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749B1 -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 - Google Patents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749B1
KR101985749B1 KR1020180069424A KR20180069424A KR101985749B1 KR 101985749 B1 KR101985749 B1 KR 101985749B1 KR 1020180069424 A KR1020180069424 A KR 1020180069424A KR 20180069424 A KR20180069424 A KR 20180069424A KR 101985749 B1 KR101985749 B1 KR 101985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asuring instrument
moving
moun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미희
Original Assignee
장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미희 filed Critical 장미희
Priority to KR1020180069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수평이동하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에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계측기기의 탈착부가 결합되는 장착블록을 포함하되, 계측기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장착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유닛을 더 구비함으로서, 기존에 사용되는 다양한 계측기기의 탈착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MOUNT APPARATUS FOR MEASU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수평이동하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에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계측기기의 탈착부가 결합되는 장착블록을 포함하되, 계측기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장착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유닛을 더 구비함으로서, 기존에 사용되는 다양한 계측기기의 탈착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시공이나, 건물 내부의 타일 설치 작업 등과 같은 인테리어 시공 시, 구조물의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평, 수직을 이루도록 시공하는 것은, 이들 구조물의 성능이나 내구성 등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로, 건축 및 토목 등의 분야에서는 시공 현장에 수평 및 수직의 기준라인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
수평 및 수직의 기준라인을 측량 또는 설정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으로, 추가 달린 긴 줄이나 강선 등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으나 기준라인의 측량 또는 설정이 부정확하고, 작업이 번거로우면서 작업시간에 긴 시간이 소요되는 등, 효율성 및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측량기나 계측기 또는 수평 및 수직의 기준라인을 설정하기 위한 레이저조사기 등의 계측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계측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마운트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마운트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109596호, 등록특허 제10-1109597호를 들 수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들은 삼각대와 같은 스탠드에 설치되어 사용하는데, 계측기기용 스탠드는 계측기기를 견고하게 고정하되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계측기기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스탠드를 사용하게 되면, 현장의 벽면이 코너로 이루어진 곳이나, 스탠드의 상하 높이 조절범위를 벗어난 곳에 계측기기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스탠드 형식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레이저조사기 등의 계측기기는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 유지가 매우 중요한데, 기존의 계측기기용 스탠드는 계측기기의 높이 조절만이 가능할 뿐 스탠드 자체의 수평 조정이 불가능함에 따라, 시공 현장의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고 경사질 경우 스탠드를 이용해 계측기기를 정확한 위치에 수평 상태로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제시된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627564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벽면에 고정 후, 계측기기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시중에 나와 있는 다양한 계측기기의 탈착부의 크기 및 형상은 계측기기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계측기기 중 상기 종래기술에 맞는 크기의 계측기기만 사용할 수 밖에 없어, 계측기기의 선택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범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벽면 설치용 마그넷이 구비된 설치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이 본체에 수평이동하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계측기기를 고정하는 장착부가 형성된 장착블록으로 이루어지되, 계측기기의 종류에 따라 장착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폭조절유닛이 더 구비됨에 따라 다양한 종래의 계측기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폭조절유닛은 폭조절나사를 돌리면 탈착부가 결합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폭조절부재가 움직여 장착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손쉽게 계측기기의 탈착부에 맞게 폭을 조절한 후 고정할 수 있는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이동바를 수평이동시키는 제1 조절부재, 장착블록을 회전시키는 제2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세팅유닛을 더 구비하여, 계측기기 장착 후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게 계측기기의 위치를 손쉽게 세팅할 수 있는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는
벽면 설치용 마그넷이 구비된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동공이 형성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이동공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 하부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계측기기를 탈부착할 수 있는 장착부를 구비한 장착블록;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결합되는 계측기기의 종류에 따라 장착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폭조절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는
벽면에 마그넷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본체와, 이 본체에 수평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에 구비되어 계측기기의 탈착부를 장착하도록 장착부가 형성된 장착블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장착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유닛을 더 구비하여 시중에 유통되는 다양한 계측기기를 종류에 상관없이 결합시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폭조절유닛으로 인해 장착부의 폭이 조절됨에 따라 계측기기의 제조사, 크기,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탈착부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바를 수평이동시키는 제1 조절부재와, 장착블록을 회전시키는 제2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세팅유닛을 더 구비함에 따라, 장착된 계측기기의 방향 및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계측기기가 장착된 마운트를 자력 부착이 가능한 벽면에 쉽게 설치 가능하므로, 스탠드의 설치가 불가능한 곳에 높이 제한 없이 자유롭게 계측기기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의 또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의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의 다른 실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M)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이동바(20), 상기 이동바(20)에 장착되는 장착블록(30) 및 이 장착블록(30)에 형성된 장착부(31)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벽면에 설치되는 마그넷(111)이 구비된 설치부(11)와, 상기 설치부(1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10)의 설치부(11)는 벽면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벽면에 보다 용이하게 탈부착되기 위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마그넷(111)이 구비되어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상기 마그넷(111)은 강한 자성을 갖는 네오디움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마그넷(111)의 자성에 의해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설치면)이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미리 별도의 금속부재(15)를 벽면에 고정하여 마운트(M)가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대(13)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지지대(13)에는 지지대(13)의 길이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장공 형상의 이동공(13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공(131)에는 이동바(20)가 이동공(131)을 따라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동바(20) 하부에는 계측기기가 결합될 수 있는 장착블록(30)이 구비되게 된다.
