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190Y1 -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190Y1
KR200487190Y1 KR2020130010642U KR20130010642U KR200487190Y1 KR 200487190 Y1 KR200487190 Y1 KR 200487190Y1 KR 2020130010642 U KR2020130010642 U KR 2020130010642U KR 20130010642 U KR20130010642 U KR 20130010642U KR 200487190 Y1 KR200487190 Y1 KR 200487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ection
cable
guard frame
bending
bend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548U (ko
Inventor
김상준
김성엽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10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19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5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5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1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대향 설치되고, 가로 가이드 구간과 세로 가이드 구간에 굴곡 가이드 구간 마련되는 한 쌍의 가드프레임; 상기 한 쌍의 가드프레임의 사이에 다수개가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행거; 상기 가드프레임에 설치되어 케이블이 굴곡 가이드 구간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굴곡 가이드편;을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케이블이 가로 가이드 구간과 세로 가이드 구간 사이의 굴곡 가이드 구간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 CABLE TRAY }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굴곡 가이드 구간을 통과하는 케이블을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의 배선 경로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안전하게 적재 및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금속이나 그 밖의 불연성 재료로 제작되며, 한 쌍의 가드프레임의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행거가 설치되는 형태의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케이블을 포설할 때에는 작업자의 인력 또는 포설장비를 이용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후방으로부터 케이블을 당겨서 케이블을 전진시키게 된다.
상기 케이블 포설 작업과정에서 케이블은 케이블 트레이의 직선 가이드 구간에서 가드프레임과 마찰되지 않게 된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의 직선 가이드 구간에서는 케이블이 가드프레임과 마찰되더라도 가드프레임과 케이블이 나란한 상태이기 때문에 마찰저항이 그다지 크지 않게 된다.
그러나 케이블 트레이의 굴곡 가이드 구간에서는 케이블이 내측 가드프레임의 굴곡면을 따라 굴곡되면서 당겨지기 때문에 케이블이 심한 마찰저항을 받게 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굴곡 가이드 구간에서의 케이블에 발생되는 마찰저항은 내측 가드프레임의 굴곡 반경이 작을수록 심하게 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케이블 트레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케이블 트레이는 한 쌍의 제1 사이드바(side bar)와, 한 쌍의 제1 사이드바 사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1 지지바(supporting bar)를 구비하는 제1 트레이(tray), 및 일단이 한 쌍의 제1 사이드바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선박 내부의 천장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사이드바와, 한 쌍의 제2 사이드바 사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2 지지바를 구비하는 제2 트레이를 포함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해양선박의 케이블 트레이용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케이블 트레이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200)는 한 쌍의 가드프레임(210); 상기 한 쌍의 가드프레임(210)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행거(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로 가이드 구간(A)과 세로 가이드 구간(C)에 굴곡 가이드 구간(B)이 마련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2139호(2012년 3월 12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9613호(2012년 3월 27일 공개)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200)는 가로 가이드 구간(A)에서 세로 가이드 구간(C) 방향으로 케이블(200)이 포설되거나 그 반대로 케이블(200)이 포설될 때에 굴곡 가이드 구간(B)의 비교적 작은 굴곡 반경을 가지는 내측 가드프레임(210)에 케이블(200)이 접촉하게 되므로 케이블(200)에 많은 마찰하중이 걸리게 되어 케이블(200)의 포설 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가로 가이드 구간과 세로 가이드 구간 사이에 마련되는 굴곡 가이드 구간을 지나는 케이블에 걸리는 마찰하중을 저감하여 케이블의 포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대향 설치되고, 가로 가이드 구간과 세로 가이드 구간에 굴곡 가이드 구간 마련되는 한 쌍의 가드프레임; 상기 한 쌍의 가드프레임의 사이에 다수개가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행거; 상기 가드프레임에 설치되어 케이블이 굴곡 가이드 구간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굴곡 가이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굴곡 가이드편이 상기 가드프레임의 굴곡 가이드 구간 인근의 가로 가이드 구간의 내측 가드프레임, 또는 굴곡 가이드 구간 인근의 세로 가이드 구간의 내측 가드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굴곡 가이드편의 선단에 케이블이 접촉되는 원형 접촉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굴곡 가이드편의 후단 하부에 가드프레임에 삽입 결합되는 끼움요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굴곡 가이드편이 케이블 포설 방향에 맞추어 가드프레임에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굴곡 가이드편이 가드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에 의하면, 케이블의 포설 과정에서 케이블이 가로 가이드 구간과 세로 가이드 구간 사이의 굴곡 가이드 구간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되므로 케이블 포설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에 의하면, 케이블 포설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인력, 작업시간,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요부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요부 평면도,
도 3은 동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굴곡 가이드편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요부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요부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요부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00)는 가드프레임(110), 행거(120), 굴곡 가이드편(130)을 포함한다.
