이트부
131...거치베이스판
135...회전거치판
136...레일연장부재
140...가이드수단
141...링크패널
141...이동안내홀
142...간격패널
144...각도제한패널
145...이동핀
147...바닥지지패널
150...전후위치 조절수단
153...회전부
154,155...이탈방지부재
160...회전각도 조절수단
161...가이드레일
163...회전유도레일
164...회전유도부재
165...나사체결블록
166...회전유도핀

Claims (7)

  1. 벽면이나 시공중인 벽면타일에 고정착장되며, 상하 길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된 고정플레이트부;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부를 못으로 벽면에 직접 장착시키거나 시공중인 벽면타일 사이에 끼움고정하여 장착시키는 장착수단;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레이저 레벨기를 올려 거치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에 대해 접철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에 대해 전후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거치플레이트부;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와 상기 거치플레이트부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에 대한 상기 거치플레이트부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거치플레이트부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하단 양측부에 힌지가능하게 구성되며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안내홀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플레이트부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링크패널;
    상기 한 쌍의 링크패널 각각의 전단부 하단에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플레이트부를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에 대해 직각된 상태로 지지하는 각도제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못으로 벽면에 고정장착하기 위한 못 장착홀이 형성된 장착본체부; 및,
    상기 장착본체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벽면에 시공되는 벽면타일 사이틈새에 삽입고정되는 끼움고정패널;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링크패널의 후단부를 연결하여 한 쌍의 링크패널이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패널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플레이트부는,
    상기 가이드수단에 의해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거치베이스판;
    상기 거치베이스판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레이저 레벨기를 올려 거치하고 거치된 레이저 레벨기의 좌우회전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거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거치베이스판에 대해 상기 회전거치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각도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KR2020220001298U 2022-05-26 2022-05-26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KR200496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98U KR200496200Y1 (ko) 2022-05-26 2022-05-26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98U KR200496200Y1 (ko) 2022-05-26 2022-05-26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200Y1 true KR200496200Y1 (ko) 2022-11-25

Family

ID=8423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298U KR200496200Y1 (ko) 2022-05-26 2022-05-26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200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565B1 (ko) * 2006-11-09 2008-04-30 삼부기술 주식회사 삼각대 설치가 불가능한 지역에서의 gps 측량 거치대
KR101619402B1 (ko) 2014-05-09 2016-05-11 (주)인천측기 레이저 레벨기를 삼각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KR101627564B1 (ko) * 2015-11-27 2016-06-08 (주) 삼경이엔씨 탈부착이 용이한 측량 레벨기 받침용 지지대
KR200487559Y1 (ko) * 2017-04-28 2018-10-08 장미희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KR20200019029A (ko) * 2018-08-13 2020-02-21 주식회사 엘케이 레이저 레벨기용 위치조절장치
KR102223943B1 (ko) 2020-06-29 2021-03-05 김희태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565B1 (ko) * 2006-11-09 2008-04-30 삼부기술 주식회사 삼각대 설치가 불가능한 지역에서의 gps 측량 거치대
KR101619402B1 (ko) 2014-05-09 2016-05-11 (주)인천측기 레이저 레벨기를 삼각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KR101627564B1 (ko) * 2015-11-27 2016-06-08 (주) 삼경이엔씨 탈부착이 용이한 측량 레벨기 받침용 지지대
KR200487559Y1 (ko) * 2017-04-28 2018-10-08 장미희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KR20200019029A (ko) * 2018-08-13 2020-02-21 주식회사 엘케이 레이저 레벨기용 위치조절장치
KR102223943B1 (ko) 2020-06-29 2021-03-05 김희태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9328B1 (en) Measurement gauge incorporating a level
US7478973B2 (en) Concrete-leveling system
KR20150129210A (ko) 레이저 레벨기를 삼각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KR200496200Y1 (ko)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CN102677879A (zh) 建造面板定位及支撑系统和工具
US3127683A (en) Universal mason's corner pole
KR200495476Y1 (ko) 레이저 레벨기 거치대
KR200445330Y1 (ko) 레이저 표시장치
CN204531310U (zh) 一种墙面找平机构
US2949673A (en) Mason's corner-guide and course-gauge
CN219319984U (zh) 建筑主体结构强度检测装置
JP3502027B2 (ja) パチンコ機取り付け装置
CN216109811U (zh) 一种可调节的砌筑皮数杆
US3038258A (en) Mason's corner level
KR102147958B1 (ko) 목공용 자유자
CN217231397U (zh) 一种增加园林铺装精度的辅助设备
JPH0626806Y2 (ja) 測量用ポールの支脚
CN113124302B (zh) 用于高层建筑测量放样的仪器支架及其使用方法
JP3977793B2 (ja) メジャーテープ取付機用基台
CN217812412U (zh) 一种用于现浇混凝土楼面的找平导轨支架
RU2331747C2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вертикаль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и распорный узел для него
CN220016713U (zh) 一种施工测量装置
CN216113017U (zh) 一种煤矿测量用可调节式支架
CN220524825U (zh) 一种矩形梁尺寸测量装置
CN210165955U (zh) 一种建筑工程造价现场测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