본 발명은 시중에 유통되는 다양한 계측기기를 모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우선 상기 장착블록(3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장착블록(30)은 하부에 장착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착부(31)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폭조절유닛(40)을 더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계측기기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장착블록(30)은 블록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몸체 하부에는 계측기기의 탈착부가 결합될 수 있는 장착부(31)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31)를 형성하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유닛(4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몸체 하부 일측 단부에는 장착부(31)를 형성하도록 하향 돌출된 고정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33) 맞은편에는 폭조절유닛(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33)는 계측기기의 탈착부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하향 돌출된 공간형성부(331)와, 이 공간형성부(331)로부터 내측(폭조절유닛(40) 방향)으로 절곡되어, 장착부(31)에 결합된 탈착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33)의 반대쪽에는 폭조절유닛(40)이 구비되어 장착부(31)의 폭을 조절함에 따라 다양한 계측기기를 모두 고정할 수 있는데,
상기 폭조절유닛(40)은 걸림부(413)가 형성된 폭조절부재(41)와, 상기 폭조절부재(41)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43), 상기 폭조절부재(41)의 일측을 가압하는 폭조절나사(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폭조절부재(41)는 상기 장착블록(30)의 단부(상기 고정부(33)의 반대방향)에 힌지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착블록(30)에는 상기 폭조절부재(41)가 결합되는 결합홈(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폭조절부재(41)와 장착블록(30)의 힌지축(411)은 상기 장착블록(30)의 상단에 형성되게 된다.
이 때 상기 폭조절부재(41)의 단부, 즉 하부에는 장착부(31)를 형성하되, 상기 장착부(31)의 내측방향, 즉 고정부(33)의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413)가 구비되어 계측기기의 탈착부를 홀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나사를 돌리면, 상기 폭조절부재(41)가 힌지핀을 힌지축(411)으로 스윙운동하여, 상기 걸림부(413)가 고정부(33)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장착부(31)의 폭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폭조절나사(45)는 나사헤드부(451)와, 상기 나사헤드부(451)에 구비되되, 상기 폭조절부재(41)를 관통하여 장착블록(3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기둥부(45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나사기둥부(453)에는 상기 폭조절부재(41)에 형성되어 나사기둥부(453)가 관통하는 관통공(415)보다 직경이 큰 가압부(45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나사기둥부(453)의 단부는 상기 장착블록(30)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폭조절나사(45)를 돌리면, 장착블록(30)과의 나사결합에 의해 나사헤드부(451)가 장착부(31)방향으로 이동하며(조절나사를 조이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가압부(455)가 상기 관통공(415)을 통과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455)가 상기 폭조절부재(41)의 일면을 가압하여 폭조절부재(41)를 고정부(33) 방향으로 밀며, 이로 인하여 장착부(31)의 폭이 좁아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폭조절부재(41)가 나사헤드부(451) 방향으로 벌어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35)에는 양단이 상기 폭조절부재(41)와 수용부 내측에 밀착되는 탄성부재(43)가 더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나사를 조이거나 풀면, 상기 탄성부재(4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폭조절부재(41)가 조절나사의 나사헤드부(451)방향으로 벌어짐을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계측기기는 제조사, 종류, 크기에 따라 마운트(M)에 결합되기 위한 탈착부의 크기가 달라지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장착블록(30) 및 폭조절유닛(40)을 조정하여 다양한 종류의 탈착부를 모두 수용, 호환 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렇게 장착부(31)에 계측기기가 장착되면, 계측기기의 위치, 방향 등을 조절해야하는데, 본 발명은 세팅유닛(50)을 구비함에 따라 계측기기의 정밀한 위치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세팅유닛(50)은 상기 계측기기를 설치부(11)로부터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조절부재(51)와, 상기 계측기기의 방향(계측기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제2 조절부재(5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장착블록(3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서 상기 계측기기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이하 장착블록(30)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세팅유닛(50)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본체(10)의 이동공(131)에 구비되되, 이동공(131)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이동바(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바(20)는 상기 이동공(131)을 따라 수평이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이동공(131)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조절부재(51)가 결합될 수 있는 제1 나사결합부(21)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공(131) 하부에 위치하며 제2 조절부재(53)에 의해 결합되는 장착블록(30)을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나사결합부(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 상기 제1 조절부재(51)와 제2 