가드프레임(110)은 케이블(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대향 설치된다.
상기 가드프레임(110)은 가로 가이드 구간(A)과 세로 가이드 구간(C)에 굴곡 가이드 구간(B)이 마련된다.
행거(120)는 케이블(200)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대향 설치된 한 쌍의 가드프레임(110)의 사이에 다수개가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굴곡 가이드편(130)은 케이블(200)이 굴곡 가이드 구간(B)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가드프레임(110)의 굴곡 가이드 구간(B) 인근의 가로 가이드 구간(A)의 내측 가드프레임(110), 또는 굴곡 가이드 구간(B) 인근의 세로 가이드 구간(C)의 내측 가드프레임(110)에 설치된다.
도 3은 동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굴곡 가이드편의 사시도이다.
상기 굴곡 가이드편(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케이블(200)이 접촉되는 원형 접촉부(131)가 마련되고, 후단 하부에 내측 가드프레임(110)에 삽입 결합되는 끼움요홈(132)이 마련된다.
상기 굴곡 가이드편(130)은 케이블 포설 방향에 맞추어 내측 가드프레임(110)에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케이블(200)이 포설되는 경우에 원형 접촉부(131)가 끼움요홈(132)의 좌측 상부에 위치되는 경사로 설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굴곡 가이드편(130)이 내측 가드프레임(11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형태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 굴곡 가이드편(130)이 내측 가드프레임(110)에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된 형태이다.
이처럼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100)에 있어서 상기 굴곡 가이드편(130)의 설치 형태 및 설치 개수는 예측 가능한 범위 내에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00)는 굴곡 가이드 구간(B) 인근의 가로 가이드 구간(A)의 내측 가드프레임(110)에 설치된 굴곡 가이드편(130)을 통해 포설되는 케이블(200)이 굴곡 가이드 구간(B)을 원활하게 통과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00)에 포설되는 케이블(200)은 굴곡 가이드 구간(B)을 통과하기 전에 내측 가드프레임(110) 쪽으로 밀착되지 않고 내측 가드프레임(110) 상부의 굴곡 가이드편(130)을 지나게 된다.