조절부재(53)(세팅부재)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상기 이동바(20)의 구성을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제1 조절부재(51)는 상기 장착블록(30)을 수평이동, 즉 벽면(설치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 헤드(511)와, 상기 제1 헤드(511)에 구비되는 제1 나사부재(51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 조절부재(53)는 상기 장착블록(30)을 공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2 헤드(531)와, 제2 나사부재(533)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제1 조절부재(51)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511)는 상기 지지대(13)의 일측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대(13)에는 관통홀(1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홀(133)에 상기 제1 헤드(511)에 구비되는 제1 나사부재(513)가 통과되게 된다.
즉, 상기 제1 헤드(511)가 지지대(13)의 일측에 노출되고, 이에 연결되는 제1 나사부재(513)는 상기 관통홀(133)을 통과하여 상기 이동바(20)의 제1 나사결합부(21)에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때 상기 제1 헤드(511)가 회전함으로서, 상기 이동바(20)를 수평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나사결합부(21)와 제1 나사부재(513)는 상호간에 스크류결합을 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나사결합부(21)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부재(513)의 외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스크류결합되는 스크류형성부(513a)가 구비되어, 제1 조절부재(51)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바(20)가 수평이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조절부재(51)는 상기 이동바(20)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하여,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나사부재(513)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공회전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회전부가 상기 관통홀(133)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조절부재(51)의 공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이 때 상기 제1 조절부재(5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공회전부에는 상기 관통홀(133)보다 직경이 큰 이탈방지돌기(513b)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장착블록(3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2 조절부재(53)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제2 조절부재(53)는 상기 제1 조절부재(51)와 직교되는 방향, 즉 이동공(131)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조절부재(53)는 제2 헤드(531)와, 상기 제2 헤드(531)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공(131),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이동바(20)를 관통하는 제2 나사부재(53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 헤드(531)는 상기 이동바(20)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나사부재(533)는 상기 제2 헤드(531)에 구비되되, 상기 이동바(20)를 수직으로 관통한 후, 이동바(20) 하단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나사부재(533)의 단부에 상기 장착블록(30)이 나사결합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 조절부재(53) 또한 상기 이동바(20)로부터 공회전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바, 상기 이동바(20) 내에 위치하는 제2 나사부재(533)에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 나사부재(533)의 단부, 즉 장착블록(30)이 결합되는 부분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장착블록(3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2 조절부재(5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조절부재(53)의 회전과 연동될 수 있는 이탈방지판(535)이 상기 이동공(131)의 하부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나사부재(533)에 결합되어 있어, 제2 조절부재(53)가 이동공(131)(보다 정확하게는 이동바(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공회전 함에 따라 장착블록(30)을 공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장착블록(30)에는 상기 제2 조절부재(53)와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공(37)이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며, 이 나사공(37)에 하기와 같이 스탠드(60)에 구비되는 탈착부
아울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M) 중 장착블록(30)을 분리시켜, 종래와 같이 스탠드(60)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용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상기 스탠드(60)는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거치되는 프레임(61)과, 상기 프레임(61)에서 상하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봉(63), 상기 장착봉(63)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되, 상기 장착봉(63)에 대하여 좌우 수평 회전 및 전후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일측 끝단부에 상기 마운트(M)의 마그넷(111)이 탈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651)가 형성된 지지부재(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61)은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프레임(61)이 바닥면에 거치되도록 접이 가능한 접이식 다리(611)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레임(61)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수용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 상에 상기 장착봉(63)이 삽입되어 승하강된다.