따라서 굴곡 가이드 구간(B)을 지나는 케이블(200)은 굴곡 가이드 구간(B)의 내측 가드프레임(110)의 굴곡 반경보다 훨씬 큰 반경으로 굴곡되므로 내측 가드프레임(110)과의 마찰저항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굴곡 가이드 구간(B)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케이블 트레이
110 : 가드프레임
120 : 행거
130 : 굴곡 가이드편

Claims (6)

  1.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대향 설치되고, 가로 가이드 구간(A)과 세로 가이드 구간(C)에 굴곡 가이드 구간(B)이 마련되는 한 쌍의 가드프레임(110);
    상기 한 쌍의 가드프레임(110)의 사이에 다수개가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행거(120);
    상기 가드프레임(110)에 설치되어 굴곡 가이드 구간(B)을 지나는 케이블(200)이 굴곡 가이드 구간(B)의 내측 가드프레임(110)의 굴곡 반경보다 큰 반경으로 굴곡되도록 굴곡 가이드 구간(B)을 제외한 구간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굴곡 가이드편(130);을 포함하고,
    상기 굴곡 가이드편(130)은 후단 하부에 가드프레임(110)에 삽입 결합되는 끼움요홈(132)이 일정한 폭으로 마련되며,
    상기 굴곡 가이드편(130)은 케이블 포설 방향에 맞추어 가드프레임(110)에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가이드편(130)은 상기 가드프레임(110)의 굴곡 가이드 구간(B) 인근의 가로 가이드 구간(A)의 내측 가드프레임(110), 또는 굴곡 가이드 구간(B) 인근의 세로 가이드 구간(C)의 내측 가드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가이드편(130)은 선단에 케이블(200)이 접촉되는 원형 접촉부(13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30010642U 2013-12-20 2013-12-20 케이블 트레이 KR200487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642U KR200487190Y1 (ko) 2013-12-20 2013-12-20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642U KR200487190Y1 (ko) 2013-12-20 2013-12-20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48U KR20150002548U (ko) 2015-07-01
KR200487190Y1 true KR200487190Y1 (ko) 2018-08-21

Family

ID=5379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642U KR200487190Y1 (ko) 2013-12-20 2013-12-20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1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885U (ko) * 2019-10-16 2021-04-26 신승현 케이블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3351B (zh) * 2018-09-19 2024-01-12 湖北三峡职业技术学院 依靠浮力开闭的电缆通道
KR102063164B1 (ko) * 2019-06-05 2020-01-07 주식회사 이음이 인도어 리빙 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05B1 (ko) * 2006-12-06 2007-02-22 동남정공(주) 케이블 트레이를 위한 케이블 설치기구
KR101109729B1 (ko) * 2011-02-01 2012-02-24 한국전력공사 전주 전선처리용 랙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2139A (ko) 2010-09-01 2012-03-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KR101230134B1 (ko) 2010-09-17 2013-02-05 주식회사 포스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05B1 (ko) * 2006-12-06 2007-02-22 동남정공(주) 케이블 트레이를 위한 케이블 설치기구
KR101109729B1 (ko) * 2011-02-01 2012-02-24 한국전력공사 전주 전선처리용 랙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885U (ko) * 2019-10-16 2021-04-26 신승현 케이블 트레이
KR200495118Y1 (ko) 2019-10-16 2022-03-11 에스디지테크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48U (ko)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190Y1 (ko) 케이블 트레이
MXPA05009967A (es) Metodo y maquina para unir objetos alargados.
KR101972399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측벽 브라켓
KR20070115598A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US9608416B2 (en) Wire stripper with clamping device
KR200488152Y1 (ko) 공작물을 기계가공하기 위한 가공 기계용 에너지 안내 체인
KR200395617Y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249286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KR20080105596A (ko)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이송구
KR101660158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JP4965282B2 (ja) ドクター装置
KR20180000312U (ko) 무대장치용 장치봉
KR20150001451U (ko) 휨 및 끼임 방지용 가이드 서포트
KR20120008940A (ko) 케이블 트레이
JP6584299B2 (ja) ケーブル保持部材
EP0717223B1 (en) Assembly of pipelines intended to lie on a seabed and saddle for securing a second pipeline to a first pipeline
KR101170038B1 (ko) 벽체 sc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설치 방법
KR101660769B1 (ko) 주조장치
JP2020000333A5 (ko)
KR102148090B1 (ko) 유체 제어 장치 및 가스 라인부의 착탈 방법
JP6581239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KR200468736Y1 (ko) 케이블 다운 트레이
KR100976057B1 (ko) 물품의 위치 고정 장치
KR101760047B1 (ko) 케이블 분리 고정구
AU2017100554A4 (en) Cable guide an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