상기 장착봉(63)을 승하강시키는 구동수단의 일례로써, 장착봉(63)의 일면에 구비된 랙기어부와, 프레임(61)에 구비되어 상기 랙기어부에 치합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기어의 작동은 핸들을 이용한 수동 작동뿐만 아니라, 모터를 이용한 자동작동 모두 가능하다.
물론 상기 구동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 등을 이용하거나, 기어, 축으로 연결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장착봉(63)은 상단에 결합나사부(631)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나사부(631)에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고정블록(633)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블록(633)은 상단에 나사봉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봉에 계측기기를 직접 결합하거나, 상기 마운트(M)의 나사공(37)을 결합시켜 계측기기를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65)는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형 부재로써, 일측단에 수직방향으로 절곡 연결된 부착부(651)가 구비되며, 상기 마운트(M)의 자력 부착을 위해 최소한 부착부(651)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재(65)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홈(653)이 상하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딩홈(653)에 상기 장착봉(63)의 결합나사부(631)가 끼워지면서 슬라이딩 결합되어, 지지부재(65)의 좌우 수평회전 및 전후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지지부재(65)에 끼워진 결합나사부(631)에 고정블록(633)을 결합하여 지지부재(65)를 고정할 수 잇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65)는 상기 슬라이딩홈(653)의 일측 또는 양측에 체결공(655)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 체결공(655)은 계측기기의 나사공(37)을 이용하여 계측기기를 체결공(655) 위치에 볼트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체결공(655)은 나사공(37)보다 큰 장공 형태로 구비되어, 체결공(655)에 계측기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계측기기의 하면에서 직하방으로 수직하게 조사되는 위치조정 레이저가 체결공(655)을 통과해 바닥면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닥면에 도달하는 위치 조정 레이저를 스탠드(60)를 설치하기 위한 기준점으로 이용하여, 계측기기를 보다 정확한 위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지지부재(65)는 상기 부착부(651)의 반대편 타측단에 마운트(M) 및 계측기기의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하는 중량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상기 중량부재는 지지부재(65)의 양 측단에 가해지는 하중을 맞추는 것으로, 지지부재(65)를 일측으로 최대한 빼낸 상태에서 일측 부착부(651)에 계측기기가 장착된 마운트(M)를 부착할 경우, 계측기기의 반대편에 중량부재를 추가하여 지지부재(65)의 양측 하중을 맞춰줌으로써, 마운트(M) 및 계측기기의 하중 쏠림으로 인해 스탠드(60)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중량부재는 일반적인 추 모양 등 구체적인 모양, 소재 등에 제한이 없으며, 지지부재(65)에 대한 중량부재의 위치 조절 및 탈부착이 편리하도록, 상기 지지부재(65)를 금속 소재로 제작한 상태에서 중량부재의 하면에 자력 부착이 가능한 마그넷(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기용 마운트(M)의 또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대(13)에는 상기 이동바(20)의 결합을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캡부재(1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캡부재(135)는 상기 이동공(131)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분리 시, 상기 이동공(131)에 탈착공(137)(이동공(131) 보다 직경이 큰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바(20)를 상부방향으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바(20)의 하부(상기 이동공(131)의 하부)에는 원형의 이탈방지판(535)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이탈방지판(535)은 이동공(131)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됨에 따라 이동바(20)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으며, 상기 캡부재(135)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탈착공(137)의 크기가 상기 이탈방지판(535)의 크기와 동일하게 구성됨에 따라, 이 공간을 통하여 이동바(20)를 상부방향으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동바(20)를 이탈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절부재(51)의 제1 헤드(511)와 제1 나사부재(513)를 선분리시키는 것은 자명하다.
다시 구체적으로, 상기 캡부재(135)는 이동공(131)의 가이드벽체(131a)의 상하 두께 및 돌출 너비에 대응하는 규격을 갖는 'U'자 형상의 부재로써, 일측 하면으로 돌출된 돌출단(135a)에 나사구멍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13)에 볼팅 결합되어 탈부착된다.
이러한 캡부재(135)는 지지대(13)에 결합 시 이동공(131)의 가이드벽체(131a) 일부를 형성하여 걸림 결합된 이동바(20)의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캡부재(135)를 분리하면 이동공(131)의 일측부에 보다 큰 직경을 자는 탈착공(137)이 형성되어 이동바(20), 보다 정확하게는 이탈방지판(535)을 이 공간을 통하여 상부방향으로 빠져나가도록 이탈 가능하게 하여,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캡부재(135)를 분리하는 과정을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 상기 캡부재(135)는 상기 지지대(13)에 이동바(20)를 보다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캡부재(135)의 탈부착을 통하여 이동바(2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 때 상기 캡부재(135)의 상하 두께 등 가공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캡부재(135) 결합 시 가이드벽체(131a)와 캡부재(135) 사이에 높이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벽체(131a)와 캡부재(135) 상호간에 단차가 맞지 않을 때, 상기 이동바(20)가 기울어지면서 고정됨에 따라 계측기기의 수평이 틀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부재(17)를 더 도입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다.
상기 평탄화부재(17)는 상기 이동공(131)의 가이드벽체(131a) 및 상기 캡부재(135)의 상면 또는 하면 전체에 걸쳐 부착되되, 팽창 및 수축 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가요성 소재의 2중 외피(171)가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의 빈 공간에 공기가 채워지는 에어셀(173)을 구비한다.
이러한 평탄화부재(17)가 이동공(131) 및 캡부재(135)에 부착되어 있으면, 캡부재(135)의 가공 오차 등으로 인해, 가이드벽체(131a)와 캡부재(135) 사이에 높이 단차가 발생하더라도,
돌출된 높이 단차만큼 내측 외피(171)가 내부로 수축하면서 가압되므로, 에어셀(173) 내부의 공기가 평탄화부재(17) 전체로 균일하게 퍼지면서 외측 외피(171)가 팽창하여 부풀면서 외측 외피(171) 전체가 수평하게 평탄화 되어, 이동바(20)의 전후 이동 시 걸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가이드벽체(131a)와 캡부재(135)의 연결부 상에 이동바(20)가 고정되는 경우, 외측 외피(171)가 이동바(20)와의 접촉 부위만큼만 내부로 수축되면서 평탄, 유지됨에 따라, 이동바(20)가 전후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되어, 계측기기를 정확하게 수평 상태로 세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 마운트 10 : 본체
11 : 설치부 111 : 마그넷
13 : 지지대 131 : 이동공
133 : 관통홀 135 : 캡부재
135a : 돌출단 137 : 탈착공
15 : 금속부재 17 : 평탄화부재
171 : 외피 173 : 에어셀
20 : 이동바 21 : 제1 나사결합부
30 : 장착블록
31 : 장착부 33 : 고정부
331 : 공간형성부 331 : 공간형성부
333 : 이탈방지부 35 : 결합홈
37 : 나사공 40 : 폭조절유닛
41 : 폭조절부재 411 : 힌지축
413 : 걸림부 415 : 관통공
43 : 탄성부재 45 : 폭조절나사
451 : 나사헤드부 453 : 나사기둥부
455 : 가압부 50 : 세팅유닛
51 : 제1 조절부재 511 : 제1 헤드
513 : 제1 나사부재 513a : 스크류형성부
513b : 이탈방지돌기
53 : 제2 조절부재 531 : 제2 헤드
533 : 제2 나사부재 535 : 이탈방지판
60 : 스탠드 61 : 프레임
611 : 다리 63 : 장착봉
631 : 결합나사부 633 : 고정블록
65 : 지지부재 651 : 부착부
653 : 슬라이딩홈 655 : 체결공

Claims (4)

  1. 벽면 설치용 마그넷이 구비된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며 이동공이 형성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이동공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 하부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계측기기를 탈부착할 수 있는 장착부를 구비한 장착블록;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결합되는 계측기기의 종류에 따라 장착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폭조절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
  2. 상기 폭조절유닛은
    상기 장착블록 일측에 힌지결합되되, 단부에 계측기기의 탈착부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된 폭조절부재와, 상기 폭조절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폭조절부재 일측을 가압하여 장착부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를 수평이동시키는 제1 조절부재와,
    상기 이동바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블록을 회전시키는 제2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세팅유닛;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재는
    지지대 일측으로 돌출된 제1 헤드부와, 상기 제1 헤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공에 위치한 이동바와 스크류결합되는 제1 나사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헤드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바를 제1 나사부재를 따라 수평이동시키고,
    상기 제2 조절부재는
    상기 이동바 상부에 구비되는 제2 헤드부와, 상기 제2 헤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단부에 장착블록을 결합시키는 제2 나사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헤드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장착블록이 공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
KR1020180069424A 2018-06-18 2018-06-18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 KR101985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424A KR101985749B1 (ko) 2018-06-18 2018-06-18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424A KR101985749B1 (ko) 2018-06-18 2018-06-18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749B1 true KR101985749B1 (ko) 2019-06-04

Family

ID=6681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424A KR101985749B1 (ko) 2018-06-18 2018-06-18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7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7395A1 (zh) * 2020-07-10 2022-01-13 深圳市度彼电子有限公司 仪器固定装置
WO2022075558A1 (ko) * 2020-10-08 2022-04-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도구 파라미터 측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5936A (ja) * 1997-05-23 2001-12-11 レーザーテ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医療の分野において被験体あるいは対象物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参照ビームを発生するレーザ位置決め装置
KR200445330Y1 (ko) * 2009-05-26 2009-07-21 이정애 레이저 표시장치
KR101675068B1 (ko) * 2015-11-17 2016-11-11 신영측기(주)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스탠드 어셈블리
KR101687251B1 (ko) * 2016-04-27 2016-12-1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와 오토레벨 장비의 결합을 통한 측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5936A (ja) * 1997-05-23 2001-12-11 レーザーテ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医療の分野において被験体あるいは対象物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参照ビームを発生するレーザ位置決め装置
KR200445330Y1 (ko) * 2009-05-26 2009-07-21 이정애 레이저 표시장치
KR101675068B1 (ko) * 2015-11-17 2016-11-11 신영측기(주)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스탠드 어셈블리
KR101687251B1 (ko) * 2016-04-27 2016-12-1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와 오토레벨 장비의 결합을 통한 측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7395A1 (zh) * 2020-07-10 2022-01-13 深圳市度彼电子有限公司 仪器固定装置
WO2022075558A1 (ko) * 2020-10-08 2022-04-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도구 파라미터 측정 장치
KR20220046880A (ko) * 2020-10-08 2022-04-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도구 파라미터 측정 장치
KR102405396B1 (ko) * 2020-10-08 2022-06-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도구 파라미터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12686B (zh) 用于车辆传感器校准的便携式设备
EP3636980B1 (en) Hanging type positioning and supporting device for laser level
KR101477770B1 (ko)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지지대
KR101985749B1 (ko)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
KR101525382B1 (ko) 서랍용 전방 조정 수단, 및 서랍
KR101675068B1 (ko)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스탠드 어셈블리
KR101861603B1 (ko) 계측장비의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
KR101349214B1 (ko) 정밀수준측량용 인바스타프 높낮이 조절장치
KR20110005132U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KR101349224B1 (ko) 정밀수준측량용 인바스타프 고정장치
KR200484868Y1 (ko) 계측장비용 마운트 장치
KR101625728B1 (ko) 설정 장치, 및 설정 장치를 구비한 자기 공명 장치
KR102023071B1 (ko) 계측기기 설치용 거치 브래킷
CN214188485U (zh) 一种调平装置及三维打印设备
KR200445330Y1 (ko) 레이저 표시장치
US6981330B2 (en) Multi-axis installable and adjustable level
KR101925615B1 (ko) 레이저 레벨러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US8104723B2 (en) Mounting pedestal
KR200487559Y1 (ko)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KR101358459B1 (ko) 두 지점간 경로의 변동여부 확인을 위한 측량장치 지면 고정시스템
EP2140081B1 (en) Stair handrail mounting bracket
CN107462262B (zh) 一种激光准直设备的水准泡调试装置
CN210128727U (zh) 校准治具
KR20180107493A (ko) 두께 측정장치
CN114995026A (zh) 摄像模组精准辅助安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